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3103B1 - 터널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도수파이프 - Google Patents

터널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도수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3103B1
KR100823103B1 KR1020070017923A KR20070017923A KR100823103B1 KR 100823103 B1 KR100823103 B1 KR 100823103B1 KR 1020070017923 A KR1020070017923 A KR 1020070017923A KR 20070017923 A KR20070017923 A KR 20070017923A KR 100823103 B1 KR100823103 B1 KR 100823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tunnel
constructing
reinforcemen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모
신영진
남석우
김상용
김창용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사)한국터널공학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사)한국터널공학회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17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3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6/00Drainage
    • E21F16/02Drainage of tu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도수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터널 굴착면에 표면 보강층인 그라우팅 층을 시공하고, 상기 그라우팅 층의 내주연에 차수막으로서 숏크리트 보강면을 시공하며, 상기 숏크리트 보강면에서 누수를 도수파이프에 의해 외부로 유출하며 이렇게 유출된 누수를 숏크리트 보강면의 내주연에 시공된 도수판에 의해 터널 저부로 유도케 하는 터널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도수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숏크리트 보강면, 도수판, 도수파이프, 통수능

Description

터널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도수파이프{A Method For Construting Waterproofing System Of Tunel and Pipe}
도 1 본 발명에 의해 터널 수처리 시스템이 터널 굴착면에 시공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 본 발명의 터널의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에서 사용되는 도수파이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있어 도수파이프가 숏크리트 보강면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터널의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에서 사용되는 도수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수판이 숏크리트 보강면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터널 굴착면 10 : 그라우팅 층
20 : 숏크리트 보강면 21 : 천공
30 : 도수판 100 : 도수파이프
110 : 몸체부 120 : 체결부
130 : 곡관 140 : 필터
본 발명은 터널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도수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터널 굴착면에 표면 보강층인 그라우팅 층을 시공하고, 상기 그라우팅 층의 내주연에 차수막으로서 숏크리트 보강면을 시공하며, 상기 숏크리트 보강면에서 누수를 도수파이프에 의해 외부로 유출하며 이렇게 유출된 누수를 숏크리트 보강면의 내주연에 시공된 도수판에 의해 터널 저부로 유도케 하는 터널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도수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터널 공사 시 터널 굴착면의 숏크리트 타설면에 부직포를 먼저 고정시키고 부직포에 방수막을 열 접합 시킨 다음 그 위에 콘크리트 라이닝을 타설하는 DOUBLE CELL 공법(NATM 공법)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부직포와 방수막을 별도로 시공하고, 그 위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라이닝을 타설 해야 하는 시공 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터널의 형상이 직선구조의 경우에는 거푸집의 설치가 용이하여 상기 콘크리트 라이닝을 시공하는 것이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으나 저장탱크, 저장고 등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거푸집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아 콘크리트 라이닝을 시공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저장탱크, 저장고 등 단면성형성의 문제로 상기에서 언급한 DOUBLE CELL 공법(NATM 공법)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공법으로 콘크리트 라이닝을 시공하지 않는 SINGLE CELL 공법이 제시되는 바, 이 경우 가장 문제시 되는 것은 통수능(배수형 터널에서 완전히 공사가 완료된 후에는 터널에 시공된 수처리 시스템의 유도배수층으로 지하수가 유입되고 이 유도배수층을 따라서 터널 저부에 있는 측방 배수관 또는 중앙배수관까지 흐르게 되며,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된 지하수는 다시 집수정으로 흘러서 집수정으로부터 펌핑작업으로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따라서, 수처리 시스템의 통수능은 지하수를 유도하여 배수하는 능력을 말한다.)