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517B1 -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6517B1 KR101956517B1 KR1020180127335A KR20180127335A KR101956517B1 KR 101956517 B1 KR101956517 B1 KR 101956517B1 KR 1020180127335 A KR1020180127335 A KR 1020180127335A KR 20180127335 A KR20180127335 A KR 20180127335A KR 101956517 B1 KR101956517 B1 KR 1019565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oint
- concrete
- rubber
- elastic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E04F15/14—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는 상부벽 및 상기 상부벽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두 개의 측벽을 포함하고, 하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 조인트부; 상기 조인트부의 개방된 하부로 끼움 결합되며, 복수 개의 탄성층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탄성층 각각은 변형률이 다른 소재로 형성되며, 변형률이 작은 탄성층이 위쪽에 배치되고, 변형률이 큰 탄성층이 아래 쪽에 배치되는 탄성부; 및 작업면에 지지되는 지지봉, 양단이 상기 지지봉과 결합되는 지지몸체, 상단이 상기 조인트부와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지지몸체와 결합되는 조인트고정부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바닥 시공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바닥은 일정한 강도와 평면 그리고 장기간 유지에 따른 균열이 없어야 하는 등의 여러 가지 요건이 요구되고 있다. 콘크리트 바닥을 타설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 바닥 시공용 조인트 장치이다.
바닥 시공용 조인트 장치는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작업면 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 설치되는 것으로, 바닥 시공용 조인트 장치는 시공시 콘크리트의 수축, 팽창에 의한 크랙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바닥 시공용 조인트 장치는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이어치기 부분의 별도작업이 불필요하여 연속적으로 시공을 가능하게 하고, 설계 상의 계획적인 타설이 손쉽게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바닥 시공용 조인트 장치는 레벨조정이 어렵고 시공에 있어서 원 지반에 고정되지 못함으로 인하여 작업중 조인트 장치가 쉽게 이동됨으로 설계 상의 위치에 정확하게 시공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닥 콘크리트 시공 과정에서 하부콘크리트 타설 후, 통상 철근이나 와이어 매쉬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양생되지 않은 콘크리트에 계획고에 맞추어 조인트 장치를 설치할 수가 없으므로 하부콘크리트의 양생 후, 적어도 1~2일 후에 조인트 장치를 설치하고 상부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하는 문제점으로 공사기간 및 공사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24577호(발명의 명칭: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조인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 시공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조인트 장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조인트 장치는 단면의 형태가 A자 형태로 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바닥 시공이 완료된 이후 경사진 단면 위로 콘크리트가 위치하기 때문에 콘크리트가 굳은 이후에 조인트 장치를 바닥으로부터 뽑아 올리기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정밀한 위치조절을 수행함으로써, 바닥 시공시의 평탄성 유지를 위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편리한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는 상부벽 및 상기 상부벽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두 개의 측벽을 포함하고, 하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 조인트부; 상기 조인트부의 개방된 하부로 끼움 결합되며, 복수 개의 탄성층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탄성층 각각은 변형률이 다른 소재로 형성되며, 변형률이 작은 탄성층이 위쪽에 배치되고, 변형률이 큰 탄성층이 아래 쪽에 배치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는 작업면에 지지되는 지지봉, 양단이 상기 지지봉과 결합되는 지지몸체, 상단이 상기 조인트부와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지지몸체와 결합되는 조인트고정부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는 상기 복수 개의 탄성층은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는 상기 합성 고무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이소프렌 고무,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 실리콘 고무 중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는 상기 조인트부의 상부벽 상단에 기준선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는 상기 두 개의 측벽 하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고정부의 양측에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인트부와 상기 조인트고정부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는 상기 조인트부와 상기 조인트부고정재 사이에 침입차단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는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정밀한 위치조절을 수행함으로써, 바닥 시공시의 평탄성 유지를 위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편리함은 물론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조인트는 단면의 형태가 '┌┐'자 형태로 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바닥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도,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조인트의 측면에 콘크리트가 위치할 뿐,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조인트의 상단에 콘크리트가 위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콘크리트가 굳은 이후에 조인트 장치를 바닥으로부터 뽑아 올리기 용이해 지며, 이로써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조인트의 