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7135A -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7135A
KR20090047135A KR1020070113157A KR20070113157A KR20090047135A KR 20090047135 A KR20090047135 A KR 20090047135A KR 1020070113157 A KR1020070113157 A KR 1020070113157A KR 20070113157 A KR20070113157 A KR 20070113157A KR 20090047135 A KR20090047135 A KR 20090047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
coupling
elevator
angle
inst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3237B1 (ko
Inventor
엄기형
Original Assignee
엄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85667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04713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엄기형 filed Critical 엄기형
Priority to KR1020070113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237B1/ko
Publication of KR20090047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5/00Handling building or like materials for hydraulic engineering or foundations
    • E02D15/02Handling of bulk concrete specially for foundation or hydraulic engineering purposes
    • E02D15/04Placing concrete in mould-pipes, pile tubes, bore-holes or narrow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지하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도록 바닥 및 측벽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상기 측벽의 내측에 위치되는 형틀; 및 상기 피트의 측벽과 상기 형틀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피트의 측벽과 상기 형틀이 접하여 상기 결합부재를 통해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는 피트의 측벽과 형틀이 접할 수 있도록 평행하게 배치되어 결합부재를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벽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엘리베이터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피트, 형틀, 철근, 앵글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Assembly structure of elevator pit easy to install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경화 후 형틀이 제거되고 나면, 피트의 내벽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에는 엘리베이터를 점검할 수 있도록 공간이 제공되며,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의 최하층 바닥보다 약 2미터 내외로 더 내려가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는 건물의 하중을 벽체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며, 각 층의 하중들이 엘리베이터 벽체를 통해서 하부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최하부는 상부의 하중을 지반에 전달할 수 있도록 기초 구조물이 형성되어야 하고,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종래에 다수의 리브를 갖는 판재 구조의 엘리 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가 제공되었으나,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는 콘크리트층에 매립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다양하게 변화하는 콘크리트층 두께에 따라 높이와 크기를 변화시키기가 매우 어렵고, 아울러 콘크리트층 내에 완전한 결합이 가능케 하기 위한 수단과 결합구조가 제공되지 않아 설치에 따른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다양한 콘크리트층 두께에 따라 유동적으로 설치 가능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출원번호 제20-2007-0010920호)에 대한 실용신안을 출원한 바가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는 콘크리트층이 타설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고, 콘크리트층 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에 따른 제약을 받지 않으며,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의 구조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서 엘리베이터 피트(100) 상단부와 형틀(200)의 하단부가 수평하게 절곡형성되어 있고, 절곡된 위치에서 상호 볼트(B)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절곡된 결합부(120, 220)를 통해 철근과 형틀이 결합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피트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 피트(100)와 형틀(200) 측방에는 콘크리트가 유입되며, 콘크리트 경화 후에 형틀(200)이 제거된다. 이때 형틀(200)이 제거되고 나면, 피트(100) 상단부의 결합부(120)가 내측을 향해 있는데, 이 결합부(120)로 인해서 피트(100) 내벽면을 따라 이동하는 작업대를 설치하기가 곤란하여 결합부(120)를 커팅기로 절단해야만 한다.
