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5503A -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피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피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5503A
KR20120015503A KR1020100077657A KR20100077657A KR20120015503A KR 20120015503 A KR20120015503 A KR 20120015503A KR 1020100077657 A KR1020100077657 A KR 1020100077657A KR 20100077657 A KR20100077657 A KR 20100077657A KR 20120015503 A KR20120015503 A KR 20120015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elevator pit
load
placing
load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3318B1 (ko
Inventor
엄기형
Original Assignee
엄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기형 filed Critical 엄기형
Priority to KR1020100077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318B1/ko
Publication of KR20120015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0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of prefabricated parts and concrete, including reinforced concrete,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외측에서 버림콘크리트층을 통해 엘리베이터 피트를 고정하고, 다시 엘리베이터 피트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자중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두껍고 무거운 콘크리트 구조의 엘리베이터 피트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설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높은 자중을 갖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타설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피트를 1차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부에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자중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한 엘리베이터 피트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피트 시공방법 {ELEVATOR PI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외측에서 버림콘크리트층을 통해 엘리베이터 피트를 고정하고, 다시 엘리베이터 피트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자중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피트는 하측에서 엘리베이터를 점검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최하층의 바닥보다 약 2미터 내외의 공간을 갖도록 하단에 구성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는 건물의 하중을 벽체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며, 이러한 벽체의 하중은 하단부의 하단 구조를 통해 지반으로 전달된다. 이를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에 이를 지지하기 위한 기초 구조가 형성되어야 하고,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종래에 다수의 리브를 가지는 강재 구조의 피트 하부 구조가 제공되었으나, 이 구조에는 강도를 보강하고 자중을 확보하기 위해 수직 판재 형의 리브가 다수 결합됨으로써 크기가 대형화되고, 구조물의 무게가 증대되어, 제작 및 운반이 난해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렇다고 해서 거푸집을 통한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난해한 철근 콘크리트 작업으로 인해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공사 기간이 증대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강재 구조의 엘리베이터 피트의 경우, 하중이 작아서 상방수압에 약한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복잡한 구조의 철근을 외측에 연결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두껍고 무거운 콘크리트 구조의 엘리베이터 피트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설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높은 자중을 갖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타설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피트를 1차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부에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자중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상측으로 개방된 개구부; 상기 개구부의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하중지지부; 및 상기 개구부와 상기 하중지지부의 하방으로 형성되는 내부 수용공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를 제공한다.
또한, 평면을 포함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상기 바닥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어 형성되는 개구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의 하부에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가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를 제공한다.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상기 하중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어 형성되는 개구측벽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중지지부는: 상기 내부 수용공간부의 상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외측과 상기 내부 수용공간부의 측벽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측벽부는: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절곡된 절곡부 형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측벽부는: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수용공간부에는 철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철근은 단부가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철근은 단부가 상기 내부 수용공간부의 외측까지 연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수용공간부에는 집수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수용공간부의 측벽 또는 바닥 또는 상기 하중지지부의 전부 또는 일부는 금속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중지지부에는 차수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격 지지부는: 상기 바닥부에 구비되는 철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격 지지부는: 상기 바닥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바닥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철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에는: 바닥층에 구비되는 철근이 끼워지기 위한 제1결합홀; 및 측벽이 결합되기 위한 제2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설치를 위해 바닥면을 굴토하는 단계; 바닥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1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제1콘크리트층 상에 엘리베이터 피트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콘크리트층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2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 이전 또는 동시 또는 이후에,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내부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하중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설치를 위해 바닥면을 굴토하는 단계; 바닥면에 엘리베이터 피트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측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1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제1콘크리트층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2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 이전 또는 동시 또는 이후에,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내부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하중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설치를 위해 바닥면을 굴토하는 단계; 바닥면에 엘리베이터 