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135B1 -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 Google Patents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135B1
KR101706135B1 KR1020150107474A KR20150107474A KR101706135B1 KR 101706135 B1 KR101706135 B1 KR 101706135B1 KR 1020150107474 A KR1020150107474 A KR 1020150107474A KR 20150107474 A KR20150107474 A KR 20150107474A KR 101706135 B1 KR101706135 B1 KR 101706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
engaging
engaging portion
support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0158A (ko
Inventor
엄재현
Original Assignee
엄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재현 filed Critical 엄재현
Publication of KR20160120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Abstract

본 발명은 형틀의 외측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로 인한 측방압력을 형틀이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형틀의 지지부와 연결된 형틀결합부가 엘리베이터 피트의 피트결합부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되므로, 지지부의 외측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로 인한 측방압력이 지지부에 전해진다 하더라도 지지부는 그 내측으로 밀리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Elevator Pit Structure}
본 발명은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형틀의 외측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로 인한 측방압력을 형틀이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피트는 하측에서 엘리베이터를 점검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최하층의 바닥보다 약 2미터 내외의 공간을 갖도록 하단에 구성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는 건물의 하중을 벽체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며, 이러한 벽체의 하중은 하단 구조를 통해 지반으로 전달된다. 이를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에 이를 지지하기 위한 기초 구조가 형성되어야 하고,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기초바닥부(2)에 오목하게 굴토하여 형성된 굴토바닥부(1)에 엘리베이터 피트(10)와 형틀(20)을 차례로 배치한다.
엘리베이터 피트(10)는 굴토바닥부(1)에 배치되는 바닥부(12)와, 바닥부(12)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되는 측벽부(14)와, 측벽부(14)의 상단에 형성되는 피트결합부(16)를 포함한다. 피트결합부(16)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결합수단(30)의 제 1 웨지핀(32)이 삽입되도록 복수 개의 제 1 관통홀(16b)이 형성되고, 피트결합부(16)의 외측에는 후술하는 지지콘크리트층(7)에 내설되는 지지철근(8)이 삽입되도록 복수 개의 제 2 관통홀(16a)이 형성된다.
형틀(20)은 피트결합부(16)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지지부(22)와, 지지부(22)의 하단에서 피트결합부(16)와 맞닿도록 절곡 형성되는 형틀결합부(24)를 포함한다. 그리고 피트결합부(16)와 형틀결합부(24)는 제 1, 2 웨지핀(32, 34) 등의 결합수단(30)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다.
그 후, 측벽부(14)와 지지부(22)의 외측에 콘크리트 즉, 시멘트혼합물이 타설되어 콘크리트층이 형성된다. 상기 콘크리트층(5)은 기초바닥부(2)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축물의 최하층 바닥을 이루는 기초콘크리트층(6)과, 측벽부(14) 및 지지부(22)의 외측을 따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축물을 지지하는 지지콘크리트층(7)을 포함한다.
한편, 지지부(22)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지지콘크리트층(7)이 형성될 때, 지지부(22)의 외측으로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상기 콘크리트가 완전하게 경화되기 전까지, 지지부(22)는 콘크리트의 하중으로 인한 측방압력을 견뎌야 한다. 그런데 피트결합부(16)와 형틀결합부(24)가 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된다 하더라도, 지지부(22)의 외측에 타설된 콘크리트로 인한 측방압력이 지지부(22)의 내측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전해짐에 따라, 지지부(22)가 그 내측으로 밀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콘크리트가 경화되어 형성된 지지콘크리트층(7) 또한 지지부(22)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피트(10)의 측벽부(14)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한 측방압력이 측벽부(14)로 전달되어, 측벽부(14)가 찌그러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89336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형틀의 외측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로 인한 측방압력을 형틀이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저면에 배치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 그 상부로 돌출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피트결합부를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상기 피트결합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피트결합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형틀결합부를 갖는 형틀; 및 상기 피트결합부와 상기 형틀결합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피트결합부와 상기 형틀결합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피트결합부에는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피트결합부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형틀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서 상기 가이드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피트결합부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형틀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서 