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801A -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64801A KR20180064801A KR1020160165121A KR20160165121A KR20180064801A KR 20180064801 A KR20180064801 A KR 20180064801A KR 1020160165121 A KR1020160165121 A KR 1020160165121A KR 20160165121 A KR20160165121 A KR 20160165121A KR 20180064801 A KR20180064801 A KR 201800648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side wall
- coupling
- mold
- engag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6063 cullet Substances 0.000 claims 2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96 hollow spac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83 cement mort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형틀을 지지하는 결합프레임이 결합부에 의하여 측벽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측벽부에 결합된 결합프레임을 용이하게 철거 가능하여,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형틀을 엘리베이터 피트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피트는 하측에서 엘리베이터를 점검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최하층의 바닥보다 약 2미터 내외의 공간을 갖도록 하단에 구성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는 건물의 하중을 벽체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며, 이러한 벽체의 하중은 하단 구조를 통해 지반으로 전달된다. 이를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에 이를 지지하기 위한 기초 구조가 형성되어야 하고,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기초바닥부(1)에 오목하게 굴토하여 형성된 굴토바닥부(2)에 엘리베이터 피트(10)와 형틀(20)을 차례로 배치한다.
엘리베이터 피트(10)는 굴토바닥부(2)에 배치되는 바닥부(12)와, 바닥부(12)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되는 측벽부(14)와, 측벽부(14)의 상단에 형성되는 피트결합부(16)를 포함한다. 피트결합부(16)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결합수단(30)의 제 1 웨지핀(32)이 삽입되도록 복수 개의 제 1 관통홀(16b)이 형성되고, 피트결합부(16)의 외측에는 후술하는 지지콘크리트층(7)에 내설되는 기초철근(8)이 삽입되도록 복수 개의 제 2 관통홀(16a)이 형성된다.
형틀(20)은 유로폼 등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피트결합부(16)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지지부(22)와, 지지부(22)의 하단에서 피트결합부(16)와 맞닿도록 절곡 형성되는 형틀결합부(24)를 포함한다. 그리고 피트결합부(16)와 형틀결합부(24)는 제 1, 2 웨지핀(32, 34) 등의 결합수단(30)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다. 이때, 피트결합부(16)와 형틀결합부(24)가 제 1, 2 웨지핀(32, 34) 등의 결합수단(30)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기 위하여 피트결합부(16)에는 제 1 관통홀(16b)이 형성되고, 형틀결합부(24)에는 형틀결합홀(24a)이 형성된다. 그리고 형틀(20)이 엘리베이터 피트(10)의 상부에 설치될 때, 형틀(20)의 형틀결합부(24)에 형성된 형틀결합홀(24a)은 엘리베이터 피트(10)의 피트결합부(16)에 형성된 제 1 관통홀(16b)과 마주보도록 위치된 후, 제 1 웨지핀(32)이 형틀결합홀(24a)과 제 1 관통홀(16b)에 일체로 관통된다. 그 후, 제 2 웨지핀(34)이 제 1 웨지핀(32)의 하단에 삽입된다.
그 후, 측벽부(14)와 지지부(22)의 외측에 콘크리트 즉, 시멘트혼합물이 타설되어 콘크리트층(5)이 형성된다. 상기 콘크리트층(5)은 기초바닥부(1)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축물의 최하층 바닥을 이루는 기초콘크리트층(6)과, 측벽부(14) 및 지지부(22)의 외측을 따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축물을 지지하는 지지콘크리트층(7)을 포함한다.
도 3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후 형틀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피트(10)에 형틀(20)이 설치된 후,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층(5)이 형성되면, 경우에 따라 형틀(20)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형틀(20)의 지지부(22)와 맞닿아 있던 지지콘크리트층(7)의 내벽부(7a)는 형틀(20)을 따라 평평하게 형성되어 엘리베이터가 지나가는 길목을 제공한다.
한편,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지지콘크리트층(7)이 형성될 때, 피트결합부(16)의 내측, 즉 형틀(20)의 형틀결합부(24)와 맞닿아 있던 피트결합부(16)의 내측에는 아직 형틀(20)이 설치된 상태이므로, 상기 콘크리트는 피트결합부(16)의 내측으로는 타설될 수 없다. 이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가 경화되어 형틀(20)이 제거되면, 지지콘크리트층(7)의 내벽부(7a)는 피트결합부(16)의 내측보다 형틀(20)의 두께만큼 안쪽에 형성되어, 피트결합부(16)의 내측, 즉, 돌출부(16c)는 지지콘크리트층(7)의 내벽부(7a)보다 외부로 돌출된다.