피트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측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1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제1콘크리트 타설 단계 이전 또는 동시 또는 이후에,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내부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하중콘크리트 타설 단계; 및 상기 제1콘크리트층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2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 이전 또는 동시 또는 이후에,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2내부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2하중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설치를 위해 바닥면을 굴토하는 단계; 바닥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1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제1콘크리트층 상에,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상기 바닥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어 형성되는 개구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의 하부에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가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피트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콘크리트층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2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 및 상기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 이전 또는 동시 또는 이후에,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측 이격 공간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이격 지지부와 함께 일체로 경화시켜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하중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설치를 위해 바닥면을 굴토하는 단계;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상기 바닥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어 형성되는 개구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의 하부에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가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피트를 배치하는 단계; 바닥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1콘크리트 타설 단계; 및 상기 제1콘크리트층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2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콘크리트 타설 단계 또는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의, 이전 또는 동시 또는 이후에,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측 이격 공간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이격 지지부와 함께 일체로 경화시켜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하중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는 상측으로 개방된 개구부, 상기 개구부의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하중지지부, 및 상기 개구부와 상기 하중지지부의 하방으로 형성되는 내부 수용공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상기 하중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어 형성되는 개구측벽부가 구비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외측으로 타설되는 상기 제2콘크리트층이 상기 하중지지부의 상방까지 형성되도록 하는 상기 제2콘크리트 타설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는 상측으로 개방된 개구부, 상기 개구부의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하중지지부, 및 상기 개구부와 상기 하중지지부의 하방으로 형성되는 내부 수용공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상기 하중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어 형성되는 개구측벽부가 구비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외측으로 타설되는 상기 제1콘크리트층이 상기 하중지지부의 상방까지 형성되도록 하는 상기 제1콘크리트 타설단계;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외측으로 타설되는 상기 제2콘크리트층이 상기 하중지지부의 상방까지 형성되도록 하는 상기 제2콘크리트 타설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두껍고 무거운 콘크리트 구조의 엘리베이터 피트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설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높은 자중을 갖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타설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피트를 1차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부에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자중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한 엘리베이터 피트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외관 및 측방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내부 수용공간부의 바닥을 구성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피트 측방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가 배치된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집수정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내부 수용공간부(10)와 개구측벽부(20)를 구비한다. 내부 수용공간부(10)는 직육면체 형상에 유사하게 형성되며, 상방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를 따라 사방 테두리에는 개구측벽부(20)를 일체로 구비하거나, 볼트, 너트 또는 키와 같은 별도의 구성을 통해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내부 수용공간부(10)는 바닥(12), 측벽(14) 및 하중지지부(16)와 개구(미표시)를 구비한다. 하중지지부(16)는 내부 수용공간부(10)의 직육면체 중 상면 부분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개구의 측방에 형성되며, 수평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중지지부(16)는 후술할 버림 또는 바닥콘크리트에 의해 하방으로 고정되기 위해, 눌려지는 역할을 하게 된다.
개구측벽부(20)는 내부 수용공간부(10)의 개구 테두리를 따라 수직으로 형성된 벽면으로서, 개구측벽(22)과 그 상단부에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26)를 구비한다. 결합부(26)에는 개구측벽부(20)의 상측으로 추가적인 측벽(또는 거푸집; A, 도 4)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홀(28)을 형성하여, 볼트, 너트, 키 등의 결합부재(C; 도 3)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부(26)의 외측으로는 철근 결합홀(27)을 형성하고, 철근 결합홀(27)에는 콘크리트층 내에 배치되는 철근이 끼워지며 상호 결합,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구측벽부(20)의 지지강도를 높이기 위해, 개구측벽(22)의 일부를 수직방향을 따라 절곡시킨 절곡부(24)를 다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외관 및 측방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내부 수용공간부(10)에는 종, 횡으로 철근(40)을 배치할 수 있으며, 집수정(30)을 설치할 수 있다. 철근(40)은 2 이상의 층으로, 상측, 하측에 배치할 수 있으며, 내부 수용공간부(10) 내측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될 때, 일체되며 경화되면서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한다. 또한 집수정(30)이 위치된 부분에는 철근(40)이 배근될 수 없으므로, 그 주변(B)으로 철근(40)을 촘촘하게 배치시켜,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측벽부(20)의 개구측벽(22) 상단에 구비된 결합부(26)에는 측벽(A)이 결합부재(C)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측벽(A)은 통상의 거푸집, 측벽용 패널, 유로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시공 후에 제거되거나, 또는 일체화된 상태로 벽체로서 영구적 사용을 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될 장소를 굴토하여, 공간을 마련한 후, 내부 수용공간부(10)를 배치한다. 이 때 개구측벽부(20)는 내부 수용공간부(10)를 설치한 후에 결합시키거나, 또는 내부 수용공간부(10)의 설치 전에 결합시킨 후에 함께 배치하거나, 또는 처음부터 내부 수용공간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후 측벽(A)을 개구측벽부(20)의 상단에 결합시키고, 철근(D)을 철근 결합홀(27)에 끼워 결합시킨다.