상기 바닥부와 상기 측벽부 사이의 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형틀결합부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피트결합부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피트결합부는,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서 상기 바닥부와 대향되도록 돌출되는 제 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부의 돌출 방향 단부에 상기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측벽부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측벽부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형틀결합부와 상기 가이드부는 상호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형틀결합부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의 공간 또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의 공간에 채움부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피트결합부는,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 1 결합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층이 형성될 때, 상기 콘크리트층에는 기초철근이 내설되되, 상기 기초철근은 상기 제 2 결합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피트결합부와 상기 형틀결합부에 일체로 관통되는 제 1 웨지핀; 및 상기 제 1 웨지핀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 2 웨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웨지핀의 하측이 상기 형틀결합부와 상기 피트결합부에 차례로 관통된 후, 상기 제 1 웨지핀의 하측에 상기 제 2 웨지핀이 관통될 때, 상기 피트결합부의 하측과 상기 제 2 웨지핀의 상측 사이에 구비되는 이격 공간 또는, 상기 피트결합부와 상기 형틀결합부 사이에 구비되는 이격공간에 보강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피트결합부와 상기 형틀결합부에 일체로 감기는 와이어 또는 상기 피트결합부와 상기 형틀결합부에 일체로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복수 개가 상호 나란하게 배열되는 바닥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인접한 상기 바닥지지부들은 상호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지지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단면이 "ㄷ"자 또는 "I"자 형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복수 개가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호 인접한 상기 바닥지지부들 사이 공간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바닥보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형틀의 지지부와 연결된 형틀결합부가 엘리베이터 피트의 피트결합부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되므로, 지지부의 외측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로 인한 측방압력이 지지부에 전해진다 하더라도 지지부는 그 내측으로 밀리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부는 결합부의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므로, 지지 강도가 강화되며, 이에 따라, 측벽부의 외측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으로 인한 측방압력을 측벽부가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형틀의 형틀결합부와 엘리베이터 피트의 가이드부가 상호 이격되도록 구성되므로, 형틀의 지지부의 외측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로 인한 측방압력이 가이드부로 전달될 때, 형틀의 지지부가 가이드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측방압력이 일정 부분 상쇄되며, 이에 따라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형틀을 탈거할 때, 형틀결합부를 가이드부의 상부로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형틀의 형틀결합부와 엘리베이터 피트의 가이드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 채움부를 채운 후, 지지부의 외측으로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형틀을 제거하기 전에, 채움부를 제거하여, 형틀결합부와 가이드부 사이에 이격 공간이 다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형틀결합부는 가이드부 방향으로 어떠한 압력도 가하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형틀결합부를 가이드부에서 외부로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피트결합부와 형틀의 형틀결합부를 결합수단의 제 1 웨지핀과 제 2 웨지핀이 결합시킬 때, 피트결합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보강부를 끼워 넣어, 제 2 웨지핀과 피트결합부 사이에 이격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제 1 웨지핀과 제 2 웨지핀 피트결합부와 형틀결합부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에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피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의 결합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에 구비되는 형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에 구비되는 결합수단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에 구비되는 형틀이 제거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의 형틀결합부와 가이드부가 이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의 채움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에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피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는 엘리베이터 피트(100), 형틀(200: 도 4 도시) 및 결합수단(300: 도 4 도시)을 포함한다. 엘레베이터 피트(100)는 바닥부(110: 도 5 도시), 측벽부(120) 및 피트결합부(130)를 포함한다.
바닥부(110)는 대략 사각 또는 원 형상의 판형으로 형성되며, 내부 강도 및 지지 강도의 확보를 위해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부(110)는 건축물의 평평한 기초바닥부(2: 도 5 도시) 또는, 기초바닥부(2)를 굴토하여 형성된 굴토바닥부(1: 도 5 도시)에 설치된다. 그리고 현장 조건에 따라 굴토바닥부(110)에는 버림콘크리트층(미도시)이 타설될 수도 있다.
