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234Y1 -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234Y1
KR200469234Y1 KR2020110010988U KR20110010988U KR200469234Y1 KR 200469234 Y1 KR200469234 Y1 KR 200469234Y1 KR 2020110010988 U KR2020110010988 U KR 2020110010988U KR 20110010988 U KR20110010988 U KR 20110010988U KR 200469234 Y1 KR200469234 Y1 KR 2004692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ranch pipe
connector
connector body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660U (ko
Inventor
류지운
Original Assignee
류지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지운 filed Critical 류지운
Priority to KR2020110010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234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6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6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2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2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관의 본관에 개구구멍을 뚫어 이 개구구멍에 연결구본체을 장착하여 이 연결구본체에 지관이 결합 고정되도록 함에 있어서의 본관의 개구구멍에 연결구본체의 외관이 긴축력있게 결합되고, 또한 본관의 개구구멍에 고정된 연결구본체의 내경에 지관이 내경의 안쪽으로 경사진 래치트돌출링들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서, 연결구본체의 내경에 삽입된 지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래치트돌출링들과 또한 상기 래치트돌출링들의 사이에 형성된 충전공간에 의하여 지관이 연결구본체에 유지 고정될 수 있도록 한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유압이 비교적 낮은 유체를 이송시키는 본관에 개구구멍을 뚫어 상기 개구구멍에 지관이 연결구본체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는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에서, 연결구본체(30)의 내경에 지관(2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래치트돌출링(100)들이 연결구본체(30)의 개구부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래치트돌출링(100)들의 사이에 래치트돌출링(100) 보다 낮은 칫수의 요홈둘레면(110)이 형성되어, 연결구본체(30)내에서 지관(20)의 둘레면(21)이 간격을 두고 상기 래치트돌출링(100)들에 의하여 긴밀하게 접촉 고정되는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에 있어서, 연결구본체(30)의 내경에 삽입된 지관(20)의 둘레면(21)에 긴밀하게 접촉 고정된 래치트돌출링(100)들의 사이에 충전공간(200)이 형성되어, 지관(20)이 연결구본체(30)내에서 래치트돌출링(100)들과 충전공간(200)에 의하여 기밀을 유지하면서 긴축력있게 유지 고정된다.

Description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Coupler of main pipe and branch pipe for drain pipe}
본 고안은 콘크리트 홈관, 프라스틱관 등에 비교적 유압이 낮은 유체를 이송시키는 배수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관의 본관에 개구구멍을 뚫어 이 개구구멍에 연결구본체을 장착하여 이 연결구본체에 지관이 결합 고정되도록 함에 있어서의 본관의 개구구멍에 연결구본체의 외관이 긴축력있게 결합되고, 또한 본관의 개구구멍에 고정된 연결구본체의 내경에 지관이 내경의 안쪽으로 경사진 래치트돌출링들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서, 연결구본체의 내경에 삽입된 지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래치트돌출링들과 또한 상기 래치트돌출링들의 사이에 형성된 충전공간에 의하여 지관이 연결구본체에 유지 고정될 수 있도록 한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홈관, 프라스틱관 강관 등 유체를 이송시키는 관(管)에 있어서는 유체의 주 이송관인 본관을 설치하고, 이 본관으로부터 유로를 변경하거나 여러통로의 분관(分管)으로 나눌 때 상기의 본관에 지관을 설치하며 이 지관을 상기의 본관에 T자형 등으로 견고하게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지관을 본관에 연결 설치하는 방법으로 용접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금속재의 지관을 연결할 때만 가능하며, 용접이 불가능한 관, 예를 들어 콘크리트 본관에 수지관인 지관의 연결에는 이용할 수 없다.
