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0685A - 투시형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투시형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685A
KR20180010685A KR1020160093210A KR20160093210A KR20180010685A KR 20180010685 A KR20180010685 A KR 20180010685A KR 1020160093210 A KR1020160093210 A KR 1020160093210A KR 20160093210 A KR20160093210 A KR 20160093210A KR 20180010685 A KR20180010685 A KR 20180010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ricks
bolts
bolt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8423B1 (ko
Inventor
최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도벽돌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도벽돌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도벽돌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093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423B1/ko
Publication of KR20180010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7Strips or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54Tie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시형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산볼트를 연결하는 레일걸림볼트가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하로 조적되는 벽돌들의 사이에 고정클립을 설치하여 벽돌들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투시형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상부슬래브 및 하부슬래브에 설치되는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 상기 상,하부레일에 끼워지고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레일걸림볼트; 상기 레일걸림볼트에 일측단이 체결되어 레일걸림볼트를 상,하부레일에 고정시켜주는 연결너트; 상기 연결너트의 타측단에 체결되어 상,하부레일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전산볼트; 상기 전산볼트에 끼워져 높이 방향을 따라 다수단으로 조적되되, 전산볼트에 끼워짐으로써 폭방향으로 이웃하는 벽돌과 이격되도록 시공이 가능한 다수의 벽돌; 상기 전산볼트에 끼워지져 상,하에 위치하는 벽돌들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되, 벽돌벽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됨으로써 폭방향으로 이격되는 2개 이상의 벽돌들을 연결해주는 연속형 고정클립; 상기 전산볼트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상,하에 위치하는 벽돌들 사이에 개재되어 전산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해 가압됨으로서 벽돌들을 상하 고정해주는 단독형 고정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된 투시형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투시형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Direct vision type brick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투시형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벽돌을 띄어 쌓기 하여 투시가 가능한 벽돌벽을 형성하되, 상기 벽돌들은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전산볼트에 끼워지면서 조적됨으로써 안정적인 벽돌의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투시형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적식 외부벽돌벽은 벽돌을 모르타르로 점착하여 쌓는 구조로서, 주택이나 창고 및 빌라 등과 같은 건물의 내력벽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시공되고 내습 및 내구성이 좋으며 내화구조이고 경제적이어서 가장보편적인 방식으로 평가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벽돌을 띄어 쌓기 하여 투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투시형 벽돌벽의 시공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투시형 벽돌벽은 상부슬래브와 하부슬래브를 연결하는 전산볼트에 벽돌을 끼워 넣어 다수단으로 조적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투시형 벽돌벽은 벽돌들을 조적하는 과정에서 전산볼트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오차 발생시 이에 대응하지 못해 전산볼트를 다시 설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하로 조적되는 벽돌이 단순히 전산볼트에 끼워진 상태에서 모르타르에 의해 부착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상당히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5957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900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산볼트를 연결하는 레일걸림볼트가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하로 조적되는 벽돌들의 사이에 고정클립을 설치하여 벽돌들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투시형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건축물의 상부슬래브 및 하부슬래브에 설치되는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 상기 상,하부레일에 끼워지고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레일걸림볼트; 상기 레일걸림볼트에 일측단이 체결되어 레일걸림볼트를 상,하부레일에 고정시켜주는 연결너트; 상기 