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7788A -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7788A
KR20230037788A KR1020210120756A KR20210120756A KR20230037788A KR 20230037788 A KR20230037788 A KR 20230037788A KR 1020210120756 A KR1020210120756 A KR 1020210120756A KR 20210120756 A KR20210120756 A KR 20210120756A KR 20230037788 A KR20230037788 A KR 20230037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ranch pipe
main pipe
fixing r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8493B1 (ko
Inventor
최승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현씨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현씨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현씨앤디
Priority to KR1020210120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8493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2075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8493B1/ko
Publication of KR20230037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커넥터 내부에 형성된 압축돌기 및 커넥터의 내외부를 압박하는 고정링을 통해 연결된 본관 및 가지관 사이의 고정력 및 수밀성이 개선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수도의 본관에 가지관을 연결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는 일단은 상기 본관의 천공에 삽입되어 상기 본관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타단은상기 가지관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의 일단 내측면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의 일단에서 상기 가지관을 향해 연장된 형태로 상기 커넥터의 일단 내측면에 돌출되고, 상기 커넥터의 내경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압축돌기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COUPLER OF BRANCH PIPE IN DRAINAGE SYSTEM AND A CONNECTING METHOD FOR BRANCH PIPE IN THE DRAINAGE SYSTEM USING THE SAM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하수도 가지관에 사용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 건축공사 및 도로공사를 포함하는 공사에는 우수, 오수 및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하수관로 공사가 필수적이고, 하수관로는 크게 주관로(본관) 및 가지관로(가지관)로 구분된다.
기존의 가지관 접합방법은 본관의 측면에 천공을 한 후 가지관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마무리하는 방법과 고무로 된 하수관 연결구를 천공된 주관로에 설치하여 시공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가지관이 본관에 접속되는 각도의 조정이 난해하여 가지관 및 본관의 연결이 어렵고 본관에 형성된 천공홀의 크기와 하수관 연결구의 크기 차이에 의해 본관 및 가지관의 연결부위에서 오수가 흘러나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다양한 규격의 본관에 가지관을 연결시키면서 본관 및 가지관의 연결 편의성을 개선하고, 본관 천공홀 및 가지관의 외경 차이에 상관없이 본관 및 가지관 사이의 수밀성을 개선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커넥터를 통해 가지관을 본관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본관과의 이탈을 방지하고, 본관으로 삽입되는 커넥터를 본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본관과 커넥터 사이의 수밀성을 개선시키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9981호는 하수관 연결구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6257호는 하수관 연결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다양한 규격의 본관에 연결되어 본관과 가지관을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연결시키는 커넥터 관련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커넥터 내부에 형성된 압축돌기 및 커넥터의 내외부를 압박하는 고정링을 통해 연결된 본관 및 가지관 사이의 고정력 및 수밀성이 개선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수도의 본관에 가지관을 연결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는 일단은 상기 본관의 천공에 삽입되어 상기 본관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타단은상기 가지관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의 일단 내측면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의 일단에서 상기 가지관을 향해 연장된 형태로 상기 커넥터의 일단 내측면에 돌출되고, 상기 커넥터의 내경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압축돌기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압축돌기들 사이에 해당되는 일단 내측면이 돌출되어 상기 압축돌기들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돌기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일단 테두리쪽 내측면에 해당되는 일부분이 안쪽을 향해 소정의 두께만큼 돌출되어 상기 고정링의 끝단면과 밀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의 타단 내측면은 외측 방향을 향해 소정의 두께만큼 함몰되어 일단 및 타단 사이에 상기 가지관의 끝단이 밀착되는 내부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은 커넥터의 일단을 본관에 삽입하는 삽입단계, 상기 커넥터의 일단 내측면에 고정링을 끼움 결합하는 확장단계 및 상기 커넥터의 타단에 가지관을 삽입하는 가지관삽입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의 일단에서 상기 가지관을 향해 연장된 형태로 상기 커넥터의 일단 내측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커넥터의 내경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압축돌기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압축돌기들 사이에 해당되는 일단 내측면이 돌출되어 상기 압축돌기들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돌기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일단 테두리쪽 내측면에 해당되는 일부분이 안쪽을 향해 소정의 두께만큼 돌출되어 상기 고정링의 끝단면과 밀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은 상기 커넥터의 타단에 상기 커넥터를 둘러싸며 압박하는 체결밴드를 체결하는 압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는 본관의 측면에 형성된 천공에 결합되는 커넥터의 내부에 삽입되는 링 형태의 고정링을 사용하여 커넥터를 본관에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는 커넥터의 내부에 형성되고 고정링의 삽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압축돌기들이 고정링의 커넥터 내부 삽입을 용이하게 가이드하면서 커넥터를 확장시켜 커넥터 및 본관 사이의 결합력이 개선된다.
