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630Y1 -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 - Google Patents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630Y1
KR200150630Y1 KR2019960046994U KR19960046994U KR200150630Y1 KR 200150630 Y1 KR200150630 Y1 KR 200150630Y1 KR 2019960046994 U KR2019960046994 U KR 2019960046994U KR 19960046994 U KR19960046994 U KR 19960046994U KR 200150630 Y1 KR200150630 Y1 KR 2001506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drain
drain trap
pipe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69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4055U (ko
Inventor
최정웅
Original Assignee
유인균
현대산업개발주식회사
최정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인균, 현대산업개발주식회사, 최정웅 filed Critical 유인균
Priority to KR20199600469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630Y1/ko
Publication of KR199800340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0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6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6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03F5/0409Devices for preventing seepage around the floor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8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bell siph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욕실 등의 타일이 부착되는 바닥면에 배수용 트랩을 설치함에 있어서, 타일의 마감상태를 양호하게 하고, 후속작업과의 시공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는, 메인배수관의 저면에 패킹을 개재하여 메인배수파이프가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고, 상측 가장자리부의 바깥둘레방향으로 방수홈이 형성된 하부 배수용 트랩과; 상기 메인배수관의 상부에 씌워져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캡과; 상기 하부 배수용 트랩상에 장착되며, 측면에 배수파이프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배수관이 형성되고, 각 모서리부가 라운딩된 사각형상체의 상측 개구부를 갖는 상부 배수용 트랩과; 상기 상부 배수용 트랩상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중앙에 암나사구멍이 형성되고, 이 암나사구멍을 중심으로 한쪽이 다른 한쪽보다 길게 형성된 원형플랜지와; 상기 원형플랜지의 암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고, 상면에 걸름망이 조립된 커버체; 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타일과 커버체의 가장자리선을 일치시키는 조절작업이 더욱 용이해지고, 트랩내부로의 이물질 투입을 방지하고, 후속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
본 고안은 욕실 등의 타일이 부착되는 바닥면에 배수용 트랩(Trap)을 설치함에 있어서, 타일의 마감상태를 양호하게 하고, 후속작업과의 시공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욕실 등에 사용되는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는, 타일을 시공하기 전에 위치를 설정하여 매립 고정되는 것으로서, 그 위치조정이 불가능하므로 마감작업시의 바닥 타일을 깔 때 타일의 선이 트랩유니트의 커버체와 불일치할 경우 타일을 잘라 붙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기존 건축물의 욕실 등은 바닥 마감의 높이차에 의해 타일의 높이와 커버체의 높이를 일치시키기가 매우 곤란하였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전에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를 국내 실용신안공보 공고 94-6942호에 제안한 바 있다. 즉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트랩유니트는 하부 배수용 트랩(1)과, 그 상부에 순차적으로 장착되는 상부 배수용 트랩(2), 원형플랜지(3), 커버체(4) 및 걸름망(5)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부 배수용 트랩(1)의 중앙에 소정높이로 형성된 메인배수관(6)에는 메인배수파이프(7)가 나사결합되어 연결되고, 상부에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캡(8)이 씌워져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배수용 트랩(1)상에 설치되는 상부 배수용 트랩(2)은 테이퍼진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직경이 작은 하부가 하부 배수용 트랩(1)상에 조립되고, 