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910B1 - 쐐기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 Google Patents

쐐기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910B1
KR101483910B1 KR20140081335A KR20140081335A KR101483910B1 KR 101483910 B1 KR101483910 B1 KR 101483910B1 KR 20140081335 A KR20140081335 A KR 20140081335A KR 20140081335 A KR20140081335 A KR 20140081335A KR 101483910 B1 KR101483910 B1 KR 101483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block
support block
deck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1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Priority to KR20140081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9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4Spacer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moul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4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6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와 거푸집널이 일체로 조립되고 콘크리트 양생 후에는 거푸집널을 떼어낼 수 있는 탈형 데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러스거더에 피복두께를 제공하면서 조립이 간편하고 거푸집널의 탈형을 용이하게 하는 스페이서와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른 웨지형 스페이서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받침 블럭; 받침 블럭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하면에 나사산을 갖는 결합홈이 구성되고 받침 블럭 관통홀에 삽입되는 웨지 블럭과, 웨지 블럭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지지 블럭 및 지지 블럭의 양단에서 하향 돌출되는 돌출 블럭으로 구성되는 끼움 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쐐기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Wedge form spacer for truss girder integrated deck without permanent form and the deck}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와 거푸집널이 일체로 조립되고 콘크리트 양생 후에는 거푸집널을 떼어낼 수 있는 탈형 데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러스거더에 피복두께를 제공하면서 조립이 간편하고 거푸집널의 탈형을 용이하게 하는 스페이서와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에 관한 것이다.
1990년대 초부터 국내 건설현장에 도입되기 시작한 '트러스거더 일체형 데크'는 재래식 골조에서 슬래브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멍에, 장선, 동바리 등의 형틀공사가 필요없는 무지주 공법이라는 장점 외에도 거푸집 기능을 하는 강판을 완공 후에 해체하지 않아 콘크리트 균열을 드러내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었다.
콘크리트 조에 있어서 균열은 피할 수 없음이 관련 엔지니어 사이에서의 공지의 사실이겠으나, 비전문가인 건축주나 입주자들 입장에서는 참을 수 없는 하자로 인식되어 민원이 뒤따른다.
거푸집 기능 이후에도 데크 구조의 일부로 잔존하는 강판은 콘크리트 노출면을 마감하므로 적어도 슬래브 하면은 민원으로부터 자유로와지는 달콤한 장치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보다는 단순히 균열을 감춘 것에 지나지 않았음이 자명하며, 오히려 '트러스거더 일체형 데크'의 해체되지 않는 강판은 콘크리트면을 노출시키지 않아 시공하자를 발견할 수 없고 유지보수 또한 어렵다. 더불어 습기가 많은 지하층 등에서의 부식현상 또한 건축물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곤 한다.
최근에 들어서 이러한 문제점이 부각되면서 트러스거더 일체형 데크에서 강판이 분리되는 탈형 데크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탈형 데크 기술은 콘크리트가 양생되고 나면 강판을 떼어내어 더 이상 구조물의 일부로 남아있지 않아 콘크리트면이 노출되고 강판은 순수 거푸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10-1237325 ‘탈형 데크'(특허문헌1)가 있다. 이 특허는 트러스거더와 거푸집널 사이에 스페이서가 결합되어지는 탈형 데크에 있어서 스페이서는 합성수지재 스페이서몸체와 스틸재 스페이서헤드로 구성되어 스페이서헤드에 트러스거더가 용접되고 스페이서몸체에 거푸집널이 접합되는 기술을 제안한다. 이 특허가 제안하는 탈형 데크는 스페이서몸체의 하부에 강판으로 이루어진 거푸집널이 와셔붙이볼트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데크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시공중 덕트 및 천정마감재의 수직하중이 증가될 경우 스페이서몸체와 스페이서헤드가 분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특허등록 제10-1237325호 ‘탈형 데크'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트러스거더 일체형 데크를 구성함에 있어서 트러스거더와 일체로 조립되는 거푸집널을 탈형하여 콘크리트를 노출시켜 하자 발견과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도록 트러스거더와 거푸집널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와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한다.
