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2545A -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Google Patents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42545A KR20190142545A KR1020180069609A KR20180069609A KR20190142545A KR 20190142545 A KR20190142545 A KR 20190142545A KR 1020180069609 A KR1020180069609 A KR 1020180069609A KR 20180069609 A KR20180069609 A KR 20180069609A KR 20190142545 A KR20190142545 A KR 201901425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wall
- support
- bracket
- wall portion
-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형틀이 측벽부와 지지브라켓 사이에 단순 삽입된 상태로 지지브라켓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므로, 형틀을 엘리베이터 피트의 상부에 설치하는 공정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브라켓은 걸림브라켓에 단순 끼움 결합되므로, 지지브라켓을 걸림브라켓에서 용이하게 탈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림브라켓은 엘리베이터의 이동에 별 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아, 형틀을 탈거한 후, 걸림브라켓을 별도로 컷팅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따라 전체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형틀을 엘리베이터 피트의 상부에 설치하는 공정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피트는 하측에서 엘리베이터를 점검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최하층의 바닥보다 약 2미터 내외의 공간을 갖도록 하단에 구성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는 건물의 하중을 벽체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며, 이러한 벽체의 하중은 하단 구조를 통해 지반으로 전달된다. 이를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에 이를 지지하기 위한 기초 구조가 형성되어야 하고,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기초바닥부(1)에 오목하게 굴토하여 형성된 굴토바닥부(2)에 엘리베이터 피트(10)와 형틀(20)을 차례로 배치한다.
엘리베이터 피트(10)는 굴토바닥부(2)에 배치되는 바닥부(12)와, 바닥부(12)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되는 측벽부(14)와, 측벽부(14)의 상단에 형성되는 피트결합부(16)를 포함한다. 피트결합부(16)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결합수단(30)의 제 1 웨지핀(32)이 삽입되도록 복수 개의 제 1 관통홀(16b)이 형성되고, 피트결합부(16)의 외측에는 후술하는 지지콘크리트층(7)에 내설되는 지지철근(8)이 삽입되도록 복수 개의 제 2 관통홀(16a)이 형성된다.
형틀(20)은 유로폼 등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피트결합부(16)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지지부(22)와, 지지부(22)의 하단에서 피트결합부(16)와 맞닿도록 절곡 형성되는 형틀결합부(24)를 포함한다. 그리고 피트결합부(16)와 형틀결합부(24)는 제 1, 2 웨지핀(32, 34) 등의 결합수단(30)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다.
그 후, 측벽부(14)와 지지부(22)의 외측에 콘크리트 즉, 시멘트혼합물이 타설되어 콘크리트층(5)이 형성된다. 상기 콘크리트층(5)은 기초바닥부(1)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축물의 최하층 바닥을 이루는 기초콘크리트층(6)과, 측벽부(14) 및 지지부(22)의 외측을 따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축물을 지지하는 지지콘크리트층(7)을 포함한다.
한편, 피트결합부(16)와 형틀결합부(24)가 제 1, 2 웨지핀(32, 34) 등의 결합수단(30)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기 위하여 피트결합부(16)에는 제 1 관통홀(16b)이 형성되고, 형틀결합부(24)에는 형틀결합홀(24a)이 형성된다. 그리고 형틀(20)이 엘리베이터 피트(10)의 상부에 설치될 때, 형틀(20)의 형틀결합부(24)에 형성된 형틀결합홀(24a)은 엘리베이터 피트(10)의 피트결합부(16)에 형성된 제 1 관통홀(16b)과 마주보도록 위치된 후, 제 1 웨지핀(32)이 형틀결합홀(24a)과 제 1 관통홀(16b)에 일체로 관통된다. 그런데 이때, 형틀(20)은 엘리베이터 피트(10)의 상부에 아직 고정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경우에 따라, 형틀결합홀(24a)과 제 1 관통홀(16b)은 정확하게 마주보도록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형틀(20)의 형틀결합홀(24a)은 공장에서 미리 형성된 상태로 제공되므로, 경우에 따라 복수 개의 형틀결합홀(24a) 중 일부 형틀결합홀(24a)은 제 1 관통홀(16b)과 마주보지 않도록 위치될 수도 있다. 이처럼 형틀결합홀(24a)과 제 1 관통홀(16b)이 정확하게 마주보지 않도록 위치되면, 제 1 웨지핀(32)이 형틀결합홀(24a)과 제 1 관통홀(16b)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형틀(20)은 엘리베이터 피트(10)의 상부에 견고하게 설치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후 형틀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피트(10)에 형틀(20)이 설치된 후,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층(5)이 형성되면, 경우에 따라 형틀(20)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형틀(20)의 지지부(22)와 맞닿아 있던 지지콘크리트층(7)의 내벽부(7a)는 형틀(20)을 따라 평평하게 형성되어 엘리베이터가 지나가는 길목을 제공한다.