측벽부(120)는 바닥부(110)의 테두리를 따라 그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측벽부(120)에 의하여 바닥부(110)의 상부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그리고 바닥부(110)와 측벽부(1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로 형성된 후 용접 결합, 볼트 결합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피트결합부(130)는 측벽부(120)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측벽부(120)의 상단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측벽부(12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바닥부(110)와 대향되도록 돌출되는 제 1 결합부(132)와, 측벽부(12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상기 제 1 결합부(132)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결합부(13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결합부(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틀(200)과 결합되기 위한 복수 개의 제 1 연결홀(132a)이 형성되고, 제 2 결합부(134)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술하는 기초철근(8: 도 4 도시)이 삽입되기 위한 복수 개의 제 2 연결홀(134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결합부(132)에는 가이드부(136)가 형성된다. 가이드부(136)는 제 1 결합부(132)의 돌출 방향 단부에서 그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처럼 가이드부(136)는 측벽부(120)와 연결된 제 1 결합부(132)에서 그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므로, 지지 강도가 강화되며, 이에 따라, 측벽부(120)의 외측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 즉, 시멘트혼합물의 하중으로 인한 측방압력을 측벽부(120)가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부(136)는 형틀(200)을 지지할 수 있으며, 이는 하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형틀(200) 및 결합수단(300)은 하기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피트(100)의 피트결합부(131)는 제 1 결합부(133)와 제 2 결합부(134)를 포함한다. 제 2 결합부(134)는 상기 도 3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 1 결합부(133)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결합부(133)는 측벽부(12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 1 결합부(13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틀(200)과 결합되기 위한 제 1 연결홀(13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결합부(133)의 돌출 방향 단부에 가이드부(136)가 형성된다. 이처럼 제 1 결합부(132: 도 3 도시, 133: 도 4 도시)는 상기 도 3과 같이 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도 4와 같이, 복수 개가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형틀(200)은 통상의 거푸집, 측벽용 패널, 유로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시공 후에 제거되거나, 또는 일체화된 상태로 벽체로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틀(200)은 피트결합부(130)의 상부에 배치되되 측벽부(12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부(210)와, 엘리베이터 피트(100)의 피트결합부(130)와 면 접촉되도록 지지부(210)의 하단에서 바닥부(110)와 측벽부(120) 사이의 공간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틀결합부(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형틀결합부(220)는 지지부(210)의 하단에서 피트결합부(130)에 형성된 가이드부(136)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틀결합부(220)의 단부는 가이드부(136)에 접촉된 상태로 가이드부(136)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결합수단(300)은 피트결합부(130)와 형틀결합부(220)를 상호 결합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제 1 웨지핀(310) 및 제 2 웨지핀(312)을 포함한다. 결합수단(300)은 후술하는 도 6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측벽부(120)와 지지부(210)의 외측에 콘크리트 즉, 시멘트혼합물이 타설되어 콘크리트층(5)이 형성된다. 상기 콘크리트층(5)은 기초바닥부(2)와 굴토바닥부(1)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축물의 최하층 바닥을 이루는 기초콘크리트층(6)과, 측벽부(120) 및 지지부(210)의 외측을 따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축물을 지지하는 지지콘크리트층(7)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초콘크리트층(6)과 지지콘크리트층(7)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기초철근(8)이 종, 횡으로 교차 배치되도록 매설될 수 있으며, 이때, 기초철근(8)은 엘리베이터 피트(100)의 피트결합부(130)의 제 2 연결홀(134a)에 삽입되어, 엘리베이터 피트(100)는 기초철근(8)과 함께 콘크리트층(5)에 일체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210)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지지콘크리트층(7)이 형성될 때, 지지부(210)는 콘크리트의 하중으로 인한 측방압력을 견뎌야 한다. 그런데 지지부(210)의 외측에 타설된 콘크리트로 인한 측방압력은 콘크리트가 경화되기 전까지 지지부(210)의 내측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전해짐에 따라, 지지부(210)가 그 내측으로 밀릴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지지부(210)와 연결된 형틀결합부(220)가 피트결합부(130)에 형성된 가이드부(136)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되므로, 지지부(210)에 상기 측방압력이 전해진다 하더라도 지지부(210)는 그 내측으로 밀리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의 결합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결합수단(300)은 제 1 웨지핀(310)과, 제 2 웨지핀(312)을 포함하며, 보강부(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웨지핀(310)과 제 2 웨지핀(312)은 일반적으로 유로폼 등을 결합시킬 때 사용되는 웨지핀과 유사한 것으로, 일정한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웨지핀(310)은 형틀결합부(220)의 결합홀(220a)과 피트결합부(130)의 제 1 연결홀(132a)에 차례로 관통된다. 제 2 웨지핀(312)은 제 1 웨지핀(310)과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다.