이와 같이 형틀(200) 제거 후에, 결합부(120)를 절단하여야 하므로 작업 공 정 수가 더 늘어나게 되어 작업시간은 지체가 되고, 작업자에게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피트와 형틀의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피트의 내벽면에 돌출된 면이 없도록 하여 별도의 제거공정이 필요없는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 지하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도록 바닥 및 측벽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상기 측벽의 내측에 위치되는 형틀; 및 상기 피트의 측벽과 상기 형틀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피트의 측벽과 상기 형틀이 접하여 상기 결합부재를 통해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트의 측벽 상측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형틀에는 상기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형틀은 상기 피트의 측벽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결합공과 상기 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측벽의 상단에는 다수개의 체결용 결합구가 구비되고, 상기 형틀에는 상기 체결용 결합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형틀은 상기 측벽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용 결합구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 지하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도록 바닥 및 측벽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상기 측벽의 내측에 위치되는 앵글; 상기 앵글 상측에 결합되는 형틀; 및 상기 피트의 측벽과 상기 앵글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피트의 측벽과 상기 앵글이 접하여 상기 결합부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형틀이 상기 앵글 상부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트의 측벽 상측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앵글에는 상기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앵글은 상기 피트의 측벽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결합공과 상기 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측벽의 상단에는 다수개의 체결용 결합구가 구비되고, 상기 앵글에는 상기 체결용 결합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앵글은 상기 측벽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용 결합구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앵글과 상기 형틀의 결합은 볼트 또는 용접 또는 핀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트의 상단부는 외측으로 꺾인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 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에는 철근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의 상단에 단면이 'ㅡ'자 모양의 앵글이 더 구비되고, 상기 앵글을 통해서 콘크리트층에 배치되는 철근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앵글의 단면이 'ㄱ'자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앵글의 단면이 '
Figure 112007079919017-PAT00001
'자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앵글의 내측 모서리에는 보강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트는 측벽 외측에 단면이 'ㄱ'자 형상을 포함하는 앵글이 더 구비되고, 상기 앵글을 통해서 콘크리트층에 배치되는 철근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재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볼트는 상기 피트의 측벽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너트는 상기 피트의 측벽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볼트가 피트의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재는 웨지핀(wedge pin)과 고정핀을 포함하여 구 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웨지핀은 상기 피트의 측벽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피트의 측벽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웨지핀이 피트의 바깥쪽에서 안쪽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재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볼트는 상기 피트의 측벽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피트의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는 피트의 측벽과 형틀이 접할 수 있도록 평행하게 배치되어 결합부재를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벽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엘리베이터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10)의 결합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10)와 형틀(20)이 직접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a에서 콘크리트층이 타설되어 형틀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피트(10)는 바닥 및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은 수직한 내벽면을 형성하며, 측벽 상측에는 다수의 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피트(10)의 내측에는 상기 측벽과 평행한 형틀(20)이 위치되고, 상기 형틀(20)은 상기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피트(10)와 상기 형틀(20)은 상기 홀과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통해 상호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로는 상기 홀과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는 볼트(A)와 상기 볼트(A)와 체결되는 너트(B)를 사용하는게 바람직하다. 상기 볼트(A)는 상기 피트(10)의 측벽 내측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너트(B)는 상기 피트(10)의 측벽 외측에 위치되게 하여 상기 볼트(A)가 피트(10)의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볼트(A)를 결합시킨 후, 볼트(A)를 분해하면 피트(10)에서 볼트(A)가 빠지면서 형틀(20)이 제거되는 동시에, 피트(10)의 내벽면이 밋밋하게 형성되므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설치가 비교적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는 웨지핀(Wedge pin)과 상기 웨지핀을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웨지핀의 결합방향은 상기 볼트(A)와 상기 너트(B)가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결합되는게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웨지핀은 상기 피트(10)의 측벽 외측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피트(10)의 측벽 내측에 위치되게 하여 상기 웨지핀이 피트(10)의 바깥쪽에서 안쪽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결합하여야 피트(10)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었을 때, 웨지핀과 고정핀의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분리시에는 고정핀을 제거 후, 피트(10) 내측방향으로 뻗어있는 웨지핀을 망치 등으로 구부려서 피트의 내벽면에 달라붙게 한다.
도 2b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피트(10)는 바닥 및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은 수직한 내벽면을 형성하며, 측벽 상단부에는 다수의 체결용 결합구(C)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용 결합구(C)는 피트(10) 측벽 상단에 용접 또는 볼트 또는 핀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었으나, 후술할 'ㄱ'자 형상을 포함하는 앵글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피트(10)의 내측에는 상기 측벽과 평행한 형틀(20)이 위치되고, 상기 형틀(20)에는 상기 체결용 결합구(C)의 나사홀(미도시)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피트(10)와 상기 형틀(20)의 결합은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용 결합구(C)의 나사홀과 체결되는 결합부재를 통해 상호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체결용 결합구(C)의 나사홀과 체결되는 볼트(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게 바람직하다. 상기 볼트(A)는 상기 피트(10)의 측벽 내측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볼트(A)가 상기 피트(10)의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게 바람직하다.
