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746B1 - 사일로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사일로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746B1
KR101171746B1 KR1020120028730A KR20120028730A KR101171746B1 KR 101171746 B1 KR101171746 B1 KR 101171746B1 KR 1020120028730 A KR1020120028730 A KR 1020120028730A KR 20120028730 A KR20120028730 A KR 20120028730A KR 101171746 B1 KR101171746 B1 KR 101171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eiling
slip foam
formwork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인병
박인기
Original Assignee
동부건설 주식회사
(주)피디티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건설 주식회사, (주)피디티이엔씨 filed Critical 동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8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7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22Containers for fluent solids, e.g. silos, bunkers; Suppor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2Sliding forms raised continuously or step-by-step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raising and which are not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Arrangements of lift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일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슬립폼에 천정프레임을 결합하여 이 조립체를 상승시키면서 사일로의 벽체를 시공하되, 슬립폼과 천정프레임간의 결합력을 증대함으로써 사일로의 벽체를 안정적으로 시공하고, 슬립폼의 상승을 안내하는 부재로 인한 강도 손실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일로 시공 방법은,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부(11) 및 상기 바닥부의 둘레부에 상기 바닥부 보다 높은 기초벽(12)을 갖는 기초부(10)를 시공하는 제1단계와; 내측 거푸집(210)과 외측 거푸집(220), 상기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을 연결하는 요크(230) 및 상기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에 각각 설치되는 작업대(240)로 이루어진 슬립폼(200) 상부에 천정(300)을 고정하여 제작한 슬립폼과 천정 조립체(100)를 상기 제1단계에서 시공된 기초부의 기초벽 상부에 거치하고, 상기 슬립폼과 천정 조립체의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를 형성하되, 상승수단을 통해 상기 슬립폼과 천정 조립체를 상승시키면서 일정 높이의 벽체를 시공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콘크리트의 벽체가 완성되면 상기 천정을 상기 벽체에 고정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슬립폼을 상기 천정에서 분리하여 해체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슬립폼의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에 종방향의 상승안내겸용 철근(13)을 2개 이상 배근하되 상기 상승안내겸용 철근은 상기 벽체의 높이에 따라 다수개가 커플러를 통해 연쇄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되고, 상기 천정의 하부에 지지판을 형성하되, 상기 지지판에 상기 상승안내겸용 철근이 관통되는 철근홀을 형성하여 상기 천정을 상기 상승안내겸용 철근에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일로 시공 방법{METHOD EXECUTION SILO}
본 발명은 사일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립폼에 천정을 결합하여 이 조립체를 상승시키면서 사일로의 벽체를 시공하되, 슬립폼과 천정 간의 결합력을 증대함으로써 사일로의 벽체를 안정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사일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일로는 석탄 및 곡물 등의 입상체를 저장하는 시설로서 기초, 원통형의 벽체 및 상단의 지붕 등으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벽체 외주면과 연결되어 사일로 내부공간을 폐합하고 저장물의 용이한 반출이 가능하도록 상광하협(上廣下狹)의 원추형으로 형성된 내부콘이 설치되거나, 격벽을 통해 다수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내부콘이나 공간에는 반출구가 형성된다.
사일로의 벽체는 일정한 환형 단면을 가지는 원통형 구조물로서, 콘크리트 사일로의 경우 연속 타설 및 양생이 가능한 슬립폼이 적용되어 축조할 경우 구조적 안정성 및 공기단축 측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슬립폼이란 교각, 케이슨 또는 현수교 및 사장교의 주탑 등 단면이 일정한 탑상(塔狀) 구조물을 콘크리트로 시공함에 있어서, 일정한 형상의 거푸집을 유압잭 등을 통하여 이동하면서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을 연속, 반복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한 콜드 조인트를 최소화하고 일체화된 구조물을 제작하는 이동형 거푸집 조립체로서, 해당 거푸집 조립체(form assembly) 또는 해당 공법을 지칭한다.
