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414B1 -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구비된 승강로 하부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구비된 승강로 하부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414B1
KR102008414B1 KR1020180130074A KR20180130074A KR102008414B1 KR 102008414 B1 KR102008414 B1 KR 102008414B1 KR 1020180130074 A KR1020180130074 A KR 1020180130074A KR 20180130074 A KR20180130074 A KR 20180130074A KR 102008414 B1 KR102008414 B1 KR 102008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levator pit
steel
concrete
steel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상준
정인수
박상현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우광티엔씨(주)
(주)창민우구조컨설탄트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진흥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광티엔씨(주), (주)창민우구조컨설탄트,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진흥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광티엔씨(주)
Priority to KR1020180130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4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최하부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피트를 미리 제작 설치하여 현장 시공시 발생하는 누수 및 풍절 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강재인 베이스프레임과 상부프레임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측면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구비된 승강로 하부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는 장방형의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복수의 측벽 부재 및 설비 부재 결합을 위해 상기 측벽 부재의 내측에 구비되는 보조판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측면프레임; 승강로 벽체 타설용 거푸집의 하단을 고정하여 지지하기 위해 측면프레임의 측벽 부재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단 외측에 결합되어 측면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는 차수벽 및 상기 차수벽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수평 절곡되어 형성되는 전단키로 구성되어 측면프레임과 상부프레임 사이 높이에 위치하는 전단차수키;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는 것으로 측벽이 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 채워지는 콘크리트 상면보다 높게 설치되고, 상기 측벽의 콘크리트 상면 상부로 돌출되는 부분에 복수의 배수홀이 형성되며, 개방된 상부에 그레이팅덮개가 거치되는 집수정; 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구비된 승강로 하부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Steel elevator pit, lower structure of hoist way with steel elevator pit and construc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최하부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피트를 미리 제작 설치하여 현장 시공시 발생하는 누수 및 풍절 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강재인 베이스프레임과 상부프레임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측면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구비된 승강로 하부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최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낙하하는 경우를 위해 필요한 완충기를 설치하거나 장비 점검 등을 위해 엘리베이터 피트(pit)가 설치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는 건물 최하부에 구비되므로, 통상 매트 기초 내부에 매립 설치한다.
이에 따라 기초 공사 자체에는 별도의 거푸집 작업이 필요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기초 내부에 피트와 같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거푸집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수반된다. 아울러 피트 부분은 일반적으로 기초보다 하부로 일정 깊이 더 내려가도록 설치되므로 철근 배근 및 거푸집 설치 작업이 어렵고, 이로 인해 공사 기간이 증가하고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재래식 엘리베이터 피트 시공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의 엘리베이터 피트용 구조물이 개발되었다(도 1, 등록특허 제10-1508898호). 상기 등록기술은 엘리베이터 피트용 구조물을 사전 제작한 후 현장에 설치만 하면 되므로 현장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엘리베이터 피트용 구조물은 설치 후 구조물의 측벽을 타고 올라오는 지하수로 인해 엘리베이터 피트 내부에 누수가 발생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피트 내에는 승강기 레일, 균형추 레일, 사다리 등 다양한 승강로 설비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설비들을 현장 설비 작업자들이 용접으로 피트 측벽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피트 구조물에 구멍이 생기면서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기존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은 무게를 가볍게 하면서도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파형으로 절곡한 측벽을 많이 사용한다.