또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의 커넥터는 내부에 삽입되는 가지관의 외측면 일부분과 수밀돌기들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밀착되므로, 커넥터에 의한 가지관의 압박이 가능하고 커넥터의 수축에 의해 수밀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는 본관의 측면에 형성된 천공에 삽입된 후 확장되도록 변형되어 본관과 견고하고 수밀되게 연결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는 본관의 천공 방향이 가지관 연결방향과 상이한 각도를 가지는 경우에도 커넥터 타단의 설치방향 조정에 의하여 용이하게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링을 커넥터에 삽입시키는데 사용되는 고정링 가압장치는 본관이나 가지관의 파손 염려없이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고정링을 커넥터에 삽입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커넥터 및 본관의 결합력을 개선시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실시예인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사시도 및 I-I'를 따라 커넥터를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고정링의 사시도.
도 4 및 5들은 도 1의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
도 6 및 7은 고정링을 커넥터에 삽입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링 가압장치의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들.
도 8는 도 1의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4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100)는 커넥터(200) 및 고정링(300)을 포함한다.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100)의 커넥터(200) 일단은 본관(10)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천공(5)에 삽입되고 커넥터(200)의 일단 외측면 일부는 본관(10)의 천공(5) 내측면에 밀착된다.
커넥터(200) 타단은 커넥터(200)의 일단에서 본관(10)의 외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가지관(20)을 둘러싸며 가지관(20)과 결합되고 본관(10) 및 가지관(20)들을 연결시킨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커넥터(200)는 커넥터본체(210), 걸림턱(220), 압축돌기(230)들, 연결돌기(235)들, 외부단턱(250), 내부걸림턱(255), 방지턱(260, 270)들, 수밀돌기(280), 스토퍼(290)들 및 체결홈(295)을 포함한다.
커넥터(200)의 일단은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본관(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천공(5)에 삽입되고, 일단의 외측면은 천공(5)의 안쪽에 해당하는 본관(10)의 내측면과 밀착된다.
커넥터(200)의 타단은 일단에서 원통 형태를 유지하면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일측에 배치되는 가지관(20)의 일단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커넥터(200)의 타단 외측면에 형성된 체결홈(295)에 삽입되는 체결밴드(600)를 통해 가지관(20)과 견고하게 결합된다.
커넥터(200)는 고정링(300)보다 플렉서블한 고무 및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고분자 소재로 제작되고, 본관(10)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링(300)에 의해 소재 자체도 확장되면서 커넥터(200) 및 본관(10) 사이의 수밀성이 개선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외측면은 천공(5)에 삽입된 상태에서 천공(5)의 안쪽에 해당하는 본관(10)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천공된 본관(10)의 둘레방향 쪽으로 끼워지는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상하부에는 본관(10) 내부의 제1 공간(11)을 향해 길게 연장된 돌출부(211, 212)들이 형성된다.
천공된 본관(10)의 길이방향쪽으로 끼워지는 커넥터본체(210) 일단의 제1 및 제2 방향(1, 2) 각각에는 커넥터본체(210)의 일단에서 본관(10) 내부의 제1 공간(11)을 향해 돌출부(211, 212)들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연장된 홈부(213, 214)들이 각각 형성된다.
돌출부(212)는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상부 테두리에 위치되고 커넥터본체(210) 일단의 원주길이 약 1/4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상부에서 커넥터본체(210)를 내려다 보는 경우 본관(10)을 향해 아치 형태로 돌출된다.