연결너트의 타측단에 체결되어 상,하부레일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전산볼트; 상기 전산볼트에 끼워져 높이 방향을 따라 다수단으로 조적되되, 전산볼트에 끼워짐으로써 폭방향으로 이웃하는 벽돌과 이격되도록 시공이 가능한 다수의 벽돌; 상기 전산볼트에 끼워져 상,하에 위치하는 벽돌들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되, 벽돌벽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됨으로써 폭방향으로 이격되는 2개 이상의 벽돌들을 연결해주는 연속형 고정클립; 상기 전산볼트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상,하에 위치하는 벽돌들 사이에 개재되어 전산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해 가압됨으로서 벽돌들을 상하 고정해주는 단독형 고정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 끝단에서 동일방향을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의 끝단에서 바닥판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레일걸림볼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판으로 이루어진 레일몸체; 상기 레일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레일걸림볼트가 상부레일과 하부레일로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는 소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몸체의 측면판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부슬래브 및 하부슬래브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매설되도록 하는 보강철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속형 고정클립은, 상기 전산볼트에 끼워질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벽돌벽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는 2개 이상의 벽돌들을 연결하여 벽돌들의 유동을 방지해주는 클립몸체; 상기 클립몸체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모르타르와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독형 고정클립은, 일측 가장자리에서 내측방향을 향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끼움홈을 통해 전산볼트에 끼워지도록 설치된 후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돌들 중 상부슬래브와 인접하는 적어도 2단 이상의 벽돌은, 내측에 형성되는 중공과 연결되는 개구부(520)가 측면에 형성되어 개구부(520)를 통해 전산볼트에 측방향으로 끼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부슬래브 및 하부슬래브의 시공시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이 매설되도록 시공하는 레일설치단계; 상기 하부레일에 다수의 레일걸림볼트를 끼워 넣고 설계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연결너트의 일측단을 레일걸림볼트에 체결하여 하부레일에 고정해주는 하측 레일걸림볼트 설치단계; 상기 연결너트의 타측단에 전산볼트를 체결하여 벽돌벽의 높이 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하는 전산볼트 설치단계; 상기 전산볼트에 벽돌이 끼워지도록 다수단으로 조적하되 상,하로 조적된 벽돌들 사이에 모르타르를 도포하여 줄눈을 형성하면서 벽돌을 조적하는 벽돌 조적단계; 상기 벽돌을 조적하는 과정에서 일정 간격마다 상, 하로 조적되는 벽돌들 사이에 개재되도록 고정클립을 설치하는 고정클립 설치단계; 상기 상부레일에 레일걸림볼트를 끼워 넣고 연결너트를 이용하여 레일걸림볼트와 상기 벽돌이 끼워지는 전산볼트를 연결해주는 상측 레일걸림볼트 설치단계; 상기 벽돌들을 조적하는 과정에서 상부슬래브와 인접하는 적어도 2단 이상의 벽돌들은 내측에 형성되는 중공과 연결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산볼트에 측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설치하는 상부마감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설치단계는, 상기 레일걸림볼트가 끼워지는 레일몸체를 설치하고, 상기 레일걸림볼트가 레일몸체로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소켓부를 레일몸체의 길이방향에 연속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레일몸체의 폭방향으로 관통되도록 보강철근을 설치하고 상부슬래브와 하부슬래브의 내부에 매설된 철근에 연결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클립 설치단계는, 상기 전산볼트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상,하에 위치하는 벽돌들 사이에 개재되되, 벽돌벽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는 2개 이상의 벽돌들을 연결해주는 연속형 고정클립 설치단계와, 상기 전산볼트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상,하에 위치하는 벽돌들 사이에 개재되되, 전산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해 가압됨으로서 벽돌들 고정해주는 단독형 고정클립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투시형 벽돌벽은, 상부슬래브와 하부슬래브에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을 형성하여 레일걸림볼트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고정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시공성이 매우 뛰어나고 오차에 대해서도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일몸체와 연속되도록 소켓부를 설치하여 레일걸림볼트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의 설치시 보강철근을 이용하여 상부슬래브와 하부슬래브에 배근된 철근과 연결되도록 시공함으로써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의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하로 위치하는 벽돌들 사이에 연속형 고정클립과 단독형 고정클립을 설치하여 벽돌벽의 폭방향으로 위치하는 벽돌을 잡아줌과 동시에 높이 방향으로 위치하는 벽돌들 까지 가압 고정하여 견고하고 안정적인 벽돌벽의 