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186U -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186U
KR20110011186U KR2020100005533U KR20100005533U KR20110011186U KR 20110011186 U KR20110011186 U KR 20110011186U KR 2020100005533 U KR2020100005533 U KR 2020100005533U KR 20100005533 U KR20100005533 U KR 20100005533U KR 20110011186 U KR20110011186 U KR 201100111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ipe
opening hole
connector body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지운
Original Assignee
류지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지운 filed Critical 류지운
Priority to KR2020100005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1186U/ko
Publication of KR201100111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18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4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02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of concrete, cement or asbestos-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관의 본관에 개구구멍을 뚫어 이 개구구멍에 연결구본체를 개재하여 지관이 확장밴드와 고정밴드로 조여져 고정되도록 함에 있어서의 연결구본체의 한쪽 끝단 외경의 개구구멍결합면에 본관의 개구구멍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연결구본체의 개구구멍결합면의 안쪽의 내경에 형성한 밴드장착홈에 원주의 확장방향으로 칫수가 순차적으로 확장가능한 확장밴드를 형성하여, 본관의 개구구멍에 연결구본체의 개구구멍결합면이 확장밴드의 순차확장으로 기밀성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홈관, 프라스틱관 강관 등 유체를 이송시키는 본관(100)에 개구구멍(110)을 뚫어 상기 개구구멍(110)에 지관(400)이 연결구본체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되고, 또한 상기 개구구멍(110)에 연결구본체가 확장밴드에 의하여 확장되어 고정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확장밴드(300)에 후크편(310)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후크편(310)에 대향하는 끝단에 상기 후크편(310)과 이맞물림결합가능한 래치트홈(320)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후크편(310)들이 래치트홈(320)들에 결합되어 확장밴드(300)의 확장되는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확장밴드(300)는 개구되는 밴드로써, 몸체부에 후크편(310)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끝단부측에 래치트홈(320)들이 등간격으로 성형되어, 상기 밴드의 끝단이 상기 몸체의 후크편(310)들 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확장밴드(300)의 확장방향으로만 칫수이동으로 확장되어 확장밴드(300)가 연결구본체(200)의 밴드장착홈(210)에 장착된 칫수 이상으로 순차적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연결구본체(200)는 상기 본관(100)의 개구구멍(110)에 접착되는 개구구멍결합면(220)에 연결구본체(200)가 상기 개구구멍(11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래치트돌기(230)가 형성되고, 연결구본체(200)에 지관(400)이 결합되는 내경의 지관결합면(260)에 지관(400)이 연결구본체(2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래치트돌기(240)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Coupler of main pipe and branch pipe for drain pipe}
본 고안은 콘크리트 홈관, 프라스틱관 강관 등 유체를 이송시키는 배수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관의 본관에 개구구멍을 뚫어 이 개구구멍에 연결구본체를 개재하여 지관이 확장밴드와 고정밴드로 조여져 고정되도록 함에 있어서의 연결구본체의 한쪽 끝단 외경의 개구구멍결합면에 본관의 개구구멍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연결구본체의 개구구멍결합면의 안쪽의 내경에 형성한 밴드장착홈에 원주의 확장방향으로 칫수가 순차적으로 확장가능한 확장밴드를 형성하여, 본관의 개구구멍에 연결구본체의 개구구멍결합면이 확장밴드의 순차확장으로 기밀성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홈관, 프라스틱관 강관 등 유체를 이송시키는 관(管)에 있어서는 유체의 주 이송관인 본관을 설치하고, 이 본관으로부터 유로를 변경하거나 여러통로의 분관(分管)으로 나눌 때 상기의 본관에 지관을 설치하며 이 지관을 상기의 본관에 T자형 등으로 견고하게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지관을 본관에 연결 설치하는 방법으로 용접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금속재의 지관을 연결할 때만 가능하며, 용접이 불가능한 관, 예를 들어 콘크리트 본관에 수지관인 지관의 연결에는 이용할 수 없다.
