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231B1 - 콘크리트 옹벽용 가변형 거푸집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옹벽용 가변형 거푸집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231B1
KR100912231B1 KR1020070093856A KR20070093856A KR100912231B1 KR 100912231 B1 KR100912231 B1 KR 100912231B1 KR 1020070093856 A KR1020070093856 A KR 1020070093856A KR 20070093856 A KR20070093856 A KR 20070093856A KR 100912231 B1 KR100912231 B1 KR 100912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ariable
coupled
formwork
bottom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8340A (ko
Inventor
강정호
하동준
한동철
조광수
고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3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231B1/ko
Publication of KR20090028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8Shapes triang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콘크리트 옹벽용 가변형 거푸집 지지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거푸집 지지장치는, 콘크리트 옹벽용 거푸집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수직지지대와, 일단부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바닥수평지지대와, 상기 바닥수평지지대와 나란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수직지지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수평지지대와 가까울수록 길이가 길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수평지지대와, 상기 중간수평지지대의 타단부 및 상기 수직지지대에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경사지지대,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경사지지대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바닥수평지지대의 복수의 위치 중 어느 한 위치에 결합되는 가변지지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개시된 콘크리트 옹벽용 가변형 거푸집 지지장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거푸집의 높이 및 콘크리트 양압에 관계없이 거푸집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재사용이 가능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옹벽용 가변형 거푸집 지지장치{A length variable form supporting apparatus for concrete breast wall}
본 발명은 콘크리트 옹벽용 거푸집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콘크리트 옹벽의 양압에 따라 거푸집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옹벽용 거푸집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체 형성 공사를 수행할 경우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거푸집을 형성한 후, 상기 거푸집들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그러나, 지하층 공사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한 쌍의 거푸집을 마주보도록 형성할 수 없으므로, 터 파기한 흙벽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단일의 거푸집을 수직으로 형성한 후 상기 흙벽과 거푸집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합벽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흙벽과 거푸집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거푸집이 쓰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거푸집의 외측면을 받쳐주어 상기 거푸집을 안정되면서도 견고하게 지지하는 거푸집 지지장치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옹벽용 거푸집 지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거푸집 지지장치(10)는 수직지지대(11) 및 복수의 경사지지대(12)를 구비한다.
이하, 지하 콘크리트 옹벽 형성 공사 과정을 통해 거푸집 지지장치(10)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터 파기 공사에 의해 흙벽(미도시)을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흙벽과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기 흙벽과 마주 보도록 거푸집(1)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거푸집(1)을 지지하도록 거푸집 지지장치(10)를 거푸집(1)의 외측면에 배치한다. 이어서, 상기 흙벽과 거푸집(1)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2)를 타설한다. 이와 같이 거푸집 지지장치(10)를 배치함으로써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기간 동안 거푸집(1)이 제 위치에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거푸집 지지장치(10)는 거푸집(1)의 높이나 타설된 콘크리트의 두께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거푸집(1)의 높이나 타설된 콘크리트의 두께 등을 고려한 모든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공사현장에 다양한 크기의 거푸집 지지장치(10)가 필요하게 되므로 이의 제작 및 보관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거푸집의 높이 및 콘크리트 양압에 관계없 이 거푸집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옹벽용 거푸집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사용이 가능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콘크리트 옹벽용 거푸집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 옹벽용 거푸집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수직지지대;
일단부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바닥수평지지대;
상기 바닥수평지지대와 나란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수직지지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수평지지대와 가까울수록 길이가 길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수평지지대;