그런데 지지콘크리트층(7)의 내벽부(7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가 지나가는 길목을 제공하므로, 엘리베이터가 상하 이동하는 도중 지지콘크리트층(7)의 내벽부(7a)보다 외부로 돌출된 피트결합부(16)의 돌출부(16c)에 걸리거나 긁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피트결합부(16)의 돌출부(16c)를 커팅하기도 하나, 측벽부(14)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면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16c)를 커팅하는 작업은 상당히 오래 걸리고 난이도가 요구되므로, 공기를 늘리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형틀을 엘리베이터 피트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콘크리트층의 내벽부가 형성된 후, 형틀을 지지하고 있던 지지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저면에 배치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 그 상부로 돌출되는 측벽부를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상기 측벽부의 상측에 상기 바닥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결합프레임; 상기 측벽부와 상기 결합프레임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및 상기 결합프레임에 지지되는 형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측벽부의 내면 상측에 밀착되는 결합바와, 상기 결합바에서 상기 측벽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형틀은 상기 연장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결합바와 상기 측벽부에 일체로 관통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되 그 단부는 상기 결합바와 상기 측벽부를 지나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부의 단부에 너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층이 형성될 때, 상기 너트는 상기 콘크리트층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부가 회전되면서 상기 너트에 끼워지거나 또는, 상기 너트에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의 외면에 철근연결부가 장착되고, 상기 측벽부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층이 형성될 때, 상기 콘크리트층에는 기초철근이 내설되되, 상기 기초철근은 상기 철근연결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철근연결부는 상기 결합바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바와 상기 측벽부와 상기 철근연결부에 일체로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되 그 단부는 상기 결합바와 상기 측벽부와 상기 철근연결부를 지나 상기 철근연결부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부의 단부에 너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너트는 상기 철근연결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상기 콘크리트층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부가 회전되면서 상기 너트에 끼워지거나 또는, 상기 너트에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형틀은, 상기 측벽부 또는 상기 결합프레임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 상기 결합프레임과 맞닿도록 형성되는 형틀결합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프레임의 상기 형틀결합부와 맞닿는 위치에 복수 개의 제 1 결합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형틀결합부에 상기 제 1 결합안내홀과 마주보도록 복수 개의 제 2 결합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결합안내홀과 상기 제 2 결합안내홀에 형틀고정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보다 안쪽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의 상부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상기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바닥부가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는, 제 1 바닥면부와, 상기 제 1 바닥면부의 상부로 이격되는 제 2 바닥면부와, 상기 제 1 바닥면부와 상기 제 2 바닥면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바닥면부의 안쪽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개구부에서 그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바닥면부의 상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제 2 바닥면부가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 및 상기 형틀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층이 형성되면, 상기 형틀 및 상기 결합프레임이 제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 바닥면에 터파기를 하여 굴토바닥부를 형성시키는 굴토 과정; 상기 굴토바닥부에 바닥부와 측벽부를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를 베치시키는 엘리베이터 피트 배치 과정; 상기 측벽부의 내면 상측에 결합프레임을 배치시키는 결합프레임 배치 과정; 상기 측벽부와 상기 결합프레임에 결합부가 결합되는 결합부 결합 과정; 상기 결합프레임에 형틀이 배치되는 형틀 배치 과정; 상기 측벽부 및 상기 형틀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층이 형성되는 타설 과정; 상기 형틀이 제거되는 형틀 제거 과정; 상기 결합부가 상기 측벽부와 상기 결합프레임에서 탈거되는 결합부 탈거 과정; 및 상기 결합프레임이 제거되는 결합프레임 제거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 결합 과정은: 상기 결합부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되 그 단부는 상기 결합프레임과 상기 측벽부를 지나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 위치되는 단계; 및 상기 결합부의 단부에 너트가 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타설 과정에서, 상기 콘크리트층이 형성되면,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 위치되는 상기 너트는 상기 콘크리트층에 구속되고, 상기 결합부 탈거 과정은, 상기 결합부가 회전되면서 상기 너트에서 제거되어, 상기 결합부가 상기 측벽부와 상기 결합프레임에서 탈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프레임 배치 과정과 상기 결합부 결합 과정 사이에, 상기 측벽부의 외면에 철근연결부가 상기 결합프레임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철근연결부 배치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 결합 과정은: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프레임과 상기 측벽부와 상기 철근연결부에 일체로 관통되는 단계; 및 상기 결합부의 단부에 너트가 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설 과정 이전에, 상기 철근연결부에 기초철근이 연결되는 기초철근 연결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형틀을 지지하는 결합프레임이 결합부에 의하여 측벽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측벽부에 결합된 결합프레임을 용이하게 철거 가능하여,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형틀은 지지돌출부와 안내돌출부에 가이드된 상태로 안착부의 상측에세워지도록 위치되므로, 별도의 고정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공사가 간단해지고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지지부는 측벽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므로, 프레임지지부를 컷팅하는 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되어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후 형틀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결합프레임이 엘리베이터 피트에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엘리베이터 피트에 구비되는 철근연결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결합프레임에 형틀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엘리베이터 피트에서 형틀이 제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구비되는 바닥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결합프레임이 엘리베이터 피트에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결합프레임에 형틀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엘리베이터 피트에서 형틀이 제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구비되는 바닥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결합프레임이 엘리베이터 피트에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결합프레임에 형틀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엘리베이터 피트에서 형틀이 제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구비되는 바닥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후 형틀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결합프레임이 엘리베이터 피트에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엘리베이터 피트에 구비되는 철근연결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결합프레임에 형틀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엘리베이터 피트에서 형틀이 제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구비되는 바닥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결합프레임이 엘리베이터 피트에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결합프레임에 형틀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엘리베이터 피트에서 형틀이 제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구비되는 바닥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결합프레임이 엘리베이터 피트에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결합프레임에 형틀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엘리베이터 피트에서 형틀이 제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구비되는 바닥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결합프레임이 엘리베이터 피트에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는 엘리베이터 피트(100), 결합프레임(200), 결합수단(300) 및 형틀(500)을 포함하며, 철근연결부(400) 및 형틀고정수단(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피트(100)는 바닥부(110) 및 측벽부(120)를 포함한다. 바닥부(110)는 대략 사각 또는 원 형상의 판형으로 형성되며, 내부 강도 및 지지 강도의 확보를 위해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부(110)는 건축물의 평평한 기초바닥부(1: 도 6 도시) 또는, 기초바닥부(1)를 굴토하여 형성된 굴토바닥부((2: 도 6 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현장 조건에 따라 굴토바닥부(2)에는 버림콘크리트층(미도시)이 타설될 수도 있다. 측벽부(120)는 바닥부(110)의 테두리에서 그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바닥부(11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 예를 들면, 사각 형상의 바닥부(110)를 따라 4개의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120)에 의하여 바닥부(110)의 상부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그리고 바닥부(110)와 측벽부(1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로 형성된 후 용접 결합, 볼트 결합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120)는 견고한 철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프레임(200)은 측벽부(120)의 상측에 바닥부(110)와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후술하는 형틀(5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부(110)와 수평한 측벽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프레임(200)은 측벽부(120)의 내면 상측에 밀착되는 결합바(202)와, 상기 결합바(202)의 상측에서 측벽부(1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연장부(204)를 포함한다.
