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346B1 -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 Google Patents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346B1
KR102272346B1 KR1020190093767A KR20190093767A KR102272346B1 KR 102272346 B1 KR102272346 B1 KR 102272346B1 KR 1020190093767 A KR1020190093767 A KR 1020190093767A KR 20190093767 A KR20190093767 A KR 20190093767A KR 102272346 B1 KR102272346 B1 KR 102272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
module
wall
pit modu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6169A (ko
Inventor
주상준
정인수
박상현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우광티엔씨(주)
(주)창민우구조컨설탄트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진흥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광티엔씨(주), (주)창민우구조컨설탄트,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진흥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광티엔씨(주)
Priority to KR1020190093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346B1/ko
Publication of KR20210016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간 벽체에 의해 분할되는 승강로 설치시, 제1피트모듈과 제2피트모듈을 상호 이격 배치하되 하부의 베이스프레임으로 연결하여 일체화함으로써, 베이스프레임과 제1, 2피트모듈이 콘크리트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부력에 저항할 수 있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간 벽체에 의해 분할되는 승강로 하부의 콘크리트 기초에 매립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외부측 측면이 측면패널에 의해 폐쇄된 사각형 단면의 제1피트모듈; 상부가 개방되고, 외부측 측면이 측면패널에 의해 폐쇄된 사각형 단면으로 상기 제1피트모듈과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사이에 벽 조성부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2피트모듈; 상기 제1피트모듈과 제2피트모듈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측단이 제1피트모듈 및 제2피트모듈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장방형의 일체형 베이스프레임; 상기 벽 조성부의 내부에 미리 삽입 설치되는 선조립 철근망; 상기 제1피트모듈 및 제2피트모듈의 벽 조성부 측 측면에 구비되는 벽 패널; 및 수직보강바와 수평보강바로 구성되어 상기 벽 패널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보강프레임;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Steel pit structur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세대 경계벽 등의 중간 벽체에 의해 분할되는 승강로 설치시, 제1피트모듈과 제2피트모듈을 상호 이격 배치하되 하부의 베이스프레임으로 연결하여 일체화함으로써, 베이스프레임과 제1, 2피트모듈이 콘크리트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부력에 저항할 수 있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샤프트 하부에는 완충기 설치 또는 장비 점검 등을 위해 엘리베이터 피트(pit)가 설치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는 건물 최하부에 구비되어야 하므로, 통상 매트 기초 내부에 매립 설치된다.
그런데 기초 공사 자체에는 거푸집 작업이 필요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기초 내부에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설치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거푸집 설치 및 해체 작업이 필요하다.
아울러 엘리베이터 피트 부분은 통상 기초보다 하부로 일정 깊이 더 내려가게 설치된다. 그러므로 철근 배근 및 거푸집 설치 작업이 어려워, 이로 인해 공사 기간이 증가하고 경제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재래식 엘리베이터 피트 시공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피트를 사전 제작하여 현장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의 엘리베이터 피트용 구조물이 개발되었다(등록특허 제10-1508898호).
그러나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용 구조물은 구조물의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기초 콘크리트 타설시 부력에 의한 부상(浮上)의 우려가 있다.
이에 등록특허 제10-1705264호 등에서와 같이, 하측 부재의 단부를 피트 양측으로 돌출시키고, 1차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베이스프레임인 하측 부재가 1차 콘크리트 내에 고정된 상태에서 2차로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도 1).
그러나 공동주택에서 세대 경계벽 등의 중간 벽체에 의해 승강로가 분할되는 경우,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중간 벽체를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설치하면 중간 벽체 측은 베이스프레임을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의 외측으로 돌출시킬 수 없다.