으로서 통수능의 저하는 터널의 누수에 의한 크랙 등을 발생시킴으로서 터널의 내구성 저하를 초래하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저장탱크, 저장고 등 단면성형성의 문제로 콘크리트 라이닝을 구성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지하수 등 누수를 유도하여 배수하는 통수능이 우수한 터널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도수파이프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굴착에 의해 형성된 터널 굴착면에 그라우팅 층을 시공하는 단계(S10)와; 그라우팅 층의 내주연에 숏크리트 보강면을 시공하는 단계(S20)와; 상기 숏크리트 보강면에 도수파이프를 시공하는 단계(S30)와; 숏크리트 보강면의 내주연에 도수판을 시공하는 단계(S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숏크리트 보강면에 도수파이프를 시공하는 단계(S30)에 있어서 숏크리트 보강면에 상기 도수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천공을 형성하는 단계(S31)와; 상기 단계(S31)에서 형성된 천공에 도수파이프를 삽입하는 단계(S32)와; 숏크리트 보강면의 외부로 노출된 도수파이프 끝단을 가압하는 단계(S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숏크리트 보강면의 내주연에 도수판을 시공하는 단계(S40)에는 상기 숏크리트 보강면의 내주연에 노출되는 도수파이프 끝단이 도수판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유도홈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터널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도수파이프를 제시하고 있는데, 상기 도수파이프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끝단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수용관과, 상기 수용관에서 슬라이드 될 수 있으며 끝단에 상협하광 형상의 머리를 형성하는 슬라이드 봉과, 상기 수용관의 끝단과 접하고 상기 슬라이드 봉의 외주연 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관의 끝단과 접하는 반대방향의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절개부를 구성하고, 각각의 절개부에 의해 형성되는 확장단이 형성되는 확장관이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유입되는 누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체결부의 반대방향의 끝단에 유입된 누수를 터널저부방향으로 유출 시키기 위한 곡관이 체결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터널 수처리 시스템이 터널 굴착면에 시공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터널의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에서 사용되는 도수파이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있어 도수파이프가 숏크리트 보강면에서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터널의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에서 사용되는 도수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수판이 숏크리트 보강면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터널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되는 터널 수처리 시스템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터널의 굴착면(1)에 있어서 표면의 지반을 견고하 게 하기 위해 표면의 일정부분까지 시멘트물 등에 의해 터널 굴착면(1)의 표면을 보강하는 그라우팅 층(10)이 형성된다. 상기 그라우팅 층(10)의 내주연에는 상기 그라우팅 층(10) 내벽의 거친 면을 고르게 하고, 터널 굴착면(1)으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숏크리트(shotcreat)에 의해 보강한 숏크리트 보강면(20)과, 상기 숏크리트 보강면(20)에서의 누수를 유입하여 상기 숏크리트 보강면(20)의 외부로 유입된 누수를 유출케 하는 도수파이프(100)와, 상기 숏크리트 보강면(20)의 내주연을 마감처리 하면서 상기 도수파이프(100)로부터 유출되는 누수를 터널 저부로 유도케 하는 도수판(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숏크리트 보강면(20)은 숏크리트(shotcreat)에 의해 형성되는 층으로서 터널 굴착면(1)으로부터 지하수 등이 누수 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하는 차수막의 기능을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도수파이프(1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숏크리트 보강면(20)으로부터의 누수를 유입하여 외부로 유출시키는 유도관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몸체부(110)와 상기 그라우팅 보강면(20)에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10)는 파이프 형상으로서 그라우팅 보강면(20)으로부터의 누수를 유입하는 관통공(111)이 복수개가 형성되는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통공(111)이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되게 하여 몸체부(110) 전체에서 누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공(111)의 크기는 상기 숏크리트 보강면(20)의 입자구성에 따라 그 크기를 조절하여야 할 것이 며 숏크리트 보강면(20)을 구성하는 작은 골재 등이 상기 몸체부(1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그 크기를 선택적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는 상기 관통공(111)을 통해 유입되는 누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140)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140)는 스펀지, 부직포 등이 사용될 수 있는 바, 부직포의 경우는 폐색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숏크리트 보강면(20)의 구성입자에 따라 부직포의 입경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폐색현상이란 흙입자가 흙모체로부터 이탈한 후 부직포의 간극내 유체의 흐름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지다가 부직포의 간극을 메우게 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부직포의 통수능을 감소시켜 상기 몸체부(110) 내부에서 유입된 누수의 흐름이 차단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숏크리트 보강면(20)의 구성입자, 터널 굴착면(1)의 지반분류 등을 고려하여 이에 따라 부직포의 입경을 조절하여 사용함이 타당하다.