상기 용접의 방법으로 상기 지관을 연결함에 있어서도 상기 본관의 설치위치나 장소 등에 의하여 어렵게 되고 있으며 현장에서 상기 용접을 위한 용접기 및 이의 가동을 위한 전원 등이 필요하게 되는 어려움이 동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본관을 비금속으로 제조된 것은 상기 지관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T형관을 제작하여 이 T형관의 양측 대경부(大徑部)는 본관에, 수직의 소경부(小徑部)에는 지관을 각각 연결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이는 상기 지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적어도 3곳에 연결수단을 구비시켜야 함으로써, 지관의 연결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되어 있었고, 상기 연결부위의 기밀유지를 위한 기밀유지 수단을 별도로 구비하여 설치해야만 했으며,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이 본관과 지관의 설치위치 및 장소에 따라 그 작업성이 다르기 때문에 지관의 연결작업이 어렵게 되고, 작업성이 불리함에 따라 완벽한 기밀유지를 시키면서 지관을 연결하기 위한 작업이 난해하면서 인력소모와 수고가 가중되는 점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이 앞서 제안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0-5533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수관의 본관에 개구구멍을 뚫어 이 개구구멍에 연결구본체를 개재하여 지관이 확장밴드와 고정밴드로 조여져 고정되도록 함에 있어서의 연결구본체의 한쪽 끝단 외경의 개구구멍결합면에 본관의 개구구멍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연결구본체의 개구구멍결합면의 안쪽의 내경에 형성한 밴드장착홈에 원주의 확장방향으로 칫수가 순차적으로 확장가능한 확장밴드를 형성하여, 본관의 개구구멍에 연결구본체의 개구구멍결합면이 확장밴드의 순차확장으로 기밀성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는 배수관에 유압이 높은 유체가 유통에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연결구본체가 본관의 개구구멍에 확장 유지를 위하여 확장밴드가 필요하고, 또한, 부가적으로 고정밴드 등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비교적 배수관에 유통되는 유압이 낮은 경우에는 구태여 확장밴드와 고정밴드 등의 부속품들을 장착하는 경우 오히려 조립성이나 생산 원가가 고가로 되는 불합리한 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확장밴드와 고정밴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본관의 개구구멍에 접착되는 개구구멍결합면에 연결구본체가 상기 개구구멍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래치트돌기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고, 또한 연결구본체에 지관이 결합되는 내경의 지관결합면에 지관이 연결구본체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래치트돌기에 의하여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나, 상기 지관이 래치트돌기에 의하여 지관의 삽입방향의 반대의 추출방향으로의 추출방지를 완벽하게 유지할 수 없다.
왜냐하면, 지관의 바깥둘레면에 연결부본체의 래치트돌기가 거의 선접촉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작은 충격에도 연결구본체로부터 지관이 빠져 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홈관, 프라스틱관 등 비교적 유압이 낮은 유체를 이송시키는 본관에 개구구멍을 뚫어 상기 개구구멍에 지관이 연결구본체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함에 있어서의 연결구본체에 확장밴드 및 고정밴드 등의 부속품들을 배제하면서 오로지 연결구본체에 지관이 기밀을 유지하며 긴축력있게 유지고정될 수 있는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연결구본체의 내경에 지관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래치트돌출링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래치트돌출링들의 사이에 래치트돌출링 높이 보다 낮은 요홈둘레면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연결구본체에 지관이 삽입되었을 때, 연결구본체내에서 지관이 래치트돌출링들과 또한 상기 래치트돌출링들의 사이에 형성된 충전공간에 의하여 기밀을 유지하면서 긴축력있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유압이 비교적 낮은 유체를 이송시키는 본관에 개구구멍을 뚫어 상기 개구구멍에 지관이 연결구본체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는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에서, 연결구본체의 내경에 지관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래치트돌출링들이 연결구본체의 개구부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래치트돌출링들의 사이에 래치트돌출링 보다 낮은 칫수의 요홈둘레면이 형성되어, 연결구본체내에서 지관의 둘레면이 간격을 두고 상기 래치트돌출링들에 의하여 긴밀하게 접촉 고정되는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에 있어서, 연결구본체의 내경에 삽입된 지관의 둘레면에 긴밀하게 접촉 고정된 래치트돌출링들의 사이에 충전공간이 형성되어, 지관이 연결구본체내에서 래치트돌출링들과 충전공간에 의하여 기밀을 유지하면서 긴축력있게 유지 고정된다
삭제
본 고안은 연결구본체에 지관의 둘레면이 간격을 두고 상기 래치트돌출링들에 의하여 긴밀하게 접촉 고정되기 때문에 연결구본체내에서 지관이 균형있게 접촉 유지될 수 있어서, 지관이 연결구본체내에서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지관이 연결구본체내에 지관이 억지맞춤으로 삽입되어, 연결구본체의 개구부의 래치트돌출링들에 의하여 접촉유지와 동시에, 래치트돌출링들의 사이에 공기가 압축되는 충전공간의 형성으로, 지관이 연결구본체내에서 래치트돌출링과 충전공간에 지지되는 역할로 인하여 안정적으로 기밀을 유지하면서 긴축력있게 유지 고정되게 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의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본관에 결합된 연결구본체와 지관의 분리도,
도 3 은 본 고안의 본관에 결합된 연결구본체와 지관의 분리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의 결합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의 일부 절결확대 단면도.
