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2624A -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의 시공방법 및 그 물품 - Google Patents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의 시공방법 및 그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2624A
KR20050092624A KR1020040017733A KR20040017733A KR20050092624A KR 20050092624 A KR20050092624 A KR 20050092624A KR 1020040017733 A KR1020040017733 A KR 1020040017733A KR 20040017733 A KR20040017733 A KR 20040017733A KR 20050092624 A KR20050092624 A KR 20050092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drainage
drain
reservoir
upp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7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4759B1 (ko
Inventor
김대현
Original Assignee
김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현 filed Critical 김대현
Priority to KR1020040017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4759B1/ko
Publication of KR20050092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4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47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2Dolls made of fabrics or stuff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나 일반 주택 또는 대형 식당등과 같은 각종 건축물의 욕실이나 세탁실의 바닥면에 설치하여서 오수등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에 설치되는 배수트랩의 구조를 개선하여 배수도입부와 배수유도부 및 배수부로 이루어져서 각종 건축물의 욕실이나 세탁실의 오수등의 물을 항상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배수도입부를 형성하는 트렌치를 배수유도부로부터 일정량 유동 가능하기 때문에 시공상의 오차가 발생해도 그 설치작업은 별도의 추가적인 작업없이 간편하게 시공설치하므로서, 상기 배수트랩이 설치되는 욕실이나 세탁실의 해당 벽면과 트렌치의 해당 벽간에 정밀하고 안정적인 마감부를 형성할 수 있고, 또 배수트랩의 설치작업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의 시공방법 및 그 물품{Draining-traps of subsidiary for building and the structure}
본 발명은 아파트나 일반 주택 또는 대형 식당등과 같은 각종 건축물의 욕실이나 세탁실의 바닥면에 설치하여서 오수등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배수트랩의 구조를 개선하여 배수기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방취작용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배수트랩과 그 상측에 결합되는 트렌치의 설치시공시 시공오차가 있더라도 보다 정확한 위치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시공설치할 수 있도록 한 배수트랩 및 그 시공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배수트랩이 설치되는 각종 건축물의 욕실이나 세탁실과 같은 바닥에는 건물의 상/하층으로 연결된 메인배수관을 각종 파이프가 지나가도록 형성된 배관덕트에 위치시키고, 이 메인배수관에서 분기되는 배수파이프의 유입구를 소정의 배수트랩이 설치되는 위치까지 연장하여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인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배수트랩은 종래에도 다양한 구조를 갖춘 배수트랩이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인 종래 배수트랩은 첨부도면 도 9에서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구성은 배수트랩(1)은 방취기능을 수행하는 저수통(5)에 배수홀(5a)을 천공하고, 그 내부 중앙에는 방취파이프(6)를 부설하여 저수통(5)에 담긴 배수물에 방취파이프가 잠기도록 하므로서, 메인 배수관에서 배수트랩으로 역류되어 유입되는 악취를 차단하는 방취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취기능의 구조는 건축물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콘크리트를 타설시 거푸집(110)에 고정구(2)를 설치하고, 이 고정구(2)에 배수관 연결홈(3a)에 의해 배수고정통(3)을 조립하여 고정한 후, 바닥용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배수고정통(3)은 상기 방취구조를 부설하기 위하여 내부 상측에 방취통 아답터(4)를 이용하여 방취구조를 설치한다.
상기 방취구조의 상측에는 트렌치(7)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 트렌치(7)에는 위치를 조절하는 슬라이드 판(7a)과 배수그릴(8)이 조립된다.