상기 체결부(12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의 끝단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수용관(121)과, 상기 수용관(121)에서 슬라이드 될 수 있으며 끝단에 상협하광 형상의 머리(122a)를 형성하는 슬라이드 봉(122)과, 상기 수용관(121)의 끝단과 접하고 상기 슬라이드 봉(122)의 외주연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관(121)의 끝단과 접하는 반대방향의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절개부(123a)를 구성하고, 각각의 절개부(123a)에 의해 형성되는 확장단(123b)이 형성되는 확장관(1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관(121)은 파이프 형상으로 그 내주연으로 상기 슬라이드 봉(122)이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용관(121)은 상기 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수용관(121) 끝단에 나사부를 구성하여 몸체부(110)와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봉(122)은 직봉 형상으로서 그 끝단에 상협하광 형상의 머리(122a)를 형성하고 있는 바, 상기 수용관(121)의 내주연에서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머리(122a)의 형상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봉(122)이 상기 수용관(121) 방향으로 슬라이드 됨에 의해 상기 확장단(123b)이 측방향으로 확장된다.
상기 확장관(123)은 파이프 형상으로서 상기 슬라이드 봉(122)의 외주연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관(121)의 끝단과 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관(121)의 끝단과 접하는 반대방향의 끝단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절개부(123a)를 구성하고, 각각의 절개부(123a)에 의해 형성되는 확장단(123b)이 형성되는 바, 도 2에서는 상기 절개부(123a)가 2개가 형성되어 각각의 절개부(123a)에 의해 확장단(123b)이 2개가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서 상기 슬라이드 봉(122)이 상기 수용관(121)의 내주연에서 슬라이드 됨에 의해 상기 머리(122a)가 상기 확장관(123)의 내주연으로 삽입되게 되며 이러한 삽입으로 상기 각각의 확장단(123b)은 각각 반대방향으로 구부러지게 된다.
상기 도수파이프(100)가 상기 숏크리트 보강면(20)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숏크리트 보강 면(20)에 상기 도수파이프(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천공(21)을 형성한다. 이러한 천공(21)의 길이는 상기 도수파이프(100)의 길이보다 조금 작게 구성하여 상기 도수파이프(100)를 천공(21)에 삽입하는 경우 상기 도수파이프(100)의 몸체부(110)의 일부분이 상기 숏크리트 보강면(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어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수파이프(100)의 몸체부(110)로서 상기 숏크리트 보강면(20)외 외부로 노출된 끝단을 해머 등에 의해 가압함으로서 상기 체결부(120)가 상기 천공(21)의 내주연에서 체결되는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슬라이드 봉(122)이 상기 수용관(121) 및 상기 확장관(123)의 내주연에서 슬라이드 되고, 상기 슬라이드 봉(122)의 머리(122a)가 상기 확장단(123b)을 각각 반대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함으로서 결국 각각의 확장단(123b)이 상기 천공(21)의 내주연에 묻히게 됨으로서 상기 도수파이프(100)가 상기 천공(21)에서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에는 상기 체결부(120)의 반대방향의 끝단에 상기 몸체부(110)에 유입된 누수를 터널 저부 방향으로 유출시키시 위한 곡관(130)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곡관(130)은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곡관(130)과 상기 몸체부(110)에 각각 대향하는 나사부를 구성하여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도수파이프(100)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도면들에서 숏크리트 보강면(20)에만 삽입된 형상이 도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숏크리트 보강면(20)을 관통하여 터널 굴착면(1)까지 삽입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도수파이프(100)가 일부에서는 터널 굴착면(1)의 누수를 유입하고, 타부에 서는 숏크리트 보강면(20)의 누수를 유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터널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은 물이 잘 누수 되지 않는 암이 좋은 시공여건에 주로 사용될 것이므로(물이 누수량이 많은 시공여건에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인 DOUBLE CELL 공법(NATM 공법)이 주로 사용될 것임.) 