돌출부(211)는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하부 테두리에 위치하고 커넥터본체(210) 일단의 원주길이 약 1/4에 해당되는 부분으로서 하부에서 커넥터본체(210)의 하부를 올려다 보는 경우, 본관(10)을 향해 아치 형태로 돌출된다.
홈부(213)는 돌출부(211, 212)들 사이에 해당되는 커넥터본체(210) 일단의 원주길이 약 1/4에 해당되는 부분으로서 제1 방향(1)쪽 테두리에 해당하는 부분이고, 돌출부(211, 212)에 연결되어 본관(10)과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아치 형태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홈부(214)는 돌출부(211, 212)들 사이에 해당하는 커넥터본체(210) 일단의 원주길이 약 1/4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제2 방향(2)쪽 테두리에 해당하는 부분이고, 돌출부(211, 212)와 연결되어 본관(10)과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아치 형태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커넥터본체(210)의 일단은 천공(5)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부(211, 212)들 및 홈부(213, 214)들 각각을 통해 천공(5) 안쪽에 해당하는 본관(10)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제1 공간(11)은 침범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커넥터본체(210)의 타단은 일단에서 원통 형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일측을 향해 연장되고, 커넥터본체(210)의 타단 내측면에는 링 형태의 수밀돌기(280)들이 돌출되어 커넥터본체(210) 및 가지관(20) 사이의 수밀성을 개선시킨다.
걸림턱(220)은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테두리의 내측면에 해당하는 일부분이 링 형태로 커넥터본체(210)의 안쪽에 해당되는 제2 공간(12)을 향해 돌출되고,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내측면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링(300)이 제1 공간(11)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걸림턱(220)은 커넥터(200)에 삽입되는 고정링(300)이 천공(5)을 지나 본관(10)의 제1 공간(11)으로 삽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걸림턱(220)을 통해 고정링(300)의 삽입 깊이를 용이하게 한정할 수 있으며, 고정링(300)의 확장 기능이 개선된다.
압축돌기(230)들 각각의 일단은 걸림턱(220)의 일측에 해당되는 커넥터본체(210)의 내측면이 육면체 형태로 제2 공간(12)으로 소정의 두께만큼 돌출되어 형성되고, 커넥터본체(210)의 내측면을 따라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압축돌기(230)들 각각의 타단은 일단에서 가지관(20)을 향해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까지 서로 평행하도록 소정의 거리만큼 축소 연장되어 압축돌기(230)의 일단 및 타단 내측면에는 경사면(231)이 형성된다.
커넥터본체(210)의 내측면과 이격된 위치에 해당되는 압축돌기(230)들 각각의 모서리는 곡면을 가지도록 테이퍼 가공되고, 고정링(300)이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내부에 끼움 결합되는 과정에서 고정링(300)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가이드한다.
경사면(231)은 압축돌기(230)의 일단에서 커넥터본체(210)의 타단 외측면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고정링(300)이 압축돌기(230)와 밀착되면서 걸림턱(220)까지 삽입되는 과정에서 커넥터본체(210)의 일단을 확장시킨다.
경사면(231)에 의해 확장되는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외측면은 본관(10)과 밀착되어 수밀성이 개선되고, 커넥터(200) 및 본관(10) 사이의 결합력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압축돌기(230)는 가지관(20) 및 본관(10) 사이에서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고정링(300)이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고정링(300)을 커넥터본체(210)의 내부에 끼움 결합시키는데 용이하다.