결합수단(300)은 측벽부(120)와 결합프레임(200)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 결합부(302) 및 너트(304)를 포함한다. 결합부(302)는 예를 들면 볼트 형상 등으로 형성되며 결합바(202)와 측벽부(120)에 일체로 관통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결합바(202)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관통홀(202a)이 형성되고, 측벽부(120)의 결합관통홀(202a)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복수 개의 측벽관통홀(120a)이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302)의 단부는 결합관통홀(202a)과 측벽관통홀(120a)에 차례로 관통된 후 측벽부(120)의 외측에 위치된다. 너트(304)는 측벽부(120)의 외측에 위치된 결합부(302)의 단부에 결합되어, 측벽부(120)와 결합프레임(20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측벽부(120)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후술하는 콘크리트층(5: 도 6 도시)이 형성될 때, 상기 콘크리트층(5)에는 기초철근(8: 도 6 도시)이 내설되고, 기초철근(8)은 엘리베이터 피트(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 피트(100)에는 철근연결부(400)가 구비되어, 기초철근(8)이 엘리베이터 피트(100)에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철근연결부(400)는 측벽부(120)의 외측 상부에 밀착되되 결합바(202)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연결바(402)와, 연결바(402)의 하단에서 측벽부(1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철근안내부(404)를 포함한다. 철근안내부(404)에는 기초철근(8)이 삽입되도록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철근안내홀(404a)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바(402)의 결합관통홀(202a)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연결관통홀(402a)이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302)의 단부는 결합관통홀(202a)과 측벽관통홀(120a)에 차례로 관통된 후 연결관통홀(402a)을 지나, 측벽부(120)의 외측에 위치된다. 너트(304)는 측벽부(120)의 외측에 위치된 결합부(302)의 단부에 결합되어, 결합부(302)는 결합프레임(200)과 철근연결부(400)를 일체로 결합시킨다.
또한, 경우에 따라 결합관통홀(202a), 측벽관통홀(120a) 및 연결관통홀(402a)은 미리 형성되지 아니하고, 결합부(302)가 삽입되기 전에, 드릴 등에 의하여 현장에서 한 번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합관통홀(202a), 측벽관통홀(120a) 및 연결관통홀(402a)이 상호 마주보도록 일렬로 위치시키지 않아도 되어 공기가 단축된다.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엘리베이터 피트에 구비되는 철근연결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철근연결부(410)는 측벽부(120)의 외측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바(412)와, 연결바(412)의 하단에서 측벽부(1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철근안내부(414)를 포함한다. 그리고 연결바(412)는 측벽부(120)의 외측 상부에 용접 결합되거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연결바(412)는 측벽부(120)의 외측 중앙 또는 하부에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철근안내부(414)에는 기초철근(8)이 삽입되도록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철근안내홀(414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결합프레임에 형틀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형틀(500)은 통상의 거푸집, 측벽용 패널, 유로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시공 후에 제거되거나, 또는 일체화된 상태로 벽체로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틀(500)은 예를 들면 목재, 합성수지, 금속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형틀(500)의 구조를 살펴보면, 측벽부(12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부(502)와, 결합프레임(200)에 지지되도록 지지부(502)의 하단에서 결합프레임(200)의 연장부(204)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틀결합부(504)를 포함한다.
형틀고정수단(600)은 형틀결합부(504)와 결합프레임(200)을 상호 결합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면, 웨지핀 형상의 제 1, 2 형틀고정부(602, 604)를 포함한다. 그리고 결합프레임(200)의 연장부(204)에는 제 1 결합안내홀(204a)이 형성되고, 형틀(500)의 형틀결합부(504)에는 제 1 결합안내홀(204a)과 대향되는 위치에 제 2 결합안내홀(504a)이 형성된다. 그리고 형틀(500)이 결합프레임(200)에 지지되도록 배치될 때, 제 1, 2 결합안내홀(204a, 504a)에 제 1 형틀고정부(602)가 일체로 삽입되고, 제 1 형틀결합부(504)의 하단에 제 2 형틀결합부(504)가 삽입된다.