그런데 이 경우 엘리베이터 피트 벽체 내면에 형성된 수직 방향의 홈으로 인해, 승강기 하강시 지상층 또는 지하층의 승강로 출입구 전면에서 공기 와류 현상이 생기면서 풍절 소음이 생겨 민원 발생의 원인이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초 내부에 엘리베이터 피트 설치시, 구조물의 측벽을 타고 발생하는 누수 현상이나 설비 고정 과정 등에서 피트 구조물에 생기는 구멍으로 인한 누수 현상을 차단할 수 있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구비된 승강로 하부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 내벽에 형성된 수직 방향의 홈에 의하여 발생하는 풍절 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구비된 승강로 하부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승강로 하부의 콘크리트 기초에 매립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에 관한 것으로, 장방형의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복수의 측벽 부재 및 설비 부재 결합을 위해 상기 측벽 부재의 내측에 구비되는 보조판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측면프레임; 승강로 벽체 타설용 거푸집의 하단을 고정하여 지지하기 위해 측면프레임의 측벽 부재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단 외측에 결합되어 측면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는 차수벽 및 상기 차수벽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수평 절곡되어 형성되는 전단키로 구성되어 측면프레임과 상부프레임 사이 높이에 위치하는 전단차수키;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는 것으로 측벽이 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 채워지는 콘크리트 상면보다 높게 설치되고, 상기 측벽의 콘크리트 상면 상부로 돌출되는 부분에 복수의 배수홀이 형성되며, 개방된 상부에 그레이팅덮개가 거치되는 집수정; 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단은 기초 콘크리트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콘크리트의 유입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를 제공한다.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전단차수키의 전단키 상부에는 지수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측면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돌출된 상면에 지수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프레임 및 측면프레임의 내부 및 외부에는 액상 DGEBA형 에폭시 수지 30~35중량%, 페닐기 또는 사이크로 헥실기를 함유하는 소수성의 가소제로서 C10~C15의 탄소사슬을 갖는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비반응성 가소제A 3~5중량%, 수산기를 포함하는 반 친수성의 방향족 탄화수소로서 C7~C18의 탄소사슬을 갖는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비반응성 가소제 B 2~4중량%, 플래이애쉬 10~14중량% 및 용제 20~30중량%로 구성되는 주제와 경화제가 7: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에폭시 수지 도료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보조판재의 내측에는 멍에가 거치되는 복수의 멍에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승강로는 2열 이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측면프레임의 장변을 지지하는 보강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측면프레임은 외측면이 상부프레임의 외측면보다 외측으로 일정 간격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지반 또는 버림콘크리트 상면에 설치되는 상기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상기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를 감싸도록 강재 엘리베이터 피터의 외부에 시공되는 콘크리트 기초; 및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측 상부에 구비되는 승강로 벽체;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구비된 승강로 하부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측면프레임은 외측면이 상부프레임의 외측면보다 외측으로 일정 간격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승강로 벽체 하부의 콘크리트 기초 내측면에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구비된 승강로 하부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승강로 벽체의 승강로 측 수직 철근은 승강로 측 수평 철근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로 측 수직 철근에 이음되기 위해 하부가 기초에 묻히는 이음 철근은 상기 승강로 측 수평 철근의 안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구비된 승강로 하부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a) 승강로가 설치될 위치를 터파기하여 공간부를 형성하고 공간부 저면에 잡석층 또는 버림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공간부의 잡석층 또는 버림콘크리트층 상부에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를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의 베이스프레임 내부에 채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d) 상기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외측 하부에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를 고정하는 단계; (e) 상기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의 외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기초를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의 상부프레임 상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승강로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거푸집 및 상부프레임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구비된 승강로 하부 구조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엘리베이터 피트를 구성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을 강재로 구성하여 각 부품을 용접 결합함으로써 방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의 접합부 역시 전 둘레에 걸쳐 용접 접합하여 접합부 누수를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전단차수키 및 지수재가 설치되고, 에폭시 수지 도료가 도포됨에 따라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설치 후 별도의 방수 공정 없이 누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둘째,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를 구성하는 측면프레임의 측벽 부재 내측에 보조판재를 구비하는 경우, 설비 작업자들이 각종 설비를 측벽 부재에 용접 부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구멍으로 인한 누수 문제를 차단할 수 있다. 나아가 보조판재가 측벽 부재 내측에서 파형 강판에 형성된 수직 방향의 홈을 폐쇄하므로, 종래 승강기 하강시 발생하는 풍절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 피트용 구조물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콘크리트 기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상부프레임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6은 유닛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상부프레임의 착탈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전단차수키가 결합된 측면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베이스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의 접합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집수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내부 채움콘크리트에 집수정이 묻힌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보조판재가 결합된 측면프레임을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13은 멍에 지지부재에 의한 멍에 및 서포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14는 보강지지대가 구비된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는 단차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기초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콘크리트 기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서 상부프레임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유닛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7은 상부프레임의 착탈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는 승강로 하부의 콘크리트 기초(3)에 매립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에 관한 것으로, 장방형의 베이스프레임(21); 상기 베이스프레임(21)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복수의 측벽 부재(221) 및 설비 부재 결합을 위해 상기 측벽 부재(221)의 내측에 구비되는 보조판재(2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측면프레임(22); 및 승강로 벽체 타설용 거푸집(5)의 하단을 고정하여 지지하기 위해 상기 측면프레임(22)의 측벽 부재(221)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23); 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프레임(23)의 상단은 기초 콘크리트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콘크리트의 유입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누수 및 풍절 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는 승강로 하부의 콘크리트 기초(3)에 매립되는 것으로, 베이스프레임(21), 측면프레임(22) 및 상부프레임(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1)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장방형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1)은 강재를 절곡 또는 용접하여 형성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1)은 지하수에 의한 부력 등을 지지하기 위해 내부 채움콘크리트(26)가 채워질 수 있도록 내부에 일정한 수용공간(211)이 형성된다(도 4, 도 9 등).