또, 상기 종래의 배수트랩(1)에 적용한 방취구조에서는 저용량의 저수량을 갖는 저수통(5)에 의존하여 방취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방취작용를 위한 저수통의 용량이 배수트랩에 비해 매우 적은 용량으로 형성되는 관계로 인하여, 짧은 시간 동안에 집을 비우는 경우에도 배수트랩의 저수통에 방취목적으로 저수되어 있는 물이 빠르게 증발하므로서, 충분한 방취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실내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배수트랩을 건축 구조물인 바닥체의 슬라브에 매립시켜 설치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고정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배수트랩의 몸체를 잡아주기 위한 고정구를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고정구의 협지력이 미약하여 비교적 부피가 큰 본체를 견고하게 고정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에 의하여 배수트랩이 쉽게 위치를 이탈되거나 부력에 의하여 고정구로부터 분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배수트랩의 본체를 고정구에 삽입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금속와이어와 같은 고정구등을 이용하여 감은 후, 견고하게 고정시켜야 하는등 별도의 고정수단을 부설하여야 하는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배수트랩의 배수구에는 걸름망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배수관이 자주 막히게 되며, 특히 세척할때 화학약품을 이용하여 세척하는 등의 위생적인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배수트랩을 건축물의 바닥체인 슬라브에 설치한 후, 그 슬라브 의 표면에 방수층을 시공하게 되는데 배수트랩의 주변에 방수홈을 형성하여 물이 배수트랩의 설치틈으로 스며들지 않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배수트랩 몸체에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커버에 방수홈틀을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서, 보호커버가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쉽게 이탈 분리되며, 방수작업시 절취선을 따라 시공자가 수동으로 절취하여야 하는등의 불편함은 물론, 이로 인해 인건비가 증가하였으며, 또한 우기에 다량의 빗물이 고여서 배수시켜야 하는 경우, 빗물 배수구를 만들기 위해 보호덮개에 형성된 절개선을 따라 절취하여야 하는 불편함 뿐만 아니라, 현장시공자가 망치 등으로 강한 충격을 가하여 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배수트랩 몸체가 파손되거나 콘크리트 양생부위가 손상되어 불량시공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외에도 종래의 배수그릴이 조립되는 트렌치는 배수트랩의 저수통과 한번 결합되면 위치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 설치작업시 해당 벽면과 트렌치간에 간격이 발생하게 되면 그 간격이 발생한 틈새를 별도의 작업에 의해 막아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 상기 해당 벽면과 트렌치간의 간격이 너무 협소한 경우에는 상기 트렌치를 저수통과 연결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아파트나 일반 주택 또는 대형 식당등과 같은 각종 건축물의 욕실이나 세탁실의 바닥면에 설치하여서 오수등의 물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키는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의 구조를 개량하여서 배수트랩과 트렌치의 결합설치시 트렌치가 바닥면과 벽면의 사이에서 일정 범위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형성하므로서, 배수트랩이 설치되는 욕실이나 세탁실의 바닥면과 해당 벽면간에 정확하게 시공 설치할 수 있어 전체적이 공간의 안정적 마감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또한 배수트랩의 배수기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방취작용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배수트랩과 그 상측에 결합되는 트렌치의 설치시공시 시공오차가 있더라도 보다 정확한 위치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시공설치할 수 있는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과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과 그 시공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파트나 일반 주택 또는 대형 식당등과 같은 각종 건축물의 욕실이나 세탁실의 바닥면에 설치하여서 오수등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 및 그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욕실이나 세탁실 바닥면(S)의 임의의 선택된 곳에 형성된 배수구(D)의 상측에 지지링(11)과 다수개의 고정턱(12)을 가진 고정구(10)를 설치한 다음, 상기 고정구(10)의 고정턱(12)에 의해, 하부 중앙에 배수연결구(21)와 그 주연부에 고정구 결합턱(22)을 갖고, 내부 중앙에 설치공간부(23)를 형성한 사각형체의 배수고정통(20)을 설치하여 배수부(100)를 완성하는 단계와;
상기 배수고정통(20)의 상측부에 도시하지 않은 임시보호 커버를 덮어서 조립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서 바닥슬라브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임시보호 커버를 제거한 후, 상기 배수고정통(20)의 설치공간부(23)에역시 사각형체로 형성되며 상부주연부에 다수개의 오버플로우공(31)을 대향되게끔 형성한 저수통(30)을 삽입 안착시키고, 상기 저수통(30)의 상측에는 직사각형의 방취통 삽입공(41)이 형성되며 저수통(30)의 상부보다 큰 면적을 갖는 슬라이드 판(40)을 조립하여 배수유도부(90)를 완성하는 단계와;
상기 슬라이드 판(40)의 상측에 트렌치(50)를 설치하되, 상측부에 그릴(53)이 결합되고, 양측단부에는 마감부재(54)가 결합되는 트렌치 몸체(51)에 형성된 방취통 설치공(52)을 슬라이드 판(40)의 방취통 삽입공(41)에 끼워지게끔 설치하고, 상기 결합된 상태에서 트렌치(50)의 길이방향 변과 해당 설치벽면간에 설치위치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트렌치 몸체(51)의 방취통 설치공(52)에 방취통(60)과 걸름망(70)을 순차적으로 조립하고, 트렌치 몸체(51)의 상측에는 그릴(53)을 조립하여서 배수도입부(80)를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서 설치 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의 시공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의 구성은 아파트나 일반 주택 또는 대형 식당등과 같은 각종 건축물의 욕실이나 세탁실의 바닥면에 설치하여서 오수등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에 있어서,
배수트랩의 구성을 배수도입부와 배수유도부 및 배수부로 구획 형성하되, 상기 배수도입부(80)는 배수유도부(90)의 상측에서 일정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유동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배수유도부(90)는 배수부(100)에 긴밀히 고정되게끔 설치한다.