재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부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부의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부와 조인트고정부의 결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고정부와 지지부의 결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의 동작 상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가 설치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를 설치하기 위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부의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부와 조인트고정부의 결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고정부와 지지부의 결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의 동작 상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가 설치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를 설치하기 위한 순서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부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부의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부와 조인트고정부의 결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고정부와 지지부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는 상부벽(110) 및 상부벽(110)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두 개의 측벽(120)을 포함하고, 하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 조인트부(100); 조인트부의 개방된 하부로 끼움 결합되며, 복수 개의 탄성층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복수 개의 탄성층 각각은 변형률이 다른 소재로 형성되며, 변형률이 작은 탄성층이 위쪽에 배치되고, 변형률이 큰 탄성층이 아래 쪽에 배치되는 탄성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작업면에 지지되는 지지봉(410), 양단이 지지봉(410)과 결합되는 지지몸체(420)를 포함하는 지지부(400); 상단이 조인트부(100)와 결합되고 하단이 지지몸체(420)와 결합되는 조인트고정부(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조인트부(100)는 바닥면 시공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구성요소로, 콘크리트의 양생 후 콘크리트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해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조인트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단면이 '┌┐'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벽(110), 상부벽(110)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두 개의 측벽(1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조인트부(100)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압출 성형에 의해 마련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부(100)의 상부벽(110) 상단에 기준선 수용홈(112)이 형성될 수 있는데, 기준선 수용홈(112)이 형성되기 위해 조인트부(100)의 상부벽(110) 상단에 기준선 돌기(111)가 형성된 상태에서, 기준선 돌기(111)의 상단에 기준선 수용홈(1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준선 수용홈(112)은 작업면 측량 시, 조인트부(100)의 배치 또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선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조인트부(100)의 측벽(120)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콘크리트 타설 또는 설치 작업시 외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복수의 보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200)는 조인트부(100)의 개방된 하부로 끼움 결합되는 구성요소로, 복수 개의 탄성층(210, 220, 230)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복수 개의 탄성층(210, 220, 230) 각각은 변형률(strain)이 다른 소재로 형성되며, 변형률이 작은 탄성층이 위쪽에 배치되고, 변형률이 큰 탄성층이 아래 쪽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변형률(ε)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탄성부(200)가 힘의 방향으로 δ만큼 팽창하거나 수축하였을 때, 원래 탄성부(200)의 폭(l)에 대한 비율로, ε=δ/l 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200)는 3개의 탄성층(210, 220, 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변형률이 가장 작은 탄성층(210)이 가장 위쪽에 배치되고, 변형률이 가장 큰 탄성층이 가장 아래쪽에 배치되고, 변형률이 중간인 탄성층(220)이 중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수축되거나 팽창되는데, 이러한 수축 및 팽창의 정도는 수분의 함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표면의 습기가 증발되거나 중력에 의해 콘크리트 내부의 물이 아래쪽으로 점차 퍼져나갈 수 있다. 즉,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닥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아래쪽 부분이 더 많이 팽창될 수 있고, 콘크리트 위쪽 부분은 콘크리트 아래쪽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팽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닥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아래쪽 부분이 위쪽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팽창함으로써 크랙이 발생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콘크리트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6의 (a)에는 콘크리트가 팽창되기 전이 도시되어 있고, (b)에는 콘크리트가 팽창된 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200)는 복수 개의 탄성층(210, 220, 230)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복수 개의 탄성층(210, 220, 230) 각각은 변형률이 다른 소재로 형성되며, 변형률이 작은 탄성층이 위쪽에 배치되고, 변형률이 큰 탄성층이 아래 쪽에 배치됨으로써, 바닥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아래쪽 부분이 더 팽창했을 때 변형률이 큰 아래쪽의 탄성층이 더 크게 변형(압축)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위와 같은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특징을 같는 복수 개의 탄성층(210, 220, 230)은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사용되는 합성 