상기 도수파이프(100)는 숏크리트 보강면(20)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부분에 부분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도 1에서는 상기 도수파이프(100)가 터널의 측부에만 부분적으로 설치된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수판(30)은 상기 숏크리트 보강면(20)의 내주연에 부착되어 도수파이프로(100)부터 유출되는 누수를 터널 저부로 유도하는 것으로 상기 도수판(30)은 판 형상으로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도수판(30)을 연결 시공함으로서 상기 숏크리트 보강면(20)의 내주연 상에서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수판(30)을 연결 시공함에 있어서는 연결부위에 공지기술로서 실리콘 등에 의해 수밀처리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수판(30)의 일면에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수파이프(100)로부터 유입된 누수를 터널의 저부로 유도하기 위해 길이방향 즉 도수판(30)을 숏크리트 보강면(20)에 설치 시 터널의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유도홈(31)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홈(31)이 구성됨으로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수판(30)이 상기 숏크리트 보강면(20)의 내주연에 부착 시 상기 숏크리트 보강면(20)의 내주연에 노출되는 도수파이프(100) 끝단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수파이프(100)에 체결되는 곡관(130)이 상기 유도홈(31)에 위치하도록 설치함으로서 상기 도수파이프(100)로부터 유출되는 누수가 상기 도수판(30) 의 유도홈(31)을 타고 터널 저부로 유도되는 것이다.
상기 도수판(30)의 경우에도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널의 수처리 시스템이 물이 잘 누수 되지 않는 암이 좋은 시공여건에 주로 사용될 것이므로 상기 도수판(30)은 숏크리트 보강면(20)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부분에 즉 상기 도수파이프(100)가 시공된 부분에 부분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도 1 및 도 5에서는 상기 도수판(30)이 터널의 측부에만 부분적으로 설치된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터널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을 도 6a 내지 도 6d 및 도 7에 의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터널 굴착면(1)에 시멘트 물에 의한 표면 보강층인 그라우팅 층(10)을 시공한다. 이 경우 상기 그라우팅 층(10)은 터널의 강도보강의 개념이 아니고 단지 터널 굴착면(1) 표면의 지반을 견고히 하기 위한 것이므로 너비를 크게 시공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그라우팅 층(10)의 내주연에 차수막의 기능을 하는 숏크리트 보강면(20)을 시공한다.
다음으로 도 6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숏크리트 보강면(20)에 천공(21)을 뚫고, 상기 도수파이프(100)를 삽입한 후 상기 도수파이프(100)를 해머 등에 의해 가압하여 상기 도수파이프(100)의 체결부(120)에 의해 천공(21) 내주연에서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도 6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숏크리트 보강면(20)의 내주연에 상기 도수판(30)을 연결시공 하는데, 상기 도수판(30)에 구성된 유도홈(31)이 각각 터널 원주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도수판(30)을 연결시공 하여야 할 것이며, 상기 유도홈(31)에는 상기 숏크리트 보강면(20)의 외부로 유출된 도수파이프(100)의 끝단 또는 곡관(130)이 위치하도록 시공함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된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에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시공방법 및 도수파이프에 의하여 본 발명은 터널 굴착면으로 지하수 등의 누수가 숏크리트 보강면에 의해 1차적으로 차수가 되며 숏크리트 보강면으로 흡수되는 누수를 도수파이프로 유입하여 도수판에 의해 터널 저부로 유도함으로서 통수능이 우수하여 터널에 발생하는 누수에 의한 크랙 등에 의해 터널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푸집을 설치가 필요한 콘크리트 라이닝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저장탱크, 저장고 등의 단면성형이 어려운 구조물의 시공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널에 있어 누수가 발생하는 부분에만 부분적으로 시공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Claims (7)