한편,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지지콘크리트층(7)이 형성될 때, 피트결합부(16)의 내측, 즉 형틀(20)의 형틀결합부(24)와 맞닿아 있던 피트결합부(16)의 내측에는 아직 형틀(20)이 설치된 상태이므로, 상기 콘크리트는 피트결합부(16)의 내측으로는 타설될 수 없다. 이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가 경화되어 형틀(20)이 제거되면, 지지콘크리트층(7)의 내벽부(7a)는 피트결합부(16)의 내측보다 형틀(20)의 두께만큼 안쪽에 형성되어, 피트결합부(16)의 내측, 즉, 돌출부(16c)는 지지콘크리트층(7)의 내벽부(7a)보다 외부로 돌출된다.
그런데 지지콘크리트층(7)의 내벽부(7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가 지나가는 길목을 제공하므로, 엘리베이터가 상하 이동하는 도중 지지콘크리트층(7)의 내벽부(7a)보다 외부로 돌출된 피트결합부(16)의 돌출부(16c)에 걸리거나 긁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피트결합부(16)의 돌출부(16c)를 커팅하기도 하나, 측벽부(14)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면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16c)를 커팅하는 작업은 상당히 오래 걸리고 난이도가 요구되므로, 공기를 늘리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형틀을 엘리베이터 피트의 상부에 설치하는 공정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콘크리트층이 형성된 후, 형틀을 지지하던 지지브라켓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저면에 배치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 그 상부로 돌출되는 측벽부를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상기 측벽부의 내면 상측에 돌출되는 걸림브라켓; 상기 걸림브라켓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지지브라켓; 및 상기 지지브라켓에 지지된 상태로 상방으로 연장되는 형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걸림브라켓은, 상기 측벽부의 내면 상측에 상기 바닥부와 마주보도록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측벽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돌출부의 외측에서 상기 측벽부와 마주보도록 상방으로 돌출되는 걸림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돌출부와 상기 걸림측부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상측에서 상기 측벽부와 멀어지도록 절곡되는 제 1 절곡부와, 상기 제 1 절곡부의 외측에서 상기 측벽부와 대향되도록 상방으로 절곡되는 제 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형틀은 상기 측벽부와 상기 제 2 절곡부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 1 절곡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폭은 상기 제 1 절곡부의 폭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걸림측부는 상기 돌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측벽부의 내면 상측에 복수 개가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측벽부의 내면 상측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돌출부 사이의 이격 길이는 상기 끼움부의 길이보다 크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이 상기 걸림브라켓에 끼움 결합될 때, 상기 끼움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상기 돌출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돌출부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와 마주보는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 상기 측벽부와 맞닿도록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밀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와 상기 측벽부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와 마주보는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 상기 측벽부와 맞닿도록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밀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와 상기 측벽부를 일체로 관통하는 결합핀과, 상기 결합핀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의 외면 및 상기 형틀의 외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층이 형성되면, 상기 형틀이 제거되고, 상기 끼움부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지지측부 사이에서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의 내면 상측을 커버하도록 지지커버가 더 구비되되, 상기 지지커버의 상단은 상기 측벽부의 상단보다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걸림브라켓은 상기 지지커버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 상기 바닥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보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보강부는 상기 측벽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의 내면 상측과 상기 지지보강부의 상측을 일체로 커버하도록 지지커버가 더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커버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는, 제 1 바닥면부와, 상기 제 1 바닥면부의 상부로 이격되는 제 2 바닥면부와, 상기 제 1 바닥면부와 상기 제 2 바닥면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바닥면부의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개구부의 내주연을 따라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바닥면부의 상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제 2 바닥면부가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형틀이 측벽부와 지지브라켓 사이에 단순 삽입된 상태로 지지브라켓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므로, 형틀을 엘리베이터 피트의 상부에 설치하는 공정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브라켓은 걸림브라켓에 단순 끼움 결합되므로, 지지브라켓을 걸림브라켓에서 용이하게 탈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림브라켓의 