엘리베이터 피트가 배치된 위치에는, 버림콘크리트, 바닥콘크리트를 순차적으로 타설하게 되는데, 청구범위에서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순서에 따라 제1콘크리트, 제2콘크리트라 지칭한다. 엘리베이터 피트가 배치된 후에, 그 외측으로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버림콘크리트층(1)을 형성한다. 버림콘크리트층(1)은 내부 수용공간부(10)의 높이보다 높도록 하여, 하중지지부(16)의 상측에도 형성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버림콘크리트층(1)이 경화되면서, 내부 수용공간부(10)의 하중지지부(16)를 누르면서 지지하게 된다.
한편, 도면 상에는 버림콘크리트층(1)이 내부 수용공간부(10)보다 높은 높이에서, 개구측벽부(20)에 못미치도록 형성되나, 버림콘크리트층(1)이 측벽(A)의 높이까지 높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측벽(A)은 버림콘크리트층(1)의 타설 후에 결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버림콘크리트의 타설 후에는, 측벽(A)의 외측으로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콘크리트층(2)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때 내부 수용공간부(10)의 개구를 통해, 그 내측으로 일정 높이까지 콘크리트(2)를 타설하여 내부 수용공간부(10) 내에서 경화되도록 한다.
즉, 내부 수용공간부(10)의 내부를 바닥콘크리트 타설시에 같이 채워 넣도록 하여, 내부 수용공간부(10)가 자중을 갖는 상태에서 자중콘크리트(2)가 경화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단순히 금속으로 구성된 내부 수용공간부(10), 개구측벽부(20)가 상대적으로 낮은 하중 및 강도를 가질 수밖에 없는 단점을 보완하여, 사후적으로 높은 하중 및 강도를 갖도록 보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버림콘크리트층(1)의 형성시에, 내부 수용공간부(10)에 버림콘크리트를 부어 자중콘크리트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버림콘크리트(1)를 먼저 형성하고, 그 위에 내부 수용공간부(10)를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중콘크리트(2)는 바닥콘크리트 타설시에 같이(이전, 동시 또는 이후) 채워 넣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a)와 같이 내부 수용공간부(10)의 측벽을 개방시키고(측벽 없이), 대신 바닥프레임(11), 측벽프레임(13)과 그 상부의 하중지지부(16)만을 형성하여 내부 수용공간부(10)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b)와 같이, 측벽의 개방된 부분을 금속망(50)을 통해 구성할 수도 있다. 금속망(50)은 철근망, 라스망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물 형태이므로, 미세한 통공이 형성되어, 내부 수용공간부(10)의 외측에서 경화될 콘크리트층이 내부 수용공간부(1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대부분 차단하는 동시에, 추후 내부 수용공간부(10)의 내측에 타설되는 자중콘크리트와 접촉되면서 일체되며 경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높은 결합력을 갖도록 하게 된다.