  1. 굴착에 의해 형성된 터널 굴착면에 그라우팅 층을 시공하는 단계(S10)와; 그라우팅 층의 내주연에 숏크리트 보강면을 시공하는 단계(S20)와; 숏크리트 보강면에 도수파이프를 시공하는 단계(S30)와; 숏크리트 보강면의 내주연에 도수판을 시공하는 단계(S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숏크리트 보강면에 도수파이프를 시공하는 단계(S30)에는 숏크리트 보강면에 상기 도수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천공을 형성하는 단계(S31)와; 상기 단계(S31)에서 형성된 천공에 도수파이프를 삽입하는 단계(S32)와; 숏크리트 보강면의 외부로 노출된 도수파이프 끝단을 가압하는 단계(S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숏크리트 보강면에 도수파이프를 시공하는 단계(S30)와, 상기 숏크리트 보강면의 내주연에 도수판을 시공하는 단계(S40)에는 상기 도수파이프 및 상기 도수판이 상기 숏크리트 보강면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부분에만 부분적으로 시공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숏크리트 보강면의 내주연에 도수판을 시공하는 단계(S40)에는 상기 숏크리트 보강면의 내주연에 노출되는 도수파이프 끝단이 도수판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유도홈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
  5.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끝단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수용관과, 상기 수용관에서 슬라이드 될 수 있으며 끝단에 상협하광 형상의 머리를 형성하는 슬라이드 봉과, 상기 수용관의 끝단과 접하고 상기 슬라이드 봉의 외주연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관의 끝단과 접하는 반대방향의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절개부를 구성하고, 각각의 절개부에 의해 형성되는 확장단이 형성되는 확장관이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도수파이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유입되는 누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도수파이프.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체결부의 반대방향의 끝단에 유입된 누수를 터널저부방향으로 유출 시키시 위한 곡관이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도수파이프.
KR1020070017923A 2007-02-22 2007-02-22 터널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도수파이프 KR100823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923A KR100823103B1 (ko) 2007-02-22 2007-02-22 터널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도수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923A KR100823103B1 (ko) 2007-02-22 2007-02-22 터널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도수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3103B1 true KR100823103B1 (ko) 2008-04-18

Family

ID=39571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923A KR100823103B1 (ko) 2007-02-22 2007-02-22 터널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도수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310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9535A (zh) * 2012-12-27 2013-03-20 西南交通大学 一种隧道衬砌用泄水式管片
CN103089301A (zh) * 2011-11-01 2013-05-08 北京市政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竖井内地下水疏堵结合的注浆加固施工工艺
CN103089280A (zh) * 2011-11-01 2013-05-08 北京市政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隧道内地下水疏堵结合的注浆止水加固施工工艺
CN103206230A (zh) * 2012-01-13 2013-07-17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盾构隧道管片的防水结构
CN109505633A (zh) * 2019-01-15 2019-03-22 北京市市政工程研究院 用于泥质地层的衬砌背后导向管注浆堵水装置及施工方法
KR20200074508A (ko) 2018-12-17 2020-06-25 유한회사 지엘산업 도수터널 보강구조
CN111365039A (zh) * 2020-03-25 2020-07-03 上海同岩土木工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隧道渗漏水处治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6300U (ko) 1987-03-30 1988-10-13
JP2002129898A (ja) 2000-10-26 2002-05-09 Yahata Sangyo Kk 防水シート及びトンネルの防排水施工方法
KR20020054233A (ko) * 2000-12-27 2002-07-06 이찬우 숏크리트 라이닝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20068810A (ko) * 2001-02-23 2002-08-28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터널의 측벽 배수 시스템