특히, 트러스거더와의 별도의 접합이 없이 간단한 조립으로 트러스거더와 스페이서, 거푸집널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스페이서와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데크의 완공 후에 천장마감부재 설치용 철물이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스페이서와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른 웨지형 스페이서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받침 블럭; 받침 블럭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하면에 나사산을 갖는 결합홈이 구성되고 받침 블럭 관통홀에 삽입되는 웨지 블럭과 웨지 블럭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지지 블럭 및 지지 블럭의 양단에서 하향 돌출되는 돌출 블럭으로 구성되는 끼움 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받침 블럭의 양단에는 하면에서 블럭아웃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거푸집널이 탈형된 후에 공간부가 천정면에 노출되어 천장마감부재 설치용 철물이 고정되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른 웨지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탈형 데크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받침 블럭; 받침 블럭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하면에 나사산을 갖는 결합홈이 구성되고 받침 블럭 관통홀에 삽입되는 웨지 블럭과 웨지 블럭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지지 블럭 및 지지 블럭의 양단에서 하향 돌출되는 돌출 블럭으로 구성되는 끼움 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웨지형 스페이서; 상현재, 지그재그형태로 절곡되어 상단이 상현재의 양측에 결합되며 하단이 상현재로부터 삼각형의 양측 경사면 형태로 형성되는 래티스재, 래티스재의 하단 외측에 상현재와 평행하게 결합되는 하현재로 구성되며 하현재가 웨지형 스페이서의 받침 블럭과 끼움 블럭 사이에 결합되는 트러스거더; 웨지형 스페이서의 웨지 블럭 결합홈 대응위치에 관통홀이 천공되어 볼트가 관통홀과 결합홈을 관통하여 웨지형 스페이서에 결합되는 거푸집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거푸집널은, 합판 또는 강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받침 블럭의 양단에는 하면에서 블럭아웃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거푸집널이 탈형된 후에 공간부가 천정면에 노출되어 천장마감부재 설치용 철물이 고정되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탈형 데크는 스페이서가 거푸집널을 탈착이 가능하게 하므로 트러스거더 일체형 데크를 성형함에 있어 시공시에는 거푸집널을 일체로 형성하여 트러스거더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데크의 완성이후에는 구조물의 일부로 남아있지 않도록 탈형하므로써 콘크리트면을 노출하여 하자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쐐기 스페이서는 스페이서 내부로 트러스거더의 하현재가 결합되므로 덕트 및 천정마감재의 수직하중이 증가되는 등 시공 하중이 증가하더라도 스페이서가 트러스거더로부터 분리되지 않아 안정적인 거동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한 번의 볼트 결합으로 거푸집널, 스페이서, 트러스거더를 일체로 조립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되며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받침 블럭 하면에 블럭아웃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면, 거푸집널이 탈형된 후에 천정면에 노출되므로 데크의 완공 후에 공간부는 천장마감부재 설치용 철물이 고정되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지형 스페이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결합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웨지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탈형 데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웨지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탈형 데크의 일부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지형 스페이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결합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웨지형 스페이서(10)는 일정 부피를 갖고 중앙에 관통홀(111)이 형성된 받침 블럭(11), 받침 블럭(11)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받침 블럭 관통홀(111)에 삽입되는 웨지 블럭(121)과 웨지 블럭(121)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지지 블럭(122) 및 지지 블럭(122)의 양단에서 하향 돌출되는 돌출 블럭(123)으로 구성되는 끼움 블럭(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 블럭(11)은 후술되는 트러스거더의 하현재가 안착되며 트러스거더에 피복두께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받침 블럭(11)의 높이는 트러스거더의 피복두께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받침 블럭(11)의 양단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면에서 블럭아웃되는 공간부(1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럭아웃되는 공간부(112)는 받침 블럭(11)과 거푸집널에 둘러쌓이도록 형성되므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으며 거푸집널이 탈형되고 나면 천정면에 일종의 홈으로 노출된다. 즉, 데크의 완공 후에 공간부(112)는 천장마감부재 설치용 철물이 고정되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끼움 블럭(12)은 웨지 블럭(121)이 받침 블럭 관통홀(111)에 삽입되어 받침 블럭(11)에 결합된다. 끼움 블럭(12)은 거푸집널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끼움 블럭(12)의 웨지 블럭(121) 하면에는 거푸집널을 탈착할 수 있도록 체결구인 나사산을 갖는 결합홈(121h)이 구성된다.
받침 블럭(11)과 끼움 블럭(12)의 구성재료로는 플라스틱이나 합성수지계열의 이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웨지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탈형 데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형 데크는 상술한 웨지형 스페이서(10)와, 웨지형 스페이서(10) 내부에 결합되는 트러스거더(20), 웨지형 스페이서(10) 하단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거푸집널(30) 및 거푸집널(30) 상부에 타설, 양성되는 콘크리트(C,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트러스거더(20)는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양생된 슬래브의 내부로 매립되어 슬래브에 작용하는 인장하중과 압축하중에 저항하는 기능을 갖는 이 분야에 공지된 통상적인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강봉이나 철근으로 구성되는 상현재(21), 상현재(21)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지그재그형태로 절곡되어 상단이 상현재(21)의 양측에 결합되며 하단이 상현재(21)로부터 삼각형의 양측 경사면 형태로 형성되는 래티스재(22), 래티스재(22)의 하단 외측에 상현재(21)와 평행하게 결합되는 하현재(23)로 구성된다.