종래 슬립폼을 통한 사일로 벽체의 시공방식을 예시한 것으로, 동 도면의 타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슬립폼은 사일로 벽체에 밀착되는 외부폼 및 내부폼, 상기 외부폼과 내부폼에 체결되는 역U자형 철골구조물인 요크, 사일로 벽체에 매입되는 강제(鋼製) 유도로드와 요크를 연결하는 유압잭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유압잭의 신축에 따라 상기 외부폼 및 내부폼이 상기 사일로 벽체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승하면서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사일로 벽체에 매입된 유도로드가 중공형(中空形) 피스톤식 유압잭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유도로드와 유압잭의 피스톤 및 요크간 체결상태를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슬립폼이 유도로드를 지점(支點)으로 상승하게 되는데, 현장 여건에 따라 유도로드가 적용되지 않고 기 양생된 벽체와 슬립폼을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통하여 체결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으며, 유압잭 또한 벽체 내외측에 각각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사일로의 선행기술로 특허문헌 1,2가 있다.
특허문헌 1은, 내부콘이 있는 사일로에 관한 것으로, 내부콘을 먼저 시공한 후, 상기 내부콘 외부에 벽체와 지붕을 시공하고, 상기 내부콘과 벽체 사이를 폐합공정으로 이루어진다.
특허문헌 2는 사일로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패널지지체(슬립폼)와 천정프레임을 고정하여 벽체를 시공하면서 천정프레임을 함께 상승시키며, 벽체보다 큰 단면의 기초지지면을 갖도록 기초지지벽체를 형성함으로써, 천정프레임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천정프레임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특허문헌 1은 유도로드가 벽체에 매립되는데, 유도로드 자체는 슬립폼을 지지만 하는 것이므로 벽체의 강도를 위하여 철근의 수량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종단면에서 볼 때 하나의 유도로드가 중앙에 배치되어 슬립폼의 흔들림과 비틀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2는 벽체의 양생 전(또는 양생 후)에 로드를 벽체에서 분리하고 로드가 삽입되어 있는 구멍을 메우는 것으로 추가 작업이 요구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고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2 공통으로 천정프레임이 상부를 향해 볼록한 구조로서 천정프레임의 둘레부가 벽체에 지지되는데, 천정프레임의 둘레부가 하향 경사지기 때문에 천정프레임의 하중이 벽체에 전달되지 못하고 벽체에 지지되는 않은 부분으로 가해지게 되어 벽체와 천정프레임의 연결부분의 균열과 파손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천정프레임과 슬립폼간의 문제는 벽체를 타설하는 중에도 발생되며, 천정프레임이 슬립폼에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슬립폼의 상승시 작은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천정프레임과 슬립폼의 하중으로 인하여 큰 흔들림이 발생되고 천정프레임과 슬립폼의 고정부에 파단이 발생된다.
등록특허 제10-1054906호 등록특허 제10-110025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슬립폼에 천정을 결합하여 이 조립체를 상승시키면서 사일로의 벽체를 시공하되, 슬립폼과 천정간의 결합력을 증대함으로써 사일로의 벽체를 안정적으로 시공하고, 슬립폼의 상승을 안내하는 부재로 인한 강도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사일로 시공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사일로 시공 방법은,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둘레부에 상기 바닥부 보다 높은 기초벽을 갖는 기초부를 시공하는 제1단계와;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상기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을 연결하는 요크 및 상기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에 각각 설치되는 작업대로 이루어진 슬립폼 상부에 천정을 고정하여 제작한 슬립폼과 천정 조립체를 상기 제1단계에서 시공된 기초부의 기초벽 상부에 거치하고, 상기 슬립폼과 천정 조립체의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를 형성하되, 상승수단을 통해 상기 슬립폼과 천정 조립체를 상승시키면서 일정 높이의 벽체를 시공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콘크리트의 벽체가 완성되면 상기 천정을 상기 벽체에 고정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슬립폼을 상기 천정에서 분리하여 해체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슬립폼의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에 종방향의 상승안내겸용 철근을 2개 이상 배근하되 상기 상승안내겸용 철근은 상기 벽체의 높이에 따라 다수개가 커플러를 통해 연쇄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되고, 상기 천정의 하부에 지지판을 형성하되, 상기 지지판에 상기 상승안내겸용 철근이 관통되는 철근홀을 형성하여 상기 천정을 상기 상승안내겸용 철근에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일로 시공 방법에 의하면, 슬립폼과 천정을 지상에서 결합하여 이 조립체를 지상에서부터 설계 높이까지 상승시키면서 벽체를 시공하므로 천정을 벽체의 시공 완료 후 높은 곳에서 설치할 때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2개 이상의 상승안내겸용 철근을 기초부에서부터 벽체의 설계 높이까지 매립하여 사일로의 강도를 증대할 수 있고, 이러한 상승안내겸용 철근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슬립폼과 천정 조립체를 상승시키면서 벽체를 시공하며, 따라서, 슬립폼과 천정 조립체가 내외측 거푸집 및 상승안내겸용 철근으로 지지되어 상승시 비틀림과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설계와 일치하는 벽체를 시공함으로써 신뢰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구조적으로 안정된 사일로를 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일로 시공 방법의 개략적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사일로 시공 방법에 적용된 기초부와 슬립폼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사일로 시공 방법에 적용된 슬립폼과 천정 조립체의 설치 상태 정면도.