또한 (c)와 같이, 평판형의 하중지지부(16) 대신에, 하중지지부 프레임(15)과 금속망(50)을 통해 하중지지부(16)의 기능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마찬가지로 금속망(50)은 버림콘크리트층(1)의 내부 유입을 막고, 지지력을 전달받는 동시에, 추후 내측의 자중콘크리트와 접촉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결합구(17)는 개구측벽부(20) 또는 측벽(A)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통공으로서, 볼트, 너트, 키 등을 통해 결합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개구측벽부(20) 또는 측벽(A)이 일체로 내부 수용공간부(10)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생략 가능한 구성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금속망 사용없이, 바닥(12), 측벽(14), 하중지지부(16) 모두를 평판형 금속패널로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4에서의 설명과 동일한 순서, 구조로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됨을 알 수 있으며, 다만 개구측벽부(20)의 개구측벽(22)이 하중지지부(16)에 결합되며, 내부 수용공간부(10) 측방의 금속망(50)이 하중 지지프레임(15)과 바닥프레임(11)에 결합되어, 버림콘크리트층(1) 또는 바닥콘크리트층(2) 타설시 내부 수용공간부(10)에 형성된 자중콘크리트(2)가 상호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는 차이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내부 수용공간부의 바닥을 구성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바닥(12)에는 기본철근(121), 연결철근(123) 및 이격철근(122)을 구비하고, 기본철근(121) 및 이격철근(122)은 연결철근(123)을 통해 바닥(12)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는 통상의 데크플레이트 구성을 응용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피트 측방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a), (b)와 같이 내부 수용공간부(10)의 바닥(12)을 도 9에서 설명한 데크플레이트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a)와 같이, 기본, 이격, 연결철근(121, 122, 123)들이 하부를 향하도록 하여, 바닥(12)이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b)와 같이 기본, 이격, 연결철근(121, 122, 123)이 내부 수용공간부(10) 내측에 배치되도록 하여, 자중콘크리트와 함께 경화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c)와 같이, 내부 수용공간부(10) 내측에 배치되는 철근(40)의 단부(40a)를 절곡하여, 정착구조의 역할을 하도록 하거나, (d)와 같이, 철근(40)의 단부(40b)가 내부 수용공간부(10)의 측벽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홀(미도시)을 형성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외측의 콘크리트층과의 결합력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가 배치된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바닥(12)의 하측에 하방으로 도 9에서 설명한 데크플레이트 구성을 사용하여, 바닥(12)이 연결철근(123) 등에 의해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이격 지지부를 형성한다. 이 경우 이격 지지부가 형성하는 하부 공간으로 버림콘크리트나 바닥콘크리트가 유입되면서, 기본철근(121), 이격철근(122), 연결철근(123) 등으로 구성된 이격 지지부와 함께 경화되면서 하중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지지부재(23)를 통해 바닥(12)을 이격시키도록 이격 지지부를 구성하고, 지지부재(23)에는 철근(40)이 관통 또는 연결 형성되도록 함께 구성한다. 이격 지지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버림콘크리트나 바닥콘크리트가 유입되면서, 함께 경화되어 하중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엘리베이터 피트의 이격 지지부를 그 상부에 위치되도록 시공할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개구측벽(22)이 바닥(12)의 내측에 배치되면서, 단부측으로 하중지지부(16)가 형성되며, 콘크리트층이 이 부분을 누르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개구측벽(22)에 지지부재(23)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바닥(12) 하부에 철근(40)을 다수 배치할 수도 있다. 바닥(12) 하부의 지지부재(23), 철근(40)은 이격지지부가 된다.
도 14는 집수정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내부 수용공간부(10)의 바닥(12)에는 바닥결합부(12a)를 형성하고, 여기에 집수정(60)을 연결 또는 삽입결합시키도록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내부 수용공간부(10)의 외측 일정 공간에는 차수키(70)를 구비하여, 버림콘크리트층(1)과 내부 수용공간부(10) 사이의 틈을 따라, 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개구측벽부(20)의 결합부(26)가 이러한 차수키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될 위치를 굴토하여 형성하고, 엘리베이터 피트를 설치한다.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후에는,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버림콘크리트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로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콘크리트층을 형성한다. 이 때 버림콘크리트층은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중지지부보다 높은 위치까지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피트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또한 버림콘크리트층의 상부로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부로 일정 높이까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자중콘크리트층이 엘리베이터 피트 내에서 경화되도록 한다.
한편, 엘리베이터 피트는 버림콘크리트 타설 전에 설치하여야 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그 상측에 엘리베이터 피트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바닥콘크리트를 통해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중지지부를 누르도록 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자중콘크리트층은,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내부 수용공간부로도 콘크리트를 일정량 부어 형성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내부 수용공간부로 콘크리트를 유입시키는 대신에,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부에 이격지지부를 형성하고, 그 하측으로 유입되어 경화되는 버림콘크리트 또는 바닥콘크리트를 통해 함께 경화되면서, 하중 지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내부 수용공간부로도 콘크리트를 유입시킬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버림콘크리트 타설시 또는 바닥콘크리트 타설시에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이격지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 공간으로는, 버림콘크리트가 유입되거나, 바닥콘크리트도 유입되면서 일체, 경화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격지지부가 버림콘크리트층의 위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바닥콘크리트가 유입되면서 일체, 경화될 수 있다.