상기 베이스프레임(21)의 수용공간(211) 내부에는 미리 바닥 철근(261)을 배근하여 둘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211) 내부에는 내부 채움콘크리트(26)를 미리 채워넣을 수 있다. 그러나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의 운반 및 설치시 중량을 고려할 때,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 설치 후 내부 채움콘크리트(26)를 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채움콘크리트(26)의 상부에는 내부 마감콘크리트(27)가 시공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1)은 측면을 후술할 측면프레임(22)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기초 콘크리트 내에 묻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하부 부력 등에 대해 엘리베이터 피트(2)와 기초가 일체 거동하여 저항 가능하다.
상기 측면프레임(22)은 베이스프레임(21)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복수의 측벽 부재(2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면프레임(22)은 엘리베이터 피트(2)의 각 모서리에 지지포스트(222)를 배치하고, 이웃하는 지지포스트(222) 사이에 측벽 부재(221)를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측벽 부재(221)는 자재를 경량화하면서도 중력 방향 및 횡방향에 대해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파형으로 절곡한 강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프레임(22)의 상부에는 폭 방향으로 각형강관(223)을 결합하여 상부 강성을 보강하고, 상부프레임(23)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23)은 상기 측면프레임(22)의 측벽 부재(221) 상단의 각형강관(223)에 결합된다.
상기 상부프레임(23)은 승강로 벽체 타설용 거푸집(5)의 하단을 고정하여 지지한다.
상기 상부프레임(23)은 기초 상부의 승강로 벽체 타설용 거푸집(5)을 고정하여 체결하기 위해 측면프레임(22)의 측벽 부재(221) 상단 각형강관(223)에 결합되는 소모성 자재로, 측면프레임(22)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승강로 벽체(4) 시공 완료 후 해체하여 제거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프레임(23)의 상단을 기초 상면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써, 기초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도 3,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프레임(22)의 측벽 부재(221) 상단에 결합된 각형강관(223)의 상면에는 각 상부프레임(23)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래킷(2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래킷(28)은 측벽 부재(221)의 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각 측면프레임(22)의 면에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프레임(23)은 고정 브래킷(28)의 내측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볼트(B)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B)는 상부프레임(23)을 쉽게 해체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피트(2)의 내측에서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의 (a)에는 상부프레임(23)의 상부에 거푸집(5)이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고, 도 7의 (b)에는 승강로 벽체(4) 시공 후 거푸집(5)과 상부프레임(23)이 제거된 상태가 도시된다. 상부프레임(23) 제거 후에는 볼트(B)를 다시 체결하여 구멍을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 엘리베이터 피트용 구조물을 구성하는 상부프레임은 크기가 크고 무거워 해체 작업시 2인의 작업자가 필요하며, 자재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6과 같이, 상부프레임(23)을 횡방향으로 복수의 유닛프레임(230)으로 분절하여 구성한 후, 이웃하는 유닛프레임(230)을 상호 볼트(B) 조립하여 체결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프레임(23)을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28)은 각 유닛프레임(230)마다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닛프레임(230)의 폭은 유로폼 등 상부에 결합되는 거푸집(5)의 규격과 동일하게 하여 접합이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유닛프레임(230)은 후면에 격자 형상 등으로 보강프레임(231)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접하는 유닛프레임(230)은 최외곽측 보강프레임(231)을 볼트(B)로 결합하여 연결 가능하다.
이때, 볼트 결합홈은 보강프레임(231)을 천공하여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보강프레임(231)의 외측 단부에서 소정 깊이로 홈부(232)를 형성하여, 볼트(B)와 너트가 상호 결합된 상태로 홈부(232)에 삽입되어 이웃하는 유닛프레임(230)을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닛프레임(230)을 결합하면, 보강프레임(231)을 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볼트 체결 및 해체가 쉬어 시공성이 우수하다.
상기 유닛프레임(230)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 가능하며, 합성수지로 제작하면 부재 경량화가 가능하고 해체 작업이 쉬우며 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를 구성하는 베이스프레임(21)과 측면프레임(22)은 방수 구조로 형성하기 위해 제작시 용접에 의해 각 부품을 조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프레임(21)과 측면프레임(22)은 각각 강재로 구성한다.