도 4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사일로 시공 방법에 적용된 천정과 상승안내겸용 철근의 연결 상태를 보인 정면도와 분리 상태 사시도.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일로 시공 방법은 기초부(10) 시공 - 벽체(20) 시공의 순서로 이루어지며,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슬립폼에 천정 을 결합하여 슬립폼과 천정을 함께 지상에서부터 상승시키면서 벽체를 다단계의 콘크리트 타설로 시공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공정은 다음과 같다.
1. 기초부 시공.
기초부(10)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바닥부(11) 및 기초벽(12)으로 구성되며 배출구가 구비된다. 바닥부(11)는 평평한 형태 상광하협의 콘 형태 등이 가능하며, 기초벽(12)은 벽체(20)의 시공을 위한 준비 구조물로서 벽체(20)의 시공을 위한 슬립폼이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바닥부(11)와 기초벽(12) 모두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이므로 바닥부(11)와 기초벽(12) 모두 철근이 종횡방향으로 배근되고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은 상승안내겸용 철근(13)을 슬립폼과 천정 조립체를 상승시키기 위한 지지수단 및 벽체의 보강을 위하여 사용한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승안내겸용 철근(13)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철근으로서 둘레부에 리브가 있는 것과 리브가 없는 것 모두가 사용 가능하다.
상승안내겸용 철근(13)은 횡방향을 따라 2개 이상(2개가 바람직하며, 도면에서는 2개로 도시함)이 배근되어, 슬립폼과 천정 조립체(100)의 비틀림을 잡아준다.
상승안내겸용 철근(13)은 기성품으로서 벽체(20)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로 생산되지 못하므로 다수개가 커플러를 통해 연결되어 사용된다.
2. 벽체 시공.
도 3에서처럼, 벽체(20)를 시공하기 위하여 슬립폼(200)이 사용된다.
슬립폼(200)은 벽체(20)를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내측 거푸집(210), 외측 거푸집(220), 내외측 거푸집(210,220)을 연결 지지하는 요크(230), 작업대(240)로 구성되며,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모든 자재의 사용이 가능하다.
슬립폼(200)의 내측 거푸집(210)과 외측 거푸집(220)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슬립폼(200)을 상승시켜야 하는데, 콘크리트가 내외측 거푸집(210,220)에 고착되면 슬립폼(200)의 상승이 어렵고 기 타설된 부분에서 균열이 발생될 수 있고, 또는 내외측 거푸집(210,220)과 기초벽(12)(또는 기 타설된 벽체 부분) 사이에 틈이 발생되면 콘크리트가 흘러내릴 것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외측 거푸집(210,220)은 요크(230)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크(230)에 레일을 형성하고, 내외측 거푸집(210,220)을 상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 및 조임구 등을 통해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콘크리트 타설 전에 내외측 거푸집(210,220)의 타설면(마주하는 면)이 기 타설된 부분에 밀착되도록 하고, 다음 단계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내외측 거푸집(210,220)을 기 타설된 부분으로부터 떨어뜨린 상태에서 상승하며, 내외측 거푸집(210,220)이 타설 위치로 상승하면 내외측 거푸집(210,220)을 타설면이 기 타설된 부분에 밀착되도록 이동시켜 고정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슬립폼(200)은 다수 개가 벽체(20)의 시공을 위한 형태로 배열되어 사용된다.
