KR100871986B1 -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 - Google Patents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1986B1
KR100871986B1 KR1020080011198A KR20080011198A KR100871986B1 KR 100871986 B1 KR100871986 B1 KR 100871986B1 KR 1020080011198 A KR1020080011198 A KR 1020080011198A KR 20080011198 A KR20080011198 A KR 20080011198A KR 100871986 B1 KR100871986 B1 KR 100871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deformation
buried pipe
support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재용
Original Assignee
류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재용 filed Critical 류재용
Priority to KR1020080011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1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설배관 내부를 따라 이동되어, 독립적으로 분리된 3개의 브러시부가 장치의 양단과 중간에 각각 구비되어,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가 매설배관의 내부를 따라 이동될 때 매설배관과 브러시 사이의 마찰면적을 줄이는 동시에, 중간에 위치한 브러시부를 양단에 고정된 한 쌍의 브러시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보다 작은 힘으로도 매설배관의 변형 부위나 이음부를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 있어, 매설배관의 변형 검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설배관의 변형 검출기는, 지하에 매설된 매설배관의 변형을 검출하기 위한 변형 검출기에 있어서, 일측에 견인수단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중공원통형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양단에 고정된 한 쌍의 지지브러시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브러시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봉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검출브러시부; 및 일단이 상기 검출브러시부의 브러시홀더 일측면에 대항하도록 구비되는 변형판과, 상기 변형판을 지지하여 상기 지지봉에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변형판의 일면에 부착되는 스트레인게이지 및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일정한 범위의 전류로 증폭하여 외부장치에 출력해 주는 전류변환부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봉의 축방향에 따른 상기 검출브러시부의 변위를 감지하는 변위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매설배관, 하수관, 연성관, 변형 검출기, 스트레인게이지

Description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A laying pipe deflection detector}
본 발명은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설배관 내부를 따라 이동되어, 독립적으로 분리된 3개의 브러시부가 장치의 양단과 중간에 각각 구비되어,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가 매설배관의 내부를 따라 이동될 때 매설배관과 브러시 사이의 마찰면적을 줄이는 동시에, 중간에 위치한 브러시부를 양단에 고정된 한 쌍의 브러시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보다 작은 힘으로도 매설배관의 변형 부위나 이음부를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 있어, 매설배관의 변형 검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나 오수 또는 폐수 등의 유체를 소통시키는 데 사용되는 지하 매설배관으로는 철근콘크리트로 제작되는 흄관(hume pipe) 또는 수명이 길고 이물질의 걸림 현상이 거의 없는 합성수지 재질의 연성관을 사용하게 된다.
연성관은 흄관에 비하여 지압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이나 관이음부 불량 가능성이 현저히 적은 이점을 갖고 있으나, 지하에 매설 후 토사를 뒷채움하게 되므로 그 상부 토압의 하중에 의해 작용되는 지압이나 지반 침하 등의 충격에 의해 관의 찌그러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연성관으로 이루어진 하수관이 지압 또는 지반 침하 등의 충격에 의해 찌그러지게 되면, 관 접합부 등에서 누설이 발생하기 쉽고 누설 부위를 통해 하수가 빠져나와 토양이나 지하수를 오염시킴에 따라 여러 가지 환경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연성관을 시공한 이후에는 관로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 교체나 보수 등 변형 정도에 따른 대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하수관 변형 검사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환경부에서 시행하는 하수관거정비 BTL 사업이나 댐 상류지역 하수관거정비 사업 등의 공사 시공 사양에서도 하수관 변형 검사가 의무사항으로 명시되어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하수관 변형 검사 장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의 하수관 변형 검사 장비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국의 hurco사에서 제조·공급되는 변형 게이지(deflection gauge; 1)를 이용한 검사 장비가 있다. 상기 변형 게이지(1)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성분의 활재(skid; 1a)가 방사형으로 구성된 고정형 측정 기구인데, 전체 폭이 검사 대상 하수도 관경보다 약 5%작은 변형 게이지(1)를 선택하고 하수관 내부에 견인로프(2)를 넣어서 선택된 변형 게이지(1)와 연결한 후 관로 입구에서부터 타측 끝단까지 변형 게이지(1)를 이동시키면서 하수관 변형 검사를 실시하게 된다. 여기서, 변형 게이지(1)의 활재(1a)가 하수관 내의 변형 지점에 걸려 하수관 내부를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하수관을 불량하수관으로 구분하고, 해당 지점으로부터 변형 게이지(1)를 역이동시킴으로써 검사를 종료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변형 게이지를 이용한 하수관 변형 검사 장비는 변형 게이지의 하수관 직경 방향 폭이 하수관의 관경보다 5% 적게 제작되어 하수관의 변형이 관경 대비 5% 이상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을 뿐, 하수관의 변형량과 변형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변형 게이지의 활재가 하수관 내의 변형 지점에 걸려 하수관 내부를 통과하지 못하면, 변형 게이지의 활재는 해당 지점으로부터 역동되므로, 변형 지점으로부터 변형 게이지의 반대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변형 부위를 더 이상 검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 및 이를 이용한 매설배관 변형 검사 장치(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7-0044845호)를 출원한 바 있다.