고무로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tyrene-butadiene rubbe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클로로프렌 고무(chloroprene rubber), 이소프렌 고무(isoprene rubber),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polyacrylate rubber),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 중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의 탄성층(210, 220, 230)에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이외의 다른 종류의 고무 또는 합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조인트고정부(300)느 상단이 조인트부(100)와 결합되고 하단이 지지부(400)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조인트부(100)가 지지부(400)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조인트고정부(300)는 조인트부(100)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부(100) 두 개의 측벽(120) 하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끼움돌기(121)가 형성되고, 조인트고정부(300)의 양측에 끼움홈(301)이 형성됨으로써, 조인트부(100)가 조인트고정부(30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400)는 조인트부(100)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로, 작업면에 지지되는 지지봉(410), 양단이 지지봉(410)과 결합되는 지지몸체(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몸체(420)는 소정 길이 갖는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400)에 조인트고정부(30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고정부(300)의 하단에 결합봉(310)이 돌출 형성되고, 결합봉(310)의 하단에 결합패킹(311)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패킹(31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지지몸체(4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패킹(311)이 억지 끼움되도록 끼움홀(42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패킹(311)은 끼움홀(421)에 끼워진 다음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끼움홀(421)이 아닌 홈 형태인 끼움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고, 결합패킹(311)이 끼움홈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는 조인트부(100)와 조인트부고정부(300) 사이에 침입차단부재(미도시)가 개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침입차단부재는 비닐 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의 이물질이 작업면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가 설치된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를 설치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가 복수 개로 구성되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의 설치 과정은 설계에 따라 작업면에 지지봉(410)을 설치하는 단계(S10); 지지봉(410)과 결합되는 지지몸체(420)를 설치하는 단계(S20); 작업면에 하부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30); 타설된 하부콘크리트의 상면에 수직 및 수평으로 설치되는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S40); 하부 콘크리트의 상부로 돌출된 지지부재에 조인트부재를 설치하는 단계(S50); 작업면에 상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저 작업면에 지지봉(410)을 설계에 따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지지봉(410)은 작업면을 1차적으로 측량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봉의 높이 또는 위치를 설정한 후, 작업면에 타입 고정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설치된 지지봉(410)에 바닥 콘크리트 계획고에서 조인트부(100)의 높이를 제외한 지지몸체부 계획고에 적용되도록 높이를 측량하여 지지몸체부를 결합시켜 지지부재를 설치한다.
그 다음, 작업면에 전체 바닥콘크리트 두께의 약 50% 정도의 높이로 하부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하부 콘크리트는 지지봉(410)의 일부분의 높이까지 타설되며, 하부 콘크리트의 타설높이는 지지몸체(420)보다 아래로 설정될 수 있다.
그 다음, 하부콘크리트의 상면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 수평 철근 또는 와이어 매쉬를 배근한다.
그 다음, 지지몸체(420)에 조인트부(100)를 설치한다. 이때 조인트부(100)에는 탄성층(200)이 미리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조인트부(100)는 조인트고정부(300)에 미리 끼움 결합된 상태이고, 조인트부(100)가 조인트고정부(300)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지지몸체(42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조인트부(100)는 하부콘크리트가 타설된 작업면을 2차적으로 측량하여, 설치되는 조인트부(100)의 위치를 설정한 후, 조인트부(100)를 지지몸체(420)에 설치 및 고정시킨다.
그 다음, 설치된 조인트부(100)의 높이만큼 상부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를 사용하면 바닥 시공시의 평탄성 유지를 위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콘크리트의 크랙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커팅이 필요하지 않으며, 시공성 향상에 따른 공사비의 절감과 공사기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조인트에 비해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조인트부 110: 상부벽
120: 측벽 200: 탄성부
210, 220, 230: 탄성층 300: 조인트고정부
400: 지지부 410: 지지봉
420: 지지몸체
120: 측벽 200: 탄성부
210, 220, 230: 탄성층 300: 조인트고정부
400: 지지부 410: 지지봉
420: 지지몸체
Claims (7)
- 상부벽 및 상기 상부벽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두 개의 측벽을 포함하고, 하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 조인트부; 및
상기 조인트부의 개방된 하부로 끼움 결합되며, 복수 개의 탄성층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탄성층 각각은 변형률이 다른 소재로 형성되며, 변형률이 작은 탄성층이 위쪽에 배치되고, 변형률이 큰 탄성층이 아래 쪽에 배치되는 탄성부;
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
- 제1항에 있어서,