그리고 측벽부(120)와 지지부(502)의 외측에 콘크리트 즉, 시멘트혼합물이 타설되어 콘크리트층(5)이 형성된다. 상기 콘크리트층(5)은 기초바닥부(1)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축물의 최하층 바닥을 이루는 기초콘크리트층(5)과, 측벽부(120) 및 지지부(502)의 외측을 따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축물을 지지하는 지지콘크리트층(7)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초콘크리트층(5)과 지지콘크리트층(7)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기초철근(8)이 종, 횡으로 교차 배치되도록 매설될 수 있으며, 이때, 기초철근(8)은 엘리베이터 피트(100)에 결합된 철근연결부(400)의 철근안내홀(404a)에 삽입되어 엘리베이터 피트(100)는 기초철근(8)과 함께 콘크리트층(5)에 일체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엘리베이터 피트에서 형틀이 제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층(5)이 형성되면 형틀(500)이 제거된다. 이를 위하여 제 1, 2 형틀고정부(602, 604)가 제거되고 이어서 형틀(500)이 제거된다. 그러면 도 7과 같이 형틀(500)이 있던 자리는 내벽부(7a)가 구비되며, 내벽부(7a)는 엘리베이터가 지나가는 길목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내벽부(7a)보다 돌출되도록 위치된 결합프레임(200)은 결합수단(300)에 의하여 측벽부(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합프레임(200)은 용이하게 철거된다. 즉, 결합수단(300)의 결합부(302)는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결합부(302)를 회전시켜서 제거하면 결합프레임(200)은 더 이상 측벽부(120)에 구속되지 아니하여, 결합프레임(200)을 용이하게 철거 가능하다. 이때, 측벽부(120)의 외측에 위치되는 너트(304)는 콘크리트층(5)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결합부(302)만 철거 가능하다.
이처럼 결합프레임(200)은 결합부(302)에 의하여 측벽부(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측벽부(120)에 결합된 결합프레임(200)을 용이하게 철거 가능하여,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구비되는 바닥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바닥부(111)는 내부에 빈 공간이 구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바닥면부(112)와, 제 2 바닥면부(114)와, 연결측부(116)를 포함한다. 제 1 바닥면부(112)는 굴토바닥부(2)에 밀착되는 것으로, 내부 강도 및 지지 강도의 확보를 위해 일정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바닥면부(114)는 제 1 바닥면부(112)의 상부로 이격되는 것으로, 제 1 바닥면부(112)와 비슷한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바닥면부(114)의 중앙에는 개구부(115)가 관통 형성된다. 연결측부(116)는 제 1 바닥면부(112)와 제 2 바닥면부(114)의 상호 마주보는 테두리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측벽부(120)는 바닥부(111)의 개구부(115)의 내주연을 따라 그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바닥부(111)의 제 2 바닥면부(114)는 측벽부(120)보다 외부로 돌출되도록 위치되므로, 지지콘크리트층(7)의 하중은 제 2 바닥면부(114)로 인가되어 제 2 바닥면부(114)는 지지콘크리트층(7)에 의한 하방 압력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바닥부(111)의 제 1 바닥면부(112)로 전해지는 지하수 등에 의한 상방 압력이 상기 하방 압력에 의하여 일정 부분 상쇄된 상태로 측벽부(120)로 전달되므로, 측벽부(120)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리브를 덧대는 등의 보강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시공 방법은 먼저, 건물 바닥면을 평평하게 터파기 하여 굴토바닥부(2)를 형성하고(S100), 굴토바닥부(2)에 바닥부(110)와 측벽부(120)를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100)를 베치시킨다(S102). 그 후, 측벽부(120)의 내면 상측에 결합프레임(200)을 배치시킨다(S104). 이어서 측벽부(120)의 외면 상측에 철근연결부(400)가 상기 결합프레임(200)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S106). 이때, 결합프레임(200)의 결합바(202)가 측벽부(120)의 내면 상측에 밀착되고, 철근연결부(400)의 연결바(402)가 측벽부(120)의 외면 상측에 밀착된다. 그 후, 볼트 형상의 결합부(302)가 결합프레임(200)과 측벽부(120)를 지나 철근연결부(400)에 일체로 관통되고, 이어서 결합부(302)의 단부에 너트(304)가 결합되어, 결합프레임(200)이 측벽부(120)의 내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철근연결부(400)가 측벽부(120)의 외면에 고정된다(S108). 그 후, 결합프레임(200)에 형틀(500)이 배치되고(S110), 철근연결부(400)에 기초철근(8)이 연결된다(S112). 상기 S110단계와 상기 S112단계는 경우에 따라 그 순서가 바뀔 수 있다. 그 후, 측벽부(120) 및 형틀(500)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층(5)이 형성된다(S114). 이처럼 콘크리트층(5)이 형성되면, 상기 측벽부(120)의 외측에 위치되는 너트(304)는 콘크리트층(5)에 구속된다. 이어서 형틀(500)이 제거된 후(S116), 결합부(302)가 측벽부(120)와 결합프레임(200)에서 탈거된다(S118). 이때, 결합부(302)는 회전되면서 너트(304)에서 제거되어, 결합부(302)가 측벽부(120)와 결합프레임(200)에서 용이하게 탈거된다. 그 후, 탈거된 결합프레임(200)이 제거된다(S120).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결합프레임이 엘리베이터 피트에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결합프레임(210)이 상이하고, 엘리베이터 피트(100)에 지지돌출부(450)와 프레임지지부(310)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엘리베이터 피트(100)는 사각 또는 원 형상의 바닥부(110) 및 바닥부(110)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측벽부(120)를 포함한다.