KR200337975Y1 (ko) 2003-08-29 2004-01-13 금강종합건설 주식회사 투-아치형 터널의 중앙 벽체 상부의 배수처리용 배수관설치 구조
KR20050072513A (ko) * 2004-01-06 2005-07-12 연일화섬공업(주) 터널의 배수구조물에 사용되는 방수시트의 고정링과, 이를포함하는 배수구조물 및 이를 사용한 배수공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6300U (ko) 1987-03-30 1988-10-13
JP2002129898A (ja) 2000-10-26 2002-05-09 Yahata Sangyo Kk 防水シート及びトンネルの防排水施工方法
KR20020054233A (ko) * 2000-12-27 2002-07-06 이찬우 숏크리트 라이닝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20068810A (ko) * 2001-02-23 2002-08-28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터널의 측벽 배수 시스템
KR200337975Y1 (ko) 2003-08-29 2004-01-13 금강종합건설 주식회사 투-아치형 터널의 중앙 벽체 상부의 배수처리용 배수관설치 구조
KR20050072513A (ko) * 2004-01-06 2005-07-12 연일화섬공업(주) 터널의 배수구조물에 사용되는 방수시트의 고정링과, 이를포함하는 배수구조물 및 이를 사용한 배수공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9301A (zh) * 2011-11-01 2013-05-08 北京市政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竖井内地下水疏堵结合的注浆加固施工工艺
CN103089280A (zh) * 2011-11-01 2013-05-08 北京市政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隧道内地下水疏堵结合的注浆止水加固施工工艺
CN103089301B (zh) * 2011-11-01 2015-02-04 北京市政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竖井内地下水疏堵结合的注浆加固施工工艺
CN103206230A (zh) * 2012-01-13 2013-07-17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盾构隧道管片的防水结构
CN102979535A (zh) * 2012-12-27 2013-03-20 西南交通大学 一种隧道衬砌用泄水式管片
CN102979535B (zh) * 2012-12-27 2015-12-02 西南交通大学 一种隧道衬砌用泄水式管片
KR20200074508A (ko) 2018-12-17 2020-06-25 유한회사 지엘산업 도수터널 보강구조
CN109505633A (zh) * 2019-01-15 2019-03-22 北京市市政工程研究院 用于泥质地层的衬砌背后导向管注浆堵水装置及施工方法
CN109505633B (zh) * 2019-01-15 2024-03-29 北京市市政工程研究院 用于泥质地层的衬砌背后导向管注浆堵水装置及施工方法
CN111365039A (zh) * 2020-03-25 2020-07-03 上海同岩土木工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隧道渗漏水处治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103B1 (ko) 터널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도수파이프
KR101657058B1 (ko) 더블 팽창식 그라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트 시공방법
JP2016173003A (ja) ナトム工法で施工されたトンネルの漏水対策工法
JP4493699B2 (ja) 透水セグメントおよびこの透水セグメントを用いたトンネル
KR102180838B1 (ko) 동시주입 다단형 그라우팅 주입관
KR101477259B1 (ko) 그라우팅액 주입장치 및 그라우팅 시공방법
KR101162957B1 (ko) 지열 에너지 이용과 보강일체형의 에너지 이중관 장치 및 공법
JP2001115458A (ja) 土留め壁を用いた深井戸構築工法
JP6149401B2 (ja) 拡径井戸および拡径井戸の施工方法
KR20220084868A (ko) 그라우트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시공방법
KR102110992B1 (ko) 강관 다단 그라우팅 장치의 내부패커 압착구조
KR101874464B1 (ko) 전면 배수관을 구비한 상향식 지반보강 앵커
KR20100042441A (ko) 지하연속벽의 유도방수구조
KR20110024619A (ko) 터널 누수보강공 장착장치
KR100328473B1 (ko) 합성수지제배수로관접속방법
KR20090040746A (ko) 복층 맨홀 및 그 시공방법
KR101791170B1 (ko)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
KR100786356B1 (ko) 터널 방수 및 내장재 일체화 시공 공법
KR100524188B1 (ko)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구조
KR100421462B1 (ko) 도로 공사용 u형 배수로관
KR100981433B1 (ko) 롯드관 보강 그라우팅의 이중 팩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입공 코킹 방법
KR20000002077A (ko) 배수로관연결용 거푸집 및 연결방법
KR100465921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 하수관 안전용 보강장치
KR200263956Y1 (ko) 비금속재로 된 네일장치
KR100518460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의 하수관용 보강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