특히, 베이스프레임(21)과 측면프레임(22)의 접합부 역시 전 둘레에 걸쳐 용접으로 접합하여 접합부 누수를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 설치 후 별도의 방수 공정이 필요 없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1) 및 측면프레임(22)의 내부 및 외부에는 액상 DGEBA형 에폭시 수지 30~35중량%, 페닐기 또는 사이크로 헥실기를 함유하는 소수성의 가소제로서 C10~C15의 탄소사슬을 갖는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비반응성 가소제A 3~5중량%, 수산기를 포함하는 반 친수성의 방향족 탄화수소로서 C7~C18의 탄소사슬을 갖는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비반응성 가소제 B 2~4중량%, 플래이애쉬 10~14중량% 및 용제 20~30중량%로 구성되는 주제와 경화제가 7: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에폭시 수지 도료를 도포할 수 있다.
기존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는 부식 방지를 위해 외부에 유성 방청도료를 주로 도포하였다. 그러나 유성 방청도료는 표면에 유막을 형성하여 콘크리트와의 일체성을 저하시키므로, 기초 콘크리트와의 재료 분리 현상이 발생하고, 분리된 틈으로 지하수가 올라와 누수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강재 프레임 외부에 에폭시 수지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강재 프레임의 부식을 방지하면서도 기초 콘크리트와의 부착성을 향상시켜 지하수 유입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에폭시 수지 도료는 강재 및 콘크리트와의 접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방청성, 내수성, 내알칼리성, 내산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의 부식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탈크 파우더는 325 메쉬 크기의 탈크와 1000 메쉬 크기의 탈크를 1: 0.5 내지 2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플라이 애쉬는 0.3~1mm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경화제는 지방족 아민을 변형시킨 것으로서 유화성을 띄는 아미드아민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프레임(22)은 외측면이 상부프레임(23)의 외측면보다 외측으로 일정 간격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는 기초 내에 영구 매립되는 것이다. 그런데 기존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은 외측면이 승강로 벽체(4)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상에서 그대로 연장 형성되므로, 엘리베이터 피트의 측벽 부재가 측벽 부재의 두께만큼 승강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승강기 도어 레일이나 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 등 승강기 설비 설치시 돌출된 부분과 간섭되어 설치 작업에 제약이 있다.
따라서 측면프레임(22)의 외측면을 상부프레임(23)의 외측면보다 일정 간격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즉 승강로 벽체(4)의 하부를 단차지게 단차부를 형성함으로써, 측면프레임(22)의 단면 일부가 콘크리트 기초(3) 내에 묻혀 승강로 내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단차부의 깊이가 너무 깊을 경우, 승강로 벽체(4)의 단면 손실이 커져 승강로 벽체(4) 하부에서 수직하중 전달을 위한 내력이 부족하게 된다. 그러므로 측면프레임(22)의 돌출 깊이, 즉 단차부의 폭은 25㎜ 정도가 바람직하다.
도 8은 전단차수키가 결합된 측면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프레임(22)의 상단 외측에는 측면프레임(22)의 상단 외측에 결합되어 측면프레임(22)의 상부로 돌출되는 차수벽(241) 및 상기 차수벽(241)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수평 절곡되어 형성되는 전단키(242)로 구성되어 측면프레임(22)과 상부프레임(23) 사이 높이에 위치하는 전단차수키(24)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는 지하수압에 의한 부력 등에 저항하도록 기초와 일체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 피트(2)의 외측에 전단키(242)를 두어 기초 내부에 맞물리도록 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전단키(242)를 이용하여 기초와 측벽 부재(221) 사이 틈을 통해 측벽 부재(221)를 타고 올라오는 지하수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측면프레임(22)과 상부프레임(23) 사이에 전단차수키(24)를 위치시키되, 상기 전단차수키(24)는 측면프레임(22)의 외측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전단키(242)에 의해 1차적으로 하부에서 올라오는 지하수를 차단하고, 전단키(242)의 내측 단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절곡된 차수벽(241)에 의해 2차로 지하수의 유입을 차단한다.
상기 전단키(242)에는 콘크리트 기초의 상부 철근이 거치되어 정착될 수 있다.
상기 전단키(242)에는 기초 콘크리트와의 일체화를 위해 다수의 정착홀(244)을 관통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초 콘크리트와의 일체화를 위해 전단키(242)는 외측 단부를 하부로 수직 절곡하여 보강부(243)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전단차수키(24)의 전단키(242) 상부에는 지수재(24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지하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전단키(242)와 수평 방향으로 지하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수벽(241) 사이에 지수재(245)를 설치하면, 차수벽(241)으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더욱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지하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지수재(245)는 전단키(242)에 형성된 정착홀(244)보다 차수벽(241) 측에 가깝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수재(245)는 전단키(2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 가능하다.