상승수단(250)을 통해 상승안내겸용 철근(13)에 상승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승수단(250)은 상승안내겸용 철근(13)에 각각 설치된다.
상승수단(250)은 사일로 시공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며, 개략적으로 유압잭(251), 유압잭(251)에 의해 상승하는 상부 클램프(252)와 하부 클램프(253)로 구성된다. 유압잭(251)은 원통형으로서 내부에 상승안내겸용 철근(13)이 관통되면서 하우징은 요크(230)에 고정되며 피스톤은 상부 클램프(252)에 고정되고, 상부 클램프(252)는 원통형으로서 상승안내겸용 철근(13)의 둘레부에 하강하지 않도록 설치되며, 하부 클램프(253)는 유압잭(251)의 하우징에 고정되면서 상승안내겸용 철근(13)의 둘레부에 하강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즉, 유압잭(251)에 인가되는 유체의 방향에 따라 상부 클램프(252)가 상승하거나 하부 클램프(253)가 슬립폼(200)을 상승시킨다. 이는 공지와 동일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정(300)이 벽체(20)의 시공 후에 공중에서 시공되는 것이 아니라 슬립폼(200)과 함께 조립체를 구성하여 슬립폼(200)과 함께 상승하는 것이므로 슬립폼(200)에 천정(300)이 결합되어 슬립폼과 천정 조립체(100)가 구성된다. 천정(300)은 예를 들어 천정 골조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슬립폼과 천정 조립체(100)는 슬립폼(200)과 천정(300)이 결합된 것이며, 슬립폼(200)은 벽체(20)를 시공하기 위한 가시설로서 벽체(20)의 시공 완료 후 제거되지만 천정(300)은 영구 구조물이므로 슬립폼(200)과 천정(300)은 분리 가능하게 예컨대 체결구(볼트와 너트)를 매개로 하여 결합된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천정(300)의 하단부에는 지지판(310)이 형성된다. 지지판(310)은 상승안내겸용 철근(130)에 천정(300)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평평한 판상이며 철근홀(311)이 구비된다. 철근홀(311)은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지지판(310)의 둘레부에 돌출 형성되는 보스에 형성될 수도 있다.
철근홀(311)은 상승안내겸용 철근(130)의 수량에 따라 달라지며 바람직하게 4개소에 형성된다.
철근홀(311)은 상승안내겸용 철근(130)이 커플러를 통해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을 감안하여야 하며, 상기 커플러의 외경이 상승안내겸용 철근(13)의 외경보다 큰 경우 커플러가 통과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철근홀(311)은 지지판(310)에 천공된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상승수단(250)의 상하부 클램프(252,253)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관형의 클램프가 적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클램프는 지지판(310)에 장착되어 내부에 상승안내겸용 철근(13)이 삽입되어 지지되며, 클램핑에 의해 상승안내겸용 철근(13)에서 하부로 떨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슬립폼과 천정 조립체(100)를 기초벽(12) 상부에 거치한다. 즉, 내외측 거푸집(210,220)의 타설면이 기초벽(12)의 내외측면에 각각 지지되도록 설치하고, 이때, 상승수단(250)이 상승안내겸용 철근(13)에 결합되도록 하며, 아울러, 천정(300)의 지지판(310)의 철근홀(311)에 상승안내겸용 철근(13)이 통과되도록 한다.
슬립폼과 천정 조립체(100)는 상승수단(250)에 의해 상승안내겸용 철근(13)에 지지되는 것이다.
내외측 거푸집(210,220)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예를 들어 양생 이전에 슬립폼과 천정 조립체(100)를 다음 타설 위치로 다음과 같이 상승시킨다.
상승수단(250)의 유압잭(251)의 일측에 유압을 부여하면 상부 클램프(252)가 상승하며, 이때 하부 클램프(253)와 유압잭(251)의 하우징은 상승하지 않기 때문에 슬립폼과 천정 조립체(100)는 상승하지 않는다.