이처럼,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는 상기 피트(10)와 상기 형틀(20)을 결합시킨 후, 피트(10) 측방으로 콘크리트를 유입하여 콘크리트가 경화될 무렵, 상기 결합부재를 분리하면 형틀(20)이 제거되면서 피트(10)와 피트(10) 상부에 콘크리트층의 내벽면은 도 3과 같이,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엘리베이터 설치가 비교적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4a,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10)와 철근(D)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a에서 콘크리트층이 타설되어 형틀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4b는 제1실시예에서 실시된 엘리베이터 피트(10)의 외측으로 단면이 'ㄱ'자 형상을 포함하는 제1앵글(30a)을 용접하여 피트(10)와 제1앵글(30a)을 일체화한 것이다.
도 4a의 경우, 피트(10) 외측에 위치하는 제1앵글(30a)은 상기 피트(10)의 외측에 용접되는 것으로, 형틀(20)과 피트(10)와 제1앵글(30a) 모두는 볼트(A)가 관통하여 너트(B)와 체결될 수 있도록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되는게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제1앵글(30a)의 상면에는 철근(D)이 연결될 수 있도록 홀(31)이 형성되는게 바람직하다.
도 4b의 경우, 철근(D)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면에만 홀이 형성되도록 하는게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피트(10)의 외측에 단면이 'ㄱ'자 형상을 포함하는 제1앵글(30a)을 더 구비함으로써, 도 5와 같이 엘리베이터 피트(10)가 콘크리트층에 배치되는 철근(D)과 연결되어 콘크리트층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 6a, 6b, 6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10)와 형틀(20)이 앵글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엘리베이터 피트(10)의 측벽 내측으로 제1앵글(30a)이 삽입되어, 상기 피트(10)의 측벽과 상기 제1앵글(30a)이 접하면서 상기 결합부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앵글(30a)의 상부에 형틀(20)이 결합되는 구조이다. 즉, 피트(10)와 형틀(20) 사이에 제1앵글(30a)이 삽입되어, 상기 제1앵글(30a)을 통해 상기 피트(10)와 상기 형틀(20)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1앵글(30a)의 단면은 'ㄱ'자 형상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지며, 제1앵글(30a)의 측면이 상기 피트(10)의 내측 측벽면과 접하면서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제1앵글(30a)이 상기 피트(10)와 결합되고, 상기 제1앵글(30a)의 상면에는 형틀(20)이 수직으로 세워져서 형틀(20)의 하단부와 용접 또는 나사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앵글(30a)의 내측모서리에는 보강리브(미도시)를 형성하여 형틀(2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게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앵글(30a)은 상기 결합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피트(10)의 측벽에도 이와 대응되는 홀이 형성되는게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볼트(A)와 너트(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 기 볼트(A)는 상기 피트(10)의 측벽 내측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너트(B)는 상기 피트(10)의 측벽 외측에 위치되게 하여 상기 볼트(A)가 피트(10)의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게 바람직하다.
도 6b는 엘리베이터 피트(10) 측벽 상단부에 다수의 체결용 결합구(C)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용 결합구(C)의 내측에는 상기 제1앵글(30a)이 위치되며, 제1앵글(30a)의 측면이 상기 체결용 결합구(C)와 접하면서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제1앵글(30a)이 상기 체결용 결합구(C)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앵글(30a)은 상기 체결용 결합구(C)의 나사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체결용 결합구(C)와 체결되는 볼트(A)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A)도 상기 피트(10)의 측벽 내측에 위치되게 하여 상기 볼트(A)가 상기 피트(10)의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게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체결용 결합구(C)는 상기 제1앵글(30a)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시 상기 피트(10) 측벽 상단에 'ㄴ' 자 모양으로 배치시켜 측벽 상단과 용접 또는 볼트 또는 핀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제1앵글(30a)을 상기 체결용 결합구(C) 내측에 위치시킨 후, 서로 접하도록 'ㄱㄴ'으로 배치시켜 분리가 용이하게 결합시키는 게 바람직하다.