본 고안의 구체적인 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콘크리트 홈관, 프라스틱관 등 비교적 유압이 낮은 유체를 이송시키는 본관(10)과, 또한 상기 본관(10)에 결합되며, 상기 본관(10)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의 지관(20)과, 또한 상기 본관(10)과 지관(20)의 연결 매개체의 연결구본체(30)로 구성된다.
본관(10)에는 상기 연결구본체(30)의 한쪽 끝단의 개구구멍결합면(31)이 결합되어 유지고정될 수 있는 크기의 개구구멍(11)이 뚫려 있다. 이 개구구멍(11)에 상기 연결구본체(30)를 개재하여 지관(20)이 결합 연결된다.
상기 연결구본체(30)는 양쪽이 개구된 원통형상체로써 한쪽의 외경은 상기 개구구멍결합면(31)이 형성되고,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개구구멍결합면(31)은 본관(10)의 개구구멍(11)에 억지맞춤으로 접착되며, 또한 개구구멍결합면(31)에는 연결구본체(30)가 상기 본관(10)의 개구구멍(1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걸림돌기(32)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32)들은 연결구본체(30)가 본관(10)의 개구구멍(11)에 삽입되어 개구구멍(11)으로부터 연결구본체(30)가 빠지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이는 본관(10)이 연결구본체(3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고안은 콘크리트 홈관, 프라스틱관 등 유압이 비교적 낮은 유체를 이송시키는 본관(10)에 개구구멍(11)을 뚫어 상기 개구구멍(11)에 지관(20)이 연결구본체(30)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는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에 있어서,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구본체(30)의 내경에 지관(2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래치트돌출링(100)들이 연결구본체(30)의 개구부의 양쪽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래치트돌출링(100)들은 연결구본체(30)에 지관(2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져 연결구본체(30)내로의 지관(20)의 삽입이 용이하다. 또한 래치트돌출링(100)들은 연결구본체(30)의 한쪽에 2개, 또한 다른 한쪽은 4개 형성되어 있는데, 연결구본체(30)에 지관(20)이 삽입되는 초입에 2개, 또한 연결구본체(30)에 삽입되어 유지되는 쪽에 4개의 래치트돌출링(100)들이 형성되어, 연결구본체(30)에 지관(2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즉, 연결구본체(30)의 래치트돌출링(100)들의 개수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지관(20)의 개구부가 연결구본체(30)에 맞접촉되는 부위 보다 지관(20)의 삽입되는 개구부쪽에 래치트돌출링(100)의 형성 개수를 적게하여 하는 것이 연결구본체(30)에 지관(2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구본체(30)의 상기 래치트돌출링(100)들의 사이에 래치트돌출링(100) 보다 낮은 칫수의 요홈둘레면(110)이 형성되어, 연결구본체(30)내에서 지관(20)의 둘레면(21)이 간격을 두고 상기 래치트돌출링(100)들에 의하여 긴밀하게 접촉 고정되게 된다.
이는 연결구본체(30)에 지관(20)의 둘레면(21)이 간격을 두고 상기 래치트돌출링(100)들에 의하여 긴밀하게 접촉 고정되기 때문에 연결구본체(30)내에서 지관(20)이 균형있게 접촉 유지될 수 있어서, 지관(20)이 연결구본체(30)내에서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연결구본체(30)의 내경에 삽입된 지관(20)의 둘레면(21)에 긴밀하게 접촉 고정된 래치트돌출링(100)들의 사이에 충전공간(200)이 형성되어, 지관(20)이 연결구본체(30)내에서 래치트돌출링(100)들과 충전공간(200)에 의하여 기밀을 유지하면서 긴축력있게 유지고정되게 된다.
