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979B1 -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979B1
KR101072979B1 KR1020110050805A KR20110050805A KR101072979B1 KR 101072979 B1 KR101072979 B1 KR 101072979B1 KR 1020110050805 A KR1020110050805 A KR 1020110050805A KR 20110050805 A KR20110050805 A KR 20110050805A KR 101072979 B1 KR101072979 B1 KR 101072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pipe
pipe
piece
pair
sew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원
박병재
권재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110050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9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97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가 제공된다. 제공된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는 지중에 연속되게 매설되는 제1 하수관거의 연결관체에 걸림을 이루도록 상기 연결관체의 인접한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볼트체결되며, 외면에 제1 걸림편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편의 내측에 복수개의 제1 체결공이 마련된 지지플레이트; 상기 연결관체에 단부가 삽입되는 제2 하수관거의 외면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볼트체결되며, 내측에 마찰고무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제2 하수관거의 단부와 면접촉을 이루는 마감편이 마련되며, 외면 타측에 상기 수용홈과 연통을 이루는 결속공과, 복수개의 제2 체결공을 갖는 제2 걸림편이 마련되고, 상기 마감편의 일면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공에 상기 마찰고무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볼트가 체결된 가압플레이트; 상기 제1 하수관거와 제2 하수관거 사이에 개재되며, 일측에 상기 제1 하수관거와 맞닿는 면접촉링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삽입홈에 삽입연결되는 연결링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링과 면접촉링 사이에 링 형상의 가변튜브가 형성된 밀착부재 및 상기 제1 걸림편과 제2 걸림편 사이에 볼트체결되어 이들을 서로 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하며, 양단부에 결합공을 갖는 받침편이 마련되고, 상기 받침편과 받침편 사이에 한 쌍의 쐐기형 요철부가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쐐기형 요철부 사이에는 장력조절부재가 구비된 압축판스프링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가압플레이트 및 압축판스프링의 외부노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하수관거와 제2 하수관거의 연결부위에 상하방향으로 대칭되게 볼트체결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수관거과 하수관거의 연결부위에 밀착력을 향상시켜 이들을 따라 흐르는 오폐수의 누출을 미연에 방지한다.

Description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A watertight connection device for drainpipe coupling}
본 발명은 하수건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의 구조개선을 통해 하수관과 하수관의 연결부위에 이들이 서로 맞닿는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판스프링을 설치함으로써, 하수관과 하수관의 연결부위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하수관과 하수관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힘이 작용시 형상 가변이 이루어져 하수관과 하수관의 연결부위를 더욱 긴밀하게 차단하는 밀착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하수관의 연결부위를 통한 오폐수의 외부 누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라 함은 가정과 공장에서 사용 후 배출되는 오·폐수와 빗물 등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하수를 모으는 하수도는 하수관로 시설과 하수 처리시설 및 슬러지 처리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수관로시설은 크게 하수관거와 펌프장으로 구성되며 하수관로는 관거, 오수받이, 우수받이, 맨홀, 우수토실, 토구 및 연결관 등을 포함하는 시설의 총칭으로 주택, 상업 및 공업지역 등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나 우수를 모아 처리장 또는 방류 수역까지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하수관로는 시공되는 위치의 토질(경질토, 보통토, 연질토, 극연질토로 구분)에 따라 실제로는 관부식과 부등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기초(모래 또는 쇄석 그리고 콘크리트 기초)를 달리 조합하여 시공한다.