연결돌기(235)들 각각은 압축돌기(230)들 각각의 일단 사이에 해당되는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내측면에 제2 공간(12)으로 소정의 두께만큼 돌출되어 압축돌기(230)들의 일단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연결돌기(235)들은 압축돌기(230)와 밀착되면서 커넥터본체(210)로 삽입되는 고정링(300)에 의해 압축돌기(230)가 과도하게 벌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커넥터본체(210) 및 걸림턱(220)이 과도하게 벌어져서 고정링(300)이 본관(10)으로 삽입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또한, 연결돌기(235)들은 고정링(300)의 삽입이 마무리되는 단계에서 커넥터본체(210)에 가해지는 압축력을 외측 방향을 향해 균일하게 분포시키고, 커넥터본체(210) 일단의 외측면이 천공(5) 안쪽에 해당되는 본관(10)의 내측면과 균일한 압력에 의해 밀착되게 하여 수밀성이 개선된다.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내측면과 이격된 위치에서 압축돌기(230)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돌기(235)들 각각의 모서리는 곡면을 가지도록 테이퍼 가공되어 고정링(300)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가이드한다.
외부단턱(250)은 커넥터본체(210)의 타단 외측면이 소정의 두께만큼 함몰되면서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의 외측에 형성되고, 외부단턱(250) 및 방지턱(260) 사이의 링 형태의 홈에 체결밴드를 삽입시킬 수 있다.
내부걸림턱(255)은 압축돌기(240)들이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내측면에서 돌출되면서 타단 내측면 및 일단 외측면 사이에 형성되고, 가지관(20)의 일단 끝단면과 밀착되어 가지관(20)이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내부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방지턱(270)은 커넥터본체(210)의 타단 끝단 외측면을 둘러싸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커넥터본체(210)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커넥터본체(210)의 타단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체결밴드가 커넥터본체(210)의 타단에서 일측을 향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지턱(260)은 방지턱(27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방지턱(270)보다 상대적으로 커넥터본체(210)의 일단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서 커넥터본체(210)의 타단을 둘러싸며 형성된다.
수밀돌기(280)들 각각은 커넥터본체(210)의 타단 내측면을 링 형태로 둘러싸면서 커넥터본체(2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은 내측 방향을 향해 날카로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수밀돌기(280)들은 커넥터본체(2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커넥터본체(210)의 타단 내측면에 형성되고, 가지관(20)이 커넥터본체(210)의 타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지관(2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커넥터본체(210) 및 가지관(20) 사이의 수밀성을 개선한다.
스토퍼(290)들 각각은 홈부(213, 214)들 각각에 위치하는 걸림턱(220)의 외측 일부분이 제1 및 제2 방향(1, 2)을 향해 각각 직각사다리꼴의 단면구조를 가진는 육면체 형태로 돌출된다.
또한, 커넥터(200)의 일단이 본관(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토퍼(290)들 각각의 일측면은 제1 공간(11)에 위치하는 본관(10)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커넥터(200)가 가지관(20)쪽으로 이동되며 본관(10)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링(300)은 하부돌출부(301), 상부돌출부(302), 일측홈(303) 및 타측홈(304)들을 포함한다.
고정링(300)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커넥터본체(210) 일단 내부에 고정링(300)이 삽입될 경우, 커넥터본체(210)의 타단을 향하는 일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커넥터본체(210)의 일단을 향하는 타측면은 커넥터본체(210)의 일단면에 대응되는 파형의 굴곡진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링(300)은 외측면이 커넥터(200)의 일단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천공(5)에 삽입된 상태인 커넥터(200)와 끼움 결합되고, 커넥터(200)의 일단은 고정링(300)이 커넥터(200)의 안쪽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외측을 향해 확장되어 커넥터(200)의 일단 외측면을 본관(10)의 내측면에 밀착시킨다.
고정링(300)의 제1 및 제2 방향(1, 2)쪽 일부분은, 상단부 및 하단부보다 고정링(300)의 양측폭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고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내측면과 같은 형상이 되어 커넥터본체(210)의 홈부(213, 214)쪽 일단 내측면과 밀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100)가 모두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링(300)의 외측면은 압축돌기(230, 235)들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고정링(300)의 일측면은 가지관(20)에 밀착되며, 고정링(300)의 타측면은 걸림턱(220)의 일측면에 밀착된다.