돌출부는 지지브라켓의 제 1 절곡부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므로, 걸림브라켓은 엘리베이터의 이동에 별 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아, 걸림브라켓을 별도로 컷팅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따라 전체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후 형틀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걸림브라켓 및 지지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엘리베이터 피트에서 형틀이 제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구비되는 걸림브라켓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구비되는 걸림브라켓의 밀착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구비되는 바닥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구비되는 지지보강부 및 지지커버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후 형틀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걸림브라켓 및 지지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엘리베이터 피트에서 형틀이 제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구비되는 걸림브라켓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구비되는 걸림브라켓의 밀착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구비되는 바닥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구비되는 지지보강부 및 지지커버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는 엘리베이터 피트(100), 걸림브라켓(200), 지지브라켓(250) 및 형틀(300)을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피트(100)는 바닥부(110), 측벽부(120) 및 피트결합부(122)를 포함한다. 바닥부(110)는 대략 사각 또는 원 형상의 판형으로 형성되며, 내부 강도 및 지지 강도의 확보를 위해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부(110)는 건축물의 평평한 기초바닥부(1: 도 5 도시) 또는, 기초바닥부(1)를 굴토하여 형성된 굴토바닥부(2: 도 5 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현장 조건에 따라 굴토바닥부(2)에는 버림콘크리트층(미도시)이 타설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바닥부(110)에는 집수정(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측벽부(120)는 바닥부(110)의 테두리에서 그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바닥부(11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 예를 들면, 사각 형상의 바닥부(110)를 따라 4개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120)에 의하여 바닥부(110)의 상부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그리고 바닥부(110)와 측벽부(1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로 형성된 후 용접 결합, 볼트 결합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120)는 견고한 철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피트결합부(122)는 측벽부(120)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측벽부(120)의 상단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측벽부(12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바닥부(110)와 대향되지 않는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피트결합부(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술하는 기초철근(8: 도 6 도시)이 삽입되기 위한 복수 개의 철근결합홀(122a)이 형성된다. 이러한 피트결합부(122)에는 후술하는 형틀(300)의 지지부(210)가 지지된다.
걸림브라켓(200), 지지브라켓(250) 및 형틀(300)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걸림브라켓 및 지지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걸림브라켓(200)은 지지브라켓(250)을 지지하도록 측벽부(120)의 내면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돌출부(210) 및 걸림측부(220)를 포함한다. 돌출부(210)는 바닥부(110)와 수평하게 마주보도록 측벽부(120)의 내면 상측에 돌출 형성된다. 걸림측부(220)는 측벽부(120)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돌출부(210)의 외측에서 측벽부(120)와 마주보도록 상방으로 돌출된다. 돌출부(210)는 예를 들면,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측벽부(120)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걸림측부(220)는 돌출부(210)보다 작은 길이를 갖도록 길게 형성된다.
지지브라켓(250)은 걸림브라켓(200)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되 형틀(3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끼움부(260), 제 1 절곡부(270) 및 제 2 절곡부(280)를 포함한다. 끼움부(260)는 돌출부(210)와 걸림측부(220)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되 상단은 상기 걸림측부(220)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제 1 절곡부(270)는 끼움부(260)의 상단에서 상기 측벽부(120)와 멀어지도록 절곡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절곡부(270)의 폭은 돌출부(210)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제 1 절곡부(270)가 일정 두께를 갖는 형틀(300)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절곡부(280)는 제 1 절곡부(270)의 외측에서 상기 측벽부(120)와 대향되도록 상방으로 절곡 형성된다.
형틀(300)은 통상의 거푸집, 측벽용 패널, 유로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시공 후에 제거되거나, 또는 일체화된 상태로 벽체로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틀(300)은 예를 들면 목재,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형틀(300)은 측벽부(120)의 상측과 제 2 절곡부(280)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 상태로 제 1 절곡부(270)에 지지되도록 위치된다.