즉, 터파기된 지반 내에 토질의 상태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모래 또는 쇄석을 깔거나 기초받침 PC콘크리트를 연접 설치한 후 이 상부에 관거를 이음 연결하고, 다시 되메우기 하여 시공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연결된 하수관거와 하수관거는 그 사이의 연결부위에 기밀을 유지하기 힘들었으며, 이에 따라 그 연결부위로 다량의 오폐수가 유출되어 지표수와 지하수의 심각한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지표면으로 심한 악취를 방출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지중에 연속되게 설치되는 하수관과 하수관의 각 연결부위에 이들이 맞닿은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판스프링을 설치함으로써, 하수관과 하수관의 연결부위 밀착력을 향상시켜 하수관들이 더욱 긴밀한 연결관계를 이룰 수 있도록 한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하수관과 하수관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힘이 작용할 경우, 형상 가변이 이루어져 하수관과 하수관의 연결부위를 더욱 긴밀하게 차단하는 밀착부재를 개재함으로써, 하수관을 따라 이동하는 오폐수가 이들의 연결부위를 통해 외부로 누수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지중에 연속되게 매설되는 제1 하수관거의 연결관체에 걸림을 이루도록 상기 연결관체의 인접한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볼트체결되며, 외면에 제1 걸림편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편의 내측에 복수개의 제1 체결공이 마련된 지지플레이트;
상기 연결관체에 단부가 삽입되는 제2 하수관거의 외면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볼트체결되며, 내측에 마찰고무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제2 하수관거의 단부와 면접촉을 이루는 마감편이 마련되며, 외면 타측에 상기 수용홈과 연통을 이루는 결속공과, 복수개의 제2 체결공을 갖는 제2 걸림편이 마련되고, 상기 마감편의 일면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공에 상기 마찰고무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볼트가 체결된 가압플레이트;
상기 제1 하수관거와 제2 하수관거 사이에 개재되며, 일측에 상기 제1 하수관거와 맞닿는 면접촉링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삽입홈에 삽입연결되는 연결링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링과 면접촉링 사이에 링 형상의 가변튜브가 형성된 밀착부재 및
상기 제1 걸림편과 제2 걸림편 사이에 볼트체결되어 이들을 서로 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하며, 양단부에 결합공을 갖는 받침편이 마련되고, 상기 받침편과 받침편 사이에 한 쌍의 쐐기형 요철부가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쐐기형 요철부 사이에는 장력조절부재가 구비된 압축판스프링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가압플레이트 및 압축판스프링의 외부노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하수관거와 제2 하수관거의 연결부위에 상하방향으로 대칭되게 볼트체결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장력조절부재는
상기 각 쐐기형 요철부의 단부에 돌출형성되며, 내측에 나선공이 마련된 한 쌍의 연장편과,
상기 한 쌍의 연장편 사이에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한 쌍의 나선공 중 일측 나선공에 체결되는 제1 나선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상기 제1 나선부와 다른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나선공 중 타측 나선공에 체결되는 제2 나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선부와 제2 나선부 사이에 조절손잡이가 구비된 양방향볼트 및
상기 한 쌍의 연장편 사이에 형성된 쐐기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수관과 하수관의 연결부위에 이들이 서로 맞닿는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판스프링을 설치함으로써, 하수관과 하수관의 연결부위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하수관과 하수관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힘이 작용시 형상 가변이 이루어져 하수관과 하수관의 연결부위를 더욱 긴밀하게 차단하는 밀착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하수관의 연결부위를 통한 오폐수의 외부 누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의 요부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 중 덮개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저수장치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저수장치 중 장력조절부재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의 요부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 중 덮개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100)는 지중에 연속되게 매설되는 제1 하수관거(1a)의 연결관체(11)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볼트체결되어 상기 연결관체(11)와 걸림을 이루는 지지플레이트(110)와, 상기 연결관체(11)에 단부가 삽입되는 제2 하수관거(1b)의 외면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볼트체결되는 가압플레이트(120)와, 상기 제1 하수관거(1a)와 제2 하수관거(1b) 사이에 개재되는 밀착부재(13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10)와 가압플레이트(120) 사이에 설치되는 압축판스프링(140) 및 이들을 모두 감싸기 위한 덮개(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플레이트(110)는 제1 하수관거(1a) 상에서 상기 압축판스프링(140)의 탄성력에 대해 지지력을 갖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110)는 상기 제1 하수관거(1a)에 마련된 연결관체(11)의 인접한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볼트체결되며, 각 외면에 제1 걸림편(111)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각 제1 걸림편(111)의 내측에 복수개의 제1 체결공(113)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가압플레이트(120)는 상기 제2 하수관거(1a) 상에서 상기 압축판스프링(140)의 탄성력에 대해 지지력을 갖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가압플레이트(120)는 상기 제2 하수관거(1b)의 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볼트체결되며, 그 내측에 수용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22) 내에 마찰고무(121)가 삽입되며, 일측에 상기 제2 하수관거(1b)의 단부와 면접촉을 이루는 마감편(123)이 마련되며, 외면 타측에 상기 수용홈(122)과 연통을 이루는 결속공(124)과, 복수개의 제2 체결공(125)을 갖는 제2 걸림편(126)이 마련되고, 상기 마감편(123)의 일면에 삽입홈(127)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공(124)에 상기 마찰고무(121)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볼트(128)가 체결된다.