상기 중간수평지지대의 타단부 및 상기 수직지지대에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경사지지대;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경사지지대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바닥수평지지대의 복수의 위치 중 어느 한 위치에 결합되는 가변지지대;를 구비하는 거푸집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지지대에 결합되는 상기 가변지지대의 단부는 일자형 또는 T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변지지대에 결합되는 상기 경사지지대의 단부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일자형 또는 T자형의 가변지지대의 돌출부가 상기 ㄷ자형의 경사지지대의 홈에 삽입됨으로써 이들이 서로 회전가능하 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지지대에 결합되는 상기 가변지지대의 단부는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변지지대에 결합되는 상기 경사지지대의 단부는 일자형 또는 T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ㄷ자형의 가변지지대의 홈에 상기 일자형 또는 T자형의 경사지지대의 돌출부가 삽입됨으로써 이들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지지대와 이에 결합되는 상기 가변지지대에는 이들 내부를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한쌍의 체결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한쌍의 체결공들을 관통하도록 체결장치가 삽입되어 상기 경사지지대와 상기 가변지지대를 한 위치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변지지대는 내부에 길이방향의 홈이 형성된 제1 가변지지부 및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가변지지부 내벽을 슬라딩하는 제2 가변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변지지부와 제2 가변지지부는 이들 내부를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장치에 의해 체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가변지지부와 이에 결합되는 상기 제2 가변지지부에는 이들 내부를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쌍의 체결공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고, 상기 체결장치가 상기 체결공들 중 어느 한 쌍의 체결공들을 관통하여 상기 제1 가변지지부와 상기 제2 가변지지부를 한 위치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변지지대에는 상기 바닥수평지 지대와 결합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수평지지대에는 상기 가변지지대의 체결공에 대응되는 체결공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가변지지대에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바닥수평지지대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공들 중 어느 하나의 체결공을 관통하도록 체결장치가 삽입되어 상기 가변지지대와 상기 바닥수평지지대를 한 위치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닥수평지지대는 T자형으로 형성되고 이에 결합되는 상기 가변지지대의 단부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T자형의 바닥수평지지대의 돌출부가 상기 ㄷ자형의 가변지지대의 홈에 삽입됨으로써 이들이 서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닥수평지지대는 Π자형으로 형성되고 이에 결합되는 상기 가변지지대의 단부는 일자형 또는 T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Π자형의 바닥수평지지대의 홈에 상기 일자형 또는 T자형의 가변지지대의 돌출부가 삽입됨으로써 이들이 서로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거푸집의 높이 및 콘크리트 양압에 관계없이 거푸집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옹벽용 거푸집 지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재사용이 가능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콘크리트 옹벽용 거푸집 지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어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옹벽용 거푸집 지지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옹벽용 거푸집 지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발췌하여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지지장치(20)는 수직지지대(21), 바닥수평지지대(22), 중간수평지지대(23), 경사지지대(24), 및 가변지지대(25)를 구비한다.
수직지지대(21)는 콘크리트 옹벽용 거푸집(3)과 나란하게 수직으로 배치된다. 상기 거푸집(3)과 흙벽(미도시) 사이의 공간에는 콘크리트(4)가 타설되게 된다.
바닥수평지지대(22)는 그 일단부가 수직지지대(2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바닥위에 수평으로 배치된다.
중간수평지지대(23)는 바닥수평지지대(22)와 나란하도록 일단부가 수직지지대(21)에 결합되는 것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개만이 배치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중간수평지지대(23)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바닥수평지지대(22)에 가까운 지지대가 먼 지지대 보다 길이가 길도록 형성된다.
경사지지대(24)는 중간수평지지대(23)의 타단부, 즉 수직지지대(21)와 반대쪽에 있는 단부 및 수직지지대(21)에 결합되어 복수개의 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간수평지지대(23)가 1개만 배 치된 경우에는 수직지지대(21), 중간수평지지대(23), 및 경사지지대(24)는 1개의 삼각형을 이루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지대(24)와 수직지지대(21)는 제1 결합부(26)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
가변지지대(25)는 일단부가 경사지지대(24)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바닥수평지지대(22)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가변지지대(25)는 제1 가변지지부(25-1) 및 제2 가변지지부(25-2)로 구성되고, 제1 가변지지부(25-1) 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의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가변지지부(25-2)가 상기 홈에 삽입되어 제1 가변지지부(25-1) 내벽을 왕복 슬라딩하게 된다.