도 6c는 단면이 '
Figure 112007079919017-PAT00002
'자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제2앵글(30b)이 상기 피트(10)의 내측에 위치하여, 하측 수직부(36)는 상기 피트(10)의 내측 측벽면과 접하여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피트(10)와 결합되고, 상측 수직부(35)는 내측으로 형 틀(20)이 상측 수직부(35)에 기대면서 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단면이 '
Figure 112007079919017-PAT00003
'자 형상을 포함하는 제2앵글(30b)을 사용하게 되면, 제2앵글(30b)의 상부에 형틀(20)을 결합시킬 때 용접이나 나사결합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형틀(20)의 제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제1실시예에서 피트(10)와 형틀(20)을 결합시킬 때, 구멍을 맞추기 위해서 형틀(20)을 잡아주기 위한 보조장치나 하단부를 받쳐주기 위한 별도의 받침대가 필요하였으나, 본 제2실시예는 피트(10)와 앵글을 먼저 결합한 후, 나중에 형틀(20)을 앵글 상부에 올려놓는 구조이기 때문에 앵글이 받침대의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보조장치나 받침대 없이도 형틀(20)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a,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10)와 철근(D)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7b는 제2실시예에서 실시된 엘리베이터 피트(10)의 외측으로 단면이 'ㄱ'자 형상을 포함하는 제1앵글(30a)을 형성하여 피트(10)와 제1앵글(30a)을 일체화한 것이다.
도 7a의 경우, 피트(10)와 피트(10)의 내외측에 위치하는 제1앵글(30a)에 볼트(A)가 관통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고, 피트(10) 외측에 위치하는 제1앵글(30a)의 상면에는 철근(D)이 연결될 수 있도록 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도 7b의 경우, 피트(10) 외측에 위치하는 제1앵글(30a)은 철근(D)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면에만 홀이 형성되도록 하는게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피트(10)의 외측에 단면이 'ㄱ'자 형상을 포함하는 제1앵글(30a)을 더 구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피트(10)가 콘크리트층에 배치되는 철근(D)과 연결되어 콘크리트층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 8a, 8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10)와 형틀(20)이 앵글에 의해 결합되는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a, 9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10)와 철근(D)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같이 피트(10)와 형틀(20) 사이에 앵글을 결합시켜, 피트(10)와 형틀(20)이 간접적으로 결합되는 구조와 흡사한 형태이나, 피트(10)의 측벽 상단부가 외측으로 꺾인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부(12)를 갖는 차이점이 있다.
도 8a는 제1앵글(30a)이 피트(10)의 내측 측벽면과 접하여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것이나, 도 8b는 상기 피트(10)의 결합부(12) 상부에 체결용 결합구(C)를 구비하여, 제1앵글(30a)을 상기 체결용 결합구(C) 내측에 위치시켜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제1앵글(30a)과 상기 체결용 결합구(C)가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피트(10)의 측벽 상단부가 외측으로 꺾이면, 콘크리트가 유입되었을 때 콘크리트층이 피트(10)의 결합부(12)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됨으로써, 건축물 지하수의 부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피트(10)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콘크리트층에 배치되는 철근(D)을 상기 결합부(12)와 연결함으로써, 엘리베이 터 피트(10)가 콘크리트층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 도 9a, 9b와 같이 상기 결합부(12) 상단부에 단면이 'ㅡ'자 모양의 제3앵글(30c)을 결합시켜, 상기 제3앵글(30c)에 철근(D)을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3앵글(30c)의 상면에는 철근(D)이 연결될 수 있도록 홀(31)이 형성되고, 도 9b의 체결용 결합구(C)는 결합부(12) 상단부에 제3앵글(30c)을 결합시킨 후, 상기 제3앵글(30c) 상부에 상기 체결용 결합구(C)가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3앵글(30c)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와 형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와 형틀이 직접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a에서 콘크리트층이 타설되어 형틀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와 철근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a에서 콘크리트층이 타설되어 형틀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6b, 6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와 형틀이 앵글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와 철근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8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와 형틀이 앵글에 의해 결합되는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9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와 철근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피트 20: 형틀
30a: 제1앵글 30b: 제2앵글
30c: 제3앵글 A: 볼트
B: 너트 C: 체결용 결합구

Claims (20)

  1. 건축물 지하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도록 바닥 및 측벽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상기 측벽의 내측에 위치되는 형틀; 및
    상기 피트의 측벽과 상기 형틀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피트의 측벽과 상기 형틀이 접하여 상기 결합부재를 통해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의 측벽 상측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형틀에는 상기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형틀은 상기 피트의 측벽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결합공과 상기 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상단에는 다수개의 체결용 결합구가 구비되고, 상기 형틀에는 상기 체결용 결합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형틀은 상기 측벽 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용 결합구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4. 건축물 지하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도록 바닥 및 측벽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상기 측벽의 내측에 위치되는 앵글;
    상기 앵글 상측에 결합되는 형틀; 및
    상기 피트의 측벽과 상기 앵글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피트의 측벽과 상기 앵글이 접하여 상기 결합부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형틀이 상기 앵글 상부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의 측벽 상측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앵글에는 상기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앵글은 상기 피트의 측벽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결합공과 상기 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상단에는 다수개의 체결용 결합구가 구비되고, 상기 앵글에는 상기 체결용 결합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앵글은 상기 측벽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용 결합구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과 상기 형틀의 결합은 볼트 또는 용접 또는 핀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8.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의 상단부는 외측으로 꺾인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철근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상단에 단면이 'ㅡ'자 모양의 앵글이 더 구비되고, 상기 앵글을 통해서 콘크리트층에 배치되는 철근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의 단면이 'ㄱ'자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의 단면이 '