한편, 상기 밀착부재(130)는 상기 제1 하수관거(1a)와 제2 하수관거(1b)의 연결부위를 긴밀하게 차단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밀착부재(130)는 그 일측에 상기 연결관체(11) 내에서 제1 하수관거(1a)와 맞닿는 면접촉링(131)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삽입홈(127)에 삽입연결되는 연결링(133)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링(133)과 면접촉링(131) 사이에 링 형상의 가변튜브(13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변튜브(135)는 형상변형이 용이하도록 그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압축판스프링(140)은 상기 제1 하수관거(1a)와 제2 하수관거(1b)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압축판스프링(140)은 양단부에 받침편(143)이 마련되고, 상기 받침편(143)의 내측에 상기 제1,2 체결공(113,125)과 연통을 이루는 결합공(141)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편(143)과 받침편(143) 사이에 한 쌍의 쐐기형 요철부(145)가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쐐기형 요철부(145) 사이에는 장력조절부재(15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공(141)은 제1,2 체결공(113,125)과 연통되며, 상기 서로 연통을 이루는 제1 체결공(113)과 결합공(141) 및 제2 체결공(125)과 결합공(141)에는 볼트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부재(150)는 상기 압축판스프링(140)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 한 쌍의 연장편(152)과, 양방향볼트(156) 및 쐐기편(157)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연장편(152)은 상기 각 쐐기형 요철부(145)의 단부에 돌출형성되며, 내측에 나선공(151)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양방향볼트(156)는 상기 한 쌍의 연장편(152) 사이에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한 쌍의 나선공(151) 중 일측 나선공(151)에 체결되는 제1 나선부(153)가 마련되고, 타측에 상기 제1 나선부(153)와 다른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나선공(151) 중 타측 나선공(151)에 체결되는 제2 나선부(154)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선부(153)와 제2 나선부(154) 사이에 조절손잡이(155)가 구비된다.
끝으로, 상기 쐐기편(157)은 상기 한 쌍의 연장편(152) 사이에 이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덮개(16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10)와 가압플레이트(120) 및 압축판스프링(140)을 감싸 이들의 외부노출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덮개(160)는 상기 제1 하수관거(1a)와 제2 하수관거(1b)의 연결부위에 상하방향으로 대칭되게 볼트체결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는 하수관거와 하수관거의 연결부위에 탄성력을 작용하여 이들의 밀착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이들의 연결부위를 긴밀히 차단함으로써, 하수관을 따라 이동하는 오폐수의 누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시공관계 및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저수장치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저수장치 중 장력조절부재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지중에 연속되게 매설되는 제1 하수관거(1a)에 마련된 연결관체(11)의 인접한 일측에 상기 지지플레이트(110)를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위치시킨 후, 이들을 볼트 체결한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110)는 상기 연결관체(11)의 인접한 일측에서 상기 연결관체(11)와 걸림을 이루어 상기 제2 하수관거(1b) 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후, 상기 연결관체(11)에 연결되는 상기 제2 하수관(1b)의 단부에 상기 가압플레이트(120)를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위치시킨 후, 이들을 볼트 체결한다.
이후, 상기 결속공(124)에 가압볼트(128)를 체결하여 상기 가압볼트(128)의 단부가 마찰고무(121)를 가압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플레이트(120)는 상기 제2 하수관거(1b)의 외면을 가압하는 마찰고무(12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제2 하수관거(1b)의 외면에 고정된다.
이후, 상기 마감편(123)의 삽입홈(127)에 밀착부재(130)의 연결링(133)을 삽입한다.
이후, 상기 제1 하수관거(1a)의 연결관체(11) 내에 제2 하수관거(1b)를 삽입연결한다.
이때, 상기 밀착부재(130)의 면접촉링(131)은 상기 연결관체(11) 내부에서 제1 하수관거(1a)와 맞닿는다. 또한, 상기 제1 하수관거(1a)와 제2 하수관거(1b)를 연결하기 위한 힘이 작용할 경우, 상기 가변튜브(135)의 외면은 형상변형을 이루어 상기 제1 하수관거(1a)와 제2 하수관거(1b)의 연결부위에 밀착됨으로써, 그 연결부위를 긴밀하게 차단한다.