한편, 제 1 웨지핀(310)에 제 2 웨지핀(312)이 관통 결합된 상태에서, 제 2 웨지핀(312)의 상측과 피트결합부(130)의 하측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피트결합부(130)와 형틀결합부(220)의 두께 또는 제 1 웨지핀(310)의 길이에 따라 제 2 웨지핀(312)의 상측과 피트결합부(130)의 하측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 경우, 상기 이격 공간을 보상하기 위하여 피트결합부(130)의 하측에 보강부(314)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 1 웨지핀(310)이 형틀결합부(220), 피트결합부(130) 및 보강부(314)에 차례로 관통되도록 하고, 이렇게 관통된 제 1 웨지핀(310)의 하단에 제 2 웨지핀(312)이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한다. 그러면 제 2 웨지핀(312)의 상측과 피트결합부(130)의 하측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제 1 웨지핀(310)과 제 2 웨지핀(312)은 피트결합부(130)와 형틀결합부(220)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에 구비되는 형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형틀(250)은 측벽부(12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부(260)와, 엘리베이터 피트(100)의 피트결합부(130)와 면 접촉되도록 지지부(260)의 하측에서 피트결합부(130)의 가이드부(136)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틀결합부(270)와, 형틀결합부(270)의 단부에서 지지부(260)와 대향되도록 상부로 연장되는 보조지지부(262)를 포함한다.
그리고 결합수단(300)의 제 1 웨지핀(310)이 형틀결합부(270) 및 피트결합부(130)에 차례로 관통되며, 이때, 형틀결합부(270)와 피트결합부(130) 사이의 이격 공간에 보강부(315)가 구비되어, 형틀결합부(270)와 피트결합부(130) 사이에 이격 공간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제 1 웨지핀(310)과 제 2 웨지핀(312)은 형틀결합부(270)와 피트결합부(130)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에 구비되는 결합수단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결합수단(300)은 와이어(32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320)는 피트결합부(130)의 제 1 연결홀(132a)과 형틀결합부(220)의 제 2 연결홀(134a)에 일체로 삽입된 상태로 견고하게 감기도록 구성되며, 이때, 와이어(320)의 양 단부는 너트(322) 등에 의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수단(300)은 피트결합부(130)와 형틀결합부(220)에 일체로 삽입되는 볼트 등의 결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 1 결합부(132)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피트결합부(130)의 제 2 결합부(134)에는 그 돌출 방향 단부에 보조가이드부(137)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측벽부(120) 및 지지부(210)의 외측을 따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축물을 지지하는 지지콘크리트층(7)이 형성될 때, 엘리베이터 피트(100)는 보조가이드부(137)와 함께 지지콘크리트층(7)에 일체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에 구비되는 형틀이 제거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지지부(210)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지지콘크리트층(7)이 형성될 때, 상기 콘크리트의 하중으로 인한 측방압력이 형틀(200)로 가해짐에 따라, 형틀(200)의 형틀결합부(220)는 가이드부(136)와 긴밀하게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상기 콘크리트가 경화된 이후, 결합수단(300)을 해제하고, 형틀(200)을 제거하려고 할 때, 형틀결합부(220)는 여전히 가이드부(136) 방향으로 측방 압력이 가해진 상태가 유지되고 있으므로, 형틀결합부(220)를 가이드부(136)의 상부로 탈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후술하는 도 11 또는 도 12를 통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의 형틀결합부와 가이드부가 이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형틀(200)은 측벽부(120)의 상부로 돌출되는 지지부(210)와, 지지부(210)의 하단에서 가이드부(136)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틀결합부(220)를 포함한다. 이때, 형틀결합부(220)와 가이드부(136)는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형틀결합부(220)와 가이드부(136)가 상호 이격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지지부(210)의 외측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로 인한 측방압력이 형틀(200)로 가해져서 형틀(200)의 형틀결합부(220)가 가이드부(136)에 접촉될 때, 형틀(200)의 지지부(210)가 가이드부(136)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형틀결합부(220)가 가이드부(136)에 가하는 측방압력이 일정 부분 상쇄된 상태로 가이드부(136)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형틀(200)을 탈거할 때, 형틀결합부(220)를 가이드부(136)의 상부로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의 채움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형틀(200)의 형틀결합부(220)와 가이드부(136)가 상호 이격되도록 구성된 후, 형틀결합부(220)와 가이드부(136)의 이격 공간에 채움부(400: 도 12의 (a) 도시)가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채움부(410: 도 12의 (b) 도시)는 형틀(200)의 형틀결합부(220)와 가이드부(136)가 상호 이격되도록 구성된 후, 지지부(210)와 가이드부(136)의 이격 공간에 채워질 수도 있다. 채움부(400, 410)는 지지부(210)의 외측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로 인한 측방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210)의 외측으로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형틀(200)을 제거하기 전에, 채움부(400, 410)를 제거하여, 형틀결합부(220)와 가이드부(136) 사이에 이격 공간이 다시 형성되도록 한다. 그러면 형틀결합부(220)는 가이드부(136) 방향으로 어떠한 압력도 가하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형틀결합부(220)를 가이드부(136)에서 외부로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에 구비되는 가이드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에 구비되는 결합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가이드부(138)는 제 1 결합부(132)의 돌출 방향 단부에서 그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부(138)는 제 1 결합부(132)의 단부에 돌출되거나, 절곡되거나, 용접되거나, 또는 볼트 등의 별도의 결합부(미도시)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가이드부(138)는 측벽부(120)와 연결된 제 1 결합부(132)에서 그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므로, 지지 강도가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결합수단(300)은 제 1 웨지핀(310)과, 제 2 웨지핀(312)을 포함하며, 보강부(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웨지핀(310)은 형틀결합부(220)의 결합홀(220a)과 피트결합부(130)의 제 1 연결홀(132a)에 차례로 관통된다. 