트러스거더(20)는 웨지형 스페이서(10) 내부에 조립되는 것으로 다시 말하면 트러스거더(20) 하부에 트러스거더(2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웨지형 스페이서(10)의 받침 블록(11)이 배치되며, 웨지형 스페이서(10) 받침 블록(11) 상부에 트러스거더(20) 하현재(23)가 안착되고, 끼움 블럭(12)의 웨지 블럭(121)이 받침 블럭 관통홀(111)에 삽입되어 받침 블럭(11)에 결합되면 트러스거더의 하현재(23)가 받침 블럭(11)과 끼움 블럭(12) 사이에 조립된다.
이어서, 웨지형 스페이서(10)의 하단에는 거푸집널(30)이 접합된다. 거푸집널(30)은 합판 또는 강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강판으로 구성되는 경우, 약 0.3~1.1mm의 두께의 박판 형태를 갖는 강재판으로 형성되며, 특히 0.4~1.0mm의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푸집널(30)에는 웨지형 스페이서(10)와의 결합을 위하여 끼움 블럭(12)의 결합홈(121h) 대응 위치에 관통홀(31)이 형성되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웨지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탈형 데크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널(30)의 관통홀(31)과 끼움 블럭(12)의 결합홈(121h)을 관통하도록 거푸집널(30) 하부에서 볼트(B)가 결합한다. 단순한 볼트 결합으로 거푸집널(30), 받침 블럭(11), 트러스거더(20), 끼움 블럭(12)이 모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콘크리트(C)의 양생 이후에는 끼움 블럭(12)의 결합홈(121h)으로부터 볼트(B)를 제거하면 거푸집널(30)을 손쉽게 탈형할 수 있으며 거푸집널(30)의 탈형 이후에는 블럭아웃되는 공간부(112)가 천정면에 노출되어 천장마감부재 설치용 철물이 고정되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페이서가 거푸집널을 탈착이 가능하게 하므로 트러스거더 일체형 데크를 성형함에 있어 시공시에는 거푸집널을 트러스거더와 일체로 조립하고, 데크의 완성이후에는 구조물의 일부로 남아있지 않도록 탈형하므로써 콘크리트면을 노출하여 하자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페이서 내부로 트러스거더의 하현재가 결합되므로 덕트 및 천정마감재의 수직하중이 증가되는 등 시공 하중이 증가하더라도 스페이서가 트러스거더로부터 분리되지 않아 안정적인 거동을 확보한다.
특히, 한 번의 볼트 결합으로 거푸집널, 스페이서, 트러스거더를 일체로 조립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되며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받침 블럭 하면에 블럭아웃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면, 거푸집널이 탈형된 후에 천정면에 노출되므로 데크의 완공 후에 공간부는 천장마감부재 설치용 철물이 고정되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받침 블럭 111: 관통홀
112: 공간부 12: 끼움 블럭
121: 웨지 블럭 121h: 결합홈
122: 지지 블럭 123: 돌출 블럭
10: 웨지형 스페이서 20: 트러스거더
21: 상현재 22: 래티스재
23: 하현재 30: 거푸집널
31: 관통홀

Claims (5)

  1. 중앙에 관통홀(111)이 형성된 받침 블럭(11);
    받침 블럭(11)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하면에 나사산을 갖는 결합홈(121h)이 구성되고 받침 블럭 관통홀(111)에 삽입되는 웨지 블럭(121)과, 웨지 블럭(121)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지지 블럭(122) 및 지지 블럭(122)의 양단에서 하향 돌출되는 돌출 블럭(123)으로 구성되는 끼움 블럭(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형 스페이서.
  2. 제1항에 있어서,
    받침 블럭(11)의 양단에는 하면에서 블럭아웃되는 공간부(112)가 형성되어,
    거푸집널이 탈형된 후에 공간부(112)가 천정면에 노출되어 천장마감부재 설치용 철물이 고정되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형 스페이서.