외주면에는 내부로 관통하는 2개의 배수관(9)이 90°간격으로 배치되며, 이 배수관(9)에는 도시하지 않은 세면대나 욕실 바닥면으로 연결되는 배수파이프(1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배수용 트랩(2)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원형플랜지(3) 중앙의 암나사구멍(3a)에는 커버체(4)에 형성된 배수구(11a)를 가지는 원형돌출부(11)의 수나사부(11b)가 나사맞춤되며, 커버체(4)의 중앙에 걸름망(5)이 조립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 걸름망(5)과 배수파이프(10)를 통해서 내부로 유입된 생활하수가 메인배수관(6)의 높이만큼 채워진 상태에서 오우버플로우되어 메인배수파이프(7)를 통하여 배출된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와 바닥 타일의 시공시에, 제3a도에서와 같이 타일(12)과 커버체(4)의 가장자리선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부 배수용 트랩(2)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원형플랜지(3)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제3b도에서와 같이 커버체(4)와 타일(12)의 가장자리선을 일치시킬 수 있으며, 바닥 타일(12)의 높이와 커버체(4)의 높이가 불일치하는 경우에도 원형플랜지(3)에 나사맞춤된 커버체(4)를 회전시켜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는 바닥 타일(12)과 커버체(4)의 가장자리선이 불일치하는 경우, 제3a도에서와 같이 커버체(4)의 원형돌출부(11)가 상부 배수용 트랩(2)의 상측 개구부(2a)의 정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전후 및 좌우 모든 방향으로 여유길이(a)만큼 이동이 가능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나, 제3b도에서와 같이 원형돌출부(11)가 상측 개구부(2a)의 어느한쪽에 근접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개구부(2a)가 원형이기 때문에 전, 후방향으로는 조절할 수 없으므로, 서로의 가장자리선을 일치시키기 위한 영역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시공시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메인배수관(6)과 메인배수파이프(7)가 나사결합으로 연결되므로 시공시의 조립성이 저하되고, 나사결합부위로 누수될 염려가 있으며, 하부 배수용 트랩(1)은 주물로 제조된 것이므로, 제품을 균일하게 제조할 수 없고 무거워서 작업성이 나쁘고 충격으로 쉽게 깨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실 바닥의 시공시의 하부 배수용 트랩(1)의 상부 주위로 콘크리트를 부어 굳히는 과정에서 콘크리트가 하부 배수용 트랩(1)쪽으로 근접하지 못하도록 나무조각 등의 부재를 연결하여 만든 차단판(13)을 설치하고 있으나, 이는 1회용으로 임시로 제작한 것이므로 콘크리트가 굳은 후에 제거하는 과정에서 쉽게 파손되고, 시공시마다 새로 제작하여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부 배수용 트랩(2)에는 정해진 규격에 따라 2개의 배수관(9)이 90°나 혹은 135°간격으로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여기에 연결되는 배수파이프(10) 역시 그 각도로만 배치해야 하므로, 시공현장에 따라 상부 배수용 트랩(2)을 적절히 선택해 주어야만 하며, 타일 마감작업시까지 장시간 방치되면서 후속으로 진행되는 작업에 의해 여러가지 이물질이 하부 배수용 트랩(1) 내로 떨러지지 않도록 스폰지나 판상부재로 덮어 두는 실정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커버체의 조절영역을 넓혀 시공이 더욱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메인배수파이프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누수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하부 배수용 트랩의 상부 주위로 콘크리트를 부어 시공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가 근접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콘크리트링 및 배수유도관을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시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또 덮개에 의해 트랩 내부로 이물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세면대나 욕실 바닥면으로부터 연결되어 나온 배수파이프를 상부 배수용 트랩의 배수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선택폭을 넓혀 시공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제3a도 및 제3b도는 종래 커버체의 위치 조절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4도는 종래의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에 의한 시공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의 분리사시도.
제7a도 및 제7b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의 시공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의 시공시에 사용되는 콘크리트링 및 배수유도관, 덮개의 분리사시도.