형성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투시형 벽돌벽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투시형 벽돌벽을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투시형 벽돌벽을 나타낸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형 고정클립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일에 레일걸림볼트를 결합한 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투시형 벽돌벽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투시형 벽돌벽을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투시형 벽돌벽을 나타낸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형 고정클립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일에 레일걸림볼트를 결합한 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투시형 벽돌벽(10)은, 상부슬래브(30)와 하부슬래브(20)에 설치되는 상부레일(100b) 및 하부레일(100a)과, 상기 상,하부레일(100b)(100a)에 끼워지고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레일걸림볼트(200)와, 상기 레일걸림볼트(200)에 일측단이 체결되어 레일걸림볼트(200)를 상, 하부레일(100b)(100a)에 고정시켜주는 연결너트(300)와, 상기 연결너트(300)의 타측단에 체결되어 상, 하부레일(100b)(100a)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전산볼트(400)와, 상기 전산볼트(400)에 끼워져 높이 방향을 따라 다수단으로 조적되되, 전산볼트(400)에 끼워짐으로써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다른 벽돌(500)들과 이격되도록 시공이 가능한 다수의 벽돌(500)과, 상기 전산볼트(400)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상, 하에 위치하는 벽돌(500) 사이에 개재되도록 위치하되, 벽돌벽(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됨으로써 폭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조적되는 2개 이상의 벽돌(500)을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연속형 고정클립(600)과, 상기 전산볼트(400)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상,하에 위치하는 벽돌(500)들 사이에 개재되어 전산볼트(400)에 체결되는 너트(310)에 의해 가압됨으로서 벽돌(500)들을 상하방향으로 고정해주는 단독형 고정클립(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레일(100b)과 하부레일(100a)은 상부슬래브(30)와 하부슬래브(20)의 시공시 미리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 공간을 끼워지는 레일걸림볼트(20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레일걸림볼트(200)가 걸려져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레일몸체(110)와, 상기 레일몸체(110)의 길이방향에서 연속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레일걸림볼트(200)가 레일몸체(11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소켓(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일몸체(110)는, 바닥판(111)과, 상기 바닥판(111)의 양 끝단에서 동일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판(112)과, 상기 측면판(112)의 끝단에서 바닥판(111) 방항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레일걸림볼트(200)의 두부(210)가 걸려지게 되는 걸림판(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소켓(120)은 바닥판(121)과 상기 바닥판(121)의 양측면에서 동일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판(112)으로 이루어져 레일걸림볼트(200)가 레일몸체(110)의 내측으로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상기 레일걸림볼트(200)는 두부(210)가 걸림판(113) 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레일몸체(110)의 내측 공간으로 직접적으로 삽입될 수가 없어 상기 소켓(120)을 통해 레일걸림볼트(200)의 두부(210)를 삽입한 후 레일몸체(110)의 내측 공간으로 끼워넣음으로써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레일몸체(110)에는 레일몸체(110)의 측면판(112)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부슬래브(30)와 하부슬래브(20)의 내부에 매설된 철근(4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상부레일(100b)과 하부레일(100a)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강철근(130)이 더 설치된다.
상기 보강철근(130)은 절곡부(131)를 형성하여 절곡부(131)를 기준으로 일측단은 상부슬래브(30) 및 하부슬래브(20)의 내부에 배근된 철근(40)의 상부로 배근되고 타측은 하부로 배근되어 연결됨으로써 보다 견고한 이음 시공이 이루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연결너트(300)는 통상의 너트보다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양측으로 볼트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내부 중심에는 공간을 구획하는 걸림턱(도시없음)이 형성되어 양측으로 체결되는 볼트들이 일정한 깊이까지만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너트(300)를 이용하여 레일걸림볼트(200)를 고정할 경우 와셔(220)를 매개로 하여 레일걸림볼트(200)의 결합력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벽돌(500)은 내부에 다수의 중공(510)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통상의 벽돌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돌(500)은, 상부슬래브(30)와 인접하는 적어도 2단 이상의 벽돌은 내측에 형성되는 중공(510)과 연결되는 