이에 따라 베이스프레임이 1차 타설되는 콘크리트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타설시 또는 지하 수압에 의해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이 부상하여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간 벽체에 의해 분할되는 승강로에서 콘크리트 내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부력에 저항할 수 있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중간 벽체에 의해 분할되는 승강로 하부의 콘크리트 기초에 매립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외부측 측면이 측면패널에 의해 폐쇄된 사각형 단면의 제1피트모듈; 상부가 개방되고, 외부측 측면이 측면패널에 의해 폐쇄된 사각형 단면으로 상기 제1피트모듈과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사이에 벽 조성부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2피트모듈; 상기 제1피트모듈과 제2피트모듈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측단이 제1피트모듈 및 제2피트모듈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장방형의 일체형 베이스프레임; 상기 벽 조성부의 내부에 미리 삽입 설치되는 선조립 철근망; 상기 제1피트모듈 및 제2피트모듈의 벽 조성부 측 측면에 구비되는 벽 패널; 및 수직보강바와 수평보강바로 구성되어 상기 벽 패널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보강프레임;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피트모듈과 제2피트모듈의 상부는 제1피트모듈과 제2피트모듈의 외곽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지지프레임으로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보강프레임의 수직보강바 및 수평보강바는 일측 레그의 단부는 보강바에 고정되고, 타측 레그의 단부는 벽 패널에 고정되는 ㄱ형상의 고정브래킷에 의해 벽 패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고정브래킷의 타측 레그 일측에는 연장플레이트가 볼트 결합되고, 상기 연장플레이트의 단부가 벽 패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보강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한 수평보강바는 보강프레임고정구에 의해 상부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벽 조성부의 베이스프레임 상부는 누수방지플레이트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간 벽체에 의해 분할되는 승강로 설치시, 제1피트모듈과 제2피트모듈을 상호 이격 배치하되 이들 모듈을 하부의 베이스프레임으로 연결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베이스프레임 및 상부의 제1, 2피트모듈을 콘크리트 내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부력에 저항 가능한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지지포스트와 상부지지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콘크리트 기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벽 패널 및 보강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보강프레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일실시예의 고정브래킷에 의한 보강프레임과 벽 패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의 고정브래킷에 의한 보강프레임과 벽 패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지지포스트와 상부지지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콘크리트 기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은 중간 벽체(4)에 의해 분할되는 승강로 하부의 콘크리트 기초(3)에 매립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외부측 측면이 측면패널(212)에 의해 폐쇄된 사각형 단면의 제1피트모듈(21a); 상부가 개방되고, 외부측 측면이 측면패널(212)에 의해 폐쇄된 사각형 단면으로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사이에 벽 조성부(22)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2피트모듈(21b); 및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측단이 제1피트모듈(21a) 및 제2피트모듈(21b)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장방형의 일체형 베이스프레임(23);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간 벽체에 의해 분할된 승강로에서 콘크리트 내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부력에 저항할 수 있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는 승강로 하부의 콘크리트 기초(3)에 매립된다.
본 발명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은 제1피트모듈(21a), 제2피트모듈(21b) 및 베이스프레임(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은 각각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은 상호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사이에 벽 조성부(2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 사이에는 벽 조성부(22)가 형성되어, 후에 벽 조성부(22)에 중간 벽체(4)이 시공된다.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은 중간 벽체(4)을 기준으로 좌우로 이격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3)은 장방형 형상으로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3)은 측단이 제1피트모듈(21a) 및 제2피트모듈(21b)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이 상호 이격 배치되는 대신 하부의 베이스프레임(23)이 이들을 하나로 연결하여 일체화한다. 이에 따라 1차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베이스프레임(23) 및 베이스프레임(23) 상부에 설치되는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이 견고하게 고정 가능하다.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은 사이의 벽 조성부(22)에 중간 벽체(4)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 역할을 한다.
상기 벽 조성부(22)는 상부와 양측면이 개방되어 기초 콘크리트 타설시 중간 벽체(4) 하부가 같이 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은 구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사각형 단면으로 각각 형성 가능하다.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은 각 모서리에 지지포스트(211)가 배치되고, 이웃하는 지지포스트(211) 사이에는 측면패널(21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면패널(212)은 기초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을 지지하고 상부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골과 마루가 교대로 형성된 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포스트(211)와 측면패널(212)의 상부에는 상부 강성 보강을 위하여 상부지지프레임(213)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프레임(213)의 상부에는 승강로 벽체 타설용 거푸집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거푸집 거치 프레임(214)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거푸집 거치 프레임(214)은 콘크리트 기초(3) 상부의 승강로 벽체 타설용 거푸집을 고정하여 체결하기 위해 상부지지프레임(213)에 결합되는 소모성 자재로 상부지지프레임(213)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거푸집 거치 프레임(214)은 승강로 벽체 시공 완료 후 해체하여 제거 가능하다.
