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000Y1 -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 - Google Patents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000Y1
KR200418000Y1 KR2020060006356U KR20060006356U KR200418000Y1 KR 200418000 Y1 KR200418000 Y1 KR 200418000Y1 KR 2020060006356 U KR2020060006356 U KR 2020060006356U KR 20060006356 U KR20060006356 U KR 20060006356U KR 200418000 Y1 KR200418000 Y1 KR 2004180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foam
present
support
aluminum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3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옥순
Original Assignee
정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옥순 filed Critical 정옥순
Priority to KR20200600063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0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0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0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6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에 있어서, 바닥면(A)에 설치하되 견고한 고정을 위한 콘크리트 못이 삽입되도록 다수의 체결공(111)이 구비된 받침대(110)와, 상기 받침대(110)의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되 평면상으로 직사각형을 이루며 길이가 짧은 세로방향의 측면이 알루미늄폼(B)의 표면과 맞닿아 지지하는 알루미늄폼 지지대(120)와, 상기 알루미늄폼 지지대(120)와 측면에 형성되어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한 보강대(130)로 구성되는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알루미늄폼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벽체 타설시 균일한 표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충격 및 진동으로 인한 알루미늄폼의 이동을 방지하여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벽체 타설시 부실시공의 원인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아울러 본 고안은 작업자가 용이하게 알루미늄폼의 정확한 설치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 및 시공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알루미늄폼, 위치, 고정, 벽체, 타설

Description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A location fixing device for aluminum form}
도 1 - 종래 알루미늄폼의 설치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용상태 참고도.
도 2 - 본 고안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3 - 본 고안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4 - 본 고안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5 - 본 고안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를 이용하여 알루미늄폼을 고정하기 위한 사용상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고안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
110: 받침대 111: 체결공
120: 알루미늄폼 지지대 121: 오목홈
122: 콘크리트 유입공
130: 보강대
A: 바닥면 B: 알루미늄폼(알폼)
C: 플랫타이(Flat Tie) D: 벽체철근
본 고안은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폼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알루미늄폼용 지지력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시 벽체의 균일한 표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폼(B)은 아파트 및 건축공사에서 벽체 및 천정을 시공하기 위해서 가설(假設)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건축자재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알루미늄폼(B)의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 및 압력으로 발생하는 단차부로 인해서 시공품질이 저하됨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플랫타이(C)를 설치하여 알루미늄폼(B)의 견고한 지지력 및 시공품질을 확보하게 된다.
이때 콘크리트 벽체를 타설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바닥면(A)에 기준선(먹줄)을 표시한 후 상기 알루미늄폼(B)을 기준선을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플랫타이(C)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폼(B)의 설치작업은 작업자의 개인숙련도 및 경험치에 따라서 설치위치가 결정되는 것으로, 이는 작업능률이 저하될 뿐만 아 니라 부실시공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폼(B)의 균일한 설치위치를 확보할 수 없게 되므로 벽체의 타설과정에서 발생하는 물리적인 하중의 효율적인 분산이 어렵게 되므로 결국 타설된 콘크리트의 내부에 균열이 발생하여 시공성 및 안전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특히 상기 알루미늄폼(B)의 설치 및 기타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 및 진동으로 인해 설치된 알루미늄폼(B)의 위치가 쉽게 변동되므로 이로 인한 벽체의 균일한 표면을 얻을 수 없게 되어 시공품질이 저하되는 단점을 갖게 되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알루미늄폼(B)의 손상 및 파손이 발생할 경우에는 알루미늄폼(B)의 특성상 대체사용이 불가능하므로 이를 다시 제작될 때까지 시공을 중단해야 함은 물론 알루미늄폼(B)의 제작비용 증가로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이처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알루미늄폼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콘크리트 타설시 벽체의 균일한 표면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시공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작업자가 용이하게 알루미늄폼의 정확한 설치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해 작업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공기간을 단축하기 위한 알 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100)는 바닥면(A)에 설치하되 견고한 고정을 위한 콘크리트 못이 삽입되도록 다수의 체결공(111)이 구비된 받침대(110)와, 상기 받침대(110)의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되 평면상으로 직사각형을 이루며 길이가 짧은 세로방향의 측면이 알루미늄폼(B)의 표면과 맞닿아 지지하는 알루미늄폼 지지대(120)와, 상기 알루미늄폼 지지대(120)와 측면에 형성되어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한 보강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대(110)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때 상기 다수의 체결공(111)은 작업자가 망치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못을 지면에 박아서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대(110)의 설치위치는 작업자가 사전에 바닥면(A)에 표시한 기준선(먹줄)을 따라서 설치되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한편, 상기 알루미늄폼 지지대(120)는 본 고안에 있어서 중요한 구성으로, 이는 알루미늄폼(B)의 표면과 맞닿아 지지하여 작업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 및 진동으로 인한 알루미늄폼(B)의 이동을 방지하여 벽체의 타설시 균일한 표면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용이하게 상기 알루미늄폼 지지대(120)의 표면에 알루미늄폼(B)을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자의 숙련도 및 작업능률에 관계없이 정확한 위치에 상기 알루미늄폼(B)을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알루미늄폼 지지대(120)는 평면상으로 직사각형상을 갖도록 형성하여 길이가 짧은 측면이 알루미늄폼(B)의 표면에 밀착하여 지지하도록 하였는데, 이는 본 고안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폼(B)의 사이에 위치하여 벽체 타설시 콘크리트와 함께 양생이 되는 1회성을 갖는 건축자재이므로, 결국 벽체 타설 후 상기 알루미늄폼(B)을 해체하게 되면 상기 알루미늄폼 지지대(120)의 표면이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러한 노출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표면적이 적은 측면이 알루미늄폼(B)을 지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폼(B)과 맞닿는 알루미늄폼 지지대(120)의 측면에는 별도의 오목홈(121)을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 또한 알루미늄폼(B)과의 맞닿은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알루미늄폼 지지대(120)의 표면에는 관통되는 다수의 콘크리트 유입공(122)을 형성하여 벽체 타설시 콘크리트가 상기 콘크리트 유입공(122)을 통과하여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100)는 가공성이 양호하며 설치 후 부식으로 인한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 금속재질보다는 플라스틱(합성수지)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짐은 당연할 것이다.
본 고안은 알루미늄폼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벽체 타설시 균일한 표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충격 및 진동으로 인한 알루미늄폼의 이동을 방지하여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벽체 타설시 부실시공의 원인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아울러 본 고안은 작업자가 용이하게 알루미늄폼의 정확한 설치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 및 시공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에 있어서,
    바닥면(A)에 설치하되 견고한 고정을 위한 콘크리트 못이 삽입되도록 다수의 체결공(111)이 구비된 받침대(110)와, 상기 받침대(110)의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되 평면상으로 직사각형을 이루며 길이가 짧은 세로방향의 측면이 알루미늄폼(B)의 표면과 맞닿아 지지하는 알루미늄폼 지지대(120)와, 상기 알루미늄폼 지지대(120)와 측면에 형성되어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한 보강대(13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알루미늄폼(B)의 표면과 맞닿는 상기 알루미늄폼 지지대(120)의 측면에는 오목홈(121)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폼 지지대(120)의 표면에는 관통되는 다수의 콘크리트 유입공(122)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는 플라스틱(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
KR2020060006356U 2006-03-09 2006-03-09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 KR2004180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356U KR200418000Y1 (ko) 2006-03-09 2006-03-09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356U KR200418000Y1 (ko) 2006-03-09 2006-03-09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000Y1 true KR200418000Y1 (ko) 2006-06-07