개구부(520)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520)를 통해 전산볼트(400)에 측방향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벽돌벽(10)의 최상단을 시공할 경우 전산볼트(400)가 연결너트(300)에 의해 상부레일(100b)에 설치되는 레일걸림볼트(200)에 체결되기 때문에 벽돌을 수직하게 끼워 넣을 수가 없어 벽돌(500)의 측면에 개구부(520)를 형성하여 벽돌(500)을 측면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개구부(520)는 중공의(510)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벽돌(500)을 전산볼트(400)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벽돌(500)을 이동시키면 벽돌(500)의 중공(510) 내면에 전산볼트(400)가 걸려짐으로써 벽돌(500)이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인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속형 고정클립(600)은 상기 전산볼트(400)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벽돌벽(10)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는 2개 이상의 벽돌(500)들을 연결하여 벽돌(500)들을 일체화시켜 유동을 방지하는 클립몸체(610)와, 상기 클립몸체(610)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벽돌(500)을 조적하는 과정에서 도포되는 모르타르(530)와의 부착력이 증가되도록 하는 다수의 돌기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립몸체(610)는 상기 전산볼트(4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되, 클립몸체(610)의 설치위치 조절 및 오차에 대응할 수 있도록 클립몸체(6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홀(61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단독형 고정클립(700)은 일측 가장자리에서 내측방향을 향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끼움홈(710)을 통해 전산볼트(400)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너트(310)에 의해 가압되어 높이 방향으로 조적되는 벽돌(500)들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너트(310)는 통상의 너트를 이용하여 단독형 고정클립(700)을 가압할 수 도 있고, 상기 연결너트(300)를 통해서도 단독형 고정클립(700)을 가압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단독형 고정클립(700)은 상기 끼움홈(710)을 통해 전산볼트(400)의 측면에서 끼움 시공이 가능하게 되어 간편하고 빠른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투시형 벽돌벽의 시공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상부슬래브(30) 및 하부슬래브(20)의 시공시 상기 상부레일(100b)과 하부레일(100a)을 미리 매설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부슬래브(30)와 하부슬래브(20)를 시공하는 레일설치단계와, 상기 하부레일(100a)에 다수의 레일걸림볼트(200)를 끼워 넣고 설계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연결너트(300)의 일측단을 레일걸림볼트(200)에 체결하여 하부레일(100a)에 고정해주는 하측 레일걸림볼트 설치단계와, 상기 연결너트(300)의 타측단에 전산볼트(400)를 체결하여 벽돌벽(10)의 높이 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하는 전산볼트 설치단계와, 상기 전산볼트(400)에 벽돌이 끼워지도록 다수단으로 조적하되 상, 하로 조적된 벽돌(500)들 사이에 모르타르(530)를 도포하여 줄눈을 형성하면서 벽돌(500)을 조적하는 벽돌 조적단계와, 상기 벽돌(500)을 조적하는 과정에서 일정 간격마다 상, 하로 조적되는 벽돌(500)들 사이에 개재되도록 고정클립을 설치하는 고정클립 설치단계와, 상기 상부레일(100b)에 레일걸림볼트(200)를 끼워 넣고 연결너트(300)를 이용하여 레일걸림볼트(200)와 상기 벽돌(500)이 끼워지는 전산볼트(400)를 연결해주는 상측 레일걸림볼트 설치단계와, 상기 벽돌(500)들의 조적하는 과정에서 상부슬래브(30)와 인접하는 적어도 2단 이상의 벽돌(500)들은 내측에 형성되는 중공(510)과 연결되는 개구부(520)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구부(520)를 통해 전산볼트(400)에 측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설치하는 상부마감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일설치단계는, 상부슬래브(30)와 하부슬래브(20)의 콘크리트 타설시 설계된 위치에 레일몸체(110)와 소켓(120)을 미리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이다.
즉 상부레일(100b)과 하부레일(100a)은 상부슬래브(30)와 하부슬래브(20)의 시공시 미리 설치해 놓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레일(100b)과 하부레일(100a)의 레일몸체(11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부슬래브(30)와 하부슬래브(20)의 내부에 배근되는 철근(40)에 연결되도록 보강철근(130)을 더 설치하여 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측 레일걸림볼트 설치단계는, 소켓(120)을 통해 레일걸림볼트(200)의 두부(210)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소켓(120)에 연속되도록 설치된 레일몸체(110)의 내부 공간으로 레일걸림볼트(200)를 이동시키고 설계된 위치에서 연결너트(300)를 이용하여 고정시켜주는 과정이다.
이때 상기 레일걸림볼트(200)와 연결너트(300) 사이에는 와셔(220)를 개재하여 결합력을 향상시켜준다.
상기 전산볼트 설치단계는 상기 연결너트(300)에 전산볼트(400)를 체결하여 벽돌(500)의 끼움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과정이다.
이때 투시형 벽돌벽(10)의 높이에 따라 상기 전산볼트(400)는 다수의 연결너트(300)를 통해 이음 시공하여 벽돌벽(10)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벽돌 조적단계는 벽돌(500)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510)을 통해 상기 전산볼트(400)에 끼워지도록 하면서 벽돌(500)을 조적하는 과정이다.