도 9는 베이스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의 접합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21)은 측면프레임(22)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돌출된 상면에 지수재(212)가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통상 엘리베이터 피트(2)는 주변 기초 콘크리트 타설시 베이스프레임(21)의 상면 높이까지 1차 타설 후 상부 콘크리트가 2차로 타설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프레임(21)의 상면 높이에서 시공 줄눈(cold joint)이 발생하여 이 부분을 통한 지하수 침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부분을 통하여 측면프레임(22)으로 지하수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프레임(21)의 돌출된 부분을 활용하여 베이스프레임(21)의 상면에 지수재(212)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0은 집수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내부 채움콘크리트에 집수정이 묻힌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도 10 및 도 1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21)에는 상부가 개방된 집수정(25)이 구비되되, 상기 집수정(25)의 측벽은 베이스프레임(21)의 내부에 채워지는 콘크리트(26) 상면보다 높게 설치되고, 상기 측벽의 콘크리트 상면 상부로 돌출되는 부분에는 복수의 배수홀(251)이 형성되며, 집수정(25)의 개방된 상부에 그레이팅덮개(253)가 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승강로 설비 공사 단계에서는 골조 공사 중 엘리베이터 피트(2) 내에 유입된 물을 완전히 배출하여야 한다. 이에 일반적으로는 엘리베이터 피트(2) 내에 집수정을 설치하고, 집수정으로 물을 유도해서 배출한다.
이때, 엘리베이터 피트(2)의 바닥 콘크리트 타설시 집수정(25) 내부로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집수정(25)의 측벽 상단은 바닥 콘크리트의 상면 레벨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피트(2) 바닥의 물을 집수정(25)으로 완전히 유도하지 못하고, 잔류수가 생겨 설비 공사 및 마감콘크리트 타설에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엘리베이터 피트(2)의 바닥에 고인 물을 완전히 배수할 수 있도록 집수정(25)의 측벽 상부에 배수홀(25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수홀(251)은 엘리베이터 피트(2)의 바닥 콘크리트 타설시에는 내부로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임시로 막아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수정(25)의 측벽 상부 내측에는 집수정(25)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그레이팅덮개(253)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프레임(252)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2는 보조판재가 결합된 측면프레임을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프레임(22)의 측벽 부재(221) 내측에는 보조판재(2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판재(224)는 측벽 부재(221)의 내측에 결합되어 측벽 부재(221)를 보호한다. 그러므로 설비 작업자들이 각종 설비를 측벽 부재(221)에 용접으로 부착하는 과정에서 용접으로 인해 측벽 부재(221)에 구멍이 생겨 누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각종 설비 부재들은 보조판재(224)에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측벽 부재(221)가 파형 절곡 강판인 경우에는 보조판재(224)가 측벽 부재(221) 내측에서 수직 방향의 홈을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기 하강시 발생하는 풍절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보조판재(224)는 평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측벽 부재(221)는 각형강관(223)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조판재(224)는 작업 범위, 풍절 소음 제거 효과 등을 고려하여 측벽 부재(221)의 상부 일부 구간에만 형성되거나 측벽 부재(221)의 높이 전체 구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멍에 지지부재에 의한 멍에 및 서포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판재(224)의 내측에는 멍에(6)가 거치되는 복수의 멍에 지지부재(225)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의 (a)에는 멍에(6) 및 서포트(7)를 설치하기 전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 내부가 도시된다. 그리고 도 13의 (b)에는 멍에(6) 및 서포트(7)가 설치된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 내부가 도시된다.
통상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에는 기초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으로 인한 피트 구조물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멍에(6)와 서포트(7)가 설치된다.
이러한 멍에(6) 및 서포트(7)의 설치 작업은 통상 3인 이상의 작업자가 투입되어야 하므로 인건비 상승 요인이 된다.
이에 상기 측벽 부재(221)의 내측에 구비되는 보조판재(224)에 멍에(6)를 거치할 수 있는 멍에 지지부재(225)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자 1인이 멍에 지지부재(225)에 멍에(6)를 거치한 후 양측 멍에(6) 사이에 서포트(7)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4는 보강지지대가 구비된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로는 2열 이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측면프레임(22)의 장변을 지지하는 보강지지대(226)가 구비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상기 보강지지대(226)는 운반 중 측면프레임(22)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초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에 저항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보강지지대(226)는 양단을 대면하는 측면프레임(22)의 내측에 구비되는 지지포스트(222)에 각각 지지시킬 수 있다.
상기 보강지지대(226)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 개 설치할 수 있다.