상기 용접의 방법으로 상기 지관을 연결함에 있어서도 상기 본관의 설치위치나 장소 등에 의하여 어렵게 되고 있으며 현장에서 상기 용접을 위한 용접기 및 이의 가동을 위한 전원 등이 필요하게 되는 어려움이 동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본관을 비금속으로 제조된 것은 상기 지관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T형관을 제작하여 이 T형관의 양측 대경부(大徑部)는 본관에, 수직의 소경부(小徑部)에는 지관을 각각 연결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이는 상기 지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적어도 3곳에 연결수단을 구비시켜야 함으로써, 지관의 연결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되어 있었고, 상기 연결부위의 기밀유지를 위한 기밀유지 수단을 별도로 구비하여 설치해야만 했으며,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이 본관과 지관의 설치위치 및 장소에 따라 그 작업성이 다르기 때문에 지관의 연결작업이 어렵게 되고, 작업성이 불리함에 따라 완벽한 기밀유지를 시키면서 지관을 연결하기 위한 작업이 난해하면서 인력소모와 수고가 가중되는 점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기술로써,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82277호에서는 본관의 천공된 연결공에 접속구본체의 삽입단을 삽입하여 삽입단의 내측을 확장시켜 천공면에 밀착시키고, 상기 연결공의 둘레면을 밀봉시켜주기 위하여 접속구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접합날개로 접합시켜 완벽한 수밀이 가능한 상태에서 지관이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즉 점속구본체(3)의 삽입단(31)의 내면에 본관(1)의 천공면(12)과 동일한 파형의 형상을 갖는 확장링(21)을 위치시키고, 상기 확장링(21)을 원주방향에 직각으로 확장시켜 상기 천공면(12)에 상기 삽입단(31)을 밀착시켜주는 확장밴드(2)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확장밴드(2)는 삽입단(31)의 안착홈(33)에 위치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링형상으로 원주방향에 직각으로 확장되도록 링의 일부분이 절단된 직경조정용 절단부(22)를 갖는 확장링(21)이 형성되고; 상기 확장링(21)의 절단부(22) 내측 단부에 "W"형상으로 절곡된 금속제 확장클립(23)의 양단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확장클립(23)의 절곡부가 펴짐으로써 상기 확장링(21)이 확장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확장밴드(2)의 확장링(21)에 절단부(22)를 형성하며, 또한 절곡된 확장클립(23)을 확장밴드(2)내에 고정하되, 확장클립(23)의 절곡 및 펴짐칫수를 감안하여 설계 및 제작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절곡 및 펴짐의 설계 칫수를 조금만 벗어난 경우에 확장링(21)의 확장력이 절달되지 않아 제작 불량품으로 재가공 및 재활용도 하지 못하는 불량품을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콘크리트 홈관, 프라스틱관 강관 등 유체를 이송시키는 본관에 개구구멍을 뚫어 상기 개구구멍에 지관이 연결구본체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되고, 또한 상기 개구구멍에 연결구본체가 확장밴드에 의하여 확장되어 고정되도록 함에 있어서의 상기 확장밴드에 후크편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후크편에 대향하는 끝단에 상기 후크편과 이맞물림결합가능한 래치트홈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후크편들이 래치트홈들에 결합되어 확장밴드의 확장되는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확장밴드의 확장방향으로만 확장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확장밴드는 개구되는 밴드로써 몸체부에 후크편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또한 끝단부측에 래치트홈들이 등간격으로 성형되어 상기 밴드의 끝단이 상기 몸체의 후크편들 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환장밴드의 확장방향으로만 칫수이동으로 확장되어 확장밴드가 연결구본체의 밴드장착홈에 장착된 칫수 이상으로 순차적으로 확장가능하게 형성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콘크리트 홈관, 프라스틱관 강관 등 유체를 이송시키는 본관에 개구구멍을 뚫어 상기 개구구멍에 지관이 연결구본체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되고, 또한 상기 개구구멍에 연결구본체가 확장밴드에 의하여 확장되어 고정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확장밴드에 후크편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후크편에 대향하는 끝단에 상기 후크편과 이맞물림결합가능한 래치트홈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후크편들이 래치트홈들에 결합되어 확장밴드의 확장되는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됨을 기본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확장밴드는 개구되는 밴드로써, 몸체부에 후크편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끝단부측에 래치트홈들이 등간격으로 성형되어, 상기 밴드의 끝단이 상기 몸체의 후크편들 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확장밴드의 확장방향으로만 칫수이동으로 확장되어 확장밴드가 연결구본체의 밴드장착홈에 장착된 칫수 이상으로 순차적으로 확장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연결구본체는 상기 본관의 개구구멍에 접착되는 개구구멍결합면에 연결구본체가 상기 개구구멍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래치트돌기가 형성되고, 연결구본체에 지관이 결합되는 내경의 지관결합면에 지관이 연결구본체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래치트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배수관의 본관에 개구구멍을 뚫어 이 개구구멍에 연결구본체를 개재하여 지관이 확장밴드와 고정밴드로 조여져 고정되도록 함에 있어서의 연결구본체의 한쪽 끝단 외경의 개구구멍결합면에 본관의 개구구멍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연결구본체의 개구구멍결합면의 안쪽의 내경에 형성한 밴드장착홈에 원주의 확장방향으로 칫수가 순차적으로 확장가능한 확장밴드를 형성하여, 본관의 개구구멍에 연결구본체의 개구구멍결합면이 확장밴드의 순차확장으로 기밀성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본관, 연결구본체 및 지관의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본관, 연결구본체 및 지관의 분리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본관에 연결구본체이 결합된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본관, 연결구본체 및 지관의 결합단면도,
도 5a,b 는 본 고안의 확장밴드의 끝단의 분리 및 결합 사시도.