10 : 내부 수용공간부 20 : 개구측벽부
30, 60 : 집수정 40 : 철근
50 : 금속망 A : 측벽

Claims (23)

  1. 상측으로 개방된 개구부;
    상기 개구부의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하중지지부; 및
    상기 개구부와 상기 하중지지부의 하방으로 형성되는 내부 수용공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2. 평면을 포함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상기 바닥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어 형성되는 개구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의 하부에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가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상기 하중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어 형성되는 개구측벽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부는:
    상기 내부 수용공간부의 상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외측과 상기 내부 수용공간부의 측벽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측벽부는: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절곡된 절곡부 형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측벽부는: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수용공간부에는 철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은 단부가 절곡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철근은 단부가 상기 내부 수용공간부의 외측까지 연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수용공간부에는 집수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수용공간부의 측벽 또는 바닥 또는 상기 하중지지부의 전부 또는 일부는 금속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부에는
    차수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지지부는:
    상기 바닥부에 구비되는 철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지지부는:
    상기 바닥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바닥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철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바닥층에 구비되는 철근이 끼워지기 위한 제1결합홀; 및
    측벽이 결합되기 위한 제2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15. 엘리베이터 피트의 설치를 위해 바닥면을 굴토하는 단계;
    바닥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1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제1콘크리트층 상에 엘리베이터 피트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콘크리트층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2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 이전 또는 동시 또는 이후에,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내부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하중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시공방법.
  16. 엘리베이터 피트의 설치를 위해 바닥면을 굴토하는 단계;
    바닥면에 엘리베이터 피트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측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1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제1콘크리트층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2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 이전 또는 동시 또는 이후에,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내부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하중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시공방법.
  17. 엘리베이터 피트의 설치를 위해 바닥면을 굴토하는 단계;
    바닥면에 엘리베이터 피트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측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1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제1콘크리트 타설 단계 이전 또는 동시 또는 이후에,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내부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하중콘크리트 타설 단계; 및
    상기 제1콘크리트층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2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시공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 이전 또는 동시 또는 이후에,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2내부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2하중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시공방법.
  19. 엘리베이터 피트의 설치를 위해 바닥면을 굴토하는 단계;
    바닥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1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제1콘크리트층 상에,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상기 바닥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어 형성되는 개구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의 하부에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가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피트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콘크리트층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2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 및
    상기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 이전 또는 동시 또는 이후에,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측 이격 공간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이격 지지부와 함께 일체로 경화시켜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하중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시공방법.
  20. 엘리베이터 피트의 설치를 위해 바닥면을 굴토하는 단계;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상기 바닥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어 형성되는 개구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의 하부에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가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피트를 배치하는 단계;
    바닥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1콘크리트 타설 단계; 및
    상기 제1콘크리트층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2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시공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크리트 타설 단계 또는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의,
    이전 또는 동시 또는 이후에,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측 이격 공간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이격 지지부와 함께 일체로 경화시켜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하중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시공방법.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는 상측으로 개방된 개구부, 상기 개구부의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하중지지부, 및 상기 개구부와 상기 하중지지부의 하방으로 형성되는 내부 수용공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상기 하중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어 형성되는 개구측벽부가 구비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외측으로 타설되는 상기 제2콘크리트층이 상기 하중지지부의 상방까지 형성되도록 하는 상기 제2콘크리트 타설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시공방법.
  23.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는 상측으로 개방된 개구부, 상기 개구부의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하중지지부, 및 상기 개구부와 상기 하중지지부의 하방으로 형성되는 내부 수용공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상기 하중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어 형성되는 개구측벽부가 구비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외측으로 타설되는 상기 제1콘크리트층이 상기 하중지지부의 상방까지 형성되도록 하는 상기 제1콘크리트 타설단계;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외측으로 타설되는 상기 제2콘크리트층이 상기 하중지지부의 상방까지 형성되도록 하는 상기 제2콘크리트 타설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시공방법.