지지돌출부(450)는 측벽부(120)의 상단에서 그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측벽부(120)의 상단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돌출부(450)는 측벽부(120)의 상단에 일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용접 결합되거나 또는 접착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지지부(310)는 후술하는 결합프레임(210)을 지지하도록 측벽부(120)의 내면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측벽부(120)의 내면 상측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프레임지지부(310)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지지부(310)는 예를 들면 측벽부(120)의 후술하는 삽입돌출부(216)와 마주보는 위치에 'ㄷ'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삽입안내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안내부(312)에는 삽입돌출부(216)가 삽입되도록 그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홈 또는 홀 형상의 삽입부(314)가 구비된다.
결합프레임(210)은 측벽부(120)의 상측에 바닥부(110)와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후술하는 형틀(51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부(110)와 수평한 측벽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프레임(210)은 측벽부(120)의 내면 상측에 고정되는 프레임지지부(310)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프레임지지부(310)의 상부에 지지되되, 지지돌출부(45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착부(212)와, 상기 안착부(212)의 상기 지지돌출부(450)의 반대 방향 측부에 상기 지지돌출부(450)와 대향되도록 돌출되는 안내돌출부(214)와, 상기 안착부(212)의 지지돌출부(450)와 마주보는 측부에 안착부(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삽입돌출부(216)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돌출부(216)는 프레임지지부(310)의 삽입부(314)에 삽입되도록 안착부(212)의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돌출부(216)의 길이는 길게 형성될 수도 있고,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측벽부(120)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후술하는 콘크리트층(5: 도 12 도시)이 형성될 때, 상기 콘크리트층(5)에는 기초철근(8)(8: 도 12 도시)이 내설되고, 기초철근(8)은 엘리베이터 피트(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 피트(100)에는 철근연결부(420)가 구비되어, 기초철근(8)이 엘리베이터 피트(100)에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철근연결부(420)는 측벽부(120)의 외면 상측에서 그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측벽부(120)의 외면 상측에 용접 결합되거나 또는 접착 결합되거나 별도의 볼트 등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철근연결부(420)에는 기초철근(8)이 삽입되도록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철근안내홀(422)이 형성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철근연결부(410: 도 14 도시)가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결합프레임에 형틀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형틀(510)은 통상의 거푸집, 측벽용 패널, 유로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시공 후에 제거되거나, 또는 일체화된 상태로 벽체로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형틀(510)은 측벽부(12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틀(510)은 지지돌출부(450)와 안내돌출부(214)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안착부(212)에 지지된다. 이처럼 형틀(510)은 지지돌출부(450)와 안내돌출부(214)에 가이드된 상태로 안착부(212)의 상측에 세워지도록 위치되므로, 별도의 고정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공사가 간단해지고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측벽부(120)와 지지부(502)의 외측에 콘크리트층(5)이 형성된다. 상기 콘크리트층(5)은 기초콘크리트층(5)과, 지지콘크리트층(7)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철근연결부(420)의 철근안내홀(422)에 기초철근(8)이 연결된 상태로 기초콘크리트층(5)과 지지콘크리트층(7)에 배치되도록 매설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엘리베이터 피트에서 형틀이 제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도 12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층(5)이 형성되면, 형틀(510)이 결합프레임(210)에서 제거된 후 이어서 결합프레임(210)이 제거된다. 그러면 도 13과 같이 형틀(510)이 있던 자리는 내벽부(7a)가 구비되며, 내벽부(7a)는 엘리베이터가 지나가는 길목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내벽부(7a)보다 돌출되도록 위치된 프레임지지부(310)는 제거된다. 이를 위하여 프레임지지부(310)의 측벽부(120)와 만나는 단부를 컷팅하는 컷팅작업을 한다. 이때, 프레임지지부(310)는 측벽부(120)를 따라 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12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므로, 프레임지지부(310)를 컷팅하는 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되어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구비되는 바닥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바닥부(111)는 내부에 빈 공간이 구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바닥면부(112)와, 제 2 바닥면부(114)와, 연결측부(116)를 포함한다. 제 1 바닥면부(112)는 굴토바닥부(2)에 밀착되는 것으로, 내부 강도 및 지지 강도의 확보를 위해 일정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바닥면부(114)는 제 1 바닥면부(112)의 상부로 이격되는 것으로, 제 1 바닥면부(112)와 비슷한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바닥면부(114)의 중앙에는 개구부(115)가 관통 형성된다. 연결측부(116)는 제 1 바닥면부(112)와 제 2 바닥면부(114)의 상호 마주보는 테두리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측벽부(120)는 바닥부(111)의 개구부(115)의 내주연을 따라 그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시공 방법은 먼저, 건물 바닥면을 평평하게 터파기 하여 굴토바닥부(2)를 형성하고(S200), 굴토바닥부(2)에 바닥부(110)와 측벽부(120)와 지지돌출부(450)를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100)를 베치시킨다(S202). 그 후, 측벽부(120)의 내면 상측에 구비된 프레임지지부(310)에 결합프레임(210)을 배치시킨다(S124). 이어서 측벽부(120)의 외면 상측에 철근연결부(420)가 상기 결합프레임(210)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S126). 그 후, 지지돌출부(450)와 결합프레임(210)에 형틀(510)이 끼워진 상태로 배치되고(S208), 철근연결부(420)에 기초철근(8)이 연결된다(S210). 상기 S208단계와 상기 S210단계는 경우에 따라 그 순서가 바뀔 수 있다. 그 후, 측벽부(120) 및 형틀(510)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층(5)이 형성된다(S202). 이어서 형틀(510)이 제거된 후(S214), 결합프레임(210)이 프레임지지부(310)에서 제거된다(S216). 그 후 프레임지지부(310)가 제거된다(S218).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결합프레임이 엘리베이터 피트에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는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프레임지지부(320) 및 결합프레임(220)이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프레임지지부(320)는 후술하는 결합프레임(220)을 지지하도록 엘리베이터 피트(100)의 측벽부(120)의 내면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측벽부(120)의 내면 상측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프레임지지부(320)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지지부(320)는 예를 들면 측벽부(120)의 후술하는 삽입돌출부(226)와 마주보는 위치에 삽입돌출부(226)의 길이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부(322)와, 상기 지지돌부(322)의 선단부에서 그 상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324)를 포함하고, 지지돌출부(450)와 절곡부(324) 사이에 공간부(326)가 구비된다.