승강기 설치 작업 중에는 상하로 이웃하는 보강지지대(226) 사이로 작업자가 이동 가능하다.
승강기 설치 작업 완료 후에는 보강지지대(226) 위치에 분리벽체(227)를 시공하여 이웃하는 승강로를 구획할 수 있다.
도 15는 단차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기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구비된 승강로 하부 구조는 지반(1) 또는 버림콘크리트(3') 상면에 설치되는 상기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 상기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를 감싸도록 강재 엘리베이터 피터의 외부에 시공되는 콘크리트 기초(3); 및 상기 콘크리트 기초(3)의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 측 상부에 구비되는 승강로 벽체(4);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는 승강로 하부의 콘크리트 기초에 매립되는 부분으로, 각 구성은 도 2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서술한 본 발명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에서 살펴본 것과 같다.
이때, 상기 측면프레임(22)은 외측면이 상부프레임(23)의 외측면보다 외측으로 일정 간격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승강로 벽체(4) 하부의 콘크리트 기초(3) 내측면에 단차부(34)가 형성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상기 단차부(34) 형성에 의하여 측면프레임(22)의 단면 일부가 콘크리트 기초(3) 내에 묻혀 승강로 내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로 벽체(4)의 승강로 측 수직 철근(41)은 승강로 측 수평 철근(42)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로 측 수직 철근(41)에 이음되기 위해 하부가 기초(3)에 묻히는 이음 철근(32)은 상기 승강로 측 수평 철근(42)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승강로 하부의 측면프레임(22) 부분에서 단차부(34)가 발생하면, 콘크리트 기초(3)에서 승강로 측 수직 방향 이음 철근(32)의 피복두께를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승강로 벽체(4)의 승강로 측 수직 철근(41)은 수평 철근(42)의 바깥쪽에 배치하고, 이와 이음되는 기초(3)의 승강로 측 이음 철근(32)은 수평 철근(42)의 안쪽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기초(3)의 이음 철근(32)의 피복두께를 최대한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구비된 승강로 하부 구조의 시공 방법은 도 2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전술한 본 발명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를 이용하여 도 15와 같은 승강로 하부 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구비된 승강로 하부 구조의 시공 방법에서는 우선 (a) 승강로가 설치될 위치를 터파기하여 공간부를 형성하고 공간부 저면에 잡석층 또는 버림콘크리트층(35)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b) 상기 공간부의 잡석층 또는 버림콘크리트층(35) 상부에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를 설치하고, (c) 상기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의 베이스프레임(21) 내부에 채움 콘크리트(26)를 타설한다.
상기 (c) 단계에서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 설치 후 베이스프레임(21) 내부에 내부 채움콘크리트(26) 타설함으로써 자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후에 콘크리트 기초(3) 타설시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d) 상기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 외측 하부에 버림콘크리트(3')를 타설하여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를 고정한 후, (e) 상기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의 외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기초(3)를 형성한다.
상기 (e) 단계에서 기초 콘크리트 높이가 높은 경우,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높이까지 1차로 타설하여 경화한 후 잔여 부분을 2차 타설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기초(3) 상부에는 마감콘크리트(3")가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f) 상기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의 상부프레임(23) 상부에 거푸집(5)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승강로 벽체(4)를 형성하고, (g) 상기 거푸집(5) 및 상부프레임(23)을 제거하여 마무리한다.