제9a도 및 제9b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커버체의 위치 조절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메인 배수파이프 22 : 하부 배수용 트랩
22a : 방수홈 23 : 배수파이프
24 : 상부 배수용 트랩 24a : 개구부
25 : 원형플랜지 25a : 암나사구멍
26 : 바닥 타일 27 : 커버체
28 : 메인배수관 28a : 홈
29 : 패킹 30 : 캡
31 : 고정링 32 : 배수관
33 : 돌출부 34 : 걸름망
35 : 콘크리트링 35a :내측링
35b : 외측링 36 : 배수유도관
36a : 연결편 37 : 덮개
37a : 손잡이 37b : 작은구멍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메인배수관의 저면에 패킹을 개재하여 메인배수파이프가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고, 상측 가장자리부의 바깥둘레방향으로 방수홈이 형성된 하부 배수용 트랩과; 상기 메인배수관의 상부에 씌워져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캡과; 상기 하부 배수용 트랩상에 장착되며, 측면에 배수파이프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배수관이 형성되고, 각 모서리부가 라운딩된 사각형상체의 상측 개구부를 갖는 상부 배수용 트랩과; 상기 상부 배수용 트랩상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중앙에 암나사구멍이 형성되고, 이 암나사구멍을 중심으로 한쪽이 다른 한쪽보다 길게 형성된 원형플랜지와; 상기원형플랜지의 암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고, 상면에 걸름망이 조립된 커버체; 로 구성된 것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하부 배수용 트랩의 매설 시공시에 콘크리트층과의 간격유지를 위해 장착되는 것으로서; 하부 배수용 트랩의 상부에 조립되는 내측링과, 콘크리트의 근접을 차단하는 데이퍼형상의 외측링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링과; 상기 콘크리트링에 조립가능하도록 한쪽끝단에 연결편이 형성되고, 배수파이프의 설치각도에 따른 자리홈을 형성하기 위한 배수유도관; 으로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 및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트랩유니트는 메인배수파이프(21)와 연결되는 하부 배수용 트랩(22)과, 세면대나 욕실 바닥면으로 연결되는 배수파이프(23)가 장착되는 상부 배수용 트랩(24)과, 이 상부 배수용 트랩(24)의 상부에서 전후, 좌우의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형플랜지(25)와, 상기 원형플랜지(25)에 나사결합되어 상면이 바닥 타일(26)의 설치높이와 일치되는 커버체(27)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 배수용 트랩(22)은 합성수지재로서, 소정의 높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하부 중앙에 메인배수파이프(21)가 연결되는 메인배수관(28)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 가장자리부에는 방수홈(22a)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배수관(28)에는 메인배수파이프(21)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홈(28a)이 형성되고, 이 홈(28a)내에는 패킹(29)이 삽입되어 메인배수관(28)과 메인배수파이프(21) 사이에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배수용 트랩(22)의 메인배수관(28) 상단부에는 메인배수파이프(21)로부터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캡(30)이 씌워지고, 하단부에는 고정링(31)이 결합되어 하부 배수용 트랩(22)을 받쳐 지지하게 된다.
상기 상부 배수용 트랩(24)의 하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 배수용 트랩(22)상에 조립되고, 상측 개구부(24a)는 각 모서리부가 라운딩된 사각형상체로 형성된다. 또한 측벽에는 복수개의 배수관(3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배수관(32)은 세면대나 욕실 바닥면으로부터 연결되어 나온 배수파이프(23)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3개의 배수관(32)이 하나의 배수관(32)으로부터 90°및 135°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부 배수용 트랩(24)의 상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형 플랜지(25)에는 암나사구멍(25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암나사구멍(25a)을 중심으로 한쪽의 길이가 다른 한쪽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으로, 그 길이는 원형플랜지(25)가 상부 배수용 트랩(24)의 상면에서 어느 한쪽방향으로 편심지게 이동하는 경우에도, 상부 배수용 트랩(24)의 상측 개구부(24a)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형플랜지(25)의 암나사구멍(25a)에는 커버체(27)의 돌출부(33)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33a)가 나사결합되며, 이 커버체(27)의 상측에는 걸름망(34)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간격으로 철근이 배열된 바닥면에 콘크리트못이나 스크류등에 의해 고정링(31)을 견고하게 고정시킨 후, 하부 배수용 트랩(22)의 아래쪽을 고정링(31)에 끼워 조립하고, 메인배수관(28)의 홈(28a)에 메인배수파이프(21)를 삽입하여 연결한다. 