결합프레임(220)은 측벽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형틀(510)을 지지하는 것으로, 프레임지지부(320)의 상부에 지지되되, 지지돌출부(45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착부(222)와, 상기 안착부(222)의 상기 지지돌출부(450)의 반대 방향 측부에 상기 지지돌출부(450)와 대향되도록 돌출되는 안내돌출부(224)와, 상기 안착부(222)의 지지돌출부(450)와 마주보는 측부에 안착부(222)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돌출부(22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프레임(220)이 프레임지지부(320)에 결합될 때, 결합프레임(220)의 삽입돌출부(226)가 프레임지지부(320)의 공간부(326)에 삽입된다. 그러면 지지돌출부(450)와 안내돌출부(224)가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측벽부(120)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후술하는 콘크리트층(5: 도 18 도시)이 형성될 때, 상기 콘크리트층(5)에는 기초철근(8: 도 18 도시)이 내설되고, 기초철근(8)은 엘리베이터 피트(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기초철근(8)은 엘리베이터 피트(100)와 결합된 철근연결부(420)의 철근안내홀(422)에 삽입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결합프레임에 형틀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를 참조하면, 형틀(510)은 측벽부(12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틀(510)은 지지돌출부(450)와 안내돌출부(224)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안착부(222)에 지지된다. 이처럼 형틀(510)은 지지돌출부(450)와 안내돌출부(224)에 가이드된 상태로 안착부(222)의 상측에 세워지도록 위치되므로, 별도의 고정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공사가 간단해지고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측벽부(120)와 지지부(502)의 외측에 콘크리트층(5)이 형성된다. 상기 콘크리트층(5)은 기초콘크리트층(5)과, 지지콘크리트층(7)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철근연결부(420)의 철근안내홀(422)에 기초철근(8)이 연결된 상태로 기초콘크리트층(5)과 지지콘크리트층(7)에 배치되도록 매설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엘리베이터 피트에서 형틀이 제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도 18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층(5)이 형성되면, 형틀(510)이 결합프레임(220)에서 제거된 후 이어서 결합프레임(220)이 제거된다. 그러면 도 19와 같이 형틀(510)이 있던 자리는 내벽부(7a)가 구비되며, 내벽부(7a)는 엘리베이터가 지나가는 길목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내벽부(7a)보다 돌출되도록 위치된 프레임지지부(320)는 제거된다. 이를 위하여 프레임지지부(320)의 측벽부(120)와 만나는 단부를 컷팅하는 컷팅작업을 한다. 이때, 프레임지지부(320)는 측벽부(120)를 따라 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12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므로, 프레임지지부(320)를 컷팅하는 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되어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구비되는 바닥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바닥부(111)는 내부에 빈 공간이 구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바닥면부(112)와, 제 2 바닥면부(114)와, 연결측부(116)를 포함한다. 제 1 바닥면부(112)는 굴토바닥부(2)에 밀착되는 것으로, 내부 강도 및 지지 강도의 확보를 위해 일정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바닥면부(114)는 제 1 바닥면부(112)의 상부로 이격되는 것으로, 제 1 바닥면부(112)와 비슷한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바닥면부(114)의 중앙에는 개구부(115)가 관통 형성된다. 연결측부(116)는 제 1 바닥면부(112)와 제 2 바닥면부(114)의 상호 마주보는 테두리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측벽부(120)는 바닥부(111)의 개구부(115)의 내주연을 따라 그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엘리베이터 피트
110, 111: 바닥부
112: 제 1 바닥면부 114: 제 2 바닥면부
115: 개구부 116: 연결측부
120: 측벽부 120a: 측벽관통홀
200: 결합프레임 202: 결합바
202a: 결합관통홀 204: 연장부
204a: 제 1 결합안내홀 210: 결합프레임
212: 안착부 214: 안내돌출부
216: 삽입돌출부 220: 결합프레임
222: 안착부 224: 안내돌출부
226: 삽입돌출부 300: 결합수단
302: 결합부 304: 너트
310: 프레임지지부 312: 삽입안내부
314: 삽입부 320: 프레임지지부
322: 지지돌부 324: 절곡부
326: 공간부 400: 철근연결부
402: 연결바 402a: 연결관통홀
404: 철근안내부 404a: 철근안내홀
410: 철근연결부 412: 연결바
414: 철근안내부 414a: 철근안내홀
420: 철근연결부 420a: 철근안내홀
450: 지지돌출부 500: 형틀
502: 지지부 504: 형틀결합부
510: 형틀 504a: 제 2 결합안내홀
600: 형틀고정수단 602: 제 1 형틀고정부
604: 제 2 형틀고정부
112: 제 1 바닥면부 114: 제 2 바닥면부
115: 개구부 116: 연결측부
120: 측벽부 120a: 측벽관통홀
200: 결합프레임 202: 결합바
202a: 결합관통홀 204: 연장부
204a: 제 1 결합안내홀 210: 결합프레임
212: 안착부 214: 안내돌출부
216: 삽입돌출부 220: 결합프레임
222: 안착부 224: 안내돌출부
226: 삽입돌출부 300: 결합수단
302: 결합부 304: 너트
310: 프레임지지부 312: 삽입안내부
314: 삽입부 320: 프레임지지부
322: 지지돌부 324: 절곡부
326: 공간부 400: 철근연결부
402: 연결바 402a: 연결관통홀
404: 철근안내부 404a: 철근안내홀
410: 철근연결부 412: 연결바
414: 철근안내부 414a: 철근안내홀
420: 철근연결부 420a: 철근안내홀
450: 지지돌출부 500: 형틀
502: 지지부 504: 형틀결합부
510: 형틀 504a: 제 2 결합안내홀
600: 형틀고정수단 602: 제 1 형틀고정부
604: 제 2 형틀고정부
Claims (29)
- 건축물의 저면에 배치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 그 상부로 돌출되는 측벽부를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상기 측벽부의 상측에 상기 바닥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결합프레임;
상기 측벽부와 상기 결합프레임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및
상기 결합프레임에 지지되는 형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측벽부의 내면 상측에 밀착되는 결합바와, 상기 결합바에서 상기 측벽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형틀은 상기 연장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결합바와 상기 측벽부에 일체로 관통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되 그 단부는 상기 결합바와 상기 측벽부를 지나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부의 단부에 너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층이 형성될 때, 상기 너트는 상기 콘크리트층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부가 회전되면서 상기 너트에 끼워지거나 또는, 상기 너트에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외면에 철근연결부가 장착되고,