한편, 고정링(300)은 고분자, 스테인리스를 포함하는 금속 또는 복합재료 중 어느 하나의 소재를 통해 제작이 가능하고, 성형이 용이하며 제작비용이 낮은 PVC, PE 재질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고정링(300)은 상하부 직경과 제1 및 제2 방향(1, 2) 사이에 해당되는 직경이 서로 차이가 나는 타원형의 단면구조를 가진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본관(10)쪽에 해당되는 고정링(300)의 타측 테두리면은 파형으로 돌출되어 커넥터(200)의 내측면에서 걸림턱(220)에 밀착된다.
하부돌출부(301)는 고정링(300)의 타측 하부 테두리면이 타측을 향해 반구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부돌출부(302)는 고정링(300)의 타측 상부 테두리면이 타측을 향해 반구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하부돌출부(301) 및 상부돌출부(302)의 타측 테두리의 일부구간은 고정링의 외면이 타측으로 갈수록 절삭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절삭되는 작업을 통해 테이퍼 가공될 수 있다.
일측홈(303)은 고정링(300)의 제1 방향(1)쪽 테두리면이 일측을 향해 반구 형태로 함몰되고, 하부돌출부(301) 및 상부돌출부(302)의 테두리면과 연결되며 파형의 굴곡진 형태로 형성된다.
타측홈(304)은 고정링(300)의 제2 방향(2)쪽 테두리면이 일측을 향해 반구 형태로 함몰되고, 하부돌출부(301) 및 상부돌출부(302)의 테두리면과 연결되어 파형의 굴곡진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링(300)이 커넥터(200)의 일단 내측면에 끼움 결합되는 과정에서 직경이 크게 형성된 하부돌출부(301), 상부돌출부(302), 일측홈(303) 또는 타측홈(304)의 수축으로 고정링(300)은 원형의 단면구조로 변형되고, 제1 및 제2 방향(1, 2)쪽 외측면이 커넥터(200)의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커넥터(200)를 확장시킨다.
따라서, 고정링(300)은 천공(5)의 일측에서 커넥터(200)의 내부로 삽입되는 편리한 작업과정을 통해 커넥터(200)를 본관(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4 내지 6들을 참조하면, 삽입단계(S101)는 가지관(20)을 본관(10)에 연결시키기 위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의 제1 단계로서 작업자는 커넥터(200)를 천공(5)에 삽입시켜 본관(10)의 내측면에 밀착시킨다.
확장단계(S102)는 커넥터(200)의 일단을 확장시켜 커넥터(200) 및 본관(10)의 결합력을 개선하는 제2 단계로서, 작업자는 고정링(300)을 커넥터(200)의 내부에 삽입시켜 커넥터(200)를 본관(10)에 고정시킨다.
가지관삽입단계(S103)는 가지관(20)을 커넥터(200)의 내부에 삽입시키는 제3 단계로서, 작업자는 가지관(20)의 일단 일부분을 커넥터(200)의 타단측에서 커넥터(200)의 타단 내부에 삽입시키고, 가지관(20)의 일단 끝단면을 고정링(300) 및 내부걸림턱(255)과 밀착시킨다.
가지관삽입단계(S103)에서, 가지관(20)의 단면 두께는 압축돌기(230) 및 고정링(300)의 단면 두께와 동일하고, 가지관(20)이 내부걸림턱(255) 및 고정링(300)과 밀착된 상태에서 가지관(20)의 내측면은 고정링(300)의 내측면과 단차없이 연결되어 원통 형태의 내측면을 형성한다.
압박단계(S104)에서 작업자는 원형의 밴드로 형성되는 체결밴드(600)를 체결홈(295)에 삽입하여 체결밴드(600)가 커넥터본체(210)를 둘러싸도록 배치한 후 체결밴드(600)의 볼트를 조절하여 커넥터본체(210) 및 가지관(20)을 서로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가지관(20)의 외측과 커넥터(200)의 타단 내측에 형성된 수밀돌기를 서로 밀착시켜 가지관(20) 및 커넥터(200) 사이의 수밀성을 강화시킨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고정링 가압장치(500)는 고정부재(510), 연결판(511, 512), 회동부재(520), 가압판(530), 브라켓(540) 및 너트(550, 555, 560, 570)들을 포함한다.