상기 배수도입부(80)의 구성은 상측부에 그릴(53)이 결합되고 그 양측단부에는 마감부재(54)가 결합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트렌치 몸체(51)로 형성되는 트렌치(50)와, 상기 트렌치 몸체(51)에 임의의 위치에 형성된 방취통 설치공(52)에 끼워져서 결합 설치되는 직사각형의 방취통(60)과, 역시 직사각형의 걸름망(7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트렌치(50)를 형성하는 트렌치 몸체(51)와 그릴(53)은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범위내에서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통상적으로 스테인레스재질로 형성되는 제품을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길이를 절단하여 내, 외측의 이중으로 긴밀히 중첩되는 한 쌍의 트렌치 몸체(51)(51a)와 한 쌍의 그릴(53)(53a)로 형성하였으며, 상기 트렌치 몸체(51)(51a)에 결합되는 마감부재(54)는 그 표면은 스테인레스재질로 형성하고 그 이면부는 적당한 두께의 합성수지재로 보강시킨 보강부(54a)로 형성한다.
상기 한 쌍의 트렌치 몸체(51)(51a)를 긴밀히 중첩시킬때, 어느 일측의 트렌치 몸체(51a)에 밀폐용 패킹(55)을 개입시켜 설치하므로서, 배수도입부(80)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트렌치(50)의 설치시 코너부분에는 기역자형상의 코너부재(56)를 사용하되, 이 역시 표면은 스테인레스재질로 형성하고 그 이면부는 적당한 두께의 합성수지재로 보강시킨 보강부(56a)로 형성한다.
상기 직사각형의 방취통(60)은 상, 하부가 개방된 형상이고, 상기 직사각형의 걸름망(70)은 상부만 개방된 형상으로서, 걸름망(70)이 방취통(6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효율적이 여과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 배수유도부(90)의 구성은 후술하는 배수부(100)의 배수고정통(20)내에 안착되며 사각형체로 형성되는 상부주연부에 다수개의 오버플로우공(31)을 대향되게끔 형성한 저수통(30)과, 그 상측에 조립되며 상기 배수도입부(80)의 트렌치 몸체(51)에 형성된 방취통 설치공(52)이 끼워져서 결합되는 방취통 삽입공(41)이 형성된 슬라이드 판(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수통(30)의 상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판(40)은 저수통(30)의 상부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하여서 슬라이드 판(40)이 저수통(30) 상측의 일정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방취통 삽입공(41)은 트렌치(50)의 길이 방향으로 긴 변을 갖는 직사각형태로 형성하여서 트렌치(50)가 슬라이드 판(40)과 결합된 상태에서 트렌치(50)의 폭 방향으로 일정범위내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저수통(30)의 상부주연부에 대향되게끔 형성되는 다수개의 오버플로우공(31)은 트렌치(50)의 폭 방향이 아닌 길이 방향측에 형성하여 트렌치(50)의 위치설정을 위한 유동에 의한 조정작업에 의해 오버플로우공(31)이 막힐 염려가 없도록 한다.