따라서 메인배수관(28)관 메인배수파이프(21)의 조립이 편리하게 이루어지고, 홈(28a)에 설치된 패킹(29)에 의해 메인배수관(28)과 메인배수파이프(21)사이의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7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배수용 트랩(22)측으로 콘크리트가 근접하지 못하도록 콘크리트링(35)을 장착하여 하부 배수용 트랩(22)의 주위를 차단하고, 배수파이프(23)의 연결위치에 복수개의 배수유도관(36)을 장착하여 콘크리트층의 형성시에 배수파이프(23)를 설치하기 위한 자리홈(38b)이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링(35) 및 배수유도관(36)은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제8도에서와 같이 콘크리트링(35)은 하부 배수용 트랩(22)의 상부에 끼워지는 내측링(35a)과, 콘크리트를 차단하는 외측링(35b)으로 이루어지고, 외측링(35b)은 콘크리트층이 굳은 후에 분리가 용이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또한 배수유도관(36)의 한쪽 끝단에는 상기 콘크리트링(35)의 내측링(35a)과 외측링(35b)사이에 끼워지는 연결편(36a)이 형성되어 배수파이프(23)의 설치각도에 따라 위치를 조절하여 조립할 수 있으며, 이 배수유도관(36)의 하부면은 콘크리트층으로 부터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배수용 트랩(22)의 개구부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된 덮개(37)로 막아 콘크리트층이 굳는 동안 이물질이 하부 배수용 트랩(22) 내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정시간 후에 콘크리트층이 굳어져 콘크리트링(35)및 배수유도관(36)을 분리하게 되면, 제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배수용 트랩(22)의 상부 주변에 콘크리트링(35) 및 배수유도관(36)에 의한 테두리홈(38a)과 배수파이프(23)의 자리홈(38b)이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홈(38a)에 의해 하부 배수용 트랩(22)의 바깥둘레에 형성된 방수홈(22a)이 노출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테두리홈(38a)에 방수액을 부어 콘크리트층과 하부 배수용 트랩(22) 사이를 방수시키게 되면 방수액이 방수홈(22a)에 충진되므로 방수효율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링(35)의 상측 개구부 및 하부 배수용 트랩(22)의 상측 개구부에는, 제7a도 및 제7b도에서와 같이 콘크리트층을 양생 시키는 과정이나 혹은 타일의 마감작업을 위해 장시간 방치할 경우에, 합성수지재로 제조된 덮개(37)로 막아서 이물질이 하부 배수용 트랩(22)의 내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 덮개(37)의 중앙상부에는 반원형의 손잡이(37a)와 다수개의 작은구멍(37b)들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하면에 플랜지(37c)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1차시공이 끝나게 되면, 씌워진 덮개(37)를 제거하고,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배수용 트랩(22)에 캡(30), 상부 배수용 트랩(24) 및 원형플랜지(25)를 순차적으롤 조립한 후, 세면대나 욕실 바닥면으로부터 연결되어 나온 배수파이프(23)를 상부 배수용 트랩(24)의 배수관(32)에 연결한다. 이때 2개의 배수파이프(23)와 배수관(32)은 통상 90°로 배치되어 연결되지만, 상부 배수용 트랩(24)은 90°와 135°간격으로 3개의 배수관(32)이 형성된 것이므로, 시공과정에서 배수파이프(23)의 연결각도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는 배수관(32)은 마개(도시생략)로 막아 둠으로써 시공이 더욱 편리해진다.
마감시공시에는 원형플랜지(25)의 암나사구멍(25a)에 커버체(27)의 수나사부(33a)를 나사결합하여 조립하고, 수나사부(33a) 및 암나사구멍(25a)을 이용하여 커버체(27)의 높이를 바닥 타일(26)의 부착높이에 일치되도록 조절한 다음, 상부 배수용 트랩(24) 및 원형플랜지(25)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타일(26)의 라인을 맞추어 시공을 마무리한다.