1: 지반 2: 엘리베이터 피트
21: 베이스프레임 211: 수용공간
212: 지수재 22: 측면프레임
221: 측벽 부재 222: 지지포스트
223: 각형강관 224: 보조판재
225: 멍에 지지부재 226: 보강지지대
227: 분리벽체
23: 상부프레임 230: 유닛프레임
231: 보강프레임 232: 홈부
24: 전단차수키 241: 차수벽
242: 전단키 243: 보강부
244: 정착홀 245: 지수재
25: 집수정 251: 배수홀
252: 거치프레임 253: 그레이팅덮개
26: 내부 채움콘크리트 261: 바닥 철근
27: 내부 마감콘크리트 28: 고정 브래킷
3: 콘크리트 기초 3': 버림콘크리트
3": 마감콘크리트 31: 상부 철근
32: 이음 철근 34: 단차부
35: 잡석층 또는 버림콘크리트층
4: 승강로 벽체 41: 수직 철근
42: 수평 철근 5: 거푸집
6: 멍에 7: 서포트
B: 볼트

Claims (14)

  1. 승강로 하부의 콘크리트 기초(3)에 매립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에 관한 것으로,
    장방형의 베이스프레임(21);
    상기 베이스프레임(21)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복수의 측벽 부재(221) 및 설비 부재 결합을 위해 상기 측벽 부재(221)의 내측에 구비되는 보조판재(2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측면프레임(22);
    승강로 벽체 타설용 거푸집(5)의 하단을 고정하여 지지하기 위해 측면프레임(22)의 측벽 부재(221)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23);
    상기 측면프레임(22)의 상단 외측에 결합되어 측면프레임(22)의 상부로 돌출되는 차수벽(241) 및 상기 차수벽(241)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수평 절곡되어 형성되는 전단키(242)로 구성되어 측면프레임(22)과 상부프레임(23) 사이 높이에 위치하는 전단차수키(24);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21)에 구비되는 것으로 측벽이 베이스프레임(21)의 내부에 채워지는 콘크리트 상면보다 높게 설치되고, 상기 측벽의 콘크리트 상면 상부로 돌출되는 부분에 복수의 배수홀(251)이 형성되며, 개방된 상부에 그레이팅덮개(253)가 거치되는 집수정(25); 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프레임(23)의 상단은 기초 콘크리트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콘크리트의 유입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2. 제1항에서,
    상기 전단차수키(24)의 전단키(242) 상부에는 지수재(24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3. 제1항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21)은 측면프레임(22)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돌출된 상면에 지수재(21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4. 제1항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21) 및 측면프레임(22)의 내부 및 외부에는 액상 DGEBA형 에폭시 수지 30~35중량%, 페닐기 또는 사이크로 헥실기를 함유하는 소수성의 가소제로서 C10~C15의 탄소사슬을 갖는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비반응성 가소제A 3~5중량%, 수산기를 포함하는 반 친수성의 방향족 탄화수소로서 C7~C18의 탄소사슬을 갖는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비반응성 가소제 B 2~4중량%, 플래이애쉬 10~14중량% 및 용제 20~30중량%로 구성되는 주제와 경화제가 7: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에폭시 수지 도료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5. 제1항에서,
    상기 보조판재(224)의 내측에는 멍에(6)가 거치되는 복수의 멍에 지지부재(22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6. 제1항에서,
    상기 승강로는 2열 이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측면프레임(22)의 장변을 지지하는 보강지지대(22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7. 제1항에서,
    상기 측면프레임(22)은 외측면이 상부프레임(23)의 외측면보다 외측으로 일정 간격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8. 지반(1) 또는 버림콘크리트(3') 상면에 설치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
    상기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를 감싸도록 강재 엘리베이터 피터의 외부에 시공되는 콘크리트 기초(3); 및
    상기 콘크리트 기초(3)의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 측 상부에 구비되는 승강로 벽체(4);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구비된 승강로 하부 구조.
  9. 제8항에서,
    상기 측면프레임(22)은 외측면이 상부프레임(23)의 외측면보다 외측으로 일정 간격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승강로 벽체(4) 하부의 콘크리트 기초(3) 내측면에 단차부(3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구비된 승강로 하부 구조.
  10. 제9항에서,
    상기 승강로 벽체(4)의 승강로 측 수직 철근(41)은 승강로 측 수평 철근(42)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로 측 수직 철근(41)에 이음되기 위해 하부가 기초(3)에 묻히는 이음 철근(32)은 상기 승강로 측 수평 철근(42)의 안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구비된 승강로 하부 구조.