상기 배수부(100)의 구성은 상기 배수유도부(9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게끔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 중앙에는 배수연결구(21)를 형성하였으며 하부의 외측주연부에는 고정구 결합턱(22)을 형성한 사각형체의 배수고정통(20)과, 배수트랩을 설치하고자 하는 욕실이나 세탁실의 바닥면(S)의 임의의 선택된 곳에 미리 형성된 배수구(D)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며 다수개의 고정턱(12)을 구비한 고정구(1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구(10)와 배수고정통(20)으로 형성되는 배수부(100)는 고정구(10)에 의해 욕실이나 세탁실의 바닥면(S)의 임의의 선택된 곳에 미리 형성된 배수구(D)의 상측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배수고정통(20)의 상측부에 도시하지 않은 임시보호 커버를 덮어서 조립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서 바닥슬라브를 형성한 다음, 상기 배수고정통(20)의 설치공간부(23)에 배수유도부(90)와 배수도입부(80)를 순차적으로 조립 설치하여서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을 완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은 아파트나 일반 주택 또는 대형 식당등과 같은 각종 건축물의 욕실이나 세탁실의 바닥면에 설치하여서 오수등의 물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키기 위하여 첨부도면 도 2내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설치 사용한다.
본 발명의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 은 먼저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미리 형성된 배수구(D)의 상측에 배수부(100)의 고정구(10)를 고정부재(못으로 고정되는 지지핀)등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되, 배수구(D)의 배관과 고정구(10)의 지지링(11)이 긴밀하게 결합되게끔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구(10)가 설치되면, 그 고정구(10)의 고정턱(12)에 배수고정통(20)을 고정설치하는데, 이때 상기 고정구(10)의 지지링(11)에 배수고정통(20)의 배수연결구(21)를 긴밀하게 끼워서 고정되게 함과 동시에, 배수고정통(20)의 하부 외주연부에 형성된 고정구 결합턱(22)이 고정구(10)의 고정턱(12)과 결합되어 고정되게 한다.
이상의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배수고정통(20)의 외부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슬라브를 양생시키는데, 그 양생되는 동안에 배수고정통(20)이 유동되어서는 아니되며, 특히 타설시 콘크리트에 의하여 배수고정통(20)이 부력으로 인하여 고정구(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작업시는 배수고정통(20)의 상측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임시보호 커버를 덮어서 조립하였다가 타설작업이 끝난 후에 임시보호 커버를 제거하므로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배수고정통(20)의 설치공간부(2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배수고정통(20)의 설치작업이 완성된 다음, 배수부(100)에 배수유도부(90)를 설치하는데, 이때 배수고정통(20)의 설치공간부(23)에 저수통(30)를 삽입설치하여 안치하면,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트렌치(50)의 폭방향측은 설치공간부(23)의 내면과 저수통(30)의 외면이 긴밀하게 접촉되고, 길이방향측은 설치공간부(23)의 내면과 저수통(30)의 외면이 일정한 폭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원활한 배수를 위한 배수공간(34)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저수통(30)의 상측에는 저수통(30)의 상부보다 큰 면적을 갖는 슬라이드 판(40)을 결합설치하여서 배수유도부(90)를 완성한다.
상기 저수통(30)은 트렌치(50)의 길이방향측으로 설치공간부(23)의 내면과 저수통(30)의 외면이 일정한 폭의 배수공간(34)을 형성하는 외주연부를 외통체(32)와 내통체(33)로 형성하므로서, 외통체(32)와 내통체(33)의 사이에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배수공간(34)이 확보되며, 상기 내통체(33)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오버플로우공(31)이 형성되는 것이고, 배수도입부(80)를 거쳐 배수유도부(90)로 유입된 오수등의 물은 상기 다수개의 오버플로우공(31)을 통하여 오버플로우되어 배수공간(34)를 통하여 배수고정통(20)과 배수연결구(21)를 통해 배수구(D)로 배출된다.