이때, 커버체(27)의 위치를 결정할 때에는 그 가장자리선과 시공되는 타일(26)의 줄눈이 일치하도록 설정되는 데, 커버체(27)의 원형돌출부(33)는 제9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배수용 트랩(24)의 정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간격(a)만큼 이동 가능하므로 커버체(27)의 가장자리선과 타일(26)의 줄눈이 어긋난 상태에서도 원형돌출부(33)의 위치를 조절하여 가상선상태와 같이 일치시킬 수 있다.
특히, 상부 배수용 트랩(24)의 상측 개구부(24a)의 구조는 각 모서리가 라운딩형상으로 형성된 정사각형으므로, 제9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돌출부(33)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완전히 이동한 상태에서도 가상선 상태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간격(a)만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원형돌출부(3)가 전,후방향으로 완전히 이동한 상태에서도 좌,우방향으로 간격(a)만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여 커버체(27)의 가장자리선을 타일(26)의 가장자리선과 일치시킬 수 있는 영역이 확대되어 시공이 더욱 편리해지며, 외관을 깨끗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원형플랜지(25)는 암나사구멍(25a)을 중심으로 어느 한쪽이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타일(26)의 가장자리선을 일치시키기 위해 원형플랜지(25)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원형플랜지(25)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어 상부 배수용 트랩(24)의 상측 개구부(24a)가 일부 노출된다고 해도, 길이가 긴 쪽을 노출된 개구부쪽을 향하도록 위치시킴으로써 개구부(24a)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고, 걸름망(34) 및 배수관(32)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생활하수가 하부 배수용 트랩(22)의 메인배수관(28)을 통해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에 의하면, 원형플랜지의 전후, 좌우 이동영역이 넓어짐으로써 바닥 타일의 가장자리선과 커버체의 가장자리선을 일치시키는 조절작업이 더욱 용이 해지고, 메인배수파이프와 하부 배수용 트랩의 조립이 편리함과 동시에 연결부위의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링 및 배수유도관에 의해 시공시의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또한, 하부 배수용 트랩에 형성된 방수홈에 의해 콘크리트층과의 방수 효과가 증대되고, 세면대나 욕실 바닥면으로 연결되는 배수파이프의 설치각도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므로, 시공시의 설계변경에 대해 대처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콘크리트 타설시에 서로 조립이 가능한 콘크리트링 및 배수유도관에 의해 테두리홈과 자리홈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하부 배수용 트랩이 매설된 후에, 타일 마감작업시까지 장시간 방치되면서 후속으로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에도 덮개에 의하여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중앙에 메인배수관(28)이 구비된 하부 배수용 트랩(22)과, 상기 메인배수관(28)의 상부에 씌워져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캡(30)과, 상기 하부 배수용 트랩(22) 상에 장착되며, 측면에 배수파이프(23)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배수관(32)이 형성된 상부 배수용 트랩(24)과, 상기 상부 배수용 트랩(24)상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중앙에 암나사구멍(25a)이 형성된 원형플랜지(25)와, 상기 원형플랜지(25)의 암나사구멍(25a)에 나사결합되고, 상면에 걸름망(34)이 조립된 커버체(27)로 구성된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배수용 트랩(22)의 메인배수관(28) 저면에 패킹(29)을 개재하여 메인배수파이프(21)를 삽입하기 위한 홈(28a)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측 가장자리부의 바깥둘레방향으로 방수홈(22a)을 형성하고, 상부 배수용 트랩(24)의 상측에는 각 모서리부가 라운딩된 사각형상체의 개구부(24a)를 형성하며, 상기 원형플랜지(25)는 암나사구멍(25a)을 중심으로 한쪽이 다른 한쪽보다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배수용 트랩(24)의 배수관(32)은 하나의 배수관(32)에 대하여 90°및 135°간격으로 3개가 배치되며, 상기 하부 배수용 트랩(22)의 하부에는 이것을 받쳐 지지하는 고정링(31)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