상기 측벽부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층이 형성될 때, 상기 콘크리트층에는 기초철근이 내설되되, 상기 기초철근은 상기 철근연결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연결부는 상기 결합바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바와 상기 측벽부와 상기 철근연결부에 일체로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되 그 단부는 상기 결합바와 상기 측벽부와 상기 철근연결부를 지나 상기 철근연결부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부의 단부에 너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상기 철근연결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상기 콘크리트층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부가 회전되면서 상기 너트에 끼워지거나 또는, 상기 너트에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은, 상기 측벽부 또는 상기 결합프레임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 상기 결합프레임과 맞닿도록 형성되는 형틀결합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프레임의 상기 형틀결합부와 맞닿는 위치에 복수 개의 제 1 결합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형틀결합부에 상기 제 1 결합안내홀과 마주보도록 복수 개의 제 2 결합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결합안내홀과 상기 제 2 결합안내홀에 형틀고정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 및 상기 형틀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층이 형성되면, 상기 형틀 및 상기 결합프레임이 제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건축물의 저면에 배치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 그 상부로 돌출되는 측벽부를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서 그 상부로 돌출되는 지지돌출부;
상기 측벽부의 상측에 상기 바닥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결합프레임;
상기 결합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상기 측벽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지지부; 및
상기 결합프레임에 지지되는 형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출부는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일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용접 결합되거나 또는 접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지지부의 상부에 지지되되 상기 지지돌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상기 지지돌출부의 반대 방향 측부에 상기 지지돌출부와 대향되도록 돌출되는 안내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형틀은, 상기 지지돌출부와 상기 안내돌출부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안착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안착부의 하부에 상기 안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삽입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지지부는, 상기 측벽부의 상기 삽입돌출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삽입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홈 또는 홀 형상의 삽입부를 갖는 삽입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지지돌출부와 마주보는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그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지지부는, 상기 측벽부의 상기 삽입돌출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삽입돌출부의 길이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부와, 상기 지지돌부의 선단부에서 그 상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돌출부와 상기 절곡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상기 삽입돌출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 및 상기 형틀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층이 형성되면, 상기 형틀, 상기 결합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지지부가 제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1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외면에 철근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측벽부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층이 형성될 때, 상기 콘크리트층에는 기초철근이 내설되되, 상기 기초철근은 상기 철근연결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연결부는 측벽부의 외면에 일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용접 결합되거나 또는 접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1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보다 안쪽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의 상부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상기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바닥부가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제 1 바닥면부와, 상기 제 1 바닥면부의 상부로 이격되는 제 2 바닥면부와, 상기 제 1 바닥면부와 상기 제 2 바닥면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바닥면부의 안쪽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개구부에서 그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바닥면부의 상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제 2 바닥면부가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건물 바닥면에 터파기를 하여 굴토바닥부를 형성시키는 굴토 과정;
상기 굴토바닥부에 바닥부와 측벽부를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를 베치시키는 엘리베이터 피트 배치 과정;
상기 측벽부의 내면 상측에 결합프레임을 배치시키는 결합프레임 배치 과정;
상기 측벽부와 상기 결합프레임에 결합부가 결합되는 결합부 결합 과정;
상기 결합프레임에 형틀이 배치되는 형틀 배치 과정;
상기 측벽부 및 상기 형틀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층이 형성되는 타설 과정;
상기 형틀이 제거되는 형틀 제거 과정;
상기 결합부가 상기 측벽부와 상기 결합프레임에서 탈거되는 결합부 탈거 과정; 및
상기 결합프레임이 제거되는 결합프레임 제거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시공 방법.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결합 과정은:
상기 결합부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되 그 단부는 상기 결합프레임과 상기 측벽부를 지나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 위치되는 단계; 및
상기 결합부의 단부에 너트가 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시공 방법.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타설 과정에서, 상기 콘크리트층이 형성되면,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 위치되는 상기 너트는 상기 콘크리트층에 구속되고,
상기 결합부 탈거 과정은, 상기 결합부가 회전되면서 상기 너트에서 제거되어, 상기 결합부가 상기 측벽부와 상기 결합프레임에서 탈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시공 방법.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프레임 배치 과정과 상기 결합부 결합 과정 사이에,
상기 측벽부의 외면에 철근연결부가 상기 결합프레임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철근연결부 배치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 결합 과정은: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프레임과 상기 측벽부와 상기 철근연결부에 일체로 관통되는 단계; 및
상기 결합부의 단부에 너트가 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설 과정 이전에,
상기 철근연결부에 기초철근이 연결되는 기초철근 연결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시공 방법.