상기 문헌에는, 매설배관의 내부를 따라 이동되며 지지봉의 축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형성된 브러시부와, 브러시부와 매설배관의 내면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압축되는 압축튜브와, 압축튜브 내부의 공기압을 검출하는 공압센서가 포함되어, 압축튜브의 내부의 공기압 변화를 감지하여 배관의 변형된 위치와 그 변형 정도를 판별할 수 있는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는, 축방향 전체를 따라 방사형으로 제작된 브러시와 매설배관과의 접촉면이 넓어,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와 매설배관 사이에 큰 마찰력이 작용하게 되고, 매설배관 검출기가 배관의 변형된 부위, 배관의 이음부 또는 배관 내부의 장애물을 통과할 때,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의 브러시 전체가 배관의 변형된 부위, 배관의 이음부 및 배관 내부의 장애물을 거치게 되어, 매 설배관 검사 장치의 견인에 많은 힘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와 매설배관 사이의 마찰면적을 작게하여, 보다 작은 힘으로도 매설배관 검사 장치를 견인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매설배관 내부를 따라 이동되어, 독립적으로 분리된 3개의 브러시부가 장치의 양단과 중간에 각각 구비되어, 매설배관의 내부를 따라 이동될 때 매설배관과 브러시 사이의 마찰면적을 줄이는 동시에, 검출브러시부를 한 쌍의 지지브러시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보다 작은 힘으로도 매설배관의 변형 부위나 이음부를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 있어, 매설배관의 변형 검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류변환부를 사용함으로써, 외부장치와의 사이에 별도의 증폭장치를 구비할 필요 없이 원거리 송신을 가능하게 하는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된 매설배관의 변형을 검출하기 위한 변형 검출기에 있어서, 일측에 견인수단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중공원통형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양단에 고정된 한 쌍의 지지브러시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브러시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봉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검출브러시부; 및 일단이 상기 검출브러시부의 브러시홀더 일측면에 대항하도록 구비되는 변형판과, 상기 변형판을 지지하여 상기 지지봉에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변형판의 일면에 부착되는 스트레인게이지 및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일정한 범위의 전류로 증폭하여 외부장치에 출력해 주는 전류변환부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봉의 축방향에 따른 상기 검출브러시부의 변위를 감지하는 변위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는, 매설배관의 내부를 따라 이동될 때 매설배관과 브러시 사이의 마찰면적을 줄이는 동시에 검출브러시부를 한 쌍의 지지브러시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보다 작은 힘으로도 매설배관의 변형 부위나 이음부를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 있어 매설배관의 변형 검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연성관으로 이루어진 매설배관을 효율적으로 유지 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류변환부를 사용함으로써, 외부장치와의 사이에 별도의 증폭장치를 구비할 필요 없이 원거리 송신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의 정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100; 이하, 변형 검출기라 칭함)는 일측에 견인수단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111)가 구비되는 중공원통형의 지지봉(110)과, 지지봉(110)의 양단에 고정된 한 쌍의 지지브러시부(140)와, 한 쌍의 지지브러시부(140) 사이에 위치하도록 지지봉(11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검출브러시부(150) 및 검출브러시부(150)의 일측 에 대항하도록 지지봉(110)에 결합되어, 지지봉(110)의 축방향에 따른 검출브러시부(150)의 변위를 감지하는 변위감지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봉(110)은 일측에 구비된 연결부재(111)에 견인로프(200)와 같은 견인수단이 연결되어 매설배관 변형 검사시 축방향의 견인력을 받아 변형 검출기(100)를 매설관로의 관로 방향을 따라 견인되게 한다. 또한, 지지봉(110) 외주면 중앙에 변위감지부(12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변위감지부(120)를 지지봉(110)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는 납땜 및 접착제 등 다양한 고정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지지브러시부(140)는 지지봉(110)의 외주면 양단에 끼워지고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며, 변형 검출기(100)가 배관이음부를 통과할 때 한 쌍의 지지브러시부(140)는 두 개의 배관 내면에 각각 위치하여 검출브러시부(1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해 줌으로써 검출브러시부(150)가 배관이음부의 틈에 빠지는 것을 방지해 준다. 