이때 상기 벽돌(500)들은 영롱쌓기(띄어쌓기) 형태로 벽돌벽(10)의 폭방향으로 이웃하는 벽돌(500)과 이격되도록 하여 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클립 설치단계는, 상기 전산볼트(400)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상,하에 위치하는 벽돌(500)들 사이에 상기 연속형 고정클립(600)을 개재되도록 설치하여 벽돌벽(10)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는 2개 이상의 벽돌(500)들을 연결해주는 연속형 고정클립(600)을 설치하는 연속형 고정클립 설치단계와, 상기 전산볼트(400)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상,하에 위치하는 벽돌(500)들 사이에 개재되는 단독형 고정클립(700) 설치하여 전산볼트(400)에 체결되는 너트(310)에 의해 가압됨으로서 벽돌(500)들 고정해주는 단독형 고정클립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측 레일걸림볼트 설치단계는, 상부레일(100b)에 레일걸림볼트(200)를 설치하고 연결너트(300)를 이용하여 상기 전산볼트(400)를 연결해줌으로써 전산볼트(400)의 양단이 상, 하부레일(100a)에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이때 설치되는 레일걸림볼트(200) 또한 소켓(120)을 통해 레일몸체(110)의 내부공간으로 진입하여 레일몸체(110)에 걸려지게 되고 연결너트(30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마감단계는 최상단에 끼워지는 벽돌은 상기 전산볼트(400)가 상부레일(100b)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전산볼트(400)에 수직하게 끼워질 수가 없어서, 벽돌(500)의 중공(510)에 연결되는 개구부(520)를 형성하여 전산볼트(400)에 측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설치하는 과정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상부레일(100b)과 하부레일(100a)의 내부에 모르타르(530)를 주입하여 레일걸림볼트(200)가 완전히 고정되도록 하는 모르타르 주입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상부레일(100b)과 하부레일(100a)의 내부에 모르타르(530)를 주입함으로서 레일걸림볼트(200)가 레일상에서 유동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여 설계된 위치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산볼트(400)가 끼워지는 벽돌(500)의 중공(510)에는 모르타르(530)를 주입하여 벽돌이 전산볼트(400)와 벽돌(500)이 일체가 되도록 함으로써 벽돌(500)의 비들림이나 유동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투시형 벽돌벽(10)은, 상부슬래브(30)와 하부슬래브(20)에 상부레일(100b)과 하부레일(100a)을 형성하여 레일걸림볼트(20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고정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시공성이 매우 뛰어나고 오차에 대해서도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레일몸체(110)와 연속되도록 소켓(120)을 설치하여 레일걸림볼트(200)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시공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부레일(100b)과 하부레일(100a)의 설치시 보강철근을 이용하여 상부슬래브(30)와 하부슬래브(20)에 배근된 철근과 연결되도록 시공함으로써 상부레일(100b)과 하부레일(100a)의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하로 위치하는 벽돌들 사이에 연속형 고정클립(600)과 단독형 고정클립(700)을 설치하여 벽돌벽(10)의 폭방향으로 위치하는 벽돌을 잡아줌과 동시에 높이 방향으로 위치하는 벽돌들 까지 가압 고정하여 견고하고 안정적인 벽돌벽의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벽돌벽 (20) : 하부슬래브
(30) : 상부슬래브 (100a) : 하부레일
(40) : 철근 (100b) : 상부레일
(110) : 레일몸체 (111) : 바닥판
(112) : 측면판 (113) : 걸림판
(120) : 소켓 (121) : 바닥판
(122) : 측면판 (130) : 보강철근
(131) : 절곡부 (200) : 레일걸림볼트
(210) : 두부 (220) : 와셔
(300) : 연결너트 (310) : 너트
(400) : 전산볼트 (500) : 벽돌
(510) : 중공 (520) : 개구부
(530) : 모르타르 (600) : 연속형 고정클립
(610) : 클립몸체 (611) : 슬롯홀
(620) : 돌기부 (700) : 단독형 고정클립
(710) : 끼움홈 (800) : 모르타르

Claims (9)

  1. 건축물의 상부슬래브 및 하부슬래브에 설치되는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
    상기 상,하부레일에 끼워지고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레일걸림볼트;
    상기 레일걸림볼트에 일측단이 체결되어 레일걸림볼트를 상,하부레일에 고정시켜주는 연결너트;
    상기 연결너트의 타측단에 체결되어 상,하부레일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전산볼트;
    상기 전산볼트에 끼워져 높이 방향을 따라 다수단으로 조적되되, 전산볼트에 끼워짐으로써 폭방향으로 이웃하는 벽돌과 이격되도록 시공이 가능한 다수의 벽돌;
    상기 전산볼트에 끼워져 상,하에 위치하는 벽돌들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되, 벽돌벽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됨으로써 폭방향으로 이격되는 2개 이상의 벽돌들을 연결해주는 연속형 고정클립;