  3. 중앙에 관통홀(111)이 형성된 받침 블럭(11); 받침 블럭(11)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하면에 나사산을 갖는 결합홈(121h)이 구성되고 받침 블럭 관통홀(111)에 삽입되는 웨지 블럭(121)과, 웨지 블럭(121)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지지 블럭(122) 및 지지 블럭(122)의 양단에서 하향 돌출되는 돌출 블럭(123)으로 구성되는 끼움 블럭(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웨지형 스페이서(10);
    상현재(21), 지그재그형태로 절곡되어 상단이 상현재(21)의 양측에 결합되며 하단이 상현재(21)로부터 삼각형의 양측 경사면 형태로 형성되는 래티스재(22), 래티스재(22)의 하단 외측에 상현재(21)와 평행하게 결합되는 하현재(23)로 구성되며 하현재(23)가 웨지형 스페이서(10)의 받침 블럭(11)과 끼움 블럭(12) 사이에 결합되는 트러스거더(20);
    웨지형 스페이서(10)의 웨지 블럭(121) 결합홈(121h) 대응위치에 관통홀(31)이 천공되어 볼트가 관통홀(31)과 결합홈(121h)을 관통하여 웨지형 스페이서(10)에 결합되는 거푸집널(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탈형 데크.
  4. 제3항에 있어서,
    거푸집널(30)은,
    합판 또는 강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탈형 데크.
  5. 제3항에 있어서,
    받침 블럭(11)의 양단에는 하면에서 블럭아웃되는 공간부(112)가 형성되어,
    거푸집널이 탈형된 후에 공간부(112)가 천정면에 노출되어 천장마감부재 설치용 철물이 고정되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탈형 데크.
KR20140081335A 2014-06-30 2014-06-30 쐐기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KR101483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1335A KR101483910B1 (ko) 2014-06-30 2014-06-30 쐐기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1335A KR101483910B1 (ko) 2014-06-30 2014-06-30 쐐기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3910B1 true KR101483910B1 (ko) 2015-01-16

Family

ID=52590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1335A KR101483910B1 (ko) 2014-06-30 2014-06-30 쐐기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920B1 (ko) * 2020-07-31 2021-05-13 (주)윈하이텍 장 스팬용 데크 및 그 제작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464B1 (ko) 2008-12-05 2009-02-10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KR20090052738A (ko) * 2007-11-21 2009-05-26 장광윤 트러스 거더 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구조
KR101237330B1 (ko) 2012-09-17 2013-02-28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KR101452940B1 (ko) 2014-06-23 2014-10-23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들뜸방지 탈형 데크 플레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2738A (ko) * 2007-11-21 2009-05-26 장광윤 트러스 거더 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구조
KR100882464B1 (ko) 2008-12-05 2009-02-10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KR101237330B1 (ko) 2012-09-17 2013-02-28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KR101452940B1 (ko) 2014-06-23 2014-10-23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들뜸방지 탈형 데크 플레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920B1 (ko) * 2020-07-31 2021-05-13 (주)윈하이텍 장 스팬용 데크 및 그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2133B2 (en) Precast concrete composite wall
KR101483911B1 (ko) 채널 매립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KR101018411B1 (ko) 골 데크플레이트용 보 옆판 거푸집 및 그를 사용한 춤이 깊은 골 데크플레이트 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101483909B1 (ko) 앵글 브릿지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JPWO2006129801A1 (ja) 内外装材下地兼用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型枠工法
KR101552226B1 (ko) T형 데크플레이트의 중공폼 설치구조
KR101483910B1 (ko) 쐐기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CN109457955A (zh) 预制叠合楼板支撑系统
KR100860064B1 (ko) 조립식 거푸집의 슬래브패널구조
KR101641052B1 (ko)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
KR101446881B1 (ko) Pc 슬래브를 이용한 돌출형 발코니 및 시공방법
CN215368705U (zh) 一种楼面后浇带浇筑模具结构
KR101440556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
KR101629743B1 (ko) Pc거더와 pc빔 연결구조
KR200477823Y1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용 필러폼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구조
KR101859398B1 (ko)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KR20180072267A (ko) 건축물용 조립식 거푸집 패널
KR0145358B1 (ko) 건축구조물의 슬라브 시공방법
CN112681726A (zh) 一种楼面后浇带浇筑模具结构及其施工方式
KR100863003B1 (ko) 난간 설치 구조 및 시공 방법
KR200408443Y1 (ko)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알루미늄 패널
KR20090013479A (ko) 가변형 계단 벽면 거푸집
KR20140130808A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KR100737995B1 (ko) 천장 마감재 설치용 인서트
KR20160116274A (ko) 조립형강과 데크 플레이트를 활용한 일체화 구조를 갖는 수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