상부 클램프(252)의 상승이 완료된 후 하부 클램프(253)가 상승하도록 유압을 부여하면, 하부 클램프(253)와 유압잭(251)의 하우징 및 슬립폼과 천정 조립체(100)가 상승안내겸용 철근(13)에 클램핑된 상부 클램프(252)를 지지기반으로 하여 상승한다.
상승안내겸용 철근(13)은 저부가 기초부(10)의 바닥에서부터 설치되는 것이므로 구조적으로 견고한 기초부(10)를 지지기반으로 하여 슬립폼과 천정 조립체(100)를 지지하며, 콘크리트 타설시 매립된다. 즉, 상승안내겸용 철근(13)은 상승을 안내함과 더불어 벽체의 콘크리트 강도를 보강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슬립폼과 천정 조립체(100)를 단계적으로 상승시키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설계 높이의 벽체를 시공한다.
벽체(20)를 설계 높이로 타설하면, 내외측 거푸집(210,220)과 천정(300)의 저부간에 높이차가 있으며, 이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등의 마무리 작업을 통해 벽체(20)와 천정(300)을 일체로 합성한다. 즉, 천정(300)을 슬립폼(200)과 결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벽체 시공 후 천정을 시공하는 작업이 없다.
슬립폼(200)은 가시설로서 벽체 등의 시공을 완료한 후 해체하여야 하며, 그 전에 천정(300)을 앵커링 등을 통해 벽체와 일체로 합성한다.
한편, 벽체(20)의 두께를 줄이면서 더욱 견고하게 시공하기 위하여 긴장재(40)가 적용된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의 타설 전에 쉬스관(41)을 설치하고 양생 이후 쉬스관(41) 내부에 긴장재(40)를 설치 및 긴장할 수 있다. 긴장재(40)는 원주방향과 종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설치되며, 따라서, 사일로의 벽체의 모든 부분을 균일하게 보강함으로써 벽체의 두께도 줄일 수 있고 철근의 배근량도 줄일 수 있다.
10 : 기초부,
11 : 바닥부, 12 : 기초벽
20 : 벽체,
100 : 슬립폼과 천정 조립체,
200 : 슬립폼,
210 : 내측 거푸집, 220 : 외측 거푸집
230 : 요크, 240 : 작업대
250 : 상승수단,
300 : 천정,
310 : 지지판, 311 : 철근홀

Claims (5)

  1.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부(11) 및 상기 바닥부의 둘레부에 상기 바닥부 보다 높은 기초벽(12)을 갖는 기초부(10)를 시공하는 제1단계와;
    내측 거푸집(210)과 외측 거푸집(220), 상기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을 연결하는 요크(230) 및 상기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에 각각 설치되는 작업대(240)로 이루어진 슬립폼(200) 상부에 천정(300)을 고정하여 제작한 슬립폼과 천정 조립체(100)를 상기 제1단계에서 시공된 기초부의 기초벽 상부에 거치하고, 상기 슬립폼과 천정 조립체의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를 형성하되, 상승수단을 통해 상기 슬립폼과 천정 조립체를 상승시키면서 일정 높이의 벽체를 시공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콘크리트의 벽체가 완성되면 상기 천정을 상기 벽체에 고정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슬립폼을 상기 천정에서 분리하여 해체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슬립폼의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에 종방향의 상승안내겸용 철근(13)을 2개 이상 배근하되 상기 상승안내겸용 철근은 상기 벽체의 높이에 따라 다수개가 커플러를 통해 연쇄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되고, 상기 천정의 하부에 지지판을 형성하되, 상기 지지판에 상기 상승안내겸용 철근이 관통되는 철근홀을 형성하여 상기 천정을 상기 상승안내겸용 철근에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로 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승수단은 상기 슬립폼에 장착되는 유압잭 및 상기 유압잭에 의해 상승하는 상하부 클램프로 이루어지되, 상기 유압잭과 상하부 클램프는 상기 슬립폼과 천정 조립체가 지지되는 상승안내겸용 철근에 장착되어 상기 슬립폼과 천정 조립체는 상기 상승안내겸용 철근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로 시공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천정의 지지판의 철근홀에 장착되며 내부에 상기 상승안내겸용 철근이 삽입되는 클램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로 시공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립폼의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은 상기 요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로 시공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슬립폼의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에 다수의 쉬스관(41)을 삽입하고, 상기 쉬스관 내부에 긴장재(40)를 설치하여 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로 시공 방법.