    상기 전산볼트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상,하에 위치하는 벽돌들 사이에 개재되어 전산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해 가압됨으로서 벽돌들을 상하 고정해주는 단독형 고정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형 벽돌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 끝단에서 동일방향을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의 끝단에서 바닥판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레일걸림볼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판으로 이루어진 레일몸체;
    상기 레일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레일걸림볼트가 상부레일과 하부레일로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는 소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형 벽돌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몸체의 측면판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부슬래브 및 하부슬래브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매설되도록 하는 보강철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형 벽돌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형 고정클립은
    상기 전산볼트에 끼워질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벽돌벽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는 2개 이상의 벽돌들을 연결하여 벽돌들의 유동을 방지해주는 클립몸체;
    상기 클립몸체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모르타르와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형 벽돌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독형 고정클립은, 일측 가장자리에서 내측방향을 향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끼움홈을 통해 전산볼트에 끼워지도록 설치된 후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형 벽돌벽.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돌들 중 상부슬래브와 인접하는 적어도 2단 이상의 벽돌은, 내측에 형성되는 중공과 연결되는 개구부가 측면에 형성되어 개구부를 통해 전산볼트에 측방향으로 끼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형 벽돌벽.
  7. 상부슬래브 및 하부슬래브의 시공시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이 매설되도록 시공하는 레일설치단계;
    상기 하부레일에 다수의 레일걸림볼트를 끼워 넣고 설계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연결너트의 일측단을 레일걸림볼트에 체결하여 하부레일에 고정해주는 하측 레일걸림볼트 설치단계;
    상기 연결너트의 타측단에 전산볼트를 체결하여 벽돌벽의 높이 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하는 전산볼트 설치단계;
    상기 전산볼트에 벽돌이 끼워지도록 다수단으로 조적하되 상,하로 조적된 벽돌들 사이에 모르타르를 도포하여 줄눈을 형성하면서 벽돌을 조적하는 벽돌 조적단계;
    상기 벽돌을 조적하는 과정에서 일정 간격마다 상, 하로 조적되는 벽돌들 사이에 개재되도록 고정클립을 설치하는 고정클립 설치단계;
    상기 상부레일에 레일걸림볼트를 끼워 넣고 연결너트를 이용하여 레일걸림볼트와 상기 벽돌이 끼워지는 전산볼트를 연결해주는 상측 레일걸림볼트 설치단계;
    상기 벽돌들을 조적하는 과정에서 상부슬래브와 인접하는 적어도 2단 이상의 벽돌들은 내측에 형성되는 중공과 연결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산볼트에 측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설치하는 상부마감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형 벽돌벽의 시공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설치단계는,
    상기 레일걸림볼트가 끼워지는 레일몸체를 설치하고,
    상기 레일걸림볼트가 레일몸체로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소켓을 레일몸체의 길이방향에 연속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레일몸체의 폭방향으로 관통되도록 보강철근을 설치하고 상부슬래브와 하부슬래브의 내부에 매설된 철근에 연결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형 벽돌벽의 시공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 설치단계는
    상기 전산볼트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상,하에 위치하는 벽돌들 사이에 개재되고 벽돌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는 2개 이상의 벽돌들을 연결해주는 연속형 고정클립을 설치하는 연속형 고정클립 설치단계와,
    상기 전산볼트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상,하에 위치하는 벽돌들 사이에 개재되고, 전산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해 가압됨으로서 벽돌들 고정해주는 단독형 고정클립을 설치하는 단독형 고정클립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형 벽돌벽의 시공방법.