작업면에 지지되는 지지봉, 양단이 상기 지지봉과 결합되는 지지몸체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단이 상기 조인트부와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지지몸체와 결합되는 조인트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탄성층은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고무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이소프렌 고무,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 실리콘 고무 중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의 상부벽 상단에 기준선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측벽 하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고정부의 양측에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인트부와 상기 조인트고정부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와 상기 조인트고정부 사이에 침입차단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7335A KR101956517B1 (ko) | 2018-10-24 | 2018-10-24 |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7335A KR101956517B1 (ko) | 2018-10-24 | 2018-10-24 |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6517B1 true KR101956517B1 (ko) | 2019-06-24 |
Family
ID=67055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7335A KR101956517B1 (ko) | 2018-10-24 | 2018-10-24 |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651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916408A (zh) * | 2021-08-23 | 2022-01-11 | 中建三局第三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 一种测量混凝土结构内部应力的方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6566U (ko) * | 1993-08-05 | 1995-03-21 | 장세태 | 조인트 필러 |
JP2001227079A (ja) * | 2000-02-21 | 2001-08-24 | Hakusui Kosan Kk | 伸縮目地材 |
JP2005090131A (ja) * | 2003-09-18 | 2005-04-07 | Tokai Rubber Ind Ltd | 轍防止装置及び伸縮継手装置 |
KR20100124577A (ko) | 2009-05-19 | 2010-11-29 | 박수부 |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조인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 시공방법 |
KR101650365B1 (ko) * | 2015-06-18 | 2016-08-23 | 신원수 | 콘크리트 크랙 유도용 이중 신축줄눈 장치 |
-
2018
- 2018-10-24 KR KR1020180127335A patent/KR101956517B1/ko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6566U (ko) * | 1993-08-05 | 1995-03-21 | 장세태 | 조인트 필러 |
JP2001227079A (ja) * | 2000-02-21 | 2001-08-24 | Hakusui Kosan Kk | 伸縮目地材 |
JP2005090131A (ja) * | 2003-09-18 | 2005-04-07 | Tokai Rubber Ind Ltd | 轍防止装置及び伸縮継手装置 |
KR20100124577A (ko) | 2009-05-19 | 2010-11-29 | 박수부 |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조인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 시공방법 |
KR101650365B1 (ko) * | 2015-06-18 | 2016-08-23 | 신원수 | 콘크리트 크랙 유도용 이중 신축줄눈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916408A (zh) * | 2021-08-23 | 2022-01-11 | 中建三局第三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 一种测量混凝土结构内部应力的方法 |
CN113916408B (zh) * | 2021-08-23 | 2023-09-22 | 中建三局第三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 一种测量混凝土结构内部应力的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0238B1 (ko) | 피씨벽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구조 | |
KR101556545B1 (ko) | 더블 월 피씨를 이용하는 구조물 시공방법 | |
US20170298627A1 (en) | Precast Concrete Composite Wall | |
KR101588593B1 (ko) | 가교의 시공방법 | |
KR101574253B1 (ko) | Pc패널을 이용한 트윈 월 구조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 |
JP2006322215A (ja) | 設備用基礎 | |
JP6151337B2 (ja) | ブロック積み土留め基礎及びブロック積み土留め基礎の施工方法 | |
KR101956517B1 (ko) |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 | |
KR101732132B1 (ko) | 추가파일 시공방법 | |
KR101170103B1 (ko) | 조립식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트렌치 구조 | |
KR101668521B1 (ko) | 다층 건축물의 지하층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 |
KR100433561B1 (ko) | 벽체상승 슬래브하강 타설공법 | |
KR100814442B1 (ko) | 무량 슬래브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무량 슬래브 시공방법 | |
KR20180131058A (ko) | 띄어 쌓기식 벽돌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KR102594640B1 (ko) | 확장이 가능한 기초용 브라켓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 | |
KR200320805Y1 (ko) | 층 공간부에서 연결되는 기둥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기둥의 연결구조 | |
KR101366139B1 (ko) | 배수판 조립체 | |
KR101171746B1 (ko) | 사일로 시공 방법 | |
KR20190103595A (ko) | 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바닥 마찰에 의해 인장력이 발생하지 않는 슬라이딩 제작대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제조방법 | |
KR101208411B1 (ko) |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조인트 장치 | |
KR101609940B1 (ko) | 벽돌의 횡방향 연결 방법과 벽돌의 횡방향 연결용 인서트 | |
KR20140110526A (ko) | 지하구조물 외벽의 매입슬래브에 사용되는 고정커플러와 이를 이용한 매입슬래브 시공방법 | |
KR20160043501A (ko) |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 |
JP6232190B2 (ja) | 目地構成部材、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コンクリート構造物 | |
KR20170120990A (ko) | 포스트텐션을 적용한 공동주택의 수평 및 수직증축 시공 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