고정링 가압장치(500)는 확장단계(S102)에서 고정링(300)을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내측면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사용되고, 커넥터(200)의 일단의 이동을 방지하고 타격 등의 충격을 가하는 작업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링(300)을 삽입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510)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되는 사각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 및 타측에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되는 일측면 및 타측면 일부가 관통되어 고정부재(510)의 내부공간과 일측공간 및 타측공간을 연결하는 측면홈(515)들이 형성된다.
고정부재(510)는 본관(10)에 커넥터(200)가 결합되고, 고정링(300)의 일부가 커넥터본체(210)의 일측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커넥터(200)의 내부를 지나 본관(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연결판(511, 512)들 각각은 서로 평행한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측면홈(515)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부재(510)의 타측에 결합된다.
연결판(511, 512)들 각각은 회동축(516)들 각각을 통해 연결판(511, 512)들 사이에 배치되는 너트(555)와 상하부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결합되고, 너트(550)는 회동부재(520)의 일단에 볼트 결합된다.
회동부재(520)의 일단은 리드스크류 형태로 형성되어 너트(550)와 볼트 결합되면서 너트(550)의 타측으로 돌출되고 너트(555)와 용접 결합되어 너트(550)가 회동부재(520)의 일단을 통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회동부재(520)의 중앙부는 일단에서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너트(560)와 용접 결합되고, 타단은 브라켓(540)을 관통하면서 일측으로 연장되며 제1 및 제2 방향(1, 2)으로 분기하며 연장되어 손잡이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부재(510)는 커넥터(200)의 내부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동축(516)을 축으로 회전되어 고정부재(510)의 제1 및 제2 방향(1, 2)쪽 일부분들 중 어느 하나는 회동부재(520)의 중앙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커넥터(200)를 통해 본관(10) 내부로 삽입이 용이한 형태로 변형된다.
고정부재(510)가 본관(10)의 내부로 삽입되면 회동부재(520)의 타단을 회전시키거나 흔들어서 고정부재(510)가 회동부재(520)의 일단과 수직한 방향인 원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고정부재(510)가 원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회동부재(520)의 타단을 일측으로 당기면 고정부재(510)의 제1 및 제2 방향(1, 2)쪽 일부분이 본관(10) 내부의 커넥터(200)와 밀착된다.
가압판(530)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의 관통홀이 외측을 향해 함몰되고 외측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관통홀과 가압판(530)의 외측면 주변 공간을 연결하는 삽입홈(531)이 형성된다.
가압판(530)의 외경은 고정링(300)의 외경보다 크면서 커넥터본체(210)의 수밀돌기(280)들 안쪽까지 해당되는 커넥터본체(2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도어 커넥터본체(210)의 타단으로 삽입되면서 고정링(300)을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내부로 삽입시킨다.
가압판(530)은 삽입홈(531)에 회동부재(520)의 중앙부를 삽입시켜 가압판(530) 및 회동부재(520)가 결합되고, 회동부재(520)의 타단을 회동시키면 회동부재(520)의 일단 및 너트(560)가 본관(10)의 내부를 향해 이동하면서 너트(560)가 가압판(530)을 본관(10)의 내부를 향해 밀어낸다.
브라켓(540)의 일측부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되는 사각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브라켓(540)의 타측부는 일측부의 제1 방향(1) 및 제2 방향(2)쪽 일부분이 타측을 향해 수직하게 절곡 및 연장되어 본관(10)의 일측면에 밀착된다.
회동부재(520)의 타단은 브라켓(540)의 일측부 중앙을 관통하면서 너트(570)와 볼트 결합되고, 너트(570)를 정회전시키면 너트(570)가 본관(10)을 향해 이동되면서 브라켓(540)의 타측부 끝단이 커넥터(200) 주위의 본관(10) 일측면과 밀착되며 브라켓(540) 및 고정부재(510)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어 브라켓(540) 및 고정부재(510)가 본관(10)과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가압판(530)을 너트(560)의 타측에 해당되는 회동부재(520)의 중앙부에 설치하고, 회동부재(520)의 타단을 정회전시키면 회동부재(520) 및 너트(560)가 본관(10)의 내부로 이동되고, 너트(560)가 가압판(530)을 본관(10)의 내부로 밀어낸다.