이후, 상기 압축판스프링(140)을 당긴 상태에서, 그 일단의 받침편(143)을 상기 제1 걸림편(111)의 외측에 위치시키고, 그 타단의 받침편(143)을 상기 제2 걸림편(126)의 외측에 위치시킨다.
이후, 서로 연통을 이루는 제1 체결공(113)과 결합공(141) 및 제2 체결공(125)과 결합공(141)에 볼트를 체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축판스프링(140)은 제1 걸림편(111)과 제2 결림편(126)에 체결되어 상기 제1 하수관거(1a)와 제2 하수관거(1b)를 연결부위 측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작용한다.
이후, 상기 한 쌍의 연장편(152) 사이에 양방향볼트(156)를 위치시키고, 상기 나선공(151)에 제1 나선부(153)와 제2 나선부(154)를 체결한다.
이후, 상기 조절손잡이(155)를 잡고 양방향볼트(156)를 돌리면, 상기 한 쌍의 연장편(152)은 나선공(151)에 체결된 서로 다른 방향의 제1 나선부(153)와 제2 나선부(154)에 의해 간격이 조절됨으로써, 상기 압축판스프링(140)의 탄성력을 시공자가 원하는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제1 하수관거(1a)와 제2 하수관거(1b)의 외면에 상하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는 덮개(160)를 위치시킨 후, 이들을 볼트체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110)와 가압플레이트(120) 및 압축판스프링(140)은 상기 덮개(160)에 의해 외부노출이 차단됨으로써, 상기 제1 하수관거(1a)와 제2 하수관(1b)을 지중에 매설한 후에도 상기 압축판스프링(140)의 탄성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1a : 제1 하수관거 1b: 제2 하수관거 11 : 연결관체
110 : 지지플레이트 111 : 제1 걸림편 113 : 제1 체결공
120 : 가압플레이트 121 : 마찰고무 123 : 마감편
128 : 가압볼트 130 : 밀착부재 131 : 면접촉링
133 : 연결링 135 : 가변튜브 140 : 압축판스프링
145 : 쐐기형 요철부 150 : 장력조절부 160 : 덮개

Claims (2)

  1. 지중에 연속되게 매설되는 제1 하수관거(1a)의 연결관체(11)에 걸림을 이루도록 상기 연결관체(11)의 인접한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볼트체결되며, 외면에 제1 걸림편(111)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편(111)의 내측에 복수개의 제1 체결공(113)이 마련된 지지플레이트(110);
    상기 연결관체(11)에 단부가 삽입되는 제2 하수관거(1b)의 외면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볼트체결되며, 내측에 마찰고무(121)가 삽입되는 수용홈(122)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제2 하수관거(1b)의 단부와 면접촉을 이루는 마감편(123)이 마련되며, 외면 타측에 상기 수용홈(122)과 연통을 이루는 결속공(124)과, 복수개의 제2 체결공(125)을 갖는 제2 걸림편(126)이 마련되고, 상기 마감편(123)의 일면에 삽입홈(127)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공(124)에 상기 마찰고무(121)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볼트(128)가 체결된 가압플레이트(120);
    상기 제1 하수관거(1a)와 제2 하수관거(1b) 사이에 개재되며, 일측에 상기 제1 하수관거(1a)와 맞닿는 면접촉링(131)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삽입홈(127)에 삽입연결되는 연결링(133)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링(133)과 면접촉링(131) 사이에 링 형상의 가변튜브(135)가 형성된 밀착부재(130) 및
    상기 제1 걸림편(111)과 제2 걸림편(126) 사이에 볼트체결되어 이들을 서로 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하며, 양단부에 결합공(141)을 갖는 받침편(143)이 마련되고, 상기 받침편(143)과 받침편(143) 사이에 한 쌍의 쐐기형 요철부(145)가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쐐기형 요철부(145) 사이에는 장력조절부재(150)가 구비된 압축판스프링(140)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110)와 가압플레이트(120) 및 압축판스프링(140)의 외부노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하수관거(1a)와 제2 하수관거(1b)의 연결부위에 상하방향으로 대칭되게 볼트체결되는 덮개(1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재(150)는
    상기 각 쐐기형 요철부(145)의 단부에 돌출형성되며, 내측에 나선공(151)이 마련된 한 쌍의 연장편(152)과,
    상기 한 쌍의 연장편(152) 사이에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한 쌍의 나선공(151) 중 일측 나선공(151)에 체결되는 제1 나선부(153)가 마련되고, 타측에 상기 제1 나선부(153)와 다른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나선공(151) 중 타측 나선공(151)에 체결되는 제2 나선부(154)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선부(153)와 제2 나선부(154) 사이에 조절손잡이(155)가 구비된 양방향볼트(156) 및
    상기 한 쌍의 연장편(152) 사이에 형성된 쐐기편(157)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