제 2 웨지핀(312)은 제 1 웨지핀(310)과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다. 그리고 제 2 웨지핀(312)의 상측과 피트결합부(130)의 하측 사이에 보강부(314)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138)는 피트결합부(130)의 제 1 결합부(132)에서 그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부(138)는 제 2 웨지핀(312)과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가이드부(138)가 제 2 웨지핀(312)과 밀착되므로, 형틀(200)의 지지부(210)에 측방압력이 가해질 때, 형틀(200)의 형틀결합부(220)와 연결된 제 1 웨지핀(310) 및 제 2 웨지핀(312)이 가이드부(138)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지지부(210)는 그 내측으로 밀리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에 구비되는 바닥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바닥부(111)는 바닥지지부(112)와, 바닥보강부(114)를 포함한다. 바닥지지부(112)는 굴토바닥부(1)에 위치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복수 개가 상호 나란하게 배열된다. 그리고 상호 인접한 바닥지지부(112)들은 긴밀하게 밀착되며 상호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지지부(112)는,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단면이 "ㄷ"자 또는 "I"자 또는 "ㅁ"자 형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닥보강부(114)는 상호 인접한 상기 바닥지지부(112)들 사이 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와 상기 바닥지지부(112)가 유기적으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바닥부(111)의 구조적 강도가 더욱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엘리베이터 피트 110: 바닥부
111: 바닥부 112: 바닥지지부
114: 바닥보강부 120: 측벽부
130: 피트결합부 131: 피트결합부
132: 제 1 결합부 132a: 제 1 연결홀
133: 제 1 결합부 133a: 제 1 연결홀
134: 제 2 결합부 134a: 제 2 연결홀
136: 가이드부 137: 보조가이드부
138: 가이드부 200: 형틀
210: 지지부 220: 형틀결합부
220a: 결합홀 250: 형틀
260: 지지부 262: 보조지지부
270: 형틀결합부 270a: 결합홀
300: 결합수단 310: 제 1 웨지핀
312: 제 2 웨지핀 314: 보강부
315: 보강부 320: 와이어
322: 너트 400: 채움부
410: 채움부

Claims (17)

  1. 건축물의 저면에 배치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 그 상부로 돌출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피트결합부를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상기 피트결합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피트결합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형틀결합부를 갖는 형틀; 및
    상기 피트결합부와 상기 형틀결합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피트결합부에는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피트결합부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형틀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서 상기 가이드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형틀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서 상기 바닥부와 상기 측벽부 사이의 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형틀결합부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피트결합부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2. 건축물의 저면에 배치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 그 상부로 돌출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피트결합부를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상기 피트결합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피트결합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형틀결합부를 갖는 형틀; 및
    상기 피트결합부와 상기 형틀결합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피트결합부에는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피트결합부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형틀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서 상기 가이드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피트결합부는,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서 상기 바닥부와 대향되도록 돌출되는 제 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부의 돌출 방향 단부에 상기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측벽부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측벽부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결합부는,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 1 결합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층이 형성될 때, 상기 콘크리트층에는 기초철근이 내설되되, 상기 기초철근은 상기 제 2 결합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6. 건축물의 저면에 배치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 그 상부로 돌출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피트결합부를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상기 피트결합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피트결합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형틀결합부를 갖는 형틀; 및
    상기 피트결합부와 상기 형틀결합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피트결합부에는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피트결합부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형틀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서 상기 가이드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형틀결합부와 상기 가이드부는 상호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결합부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의 공간 또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의 공간에 채움부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8. 건축물의 저면에 배치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 그 상부로 돌출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피트결합부를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상기 피트결합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피트결합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형틀결합부를 갖는 형틀; 및