Family

ID=41767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356U KR200418000Y1 (ko) 2006-03-09 2006-03-09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0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326Y1 (ko) 2011-12-13 2013-06-07 최재주 알루미늄 폼의 하단 지지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326Y1 (ko) 2011-12-13 2013-06-07 최재주 알루미늄 폼의 하단 지지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1135194A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бетонной платформы, бетонная платформа и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деталь
KR20180045140A (ko) 고정작업이 필요없는 무해체 보 거푸집과 데크 플레이트의 결합구조
KR101789320B1 (ko) 콘크리트 타설 이동 칸막이폼
KR101170103B1 (ko) 조립식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트렌치 구조
KR100917308B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KR200418001Y1 (ko)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
KR200418000Y1 (ko)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
KR20100117288A (ko) 콘크리트 타설 레벨러
KR101207921B1 (ko) 인서트 앙카 겸용 철근받침대
KR101978599B1 (ko) 갱폼 고정구
KR100988270B1 (ko) 슬래브용 레벨러에 방미장용 레벨러를 연결 사용하여 공사단계별 바탕면 마감높이를 표시한 레벨 스페이서 장치
JP2017227052A (ja) 型枠ハンガー
KR101627159B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및 그 설치 지그
KR101322581B1 (ko) 철근 및 행거볼트 고정 기능을 갖는 받침대
KR200414945Y1 (ko) 유러폼의 슬라브 타설용 데크패널
JP5534593B2 (ja) 鏝およびこの鏝を用いる法面補強工法ならびに法面補強構造
KR200281867Y1 (ko) 철근받침대
KR101272189B1 (ko) 슬래브용 방음패널 고정구조
KR200234872Y1 (ko) 철근받침대
KR100863003B1 (ko) 난간 설치 구조 및 시공 방법
KR20160043501A (ko)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KR200442551Y1 (ko) 거푸집 지지장치용 브라켓
KR200414936Y1 (ko) 거푸집 설치용 합판 받침대
KR200223187Y1 (ko) 키커브라켓트
JP7363863B2 (ja) 布基礎用型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