이처럼 형틀(300)은 측벽부(120)와 제 2 절곡부(280)에 단순 삽입된 상태로 제 1 절곡부(270)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므로, 형틀(300)을 엘리베이터 피트(100)의 상부에 설치하는 공정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측벽부(120)와 지지부(210)의 외측에 콘크리트 즉, 시멘트혼합물이 타설되어 콘크리트층(5)이 형성된다. 상기 콘크리트층(5)은 기초바닥부(1)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축물의 최하층 바닥을 이루는 기초콘크리트층(6)과, 측벽부(120) 및 지지부(210)의 외측을 따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축물을 지지하는 지지콘크리트층(7)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초콘크리트층(6)과 지지콘크리트층(7)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기초철근(8)이 종, 횡으로 교차 배치되도록 매설될 수 있으며, 이때, 기초철근(8)은 엘리베이터 피트(100)의 피트결합부(122)의 철근결합홀(122a)에 삽입되어, 엘리베이터 피트(100)는 기초철근(8)과 함께 콘크리트층(5)에 일체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엘리베이터 피트에서 형틀이 제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5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층(5)이 형성되면, 도 6과 같이 형틀(300)이 지지브라켓(250)에서 제거된다.
그리고 지지콘크리트층(7)의 내벽부(7a)와 엘리베이터 피트(100)의 측벽부(120)는 엘리베이터가 지나가는 길목을 제공하므로, 엘리베이터가 상하 이동하는 도중 지지콘크리트층(7)의 내벽부(7a) 및 측벽부(120)보다 내부로 돌출된 부분이 없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형틀(300)을 지지하던 지지브라켓(250)이 걸림브라켓(200)에서 탈거된다. 이때, 지지브라켓(250)은 걸림브라켓(200)에 단순 끼움 결합되어 있으므로, 지지브라켓(250)을 걸림브라켓(200)에서 용이하게 탈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걸림브라켓(200)의 돌출부(210)의 경우, 지지브라켓(250)의 제 1 절곡부(270)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므로, 걸림브라켓(200)은 측벽부(120)에서 약간 돌출되는 수준이다. 이러한 걸림브라켓(200)은 엘리베이터와 측벽부(120) 사이의 이격 공간에 수용되는 수준이므로, 걸림브라켓(200)을 별도로 컷팅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따라 전체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구비되는 걸림브라켓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걸림브라켓(200)의 돌출부(210)는 바닥부(110)와 수평하게 마주보도록 측벽부(120)의 내면 상측에 긴 형상으로 형성된다. 걸림측부(220)는 돌출부(210)의 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된 상태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걸림브라켓(202)의 돌출부(212)는 측벽부(120)의 내면 상측에 복수 개가 바닥부(110)와 수평하도록 상호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측부(222)는 각각의 돌출부(212)의 외측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돌출부(210)는 상기 측벽부(120)의 내면 상측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된다.
이처럼 돌출부(210)가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므로, 지지브라켓(250)은 복수 개의 돌출부(210) 중 선택되는 돌출부(210)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므로, 공사 현장에 따라 지지브라켓(25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정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지지브라켓(250)이 상기 걸림브라켓(200)에 끼움 결합될 때, 상기 끼움부(260)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상기 돌출부(21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돌출부(210)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끼움부(260)가 하부돌출부(210)에 지지되도록 위치될 때, 끼움부(260)는 상부돌출부(210)와 하부돌출부(210) 사이를 지나, 하부돌출부(210)에 지지되도록 위치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구비되는 걸림브라켓의 밀착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걸림브라켓(200)은 밀착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착부(230)는 측벽부(120)와 마주보는 상기 돌출부(210)의 내측에 상기 측벽부(120)와 맞닿도록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러한 밀착부(230)는 측벽부(120)에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밀착부(230)는 측벽부(120)와 맞닿도록 위치되고, 볼트 등의 결합핀(240)이 밀착부(230)와 상기 측벽부(120)를 일체로 관통하고, 너트 등의 고정부(242)가 결합핀(240)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밀착부(230)는 결합핀(240)과 고정부(242)에 의하여 측벽부(120)에 용이하게 결합되고, 경우에 따라 밀착부(230)를 측벽부(120)에서 제거할 때, 고정부(242)를 결합핀(240)에서 탈거시킴으로써, 밀착부(230)를 측벽부(120)에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구비되는 바닥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바닥부(111)는 내부에 빈 공간이 구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바닥면부(112)와, 제 2 바닥면부(114)와, 연결측부(116)를 포함한다. 제 1 바닥면부(112)는 굴토바닥부(2)에 밀착되는 것으로, 내부 강도 및 지지 강도의 확보를 위해 일정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바닥면부(114)는 제 1 바닥면부(112)의 상부로 이격되는 것으로, 제 1 바닥면부(112)와 비슷한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바닥면부(114)의 중앙에는 개구부(115)가 관통 형성된다. 