    상기 피트결합부와 상기 형틀결합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피트결합부에는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피트결합부와 상기 형틀결합부에 일체로 관통되는 제 1 웨지핀; 및
    상기 제 1 웨지핀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 2 웨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9. 건축물의 저면에 배치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 그 상부로 돌출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피트결합부를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상기 피트결합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피트결합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형틀결합부를 갖는 형틀; 및
    상기 피트결합부와 상기 형틀결합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피트결합부에는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피트결합부와 상기 형틀결합부에 일체로 감기는 와이어 또는 상기 피트결합부와 상기 형틀결합부에 일체로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10. 건축물의 저면에 배치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 그 상부로 돌출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피트결합부를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상기 피트결합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피트결합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형틀결합부를 갖는 형틀; 및
    상기 피트결합부와 상기 형틀결합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피트결합부에는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복수 개가 상호 나란하게 배열되는 바닥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웨지핀의 하측이 상기 형틀결합부와 상기 피트결합부에 차례로 관통된 후, 상기 제 1 웨지핀의 하측에 상기 제 2 웨지핀이 관통될 때, 상기 피트결합부의 하측과 상기 제 2 웨지핀의 상측 사이에 구비되는 이격 공간 또는, 상기 피트결합부와 상기 형틀결합부 사이에 구비되는 이격공간에 보강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12.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피트결합부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형틀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서 상기 가이드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13.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피트결합부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14. 삭제
  15. 제 10 항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바닥지지부들은 상호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단면이 "ㄷ"자 또는 "I"자 또는 "ㅁ"자 형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복수 개가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호 인접한 상기 바닥지지부들 사이 공간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바닥보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KR1020150107474A 2015-04-07 2015-07-29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KR1017061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48844 2015-04-07
KR1020150048844 2015-04-07
KR1020150089128 2015-06-23
KR20150089128 2015-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158A KR20160120158A (ko) 2016-10-17
KR101706135B1 true KR101706135B1 (ko) 2017-02-14

Family

ID=5725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474A KR101706135B1 (ko) 2015-04-07 2015-07-29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1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518B1 (ko) * 2016-12-06 2018-07-11 엄재현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336B1 (ko) 2002-08-26 2005-05-12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KR100973237B1 (ko) * 2007-11-07 2010-07-30 엄기형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KR101203318B1 (ko) * 2010-08-12 2012-11-20 엄기형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158A (ko) 2016-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238B1 (ko) 피씨벽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구조
JP4738886B2 (ja) 設備用基礎
KR101301081B1 (ko)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451168B1 (ko) 중공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결합체 및 그의 접합 방법
KR101638093B1 (ko) 힌지 거동형 pc 벽체를 이용한 라멘교 및 이 시공 방법
KR101203318B1 (ko)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KR101706135B1 (ko)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EP2657423B1 (en) A concrete slab
KR100814442B1 (ko) 무량 슬래브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무량 슬래브 시공방법
JP6151337B2 (ja) ブロック積み土留め基礎及びブロック積み土留め基礎の施工方法
KR100655654B1 (ko) Pc강선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psc 박스거더 교량의횡방향 프리스트레싱 방법
KR100973235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KR101229093B1 (ko) 슬래브 개구부 마구리용 전용 거푸집패널
KR20160120154A (ko)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101171746B1 (ko) 사일로 시공 방법
KR101880813B1 (ko) 샌드위치 피씨 패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877518B1 (ko)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747002B1 (ko) 철근 콘크리트 기둥과 합성보를 이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956517B1 (ko)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
KR20090049731A (ko)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101426497B1 (ko)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KR20160043501A (ko)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KR101208411B1 (ko)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조인트 장치
KR100863003B1 (ko) 난간 설치 구조 및 시공 방법
KR102108626B1 (ko)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