본 고안의 구체적인 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콘크리트 홈관, 프라스틱관 강관 등 유체를 이송시키는 본관(100)과, 또한 상기 본관(100)에 결합되며, 상기 본관(100)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의 지관(400)과, 또한 상기 본관(100)과 지관(400)의 연결 매개체의 연결구본체(200)와, 또한 상기 연결구본체(200)에 결합되어 본관(100)에 연결구본체(200)가 유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확장밴드(300) 및 상기 연결구본체(200)에 지관(400)이 결합되어 유지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밴드(500)로 구성된다.
본관(100)에는 상기 연결구본체(200)의 한쪽 끝단의 개구구멍결합면(220)이 결합되어 유지고정될 수 있는 크기의 개구구멍(110)이 뚫려 있다. 이 개구구멍(110)에 상기 연결구본체(200)를 개재하여 지관(400)이 결합되어 연결된다.
상기 연결구본체(200)는 양쪽이 개구된 원통형상체로써 한쪽의 외경은 상기 개구구멍결합면(220)이 형성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개구구멍결합면(220)은 본관(100)의 개구구멍(110)에 접착되며, 또한 개구구멍결합면(220)에는 연결구본체(200)가 상기 본관(100)의 개구구멍(11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래치트돌기(230)가 형성되어, 래치트돌기(230)는 연결구본체(200)가 본관(100)의 개구구멍(110)에 삽입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반대로 개구구멍(110)으로부터 연결구본체(200)가 빠지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이는 본관(100)이 연결구본체(20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다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연결구본체(200)의 밴드장착홈(210)에 확장밴드(300)를 결합한 후, 상기 본관(100)의 개구구멍(110)에 연결구본체(200)를 결합한다.
도 5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확장밴드(300)는, 확장밴드(300)에 후크편(310)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후크편(310)에 대향하는 끝단에 상기 후크편(310)과 이맞물림결합가능한 래치트홈(320)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후크편(310)들이 래치트홈(320)들에 결합되어 확장밴드(300)의 확장되는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확장밴드(300)는 개구되는 밴드로써, 몸체부에 후크편(310)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끝단부측에 래치트홈(320)들이 등간격으로 성형되어, 상기 밴드의 끝단이 상기 몸체의 후크편(310)들 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확장밴드(300)의 확장방향으로만 칫수이동으로 확장되어 확장밴드(300)가 연결구본체(200)의 밴드장착홈(210)에 장착된 칫수 이상으로 순차적으로 확장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확장밴드(300)가 연결구본체(200)의 밴드장착홈(210)에 결합한 상태에서 또한 연결구본체(200)의 개구구멍결합면(220)이 개구구멍(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밴드(300)를 확장할 수 있는 확장기구(도시생략)를 이용하여 확장밴드(300)를 확장하는 방향으로 벌리게 되면 확장밴드(300)의 후크편(310)들이 래치트홈(320)에 결합된 상태에서 벌리는 방향으로 확장되면, 후크편(310)들이 기존의 래치트홈(320)의 경사면(321)을 따라서 이동하며 다음의 래치트홈(320)에 결합됨에 따라서 후크편(310)이 다음의 래치트홈(320)에 안정적으로 유지고정되게 된다.
본 고안의 확장밴드(300)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 끝단부분에 후크편(310)들을 용접 고정하고, 후크편(310)들의 촉부분이 약간 경사져 촉부분이 후술하는 래치트홈(320)에 결합가능한 칫수이다. 또한 상기 확장밴드(300)의 다른 한쪽의 끝단부분에 한쪽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321)을 가지는 래치트홈(320)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a의 상태에서 확장밴드(300)의 개구부를 링형상으로 결합하면 도 5b와 같이 링형상체를 구성하며, 이 때 링형상체의 직경을 최소로 유지한 상태로 유지하여 연결구본체(200)의 밴드장착홈(210)에 상기 확장밴드(300)를 결합한 후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확장기구에 의하여 확장밴드(300)의 직경을 늘림방향으로 확장함에 따라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관(100)에 연결구본체(200)를 견고히 유지고정할 수 있다.
상기 확장밴드(300)의 직경이 최소의 직경으로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결합한 후, 확장기구를 이용하여 확장밴드(300)를 확장하여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확장밴드(300)의 확장은 연결구본체(200)의 밴드장착홈(210)에서 중심축의 바깥쪽으로 뻗는 힘이 가하여져서 확장밴드(200)의 외경인 개구구멍결합면(220)이 본관(100)의 개구구멍(110)에 긴밀하게 밀착을 유지하게 된다.