  11. (a) 승강로가 설치될 위치를 터파기하여 공간부를 형성하고 공간부 저면에 잡석층 또는 버림콘크리트층(35)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공간부의 잡석층 또는 버림콘크리트층(35) 상부에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를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의 베이스프레임(21) 내부에 채움 콘크리트(26)를 타설하는 단계;
    (d) 상기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 외측 하부에 버림콘크리트(3')를 타설하여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를 고정하는 단계;
    (e) 상기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의 외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기초(3)를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의 상부프레임(23) 상부에 거푸집(5)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승강로 벽체(4)를 형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거푸집(5) 및 상부프레임(23)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구비된 승강로 하부 구조의 시공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80130074A 2018-10-29 2018-10-29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구비된 승강로 하부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008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074A KR102008414B1 (ko) 2018-10-29 2018-10-29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구비된 승강로 하부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074A KR102008414B1 (ko) 2018-10-29 2018-10-29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구비된 승강로 하부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414B1 true KR102008414B1 (ko) 2019-08-08

Family

ID=6761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074A KR102008414B1 (ko) 2018-10-29 2018-10-29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구비된 승강로 하부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41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8301A (zh) * 2021-06-24 2021-09-03 王科彩 一种建筑基坑用灌浆可修复式钢支撑结构
CN113622655A (zh) * 2021-07-24 2021-11-09 浙江龙马建设有限公司 一体浇筑成型电梯井浇筑模板
CN113800679A (zh) * 2021-09-23 2021-12-17 温州市丰源水利水电工程有限公司 水资源管理用水质处理系统及其施工方法
KR102562464B1 (ko) * 2022-09-23 2023-08-02 주식회사 제이테크이엔씨 물량절감 및 공기단축이 가능한 고내식성의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KR102591431B1 (ko) 2023-02-27 2023-10-19 (주)케이앤에스테크 엘리베이터 피트의 면진 하부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5019A (ja) * 2005-11-10 2009-04-09 ピーピージー・ベー・ブイ エポキシをベースにした塗料
KR20170004790A (ko) * 2015-07-03 2017-01-11 엄재현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20170006294A (ko) * 2016-08-22 2017-01-17 엄재현 강도 보강형 엘리베이터 피트 결합 구조물
KR101779739B1 (ko) * 2017-01-10 2017-09-19 아이앤티엔지니어링(주)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과 그 상부에 설치되는 강재 거푸집의 연결부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5019A (ja) * 2005-11-10 2009-04-09 ピーピージー・ベー・ブイ エポキシをベースにした塗料
KR20170004790A (ko) * 2015-07-03 2017-01-11 엄재현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20170006294A (ko) * 2016-08-22 2017-01-17 엄재현 강도 보강형 엘리베이터 피트 결합 구조물
KR101779739B1 (ko) * 2017-01-10 2017-09-19 아이앤티엔지니어링(주)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과 그 상부에 설치되는 강재 거푸집의 연결부 구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8301A (zh) * 2021-06-24 2021-09-03 王科彩 一种建筑基坑用灌浆可修复式钢支撑结构
CN113622655A (zh) * 2021-07-24 2021-11-09 浙江龙马建设有限公司 一体浇筑成型电梯井浇筑模板
CN113622655B (zh) * 2021-07-24 2022-08-12 浙江龙马建设有限公司 一体浇筑成型电梯井浇筑模板
CN113800679A (zh) * 2021-09-23 2021-12-17 温州市丰源水利水电工程有限公司 水资源管理用水质处理系统及其施工方法
CN113800679B (zh) * 2021-09-23 2023-08-08 温州市丰源水利水电工程有限公司 水资源管理用水质处理系统及其施工方法
KR102562464B1 (ko) * 2022-09-23 2023-08-02 주식회사 제이테크이엔씨 물량절감 및 공기단축이 가능한 고내식성의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KR102568180B1 (ko) * 2022-09-23 2023-08-18 강태관 다용도 결합부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KR102591431B1 (ko) 2023-02-27 2023-10-19 (주)케이앤에스테크 엘리베이터 피트의 면진 하부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414B1 (ko)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구비된 승강로 하부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FI92509C (fi) Hissikuilu
CN107313506B (zh) 设有边梁的建筑框架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744693B1 (ko) 콘크리트 스틸 하우스 및 이를 이용한 말뚝기초 푸팅시공방법
KR100982827B1 (ko) 바닥슬래브에 가설 흙막이 벽의 토압을 지지시키면서지하실 합벽을 후시공하는 공법
US20200299982A1 (en) Method for retrofitting a building using a lift system and component kit for performing the method
US9719269B2 (en) Prefabricated pool
KR100775767B1 (ko) Src골조의 기둥용 수직철근을 이용한 역타설 축조공법
CN111501839B (zh) 一种电缆井
KR101203318B1 (ko)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KR102227414B1 (ko) 지하 외벽-슬래브 접합 구조
KR102386775B1 (ko) 외벽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그 시공 방법
KR101499811B1 (ko) 선조립 벽체 골조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선조립 벽체의 시공 방법
KR100979138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KR101761779B1 (ko) 기초 매입형 강재 집수정을 시공하는 방법
KR101708218B1 (ko) 하이브리드 지하 피트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398231Y1 (ko)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일방향 지지 브라켓
KR100973235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KR100676193B1 (ko) 철골 계단 구조
KR102272346B1 (ko)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JP6652755B2 (ja) 道路床版とPCa壁高欄と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KR102177745B1 (ko) 기둥식 옥탑 pc 프레임
KR200402363Y1 (ko) 기둥 콘크리트 타설 구조
KR20060017433A (ko) 대형 교량의 기초 우물통 및 교각 신설 공법
JP2004244208A (ja) 外部エレベータとそ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