또한, 제1 가변지지부(25-1)와 제2 가변지지부(25-2)에는 이들 내부를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공들(25a)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쌍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공들(25a) 중 어느 한 쌍의 체결공들에 볼트 또는 조인트 핀 등의 체결장치(25b)가 관통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가변지지부들(25-1, 25-2)이 서로 체결되어 한 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부(27)는 경사지지대(24)와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고, 이와는 별도로 형성된 후 경사지지대(24)에 결합된 것일 수도 있다.
삭제
도 3을 참조하면, 경사지지대(24) 또는 제2 결합부(27)(이하, 간단히 제2 결합부(27)라고 함)에 결합되는 가변지지대(25)의 단부는 일자형으로 형성되고 가변지지대(25)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27)의 단부는 ㄷ자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일자형의 가변지지대(25)가 상기 ㄷ자형의 제2 결합부(27)의 홈에 삽입됨으로써 이들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변지지대(25)의 단부가는 일자형이 아닌 T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T자형의 가변지지대의 돌출부가 상기 ㄷ자형의 제2 결합부(27)의 홈에 삽입됨으로써 이들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는 반대로, 여기에서는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결합부(27)에 결합되는 가변지지대(25)의 단부는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가변지지대(25)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27)의 단부는 일자형 또는 T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ㄷ자형의 가변지지대(25)의 홈에 상기 일자형 또는 T자형의 제2 결합부(27)의 돌출부가 삽입됨으로써 이들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결합부(27)와 이에 결합되는 가변지지대(25)에는 이들 내부를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한쌍의 체결공들(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한쌍의 체결공들을 관통하도록 볼트 또는 조인트 핀 등의 체결장치(27a)가 삽입되어 경사지지대(24)와 가변지지대(25)를 한 위치에 고정시킨다.
또한, 바닥수평지지대(22)는 T자형으로 형성되고 이에 결합되는 가변지지 대(25)의 단부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T자형의 바닥수평지지대(22)의 돌출부가 상기 ㄷ자형의 가변지지대(25)의 홈에 삽입됨으로써 이들이 서로 결합된다. 이와는 달리, 비록 여기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바닥수평지지대(22)는 Π자형으로 형성되고 이에 결합되는 가변지지대(25)의 단부는 일자형 또는 T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Π자형의 바닥수평지지대(22)의 홈에 상기 일자형 또는 T자형의 가변지지대(25)의 돌출부가 삽입됨으로써 이들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가변지지대(25)에는 바닥수평지지대(22)와 결합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수평지지대(22)에는 가변지지대(25)의 상기 체결공에 대응되는 체결공들(22a)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거푸집 지지장치(20)의 설치시, 가변지지대(25)에 형성된 상기 체결공과 바닥수평지지대(22)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공들(22a) 중 어느 하나의 체결공을 관통하도록 볼트 또는 조인트 핀 등의 체결장치(22b)를 삽입하여 가변지지대(25)와 바닥수평지지대(22)를 한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지지장치(20)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흙벽과 거푸집(3)과 사이의 공간에 타설된 콘크리트(4)의 양압이 낮을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지지대(25)를 수직지지대(21)와 나란하도록 수직으로 고정시킨다. 이는 가변지지대(25)를 바닥수평지지대(22)에 형성된 체결공들(22a) 중 최우측 체결공에 체결장치(22b)를 통해 고정시키고, 이후 체결장치(27a)를 체결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가변지지부(25-1)는 제2 가변지지부(25-2)의 홈안으로 최대한 삽입된 상태로 된다. 또한 여기서, 콘크리트의 양압은 타설된 콘크리트(4)의 두께 및 높이를 매개변수로 하는 구조계산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콘크리트(4)의 양압이 높아질 경우에는 양압의 크기에 따라 가변지지대(25)를 바닥수평지지대(22)에 형성된 체결공들(22a) 중 최우측 체결공이 아닌 상기 최우측 체결공의 좌측에 위치한 체결공들 중 어느 한 체결공에 고정시킨다. 이는 체결장치(22b)와 체결장치(27a)를 순차적으로 체결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콘크리트(4)의 양압이 높아질수록 가변지지대(25)가 고정되는 위치는 상기 최우측 체결공으로부터 좌측으로 멀어지게 된다.