연결측부(116)는 제 1 바닥면부(112)와 제 2 바닥면부(114)의 상호 마주보는 테두리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측벽부(120)는 바닥부(111)의 개구부(115)의 내주연을 따라 그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바닥부(111)의 제 2 바닥면부(114)는 측벽부(120)보다 외부로 돌출되도록 위치되므로, 지지콘크리트층(7)의 하중은 제 2 바닥면부(114)로 인가되어 제 2 바닥면부(114)는 지지콘크리트층(7)에 의한 하방 압력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바닥부(111)의 제 1 바닥면부(112)로 전해지는 지하수 등에 의한 상방 압력이 상기 하방 압력에 의하여 일정 부분 상쇄된 상태로 측벽부(120)로 전달되므로, 측벽부(120)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리브를 덧대는 등의 보강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구비되는 지지보강부 및 지지커버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피트(100)는 지지보강부(124) 및 지지커버(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보강부(124)는 그 평단면이 'V'형, 또는 ㄷ형, U형, 다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측벽부(120)의 내면에 바닥부(110)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지보강부(124)는 측벽부(120)를 오목하게 절곡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장형의 판재를 측벽부(120)에 결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지지커버(126)는 판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120)의 내면 상측과 상기 지지보강부(124)의 상측을 일체로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돌출부(210)는 지지커버(126)에 돌출 형성되어, 걸림브라켓(200)에 지지브라켓(250)이 결합된 후, 지지브라켓(250)에 형틀(300)이 결합될 때, 형틀(300)은 지지커버(126)와 제 2 절곡부(280) 사이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지지커버(126)는 그 상단이 측벽부(120)의 상단보다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형틀(300)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엘리베이터 피트
110, 111: 바닥부
112: 제 1 바닥면부 114: 제 2 바닥면부
115: 개구부 116: 연결측부
120: 측벽부 122: 피트결합부
122a: 철근결합홀 124: 지지보강부
126: 지지커버 200: 걸림브라켓
202: 걸림브라켓 210: 돌출부
210a: 상부돌출부 210b: 하부돌출부
212: 돌출부 220: 걸림측부
222: 걸림측부 230: 밀착부
240: 결합핀 242: 고정부
250: 지지브라켓 260: 끼움부
270: 제 1 절곡부 280: 제 2 절곡부
300: 형틀
112: 제 1 바닥면부 114: 제 2 바닥면부
115: 개구부 116: 연결측부
120: 측벽부 122: 피트결합부
122a: 철근결합홀 124: 지지보강부
126: 지지커버 200: 걸림브라켓
202: 걸림브라켓 210: 돌출부
210a: 상부돌출부 210b: 하부돌출부
212: 돌출부 220: 걸림측부
222: 걸림측부 230: 밀착부
240: 결합핀 242: 고정부
250: 지지브라켓 260: 끼움부
270: 제 1 절곡부 280: 제 2 절곡부
300: 형틀
Claims (12)
- 건축물의 저면에 배치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 그 상부로 돌출되는 측벽부를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상기 측벽부의 내면 상측에 돌출되는 걸림브라켓;
상기 걸림브라켓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지지브라켓; 및
상기 지지브라켓에 지지된 상태로 상방으로 연장되는 형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브라켓은, 상기 측벽부의 내면 상측에 상기 바닥부와 마주보도록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측벽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돌출부의 외측에서 상기 측벽부와 마주보도록 상방으로 돌출되는 걸림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돌출부와 상기 걸림측부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상측에서 상기 측벽부와 멀어지도록 절곡되는 제 1 절곡부와, 상기 제 1 절곡부의 외측에서 상기 측벽부와 대향되도록 상방으로 절곡되는 제 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형틀은 상기 측벽부와 상기 제 2 절곡부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 1 절곡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폭은 상기 제 1 절곡부의 폭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측부는 상기 돌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측벽부의 내면 상측에 복수 개가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측벽부의 내면 상측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돌출부 사이의 이격 길이는 상기 끼움부의 길이보다 크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이 상기 걸림브라켓에 끼움 결합될 때, 상기 끼움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상기 돌출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돌출부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와 마주보는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 상기 측벽부와 맞닿도록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밀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와 상기 측벽부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와 마주보는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 상기 측벽부와 맞닿도록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밀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와 상기 측벽부를 일체로 관통하는 결합핀과, 상기 결합핀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외면 및 상기 형틀의 외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층이 형성되면, 상기 형틀이 제거되고, 상기 끼움부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지지측부 사이에서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내면 상측을 커버하도록 지지커버가 더 구비되되, 상기 지지커버의 상단은 상기 측벽부의 상단보다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걸림브라켓은 상기 