가압판(530)이 본관(10)의 내부로 이동되면서 가압판(530)과 밀착된 고정링(300)이 커넥터본체(210)의 내측면으로 이동되고, 작업자는 편리하게 고정링(300)을 커넥터본체(2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200: 커넥터
300: 고정링

Claims (8)

  1. 하수도의 본관 및 가지관을 연결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본관의 천공에 삽입되어 상기 본관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타단은상기 가지관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의 일단 내측면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의 일단에서 상기 가지관을 향해 연장된 형태로 상기 커넥터의 일단 내측면에 돌출되고, 상기 커넥터의 내경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압축돌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압축돌기들 사이에 해당되는 일단 내측면이 돌출되어 상기 압축돌기들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돌기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일단 테두리쪽 내측면에 해당되는 일부분이 안쪽을 향해 소정의 두께만큼 돌출되어 상기 고정링의 끝단면과 밀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타단 내측면은,
    외측 방향을 향해 소정의 두께만큼 함몰되어 일단 및 타단 사이에 상기 가지관의 끝단이 밀착되는 내부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5. 커넥터의 일단을 본관에 삽입하는 삽입단계;
    상기 커넥터의 일단 내측면에 고정링을 끼움 결합하는 확장단계; 및
    상기 커넥터의 타단에 가지관을 삽입하는 가지관삽입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의 일단에서 상기 가지관을 향해 연장된 형태로 상기 커넥터의 일단 내측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커넥터의 내경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압축돌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압축돌기들 사이에 해당되는 일단 내측면이 돌출되어 상기 압축돌기들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돌기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일단 테두리쪽 내측면에 해당되는 일부분이 안쪽을 향해 소정의 두께만큼 돌출되어 상기 고정링의 끝단면과 밀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타단에 상기 커넥터를 둘러싸며 압박하는 체결밴드를 체결하는 압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KR1020210120756A 2021-09-10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KR102668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756A KR102668493B1 (ko) 2021-09-10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756A KR102668493B1 (ko) 2021-09-10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788A true KR20230037788A (ko) 2023-03-17
KR102668493B1 KR102668493B1 (ko) 2024-05-24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8933B2 (en) Corrugated plastic pipe sections having flanged ends and structurally tight joints thereof
EP2603722B1 (en) System for embedding a sealable conduit for ducting a tube or cable in a wall or floor which is to be produced by a casting process and method for embedding such a conduit
KR20230037788A (ko)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JP4515806B2 (ja) 既設管の更生方法
KR102668493B1 (ko)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JP2019157501A (ja) シース接続口成形用挿入具及びシース接続口の成形方法
JPWO2006046477A1 (ja) 更生管及び該更生管を用いた管路施設修復工法
KR101311589B1 (ko) 현장 설치용 추가관로 형성 및 연결장치
KR102299817B1 (ko) 하수도 가지관용 고정링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KR100617507B1 (ko) 수밀형 맨홀
JPH11105134A (ja) ライニング管用帯状体及び既設管のライニング方法
KR102254019B1 (ko)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KR101490720B1 (ko)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KR200452242Y1 (ko) 맨홀관로의 이형관로 연결장치
KR101890409B1 (ko) 패킹재가 소켓부에 일체로 설치된 하수도용 소켓관,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200218355Y1 (ko) 가지관 연결 조인트
KR100617522B1 (ko) 수밀형 맨홀의 접속관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JP4254376B2 (ja) 接続用継手
JP4217144B2 (ja) 突き合わせ接続用継手構造
JP5491105B2 (ja) ストリップ、ストリップとジョイナとの接合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螺旋管
KR102386569B1 (ko)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 그에 이용되는 압착 볼트 및 그 시공 방법
JP3290549B2 (ja) マンホールへの管の接続構造および方法
JP3181553B2 (ja) 勾配水路面を有する単位管渠型側溝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勾配水路面を有する連設管渠型側溝体
JP2023007714A (ja) 管体の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