여기서 고정부재는 다수개의 볼트, 접착제 등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검출브러시부(150)는 지지브러시부(140) 사이에 위치하도록 지지봉(110)의 외주면에 끼워져, 매설배관의 내부를 따라 이동시 장애물 등과 접촉하여 지지봉(110)의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움직이게 되며, 일측에 대항하여 구비되는 변위감지부(120)와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지지봉(110)의 연결부재(111)와 연결된 견인수단에 의해 지지봉(110)을 매설배관 내부를 따라 견인해 주면 검출브러시부(150)는 매설배관의 내벽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검출브러시부(150)가 장애물 등과 접촉하게 되면 장애물로부터 가해지는 마찰력에 의해 지지봉(110)의 축방향으로 미소하게 슬라이딩되어 이때, 일측에 대항하여 구비되는 변위감지부(120)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변위감지부(120)에서 검출브러시부(150)의 변위량에 대응하는 신호가 출력되게 한다.
지지브러시부(140) 및 검출브러시부(150)는 각각, 지지봉(110)의 외주면에 끼워질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브러시홀더(142, 152)와, 브러시홀더(142, 152)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조밀하게 형성되어 있는 브러시(144, 154)로 구성된다. 여기서 검출브러시부(150)의 브러시홀더(152)는 지지봉(110)과의 마찰력이 작은 플라스틱 계열의 소재인 것이 좋고, 외부에서 열을 가해도 형태가 변하지 않는 열경화성수지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브러시부(140) 및 검출브러시부(150)의 브러시(144, 154)는 합성수지재인 것이 좋고, 특히 관로 내벽이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변형 부위를 통과할 수 있도록 탄성이 좋고 가격이 저렴한 나일론 계열의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지지브러시부(140) 및 검출브러시부(150)는 지지봉(110)으로부터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지지브러시부(140)의 경우에는 고정부재를 제거해 주고, 검출브러시부(150)의 경우에는 체결부재(160)를 제거해주기만 하면 지지봉(110)에 결합 된 각 브러시부(140, 150)를 지지봉(110)에서 빼낸 후 다른 브러시부(140, 150)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검사의 대상이 되는 매설배관의 내경 크기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브러시(144, 154)가 구비된 브러시부(140, 150)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브러시부(140, 150)의 외경은 검사 대상이 되는 매설배관의 내경보다 약 1.5 ~ 2.5% 작은 것을 선택하여, 관로 내에서 비교적 미세하게 변형된 부위를 통과할 때도 충분한 마찰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지지봉(110)의 외주면상에는 검출브러시로(150)부터 변위감지부(120)의 반대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검출브러시부(150)의 움직임을 단속하는 체결부재(160)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체결부재(160)가 체결되는 위치에 따라 검출브러시부(150)의 움직이는 폭이 결정되며, 체결부재는 고정링, 고정띠 등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변위감지부(120)는 일단이 검출브러시부(150)의 브러시홀더(152) 일측면에 대항하도록 지지봉(110)의 삽입홈(113)에 삽입되는 변형판(124)과, 변형판(124)을 지지하여 지지봉(110)에 고정시키는 지지판(122)과 변형판(124)의 일면에 부착되는 스트레인게이지(126)및 스트레인게이지(126)에 연결되어 고정판(132)에 고정되는 전류변환부(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판(132)은 전류변환부(130)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지지봉(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판(124)은 검출브러시부(150)와 매설배관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지지봉(110)의 축방향으로 미소하게 이동되는 브러시홀더(152)의 가압에 의해 변위가 일어나며, 이에 따라 변형판(124)에 부착되어 있는 스트레인게이지(126) 역시 인장력을 받아 변형됨으로써 변형량에 비례하는 신호로 전류변환부(130)로 출력하게 되고, 전류변환부(130)는 스트레인게이지(12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일정한 범위의 전류로 증폭하여 외부장치에 출력해 준다. 여기서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는 4~20mA로, 비교적 큰 전류로 외부장치에 출력되기 때문에 노이즈의 영향을 적게 받으며, 외부장치와의 사이에 별도의 증폭장치를 구비할 필요없이 원거리 전송이 가능하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변형 검출기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의 (a)는 관로의 내벽이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변형 부위를 통과하는 변형 검출기(1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5의 (b)는 배관이음부를 통과하는 변형 검출기(1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11)에 견인로프(200)를 연결하여 변형 검사를 실시할 매설배관의 내부를 통과시키면, 변형 검출기(100)가 관로 내의 변형이 없는 부위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관로의 내면과 변형 검출기(100)의 검출브러시부(15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거의 일정하여 변위감지부(12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큰 변화가 없으나, 변형된 부위를 통과하는 시점에는 관로의 내면과 변형 검출기(100)의 검출브러시부(15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급격히 증가하여 변위감지부(120)에서 출력되는 신호값에 뚜렷한 변화가 생기게 된다. 