- 건물 바닥면에 터파기를 하여 굴토바닥부를 형성시키는 굴토 과정;
상기 굴토바닥부에 바닥부와 측벽부를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를 베치시키는 엘리베이터 피트 배치 과정;
상기 측벽부의 내면 상측에 구비된 프레임지지부에 결합프레임을 배치시키는 결합프레임 배치 과정;
상기 결합프레임에 형틀이 배치되는 형틀 배치 과정;
상기 측벽부 및 상기 형틀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층이 형성되는 타설 과정;
상기 형틀이 제거되는 형틀 제거 과정;
상기 결합프레임이 상기 프레임지지부에서 제거되는 결합프레임 제거 과정; 및
상기 프레임지지부가 제거되는 프레임지지부 제거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시공 방법.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배치 과정에서,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는 그 상부로 지지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형틀 배치 과정에서, 상기 형틀은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그 상부로 돌출되는 지지돌출부와 상기 결합프레임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시공 방법.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배치 과정과 상기 타설 과정 사이에,
상기 측벽부의 외면에 철근연결부가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철근연결부 배치 과정; 및
상기 철근연결부에 기초철근이 연결되는 기초철근 연결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5121A KR101877518B1 (ko) | 2016-12-06 | 2016-12-06 |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5121A KR101877518B1 (ko) | 2016-12-06 | 2016-12-06 |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4801A true KR20180064801A (ko) | 2018-06-15 |
KR101877518B1 KR101877518B1 (ko) | 2018-07-11 |
Family
ID=6262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5121A KR101877518B1 (ko) | 2016-12-06 | 2016-12-06 |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751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42545A (ko) * | 2018-06-18 | 2019-12-27 | 엄재현 |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9336B1 (ko) | 2002-08-26 | 2005-05-12 |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3237B1 (ko) * | 2007-11-07 | 2010-07-30 | 엄기형 |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
KR101706135B1 (ko) * | 2015-04-07 | 2017-02-14 | 엄재현 |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
KR20160120154A (ko) * | 2015-04-07 | 2016-10-17 | 엄재현 |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
2016
- 2016-12-06 KR KR1020160165121A patent/KR101877518B1/ko active IP Right Review Reques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9336B1 (ko) | 2002-08-26 | 2005-05-12 |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42545A (ko) * | 2018-06-18 | 2019-12-27 | 엄재현 |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77518B1 (ko) | 2018-07-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2940B1 (ko) | 들뜸방지 탈형 데크 플레이트 | |
KR102143636B1 (ko) |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 |
KR20170014570A (ko) | 기초 일체형 pc 벽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 |
KR20170132559A (ko) | 콘크리트 타설용 파이프 매립형 충전기둥 | |
KR200476828Y1 (ko) | 합벽 지지 장치 및 합벽 지지 장치의 발판 지지용 브라켓 | |
KR101877518B1 (ko) |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 |
KR101483911B1 (ko) | 채널 매립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 |
KR101668521B1 (ko) | 다층 건축물의 지하층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 |
KR100891347B1 (ko) | 슬래브 거푸집의 지지구조 | |
KR100653229B1 (ko) | 슬래브 거푸집용 가설빔 지지장치 | |
KR20160120154A (ko) |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
KR100973237B1 (ko) |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 |
KR200481132Y1 (ko) | 거푸집 지지 및 조립을 위한 장치 | |
KR101043751B1 (ko) | 슬라브용 단열 데크플레이트 | |
KR20190018786A (ko) | 개량형 멍에트러스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거푸집 구조 | |
KR101990733B1 (ko) | 유로폼을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 |
KR101826192B1 (ko) | 형틀지지수단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
KR101706135B1 (ko) |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 |
KR102108626B1 (ko) |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
KR101803487B1 (ko) | 거푸집 연결용 보강재 | |
KR101208411B1 (ko) |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조인트 장치 | |
KR100863003B1 (ko) | 난간 설치 구조 및 시공 방법 | |
KR101791041B1 (ko) | 천정보 슬리브 거푸집 고정바 | |
KR101483910B1 (ko) | 쐐기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 |
KR200405440Y1 (ko) | 콘크리트 천장공사용 패널 받침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J206 |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