이 때, 확장밴드(300)의 래치트홈(320)부분과 후크편(310)이 형성된 부분들이 확장밴드(300)의 밴드장착홈(210)에 밀착되면서 턱이진 부분이 자국을 형성할 수 있는 데, 본 고안은 확장밴드(300)의 둘레면에는 보호판(330)이 용접고정되어 있다. 이 보호판(330)은 확장밴드(300)의 후크편(310)과 래치트홈(320)의 결합으로 유지고정되면서 외주의 턱이진 부분을 감쌓아 확장밴드(300)의 밴드장착홈(210)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100 : 본관 110 : 개구구멍
200 : 연결구본체 210 : 밴드장착홈
220 : 개구구멍결합면 230,240 : 래치트돌기
250 : 밴드고정홈 260 : 지관결합면
300 : 확장밴드 310 : 후크편
320 : 래치트홈 400 : 지관
500 : 고정밴드

Claims (3)

  1. 콘크리트 홈관, 프라스틱관 강관 등 유체를 이송시키는 본관(100)에 개구구멍(110)을 뚫어 상기 개구구멍(110)에 지관(400)이 연결구본체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되고, 또한 상기 개구구멍(110)에 연결구본체가 확장밴드에 의하여 확장되어 고정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확장밴드(300)에 후크편(310)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후크편(310)에 대향하는 끝단에 상기 후크편(310)과 이맞물림결합가능한 래치트홈(320)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후크편(310)들이 래치트홈(320)들에 결합되어 확장밴드(300)의 확장되는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장밴드(300)는 개구되는 밴드로써, 몸체부에 후크편(310)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끝단부측에 래치트홈(320)들이 등간격으로 성형되어, 상기 밴드의 끝단이 상기 몸체의 후크편(310)들 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확장밴드(300)의 확장방향으로만 칫수이동으로 확장되어 확장밴드(300)가 연결구본체(200)의 밴드장착홈(210)에 장착된 칫수 이상으로 순차적으로 확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본체(200)는 상기 본관(100)의 개구구멍(110)에 접착되는 개구구멍결합면(220)에 연결구본체(200)가 상기 개구구멍(11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래치트돌기(230)가 형성되고, 연결구본체(200)에 지관(400)이 결합되는 내경의 지관결합면(260)에 지관(400)이 연결구본체(2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래치트돌기(24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KR2020100005533U 2010-05-27 2010-05-27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KR2011001118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533U KR20110011186U (ko) 2010-05-27 2010-05-27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533U KR20110011186U (ko) 2010-05-27 2010-05-27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186U true KR20110011186U (ko) 2011-12-05

Family

ID=72887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533U KR20110011186U (ko) 2010-05-27 2010-05-27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118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234Y1 (ko) * 2011-12-12 2013-09-27 류지운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KR102299817B1 (ko) * 2021-01-22 2021-09-09 주식회사 모현씨앤디 하수도 가지관용 고정링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234Y1 (ko) * 2011-12-12 2013-09-27 류지운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KR102299817B1 (ko) * 2021-01-22 2021-09-09 주식회사 모현씨앤디 하수도 가지관용 고정링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1464B2 (en) Coupling, particularly pipe coupling for high-pressure pipes or hoses
KR101011018B1 (ko) 밀림방지와 삽입 후 분리 방지 패킹용 상하수도관
EP1669658B1 (en) Connection sleeve for pipe branches
EP2372210A2 (en) Coupling element
GB0107637D0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underwater pipe-laying
PT1351004E (pt) Uniao de topo entre duas seccoes tubulares em chapa e processo para a sua producao
KR20110011186U (ko)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JP2015531046A (ja) 圧力管連結用継手管のワンタッチ3段締結装置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圧力管の施工方法
KR100881351B1 (ko) 이탈 방지구조로 이루어진 확관단부를 갖는 관
KR20110011850U (ko)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KR20140137153A (ko) 개스킷
KR20100134425A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기 배관 연결방법
US10738929B2 (en) Sanitary Tee or Wye fitting component and use in a DWV system
KR200469234Y1 (ko)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KR200483288Y1 (ko) 배관 연결장치
US20090290951A1 (en) Sleeve For a T-Bolt and a Sleeve and T-Bolt Combination to Prevent T-Bolt Rotation
KR101819981B1 (ko) 배관 연결부 조립체
KR100982713B1 (ko) 패킹을 이용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JP2010223381A (ja) 管継手およびそれを用いた管継手施工方法
KR20040077996A (ko) 메카니컬 접합 및 kp메카니컬 접합의 접합관 이탈방지구조
CN101512241A (zh) 用于连接通风管道系统中的管元件的装置
JP5117775B2 (ja) 管継手取付方法、および分岐管用管継手構造
KR101008966B1 (ko) 파이프 결합장치
KR100921992B1 (ko) 플랜지용 접이형 하수관
JP2002250492A (ja) 管路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