상기 배수유도부(90)의 슬라이드 판(40)에 형성된 방취통 삽입공(41)에는 배수도입부(80)를 결합설치하되, 트렌치(50)를 정확한 설치위치에 시공할 수 있도록 배수도입부(80) 전체를 일정범위내에서 이동시켜서 해당 바닥면과 벽면사이의 공간에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트렌치(50)는 소정의 길이를 갖으며 상부에 그릴(53)이 결합되어 덮여지고, 상기 트렌치(50)의 선택된 임의의 위치에는 트렌치(50)의 폭방향으로 일측에 치우쳐서 방취통 설치공(52)이 형성되어, 이에 방취통(60)과 걸름망(70)을 순차적으로 수용 설치하고, 상기 트렌치(50)의 양측단부에는 마감부재(54)를 끼워 맞춤으로서 미려하고 견고한 마감처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트렌치(50)의 설치시 첨부도면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트렌치를 기역자형태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첨부도면 도7에 예시된 바와 같은 기역자형상의 코너부재(56)를 사용하여 연결 설치하고, 또한 트렌치(50)의 길이를 조정하여 설치하여야 할 경우에는 첨부도면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트렌치 몸체(51)와 그릴(53)을 내, 외측의 이중으로 긴밀히 중첩되는 한 쌍의 트렌치 몸체(51)(51a)와 한 쌍의 그릴(53)(53a)로 형성하여서 길이방향으로 일정범위내에서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트렌치(50)는 통상적으로 스테인레스재질로 형성되는 제품을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길이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트렌치 몸체(51)(51a)에 결합되는 마감부재(54) 역시 그 표면은 스테인레스재질로 형성하고 그 이면부는 적당한 두께의 합성수지재로 보강시킨 보강부(54a)로 형성하며, 상기 한 쌍의 트렌치 몸체(51)(51a)를 긴밀히 중첩시킬때, 어느 일측의 트렌치 몸체(51a)에 밀폐용 패킹(55)을 개입시켜 설치하므로서 배수도입부(80)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트렌치를 일정한 범위내에서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서, 시공시 어느 정도의 시공상의 오차가 발생하여도 배수트랩을 설치하는데 별 문제가 없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배수도입부와 배수유도부 및 배수부로 이루어진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은 각종 건축물의 욕실이나 세탁실의 오수등의 물을 항상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배수도입부를 형성하는 트렌치를 배수유도부로부터 일정량 유동 가능하기 때문에 시공상의 오차가 발생해도 그 설치작업은 별도의 추가적인 작업없이 간편하게 시공설치하므로서, 상기 배수트랩이 설치되는 욕실이나 세탁실의 해당 벽면과 트렌치의 해당 벽간에 정밀하고 안정적인 마감부를 형성할 수 있고, 또 배수트랩의 설치작업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예를 나타낸 전체 물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에서 트렌치의 종 방향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에서 트렌치의 횡방향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설치되는 욕실의 바닥면과 해당 벽면의 일예시상태도.
도 5a, 5b는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 평면예시도.
도 6a, 6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트렌치 몸체와 마감부재의 분리상태 사시도 및 결합상태의 일부 단면도.
도 7a, 7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트렌치의 코너부재의 설치상태 평면도와 종단면도.
도 8a, 8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한쌍의 트렌치 몸체와 그릴의 분리상태 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고정구 11 : 지지링
12 : 고정턱 20 : 배수고정통
21 : 배수연결구 22 : 고정구 결합턱
23 : 설치공간부 30 : 저수통
31 : 오버플로우공 32 : 외통체
33 : 내통체 34 : 배수공간
40 : 슬라이드 판 41 : 방취통삽입공
50 : 트렌치 51 : 트렌치 몸체
52 : 방취통 설치공 53 : 그릴
54 : 마감부재 55 : 밀폐패킹
56 : 코너부재 60 : 방취통
70 : 걸름망 80 : 배수도입부
90 : 배수유도부 100 : 배수부

Claims (8)

  1. 아파트나 일반 주택 또는 대형 식당등과 같은 각종 건축물의 욕실이나 세탁실의 바닥면에 설치하여서 오수등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 및 그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욕실이나 세탁실 바닥면(S)의 임의의 선택된 곳에 형성된 배수구(D)의 상측에 지지링(11)과 다수개의 고정턱(12)을 가진 고정구(10)를 설치한 다음, 상기 고정구(10)의 고정턱(12)에 의해, 하부 중앙에 배수연결구(21)와 그 주연부에 고정구 결합턱(22)을 갖고, 내부 중앙에 설치공간부(23)를 형성한 사각형체의 배수고정통(20)을 설치하여 배수부(100)를 완성하는 단계와;
    상기 배수고정통(20)의 상측부에 도시하지 않은 임시보호 커버를 덮어서 조립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서 바닥슬라브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임시보호 커버를 제거한 후, 상기 배수고정통(20)의 설치공간부(23)에역시 사각형체로 형성되며 상부주연부에 다수개의 오버플로우공(31)을 대향되게끔 형성한 저수통(30)을 삽입 안착시키고, 상기 저수통(30)의 상측에는 직사각형의 방취통 삽입공(41)이 형성되며 저수통(30)의 상부보다 큰 면적을 갖는 슬라이드 판(40)을 조립하여 배수유도부(90)를 완성하는 단계와;
    상기 슬라이드 판(40)의 상측에 트렌치(50)를 설치하되, 상측부에 그릴(53)이 결합되고, 양측단부에는 마감부재(54)가 결합되는 트렌치 몸체(51)에 형성된 방취통 설치공(52)을 슬라이드 판(40)의 방취통 삽입공(41)에 끼워지게끔 설치하고, 상기 결합된 상태에서 트렌치(50)의 길이방향 변과 해당 설치벽면간에 설치위치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트렌치 몸체(51)의 방취통 설치공(52)에 방취통(60)과 걸름망(70)을 순차적으로 조립하고, 트렌치 몸체(51)의 상측에는 그릴(53)을 조립하여서 배수도입부(80)를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서 설치 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의 시공방법.