또한, 수직지지대(21), 바닥수평지지대(22), 중간수평지지대(23), 경사지지대(24), 가변지지대(25), 및 제1,제2 결합부(26, 27)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지지장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거푸집의 높이 및 콘크리트 양압에 관계없이 거푸집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거푸집 지지장치로 다양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어서, 별도의 거푸집 지지장치가 불필요하여 거푸집 지지장치의 제작과 관련된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지지장치는 일회용이 아니므로 재사용이 가능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재제작 및 설치와 관련된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도면 및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 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옹벽용 거푸집 지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옹벽용 거푸집 지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발췌하여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콘크리트 옹벽용 거푸집 지지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 거푸집 2, 4: 콘크리트
10, 20: 거푸집 지지장치 11, 21: 수직지지대
12, 24: 경사지지대 22: 바닥수평지지대
23: 수평지지대 25: 가변지지대
26: 제1 결합부 27: 제2 결합부

Claims (9)

  1. 콘크리트 옹벽용 거푸집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수직지지대;
    일단부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바닥수평지지대;
    상기 바닥수평지지대와 나란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수직지지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수평지지대와 가까울수록 길이가 길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수평지지대;
    상기 중간수평지지대의 타단부 및 상기 수직지지대에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경사지지대;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경사지지대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바닥수평지지대의 복수의 위치 중 어느 한 위치에 결합되는 가변지지대;를 구비하는 거푸집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지대에 결합되는 상기 가변지지대의 단부는 일자형 또는 T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변지지대에 결합되는 상기 경사지지대의 단부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일자형 또는 T자형의 가변지지대의 돌출부가 상기 ㄷ자형의 경사지지대의 홈에 삽입됨으로써 이들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지대에 결합되는 상기 가변지지대의 단부는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변지지대에 결합되는 상기 경사지지대의 단부는 일자형 또는 T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ㄷ자형의 가변지지대의 홈에 상기 일자형 또는 T자형의 경사지지대의 돌출부가 삽입됨으로써 이들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지대와 이에 결합되는 상기 가변지지대에는 이들 내부를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한쌍의 체결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한쌍의 체결공들을 관통하도록 체결장치가 삽입되어 상기 경사지지대와 상기 가변지지대를 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지지대는 내부에 길이방향의 홈이 형성된 제1 가변지지부 및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가변지지부 내벽을 슬라딩하는 제2 가변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변지지부와 제2 가변지지부는 이들 내부를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장치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변지지부와 이에 결합되는 상기 제2 가변지지부에는 이들 내부를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공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쌍 형성되고, 상기 체결장치가 상기 체결공들 중 어느 한 쌍의 체결공들을 관통하여 상기 제1 가변지지부와 상기 제2 가변지지부를 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수평지지대는 T자형으로 형성되고 이에 결합되는 상기 가변지지대의 단부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T자형의 바닥수평지지대의 돌출부가 상기 ㄷ자형의 가변지지대의 홈에 삽입됨으로써 이들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수평지지대는 Π자형으로 형성되고 이에 결합되는 상기 가변지지대의 단부는 일자형 또는 T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Π자형의 바닥수평지지대의 홈에 상기 일자형 또는 T자형의 가변지지대의 돌출부가 삽입됨으로써 이들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지지대에는 상기 바닥수평지지대와 결합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수평지지대에는 상기 가변지지대의 체결공에 대응되는 체결공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가변지지대에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바닥수평지지대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공들 중 어느 하나의 체결공을 관통하도록 체결장치가 삽입되어 상기 가변지지대와 상기 바닥수평지지대를 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장치.