KR1020160093210A 2016-07-22 2016-07-22 투시형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058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210A KR102058423B1 (ko) 2016-07-22 2016-07-22 투시형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210A KR102058423B1 (ko) 2016-07-22 2016-07-22 투시형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685A true KR20180010685A (ko) 2018-01-31
KR102058423B1 KR102058423B1 (ko) 2019-12-23

Family

ID=61083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210A KR102058423B1 (ko) 2016-07-22 2016-07-22 투시형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4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400B1 (ko) 2018-08-07 2019-07-15 키움건설 주식회사 빗장걸기 방식이 적용되는 투시형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212286B1 (ko) 2019-08-22 2021-02-04 타이아(주) IoT 기반 모듈 단위 무인 스마트 마트 시스템, 그리고 이의 제공 방법
CN115126116A (zh) * 2022-06-23 2022-09-30 南通固盛建材有限公司 一种抗裂型建筑垃圾再生混凝土墙板
EP4155473A1 (de) * 2021-09-23 2023-03-29 Leviat GmbH Wandanordn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5726U (ko) * 2013-04-30 2014-11-07 윤기원 조립식 단열벽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9825B2 (ja) * 2000-09-06 2006-03-01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煉瓦組積構造、煉瓦組積工法及び煉瓦
JP3798420B1 (ja) * 2005-10-13 2006-07-19 株式会社張替工務店 鉄骨・鉄筋補強型乾式ブロック組積工法
JP2014129682A (ja) * 2012-12-28 2014-07-10 Takenaka Komuten Co Ltd レンガ壁の壁面構造、及びレンガ壁の施工方法
KR101422445B1 (ko) * 2014-04-24 2014-07-22 심장보 벽돌 건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5726U (ko) * 2013-04-30 2014-11-07 윤기원 조립식 단열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400B1 (ko) 2018-08-07 2019-07-15 키움건설 주식회사 빗장걸기 방식이 적용되는 투시형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212286B1 (ko) 2019-08-22 2021-02-04 타이아(주) IoT 기반 모듈 단위 무인 스마트 마트 시스템, 그리고 이의 제공 방법
EP4155473A1 (de) * 2021-09-23 2023-03-29 Leviat GmbH Wandanordnung
CN115126116A (zh) * 2022-06-23 2022-09-30 南通固盛建材有限公司 一种抗裂型建筑垃圾再生混凝土墙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423B1 (ko) 201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5481B2 (en) Anchorage system of ventilated facades
JP5968846B2 (ja) コンクリート壁高欄の取付け構造
KR20180010685A (ko) 투시형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243984B1 (ko) 자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합벽 순타 시공용 무지주 거푸집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70072080A (ko) 교량 캔틸레버부 및 그 시공방법
KR100991046B1 (ko) 에이치빔 및 그 에이치빔을 이용한 철골구조 건축물의시공방법
KR200436231Y1 (ko) 보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20140012827A (ko) 건축용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물
KR101500313B1 (ko) 건식 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85204A (ko) 리프팅 보조장치가 구비된 교량용 프리캐스트 바닥판
KR101463106B1 (ko) 건축용 pc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물
KR200443097Y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
KR20110019188A (ko) 슬래브 구축용 결합구조
KR20090124721A (ko) 건축물 골조부의 조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461500Y1 (ko) 방수턱 거푸집
KR20100041459A (ko) 건축용 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보거푸집시스템
JP4757902B2 (ja) トンネル通路構築用壁面板
KR101898158B1 (ko) 측구 제작용 강재 거푸집
KR100848081B1 (ko) 조립형 갱폼의 지지부 연장 설치 구조
KR20160116274A (ko) 조립형강과 데크 플레이트를 활용한 일체화 구조를 갖는 수벽
KR101648071B1 (ko) 슬래브 타설용 데크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0459011B1 (ko) 다층콘크리트 건축물의 연결부재 및 그 설치방법
CN215519970U (zh) 用于支撑固定承接模板的支承加固工具
KR102152059B1 (ko) 외부벽돌벽의 인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60120828A (ko) 방수턱틀 고정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