KR1020120028730A 2012-03-21 2012-03-21 사일로 시공 방법 KR101171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730A KR101171746B1 (ko) 2012-03-21 2012-03-21 사일로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730A KR101171746B1 (ko) 2012-03-21 2012-03-21 사일로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1746B1 true KR101171746B1 (ko) 2012-08-07

Family

ID=46887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730A KR101171746B1 (ko) 2012-03-21 2012-03-21 사일로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7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52101A (zh) * 2021-12-08 2022-04-15 合肥工业大学 基于集群式筒仓结构管理的施工优化方法
KR102425501B1 (ko) 2022-05-20 2022-07-27 주식회사 네오시티 프리캐스트와 슬립폼을 이용한 사일로 시공방법
KR102430362B1 (ko) 2022-05-20 2022-08-08 주식회사 네오시티 사일로 내부 콘 프리캐스트 시공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사일로 내부 콘의 프리캐스트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3227A (ja) 1999-12-20 2001-06-26 Ohbayashi Corp スリップフォーム装置
KR101100252B1 (ko) 2011-05-18 2011-12-28 주식회사 엔케이 탑사일로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3227A (ja) 1999-12-20 2001-06-26 Ohbayashi Corp スリップフォーム装置
KR101100252B1 (ko) 2011-05-18 2011-12-28 주식회사 엔케이 탑사일로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52101A (zh) * 2021-12-08 2022-04-15 合肥工业大学 基于集群式筒仓结构管理的施工优化方法
KR102425501B1 (ko) 2022-05-20 2022-07-27 주식회사 네오시티 프리캐스트와 슬립폼을 이용한 사일로 시공방법
KR102430362B1 (ko) 2022-05-20 2022-08-08 주식회사 네오시티 사일로 내부 콘 프리캐스트 시공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사일로 내부 콘의 프리캐스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4503B1 (ko) 지하층의 1방향 보 및 데크 슬래브 시공을 위한 하향 골조타설 시스템 및 방법
KR101903628B1 (ko) 내진 성능이 강화된 더블 pc벽체 및 이를 이용한 pc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876355B1 (ko) 인상가이드가 포함된 교량 인상 장치 및 상기 교량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
CN114150766B (zh) 一种预制钢筋混凝土柱连接节点及其施工方法
CN105464216A (zh) 基于整体提升式模板加固系统超高超大截面斜柱的施工方法
KR101171746B1 (ko) 사일로 시공 방법
KR101889064B1 (ko)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
KR101527752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교의 시공방법
KR102197107B1 (ko) 임플란트식 파일압입구가 이식된 슬래브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기둥 시공방법
KR100814442B1 (ko) 무량 슬래브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무량 슬래브 시공방법
KR101458435B1 (ko) 안장형 띠철근과 이중 대근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39126B1 (ko) 탑다운 방식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KR101105883B1 (ko) 고층 콘크리트 건축물의 기초 매트 시공 방법
JP2016205051A (ja) 構造物の施工方法
KR20080111973A (ko) 프리스트레스 강합성빔 및 그 제작 방법
KR100840190B1 (ko) 연속교용 프리스트레스 강합성 콘크리트 상부플랜지를가지는 아이빔 세그멘트 연결방법
KR101054906B1 (ko) 슬립폼을 이용한 사일로 시공방법
KR100747665B1 (ko) 슬래브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101118508B1 (ko) 콘크리트 표면 정착판석 설치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CN104372948A (zh) 一种电梯井升模架
KR100860592B1 (ko) Pc블럭 적층시공용 가설구조
KR100791991B1 (ko) 슬래브일체형 합성거더를 이용한 가교설치방법
JP3470246B2 (ja) 鋼製脚柱の補強方法及びその補強脚柱
KR102159092B1 (ko) 원심 성형 중공 사각 pc 기둥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3653319A (zh) 多跑楼梯段及休息平台一体化支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