즉, 관로의 내벽이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변형 부위에 이르러 변형 검출기(100)의 검출브러시부(150) 일측이 변형 부위와 접촉을 시작하게 되면, 변형 부위로부터 브러시(154)의 접촉면에 가해지는 저항에 의해 검출브러시부(150)에 가해지는 마찰력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변형판은 브러시홀더(152)의 가압에 의해 미세하게 변형하게 되어, 변형판(124)에 부착되는 스트레인게이지(126) 역시 인장력을 받아 변형됨으로써 스트레인게이지(126)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증가하게 된다. 여기서, 관로의 변형 부위가 검출브러시부(150)에 가하는 저항은 그 변형량에 비례하기 때 문에, 변위감지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역시 관로의 변형량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며, 변형 검출기(100)의 변위감지부(120)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매설 배관 내의 변형량을 추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이음부를 통과하는 변형 검출기(100)의 작동상태를 보면, 변형 검출기(100)가 배관이음부에 이르렀을 때, 한 쌍의 지지브러시부(140)는 검출브러시부(1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검출브러시부(150)가 배관이음부의 틈에 빠지는 것을 방지해 주기 때문에, 변형 검출기(100)는 관로 내의 변형이 없는 부위를 통과하는 경우와 큰 차이가 없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는 매설배관의 변형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매설배관 변형 검사 장치의 검출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를 이용한 매설배관 변형 검사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를 이용한 매설배관 변형 검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변형 검출기(100)를 이용한 매설배관 변형 검사 장치는, 변형 검출기(100)와, 변형 검출기(100)와 연결되어 관로 내부를 따라 견인하고, 변형 검출기(1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이동로봇(300) 및 이동로봇(300)과 전력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이동 로봇(300) 측으로 전력 및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이동로봇(300)으로부터 처리된 신호를 수신하는 중앙제어기(4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변형 검출기(100)와, 이동로봇(300) 및 중앙제어기(400)로 구성된 매설배관 변형 검사 장치의 보다 상세한 내용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 및 이를 이용한 매설배관 변형 검사 장치(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7-0044845호)를 참조하기 바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는 보다 작은 힘으로도 매설배관의 변형검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어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를 구동시키는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전류변환부를 사용함으로써 외부장치와의 사이에 별도의 증폭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연성관으로 이루어진 매설배관을 효율적으로 유지 보수할 수 있는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하수관 변형 검사 장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의 정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변형 검출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를 이용한 매설배관 변형 검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변형 게이지 2, 200 : 견인로프
100 : 변형 검출기 110 : 지지봉
111 : 연결부재 113 : 삽입홈
120 : 변위감지부 122 : 지지판
124 : 변형판 126 : 스트레인게이지
130 : 전류변환부 132 : 고정판
140 : 지지브러시부 142, 152 : 브러시홀더
144, 154 : 브러시 150 : 검출브러시부
160 : 체결부재 200 : 견인로프
300 : 이동로봇 400 : 중앙제어기

Claims (6)

  1. 지하에 매설된 매설배관의 변형을 검출하기 위한 변형 검출기에 있어서,
    일측에 견인수단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중공원통형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양단에 고정된 한 쌍의 지지브러시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브러시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봉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검출브러시부; 및
    일단이 상기 검출브러시부의 브러시홀더 일측면에 대항하도록 구비되는 변형판과, 상기 변형판을 지지하여 상기 지지봉에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변형판의 일면에 부착되는 스트레인게이지 및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일정한 범위의 전류로 증폭하여 외부장치에 출력해 주는 전류변환부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봉의 축방향에 따른 상기 검출브러시부의 변위를 감지하는 변위감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외주면의 중앙에 변위감지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러시부 및 검출브러시부는,