    Figure 112007079919017-PAT00004
    '자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의 내측 모서리에는 보강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14.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는 측벽 외측에 단면이 'ㄱ'자 형상을 포함하는 앵글이 더 구비되고, 상기 앵글을 통해서 콘크리트층에 배치되는 철근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15.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상기 피트의 측벽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너트는 상기 피트의 측벽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볼트가 피트의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17.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웨지핀(wedge pin)과 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핀은 상기 피트의 측벽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피트의 측벽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웨지핀이 피트의 바깥쪽에서 안쪽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19. 제 3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상기 피트의 측벽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피트의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KR1020070113157A 2007-11-07 2007-11-07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KR100973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157A KR100973237B1 (ko) 2007-11-07 2007-11-07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157A KR100973237B1 (ko) 2007-11-07 2007-11-07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135A true KR20090047135A (ko) 2009-05-12
KR100973237B1 KR100973237B1 (ko) 2010-07-30

Family

ID=40856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157A KR100973237B1 (ko) 2007-11-07 2007-11-07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2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158A (ko) * 2015-04-07 2016-10-17 엄재현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KR20170004790A (ko) * 2015-07-03 2017-01-11 엄재현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101877518B1 (ko) * 2016-12-06 2018-07-11 엄재현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190142545A (ko) * 2018-06-18 2019-12-27 엄재현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8584A (ja) * 1988-12-09 1990-06-19 Mitsubishi Electric Corp 仮設エレベーターの昇降路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158A (ko) * 2015-04-07 2016-10-17 엄재현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KR20170004790A (ko) * 2015-07-03 2017-01-11 엄재현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101877518B1 (ko) * 2016-12-06 2018-07-11 엄재현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190142545A (ko) * 2018-06-18 2019-12-27 엄재현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3237B1 (ko) 201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308183A1 (en) Concrete platform production process, concrete platform, and connecting member
KR100854224B1 (ko) 반단면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KR100905432B1 (ko) 집수정 결합구조
KR100903212B1 (ko) 트러스거더 연결구
KR101203318B1 (ko)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KR100973237B1 (ko)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KR101078795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의 접합부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KR20120019358A (ko) 강도 보강형 집수정 및 집수정 설치 방법
KR100906156B1 (ko) 트러스 거더 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구조
KR100814442B1 (ko) 무량 슬래브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무량 슬래브 시공방법
KR100964155B1 (ko) 리프팅 보조장치가 구비된 교량용 프리캐스트 바닥판
KR101730569B1 (ko) 하이브리드 보 및 그 시공방법
KR100489336B1 (ko)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KR20100004638U (ko)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KR20160120154A (ko)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101324884B1 (ko)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건축 시공방법
KR101862567B1 (ko) 조립형 매트기초 표준 하우스시스템
KR200449181Y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KR20140005954U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
KR20090043745A (ko)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KR100701197B1 (ko) 해체 및 층고 절감이 가능한 바닥구조 시스템
KR101576215B1 (ko)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KR101576224B1 (ko)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KR101877518B1 (ko)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110000140U (ko) 알루미늄 거푸집 판넬의 이음부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6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51026

Effective date: 2016012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5019;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51026

Effective date: 20160125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7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280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909

Effective date: 201611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0000394; INVALIDATION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