  2. 아파트나 일반 주택 또는 대형 식당등과 같은 각종 건축물의 욕실이나 세탁실의 바닥면에 설치하여서 오수등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트랩의 배수도입부(80)는 배수유도부(90)의 상측에 설치하고, 상기 배수유도부(90)는 배수부(100)에 설치하여 구성하되,
    상측부에 그릴(53)이 결합되고 그 양측단부에는 마감부재(54)가 결합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트렌치 몸체(51)로 형성되는 트렌치(50)와, 상기 트렌치 몸체(51)에 형성된 방취통 설치공(52)에 끼워져서 결합 설치되는 직사각형의 방취통(60)과, 역시 직사각형의 걸름망(70)으로 이루어지는 배수도입부(80)와,
    사각형체로 형성되는 상부주연부에 다수개의 오버플로우공(31)을 대향되게끔 형성한 저수통(30)과, 그 상측에 조립되며 상기 배수도입부(80)의 트렌치 몸체(51)에 형성된 방취통 설치공(52)이 끼워져서 결합되는 방취통 삽입공(41)이 형성된 슬라이드 판(40)으로 이루어지는 배수유도부(90)와,
    상기 배수유도부(9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게끔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 중앙에는 배수연결구(21)를 형성하였으며 하부의 외측주연부에는 고정구 결합턱(22)을 형성한 사각형체의 배수고정통(20)과, 배수트랩을 설치하고자 하는 욕실이나 세탁실의 바닥면(S)의 임의의 선택된 곳에 미리 형성된 배수구(D)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며 다수개의 고정턱(12)을 구비한 고정구(10)로 이루어지는 배수부(100)로 구획 형성하여서 상기 배수부(100)의 배수고정통(20)에 배수유도부(90)와 배수도입부(80)를 순차적으로 조립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통(30)의 상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판(40)은 저수통(30)의 상부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하여서 슬라이드 판(40)이 저수통(30) 상측의 일정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방취통 삽입공(41)은 트렌치(50)의 길이 방향으로 긴 변을 갖는 직사각형태로 형성하여서 트렌치(50)가 슬라이드 판(40)과 결합된 상태에서 트렌치(50)의 폭 방향으로 일정범위내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통(30)의 상부주연부에 대향되게끔 형성되는 다수개의 오버플로우공(31)은 트렌치(50)의 폭 방향이 아닌 길이 방향측에 형성하여 트렌치(50)의 위치설정 조정작업시 오버플로우공(31)이 막히지 않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50)를 형성하는 트렌치 몸체(51)와 그릴(53)은 내, 외측의 이중으로 긴밀히 중첩되는 한 쌍의 트렌치 몸체(51)(51a)와 한 쌍의 그릴(53)(53a)로 형성하여서 길이방향으로 일정범위내에서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몸체(51)(51a)에 결합되는 마감부재(54)는 그 표면은 스테인레스재질로 형성하고 그 이면부는 적당한 두께의 합성수지재로 보강시킨 보강부(54a)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50)의 트렌치 몸체(51)의 하부 일측에 편심되게 설치된 방취통 설치공(52)에 설치되는 상기 걸름망(70) 및 그 걸름망을 수용하는 방취관(60)은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트렌치 몸체(51)(51a)를 긴밀히 중첩시킬때, 어느 일측의 트렌치 몸체(51a)에 밀폐용 패킹(55)을 개입시켜 설치하므로서, 배수도입부(80)의 누수를 방지하고, 트렌치(50)의 설치시 코너부분에는 기역자형상의 코너부재(56)를 사용하되, 이 역시 표면은 스테인레스재질로 형성하고 그 이면부는 적당한 두께의 합성수지재로 보강시킨 보강부(56a)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
KR1020040017733A 2004-03-16 2004-03-16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의 시공방법 및 그 물품 KR100634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733A KR100634759B1 (ko) 2004-03-16 2004-03-16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의 시공방법 및 그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733A KR100634759B1 (ko) 2004-03-16 2004-03-16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의 시공방법 및 그 물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624A true KR20050092624A (ko) 2005-09-22