KR1020070093856A 2007-09-14 2007-09-14 콘크리트 옹벽용 가변형 거푸집 지지장치 KR100912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856A KR100912231B1 (ko) 2007-09-14 2007-09-14 콘크리트 옹벽용 가변형 거푸집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856A KR100912231B1 (ko) 2007-09-14 2007-09-14 콘크리트 옹벽용 가변형 거푸집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340A KR20090028340A (ko) 2009-03-18
KR100912231B1 true KR100912231B1 (ko) 2009-08-14

Family

ID=40695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856A KR100912231B1 (ko) 2007-09-14 2007-09-14 콘크리트 옹벽용 가변형 거푸집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2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370B1 (ko) 2011-08-10 2011-12-30 동남이엔씨(주) 옹벽 지지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0164A (zh) * 2012-04-24 2012-08-29 中天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铝合金剪力墙模板的脚部支撑及尺寸控制装置
CN104453224A (zh) * 2014-10-24 2015-03-25 中国建筑第四工程局有限公司 一种地下室外墙的模板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CN105887910B (zh) * 2016-04-22 2020-03-31 广州比艾莫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基础承台的支模拆模系统及其工作过程
CN106150093A (zh) * 2016-08-25 2016-11-23 中交第四公路工程局有限公司 一种剪力墙外墙模板托架
CN106906841B (zh) * 2017-04-01 2019-02-12 中铁二局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单侧墙模板支撑体系施工工法
CN107893529B (zh) * 2017-11-28 2023-03-28 中建一局集团建设发展有限公司 适用于深基坑地下室外墙pc模板体系及其施工方法
CN109736353B (zh) * 2018-12-28 2020-10-09 杭州江润科技有限公司 复合式单侧支模深基坑地下室外墙的施工方法
CN110984573A (zh) * 2019-12-21 2020-04-10 陈烁 可调节式墙柱模板斜向支撑装置
CN114319868A (zh) * 2021-12-01 2022-04-12 中国新兴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楼梯间模板加固工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390A (ko) * 2002-04-04 2003-10-10 김현광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의 결합구조
KR200375157Y1 (ko) * 2004-11-25 2005-03-11 이천우 거푸집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390A (ko) * 2002-04-04 2003-10-10 김현광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의 결합구조
KR200375157Y1 (ko) * 2004-11-25 2005-03-11 이천우 거푸집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370B1 (ko) 2011-08-10 2011-12-30 동남이엔씨(주) 옹벽 지지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340A (ko)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231B1 (ko) 콘크리트 옹벽용 가변형 거푸집 지지장치
US20180044878A1 (en) Construction method for band type fiber reinforcing material for reinforced-soil retaining-wall
KR102243984B1 (ko) 자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합벽 순타 시공용 무지주 거푸집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007947B1 (ko) 가변식 탈형 보 데크 및 시공방법
JP6151337B2 (ja) ブロック積み土留め基礎及びブロック積み土留め基礎の施工方法
KR20180010685A (ko) 투시형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JP6192972B2 (ja) カルバート
JP2017227052A (ja) 型枠ハンガー
KR102065623B1 (ko) 개량형 멍에트러스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거푸집 구조
KR101664668B1 (ko)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JP5947105B2 (ja) PCa型枠の固定構造
KR101228615B1 (ko) 하우스 구조물용 골조파이프 지지장치
KR101848560B1 (ko) 거푸집 고정구조
KR101957455B1 (ko) Pc 래버린스 위어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JP6692175B2 (ja) 先行エレメントの端部構造および地中連続壁の施工方法
JP4757902B2 (ja) トンネル通路構築用壁面板
KR101550712B1 (ko)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JP5685745B2 (ja) 内底に勾配調整コンクリート打するプレキャスト有底側溝
KR101898158B1 (ko) 측구 제작용 강재 거푸집
TWI632274B (zh) 懸吊式鋼筋工作架及使用其之施工方法
EP3249146B1 (en) An installation comprising a fastening device and method
JP6604650B2 (ja) 擁壁型枠の固定金物
KR101724407B1 (ko)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
JP6706905B2 (ja) フレームカバーパネル取付構造
JP5753553B2 (ja) 擁壁の補修又は補強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