KR1020100077657A 2010-08-12 2010-08-12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KR101203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657A KR101203318B1 (ko) 2010-08-12 2010-08-12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657A KR101203318B1 (ko) 2010-08-12 2010-08-12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503A true KR20120015503A (ko) 2012-02-22
KR101203318B1 KR101203318B1 (ko) 2012-11-20

Family

ID=45838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657A KR101203318B1 (ko) 2010-08-12 2010-08-12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31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61392A (zh) * 2012-03-06 2012-07-11 中天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支承地下室顶板上施工电梯基础的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60120158A (ko) * 2015-04-07 2016-10-17 엄재현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KR20170004790A (ko) * 2015-07-03 2017-01-11 엄재현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20170004586A (ko) * 2015-07-03 2017-01-11 우광티엔씨(주) 하이브리드 지하 피트 구조물
KR101708218B1 (ko) * 2016-04-26 2017-02-20 우광티엔씨(주) 하이브리드 지하 피트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JP2019173319A (ja) * 2018-03-27 2019-10-10 旭化成ホームズ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ピット、エレベーターピットの施工方法及び建物
KR20190142545A (ko) * 2018-06-18 2019-12-27 엄재현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CN110820949A (zh) * 2019-12-19 2020-02-21 无锡市裕旺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新型家装电梯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6681B2 (ja) 2006-02-01 2009-09-30 綿半テクノ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ャフト用基礎の構築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pc基礎並びにレベル調整用梁材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61392A (zh) * 2012-03-06 2012-07-11 中天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支承地下室顶板上施工电梯基础的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60120158A (ko) * 2015-04-07 2016-10-17 엄재현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KR20170004790A (ko) * 2015-07-03 2017-01-11 엄재현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20170004586A (ko) * 2015-07-03 2017-01-11 우광티엔씨(주) 하이브리드 지하 피트 구조물
KR101708218B1 (ko) * 2016-04-26 2017-02-20 우광티엔씨(주) 하이브리드 지하 피트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JP2019173319A (ja) * 2018-03-27 2019-10-10 旭化成ホームズ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ピット、エレベーターピットの施工方法及び建物
KR20190142545A (ko) * 2018-06-18 2019-12-27 엄재현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CN110820949A (zh) * 2019-12-19 2020-02-21 无锡市裕旺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新型家装电梯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3318B1 (ko) 2012-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3318B1 (ko)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KR100744693B1 (ko) 콘크리트 스틸 하우스 및 이를 이용한 말뚝기초 푸팅시공방법
KR101301081B1 (ko)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05432B1 (ko) 집수정 결합구조
KR101318957B1 (ko) 강도 보강형 집수정 및 집수정 설치 방법
KR20080100740A (ko) 지하합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가설 개방형 판재를 이용한흙막이벽의 역타지지구조 및 이를 적용한 건축물 지하합벽의 연속 시공방법
KR100979138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KR101708218B1 (ko) 하이브리드 지하 피트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098998B1 (ko)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보 접합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철골보 접합방법
KR100489336B1 (ko)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KR101753744B1 (ko) 기초부 보강 하부지지프레임 및 매립 거푸집을 이용한 기둥-기초부 일체 결합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기둥-기초부 일체 결합 구조물
KR100973235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KR100973237B1 (ko)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KR101230986B1 (ko) 역류방지형 콘크리트 타설구 및 바이브레이터 근입구가 구비된 거푸집을 이용한 지하외벽 선시공 공법
KR101270697B1 (ko) 프리캐스트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중저층 건물의 기둥 리모델링 보강공법
KR100973236B1 (ko)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20160120154A (ko)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20090043745A (ko)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KR101862567B1 (ko) 조립형 매트기초 표준 하우스시스템
KR101010109B1 (ko) 조립형 콘크리트 충전 강합성 복공판
KR100821742B1 (ko) 측벽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
KR100766850B1 (ko) 바닥콘크리트층에 의해 가압 고정되는 집수정 구조체 설치공정
KR101162152B1 (ko) 집수정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669198B1 (ko) 마감일체형 벽체구조
KR20160043501A (ko)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