KR1020110050805A 2011-05-27 2011-05-27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 Active KR101072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805A KR101072979B1 (ko) 2011-05-27 2011-05-27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805A KR101072979B1 (ko) 2011-05-27 2011-05-27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2979B1 true KR101072979B1 (ko) 2011-10-12

Family

ID=45032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805A Active KR101072979B1 (ko) 2011-05-27 2011-05-27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9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315B1 (ko) * 2016-03-16 2017-03-03 김완구 파이프 연결구
CN108643321A (zh) * 2018-06-14 2018-10-12 江苏宝地管业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排水管
KR102216269B1 (ko) * 2020-09-17 2021-02-17 (주)나우종합건축사사무소 내진 성능을 구비한 단지내 맨홀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1217A (ja) 1997-05-13 1998-11-24 Sango Co Ltd 管継手装置
KR100593414B1 (ko) 2006-04-04 2006-06-28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연결부 파손 방지장치가 구비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KR100692102B1 (ko) 2005-11-18 2007-03-12 주식회사 삼천리 가스배관의 가스누설 차단장치
JP4269643B2 (ja) 2002-10-29 2009-05-27 コスモ工機株式会社 伸縮可撓管の伸縮移動規制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1217A (ja) 1997-05-13 1998-11-24 Sango Co Ltd 管継手装置
JP4269643B2 (ja) 2002-10-29 2009-05-27 コスモ工機株式会社 伸縮可撓管の伸縮移動規制装置
KR100692102B1 (ko) 2005-11-18 2007-03-12 주식회사 삼천리 가스배관의 가스누설 차단장치
KR100593414B1 (ko) 2006-04-04 2006-06-28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연결부 파손 방지장치가 구비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315B1 (ko) * 2016-03-16 2017-03-03 김완구 파이프 연결구
CN108643321A (zh) * 2018-06-14 2018-10-12 江苏宝地管业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排水管
KR102216269B1 (ko) * 2020-09-17 2021-02-17 (주)나우종합건축사사무소 내진 성능을 구비한 단지내 맨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98895A1 (en) Connection structure of plate-type vertical drain and circular horizontal drainpipe and method of constructing horizontal drain layer in soft ground using the same
KR101072979B1 (ko)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
CN107100099B (zh) 一种用于铁道涵洞的加固方法
KR100982819B1 (ko) 조립식 배수로
KR200261920Y1 (ko) 오폐수 하수관로
KR100815575B1 (ko) 맨홀용 관 연결장치
KR102147273B1 (ko) 하수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KR100865349B1 (ko) 구름조절부의 회수 및 재사용이 가능한 조립식 맨홀
KR101653722B1 (ko)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726738B1 (ko) 하수관 분기 구조물
CN212452933U (zh) 一种同层排水管
AP6A (en) Prefabricated drain pipe with longitudinal joints.
KR200275363Y1 (ko) 거푸집 설치가 필요 없는 조립식 원형 도로 배수관
KR101175907B1 (ko) 매립용 흄관의 받침 구조물
KR100598769B1 (ko) 연약지반 하수도관 침하방지구조물
KR101864133B1 (ko) 일체거동형 조립식 맨홀
KR100497536B1 (ko) 경사면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이탈 방지장치
KR100458354B1 (ko) 도로의 지중 매설 구조물
KR100546240B1 (ko) 하수관거 침하방지구조
KR200275256Y1 (ko) 하수관과 가지관의 연결구조
KR20200077882A (ko) 상하수도관의 매립설치구조물
KR100623930B1 (ko) 긴밀한 결합을 갖는 하수도관 연결구조
KR100740857B1 (ko) 노면 집수통의 관 연결구조
RU2520678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надежности работы закрытого горизонтального трубчатого дренажа при реализации точного земледелия
KR100709573B1 (ko) 하수 가지관 이음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0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0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0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