즉, 지관(20)이 연결구본체(30)내에 지관(20)이 억지맞춤으로 삽입되어, 연결구본체(30)의 개구부의 래치트돌출링(100)들에 의하여 접촉유지와 동시에, 래치트돌출링(100)들의 사이에 공기가 압축되는 충전공간(200)의 형성으로, 지관(20)이 연결구본체(30)내에서 래치트돌출링(100)과 충전공간(200)에 지지되는 역할로 인하여 안정적으로 기밀을 유지하면서 긴축력있게 유지 고정되게 된다.
10 : 본관 11 : 개구구멍
20 : 지관 21 : 둘레면
30 : 연결구본체 31 : 개구구멍결합면
32 : 걸림돌기 100 : 래치트돌출링
110 : 요홈둘레면 200 : 충전공간

Claims (2)

  1. 삭제
  2. 유압이 비교적 낮은 유체를 이송시키는 본관에 개구구멍을 뚫어 상기 개구구멍에 지관이 연결구본체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는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에서, 연결구본체(30)의 내경에 지관(2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래치트돌출링(100)들이 연결구본체(30)의 개구부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래치트돌출링(100)들의 사이에 래치트돌출링(100) 보다 낮은 칫수의 요홈둘레면(110)이 형성되어, 연결구본체(30)내에서 지관(20)의 둘레면(21)이 간격을 두고 상기 래치트돌출링(100)들에 의하여 긴밀하게 접촉 고정되는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에 있어서,
    연결구본체(30)의 내경에 삽입된 지관(20)의 둘레면(21)에 긴밀하게 접촉 고정된 래치트돌출링(100)들의 사이에 충전공간(200)이 형성되어, 지관(20)이 연결구본체(30)내에서 래치트돌출링(100)들과 충전공간(200)에 의하여 기밀을 유지하면서 긴축력있게 유지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KR2020110010988U 2011-12-12 2011-12-12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KR2004692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988U KR200469234Y1 (ko) 2011-12-12 2011-12-12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988U KR200469234Y1 (ko) 2011-12-12 2011-12-12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660U KR20130003660U (ko) 2013-06-20
KR200469234Y1 true KR200469234Y1 (ko) 2013-09-27

Family

ID=50736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988U KR200469234Y1 (ko) 2011-12-12 2011-12-12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2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019B1 (ko) * 2020-03-20 2021-05-20 주식회사 모현씨앤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855Y1 (ko) * 2000-01-12 2000-06-15 윤석일 관 이음장치
KR20110011186U (ko) * 2010-05-27 2011-12-05 류지운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855Y1 (ko) * 2000-01-12 2000-06-15 윤석일 관 이음장치
KR20110011186U (ko) * 2010-05-27 2011-12-05 류지운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019B1 (ko) * 2020-03-20 2021-05-20 주식회사 모현씨앤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660U (ko)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8351B2 (en) Pipe coupling seal assembly
KR100989990B1 (ko) 상수도용 이탈 압륜 고무링
KR200469234Y1 (ko)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JP2015531046A (ja) 圧力管連結用継手管のワンタッチ3段締結装置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圧力管の施工方法
JP2009057714A (ja) マンホールと下水道本管との接続構造
KR200451092Y1 (ko) 체결이 용이한 환봉 지지형 연결구
KR20140137153A (ko) 개스킷
KR100726736B1 (ko) 하수관거 연결고정 구조물
KR101144277B1 (ko) 파이프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100521061B1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KR101192408B1 (ko) 상하수도관의 분기관 연결구조체
KR20110011186U (ko)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KR20110011850U (ko)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KR200322580Y1 (ko) 배관 실링용 형상유지 가스켓
KR200414288Y1 (ko) 유체이송관 분기용 내측와셔
KR20050113587A (ko) 용수관 설치용 분기구
KR101783524B1 (ko) 연결관의 파이프 체결구조
KR20040077996A (ko) 메카니컬 접합 및 kp메카니컬 접합의 접합관 이탈방지구조
KR20130050610A (ko) 관 연결구조
KR101212712B1 (ko) 원통 터널식 밸브실
KR101422267B1 (ko) 파이프 연결소켓
KR102276835B1 (ko)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
KR20170003104U (ko) 하수관거
KR101172024B1 (ko) 상수도관 연결 고정구
KR200422531Y1 (ko) 유체이송관 분기용 내측와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