    상기 지지봉의 외주면에 끼워질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브러시홀더와, 상기 브러시홀더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브러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의 외주면 상에는,
    상기 지지봉에 끼워진 검출브러시부로부터 상기 변위감지부의 반대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검출브러시부의 움직임을 단속해 주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
  6. 삭제
KR1020080011198A 2008-02-04 2008-02-04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 KR100871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198A KR100871986B1 (ko) 2008-02-04 2008-02-04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198A KR100871986B1 (ko) 2008-02-04 2008-02-04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1986B1 true KR100871986B1 (ko) 2008-12-05

Family

ID=40371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198A KR100871986B1 (ko) 2008-02-04 2008-02-04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19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083B1 (ko) * 2009-08-19 2013-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신호 전달 장치
KR101796530B1 (ko) 2017-04-26 2017-11-14 주식회사 아거스 전열관 초음파 탐상 장치용 하우징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4070A (ja) * 1995-05-09 1996-11-22 Hitachi Cable Ltd 管路探査用センサ
KR100779030B1 (ko) 2007-05-09 2007-11-23 류재용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 및 이를 이용한 매설배관 변형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4070A (ja) * 1995-05-09 1996-11-22 Hitachi Cable Ltd 管路探査用センサ
KR100779030B1 (ko) 2007-05-09 2007-11-23 류재용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 및 이를 이용한 매설배관 변형 검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083B1 (ko) * 2009-08-19 2013-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신호 전달 장치
KR101796530B1 (ko) 2017-04-26 2017-11-14 주식회사 아거스 전열관 초음파 탐상 장치용 하우징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07129C (en) Apparatus for the measurement and non-destructive material testing oflaid pipelines
CN108426943B (zh) 一种可变直径的管道内漏磁检测装置
US4677472A (en)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interior of a pipeline
KR101720585B1 (ko) 도통시험용 내시경 관경ㆍ곡률반경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경ㆍ곡률반경 측정방법
CN102759564B (zh) 一种可变径管外磁记忆检测装置
KR200451212Y1 (ko) 신축이음관 변위량 측정장치
KR100913536B1 (ko) 분포형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배관 모니터링 시스템
JP2006234525A (ja) 管内調査装置
CN103899921B (zh) 用于管道检测的超声导波探头固定装置
KR100871986B1 (ko)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
JP2004264285A (ja) ダクトの内壁用検査プローブ
Mergelas et al. Leak locating method for precommissioned transmission pipelines: North American case studies
KR100779030B1 (ko)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 및 이를 이용한 매설배관 변형 검사장치
CN104760814A (zh) 一种轮式超声波传感器
TWI588322B (zh) Pier scour depth sensor
WO2020241901A1 (ja) 管路情報採取装置
KR20050111971A (ko) 관로 변형 측정장치
GB2285510A (en) Detection apparatus for use with a cylindrical member
KR20160009272A (ko) 관로 내부 조사장치
CN110095526B (zh) 一种瞬变电磁法探头装置
US10982489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 tensile force exerted while pulling a pipe or line during installation
KR102386354B1 (ko)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KR100828308B1 (ko) 매설 관로의 관로 변형 검사장치
KR200241665Y1 (ko) 기계식 핑거
KR20190089364A (ko) 관체의 유체 누설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