  3. 하부 배수용 트랩(22)의 매설 시공시에 콘크리트층과의 간격유지를 위해 장착되는 것으로서, 하부 배수용 트랩(22)의 상부에 조립되는 내측링(35a)과, 콘크리트의 근접을 차단하는 테이퍼형상의 외측링(35b)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링(35)과, 상기 콘크리트링(35)에 조립 가능하도록 한쪽끝단에 연결편(36a)이 형성되고, 배수파이프(23)의 설치각도에 따른 자리홈(38b)을 형성하기 위한 배수유도관(3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
  4. 제3항에 있어서, 하부 배수용 트랩(22)과 콘크리트링(35)에는, 중앙 상측에 반원형의 손잡이(37a)가 형성됨과 동시에 다수개의 작은구멍(37b)들이 형성되고, 상, 하면에 플랜지(37c)가 돌출 형성된 덮개(37)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
KR2019960046994U 1996-12-10 1996-12-10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 KR2001506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994U KR200150630Y1 (ko) 1996-12-10 1996-12-10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994U KR200150630Y1 (ko) 1996-12-10 1996-12-10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055U KR19980034055U (ko) 1998-09-05
KR200150630Y1 true KR200150630Y1 (ko) 1999-07-01

Family

ID=19478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6994U KR200150630Y1 (ko) 1996-12-10 1996-12-10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63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080A (ko) * 2001-09-17 2001-11-14 김지태 건축용 트랩을 겸한 슬리브
KR20110049028A (ko) * 2009-11-04 2011-05-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음식물 처리기의 보조 배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458A (ko) * 2000-12-28 2001-04-06 박광용 바닥 배수용 배수전 유니트
KR101226910B1 (ko) * 2011-06-30 2013-02-21 (주) 삼정디씨피 악취 방지 기능이 구비된 오수받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080A (ko) * 2001-09-17 2001-11-14 김지태 건축용 트랩을 겸한 슬리브
KR20110049028A (ko) * 2009-11-04 2011-05-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음식물 처리기의 보조 배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1632444B1 (ko) * 2009-11-04 2016-06-21 코웨이 주식회사 음식물 처리기의 보조 배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055U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20552A (en) Reversible structure for surface drain
US10704248B2 (en) Drainage system
EP3044383B1 (en)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a discharge pipe to a discharge opening
KR100361326B1 (ko)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KR200150630Y1 (ko)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
US7533499B2 (en) Rough in box for use in protecting a plumbing drain line during pouring of concrete
KR200449740Y1 (ko) 건물 옥상의 편심 루프 드레인
KR200220668Y1 (ko) 배수트랩 슬리브
KR200206787Y1 (ko) 탈착식 오물거름부재가 구비된 배수전
KR200192282Y1 (ko) 배수트랩
KR200492266Y1 (ko) 오수 배수관
KR20050092624A (ko)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의 시공방법 및 그 물품
JPH0137008Y2 (ko)
KR101170813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100216083B1 (ko) 배수 트랩 유니트
KR940006942Y1 (ko) 바닥 배수용 트랩 유니트
KR200204328Y1 (ko) 배수트랩 뚜껑
CN217679550U (zh) 一种预埋式地漏装置
KR20240077390A (ko) 배수트랩 슬리브
JPS6343307Y2 (ko)
KR100962021B1 (ko) 배수 트랩 시스템
KR200300844Y1 (ko)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
KR200330367Y1 (ko) 욕실용 배수장치의 악취유입 방지구조
KR200165003Y1 (ko) 수도용 배수대
JPH02221534A (ja) 合成樹脂製桝を用いた下水道施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