지지커버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 상기 바닥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보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보강부는 상기 측벽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의 내면 상측과 상기 지지보강부의 상측을 일체로 커버하도록 지지커버가 더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커버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제 1 바닥면부와, 상기 제 1 바닥면부의 상부로 이격되는 제 2 바닥면부와, 상기 제 1 바닥면부와 상기 제 2 바닥면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바닥면부의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개구부의 내주연을 따라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바닥면부의 상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제 2 바닥면부가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9609A KR102108626B1 (ko) | 2018-06-18 | 2018-06-18 |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9609A KR102108626B1 (ko) | 2018-06-18 | 2018-06-18 |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42545A true KR20190142545A (ko) | 2019-12-27 |
KR102108626B1 KR102108626B1 (ko) | 2020-05-07 |
Family
ID=69062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9609A KR102108626B1 (ko) | 2018-06-18 | 2018-06-18 |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8626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9336B1 (ko) | 2002-08-26 | 2005-05-12 |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
KR20090047135A (ko) * | 2007-11-07 | 2009-05-12 | 엄기형 |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
KR20120015503A (ko) * | 2010-08-12 | 2012-02-22 | 엄기형 |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피트 시공방법 |
KR101525175B1 (ko) * | 2014-08-26 | 2015-06-03 | 주식회사 블루폼 | 목심 결합장치 |
KR20180064801A (ko) * | 2016-12-06 | 2018-06-15 | 엄재현 |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
-
2018
- 2018-06-18 KR KR1020180069609A patent/KR10210862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9336B1 (ko) | 2002-08-26 | 2005-05-12 |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
KR20090047135A (ko) * | 2007-11-07 | 2009-05-12 | 엄기형 |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
KR20120015503A (ko) * | 2010-08-12 | 2012-02-22 | 엄기형 |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피트 시공방법 |
KR101525175B1 (ko) * | 2014-08-26 | 2015-06-03 | 주식회사 블루폼 | 목심 결합장치 |
KR20180064801A (ko) * | 2016-12-06 | 2018-06-15 | 엄재현 |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8626B1 (ko) | 2020-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80202064A1 (en) | Bracket and method for supoprting a platform from concrete form tabs | |
KR100912231B1 (ko) | 콘크리트 옹벽용 가변형 거푸집 지지장치 | |
JP4433066B2 (ja) | 永久アンカーが施工された壁構造、永久アンカーが施工された壁構造の構築方法、 | |
KR100697555B1 (ko) | 벽체 거푸집 사선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거푸집 설치 구조 | |
KR100573515B1 (ko) | 건축물 창문틀 보강구조 | |
KR101027016B1 (ko) | 그레이팅 지지용 받침판 시공방법 | |
US10280619B2 (en) | Adjustable dap assembly | |
KR101967425B1 (ko) | 부벽식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1708218B1 (ko) | 하이브리드 지하 피트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 |
KR20190142545A (ko) |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
AU2019100345A4 (en) | Formwork element and formwork system | |
JP6652755B2 (ja) | 道路床版とPCa壁高欄と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 |
KR101229093B1 (ko) | 슬래브 개구부 마구리용 전용 거푸집패널 | |
KR20160120154A (ko) |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
KR101208411B1 (ko) |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조인트 장치 | |
KR101877518B1 (ko) |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 |
KR100539697B1 (ko) | 와이어를 이용한 합벽 시공방법 및 유로폼 레이커 시스템 | |
KR101706135B1 (ko) |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 |
KR101436563B1 (ko) |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 |
KR20220055831A (ko) |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 | |
KR200298097Y1 (ko) | 거푸집 지지구조 | |
KR100821742B1 (ko) | 측벽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 | |
KR200418001Y1 (ko) |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 | |
KR101179723B1 (ko) | 거푸집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200418000Y1 (ko) |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