KR100634759B1 KR100634759B1 (ko) 2006-10-16

Family

ID=37273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733A KR100634759B1 (ko) 2004-03-16 2004-03-16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의 시공방법 및 그 물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47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49949A1 (en) * 2005-10-26 2007-05-03 Modern Avenue Sdn Bhd. A drainage grating device and method of installation
CN102051899A (zh) * 2009-11-06 2011-05-11 吉博力(上海)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用于隔层和降层的多通道排水汇集器
WO2013022288A2 (ko) * 2011-08-09 2013-02-14 Juen Young-Se 층상 배수장치
KR101345577B1 (ko) * 2012-01-11 2014-01-15 주식회사 미래산업 트랜치 배수트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129B1 (ko) 2008-01-22 2009-03-11 이헌구 측면 날개가 경사형성된 트랜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49949A1 (en) * 2005-10-26 2007-05-03 Modern Avenue Sdn Bhd. A drainage grating device and method of installation
CN102051899A (zh) * 2009-11-06 2011-05-11 吉博力(上海)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用于隔层和降层的多通道排水汇集器
WO2013022288A2 (ko) * 2011-08-09 2013-02-14 Juen Young-Se 층상 배수장치
WO2013022288A3 (ko) * 2011-08-09 2013-06-13 Juen Young-Se 층상 배수장치
KR101345577B1 (ko) * 2012-01-11 2014-01-15 주식회사 미래산업 트랜치 배수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4759B1 (ko) 2006-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6472B2 (en) Drain and a building structure having a drain
EP1577452B1 (en) Drainage channel
RU2613230C2 (ru) Канализационный слив с канализационным сильфонным затвором
WO2018231852A1 (en) Drainage device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nd use
KR100634759B1 (ko)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의 시공방법 및 그 물품
US20050055916A1 (en) Rough in box for use in protecting a plumbing drain during pouring of concrete
KR101826619B1 (ko) 누수방지 기능을 가진 무부력 집수정의 설치구조
KR200449740Y1 (ko) 건물 옥상의 편심 루프 드레인
KR200206787Y1 (ko) 탈착식 오물거름부재가 구비된 배수전
KR200220668Y1 (ko) 배수트랩 슬리브
KR101907404B1 (ko) 욕실 슬라브 배수장치
KR200150630Y1 (ko)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
KR200311398Y1 (ko) 일체형 배수트랩
KR20120007819U (ko) 이물질 배출 기능이 구비된 배수 홈통
KR100642983B1 (ko)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
KR101796825B1 (ko) 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벽체플레이트 조립체
KR100815193B1 (ko) 배수트랩조립체
JPH0137008Y2 (ko)
KR200320808Y1 (ko) 다중배수트랩장치
KR101930401B1 (ko) 배수 트랩 및 이의 시공방법
KR920001682Y1 (ko) 배수 트랩
KR20240000028U (ko) 방수시공이 용이한 배수트랩 고정장치
KR200369209Y1 (ko) 배수관 고정 슬리브의 개선구조
KR100448228B1 (ko) 세면욕조실의 트렌치 배수관용 배수관 장치
JP2023182284A (ja) 床排水構造及び床排水構造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