아울러 콘크리트 기초(3)와 측면패널(212) 사이 틈을 통해 측면패널(212)을 타고 올라오는 지하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지지프레임(213)의 외측면에는 전단차수키(215)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전단차수키(215)는 기초의 상부 철근(미도시)이 연결되어 정착되고, 기초 콘크리트의 내부에 맞물려 일체화됨으로써, 지하 수압에 의한 부력 등에 저항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3)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장방형 형상으로 구성 가능한 것으로, 강재를 절곡 또는 용접하여 형성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3)은 지하수에 의한 부력 등을 지지하기 위해 내부에 바닥철근(231)을 배근한 후 내부에 채움콘크리트(미도시)를 타설하여 채울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3)은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의 측면패널(212)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버림콘크리트(3') 및 콘크리트 기초(3) 내에 묻히게 구성할 수 있다(도 4). 이로써 하부 부력 등에 대해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와 기초가 일체 거동하여 저항 가능하다.
도 3,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의 상부는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의 외곽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지지프레임(213)으로 상호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의 하부는 베이스프레임(23)에 의해 지지되나 상부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이에 따라 벽 조성부(22)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측압 지지가 곤란하고, 제1, 2피트모듈(21a, 21b)의 고정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지지프레임(213)을 하나로 연결하여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의 외곽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이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의 형상 유지가 용이하다. 또한, 중간 벽체(4) 부분 콘크리트 타설시 양측 거푸집의 간격 유지를 위해 스페이서를 설치하는 경우 스페이서가 중간 벽체(4)를 관통하게 되므로 중간 벽체(4)에서 누수 발생 우려가 있는데, 지지프레임(213)에 의해 양측 거푸집의 간격이 유지되므로 별도의 스페이서 설치가 필요 없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 조성부(22)의 베이스프레임(23) 상부는 누수방지플레이트(232)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3)은 채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그런데 베이스프레임(23) 상면이 개방될 경우, 중간 벽체(4)를 타고 물이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벽 조성부(22)의 베이스프레임(23) 상부에는 누수방지플레이트(232)를 덮어 폐쇄함으로써 누수를 방지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 조성부(22)의 내부에는 선조립 철근망(25)이 미리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벽 조성부(22)에는 중간 벽체(4)이 시공된다.
이러한 중간 벽체(4)은 수직하중을 지지하는 부재이므로 벽 철근이 배근되어 수직 하중을 기초부에 전달하여야 한다.
그런데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은 공장에서 선조립하여 현장 반입 및 설치되는 것이므로,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 사이의 폭이 좁은 벽 조성부(22) 내에서 철근 배근 작업을 하기가 쉽지는 않다.
따라서 벽 철근을 현장에서 설치할 수도 있으나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제작시 선조립 철근망(25)을 미리 삽입 설치함으로써 현장 철근 배근 작업을 생략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벽 패널 및 보강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피트모듈(21a) 및 제2피트모듈(21b)의 벽 조성부(22) 측 측면은 벽 패널(26) 및 수직보강바(271)와 수평보강바(272)로 구성되어 상기 벽 패널(26)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보강프레임(27)으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제1피트모듈(21a) 및 제2피트모듈(21b)의 벽 조성부(22) 측 측면은 중간 벽체(4)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을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중간 벽체(4) 부분은 승강기 등 설치시 공간적 여유가 없는 경우가 많아 측압 지지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벽 패널(26)에 착탈 가능한 보강프레임(27)을 고정하여 중간 벽체(4)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을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27)은 수직보강바(271)와 수평보강바(272)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프레임(27)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평보강바(272)를 배치하고, 상하부 수평보강바(272) 사이에 복수의 수직보강바(271)를 결합하여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27)은 중간 벽체(4) 콘크리트 양생 후 제거하여 승강로 설비 공사시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벽 패널(26)은 중간 벽체(4) 철근의 피복두께 확보, 엘리베이터 피트 내부의 승강기 설치를 위한 최소 공간 확보 등을 위하여 평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내부에는 승강기 점검용 사다리가 설치되어야 한다. 그런데 현장에서 용접에 의해 벽 패널(26)에 승강기 점검용 사다리 고정시, 용접 부주의로 인해 벽 패널(26)에 구멍이 생기면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벽 패널(26)의 내측면에는 승강기 점검용 사다리 설치를 위한 사다리 고정패널(261)을 선부착하여 둘 수 있다.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프레임(27)의 상부에 위치한 수평보강바(272)는 보강프레임고정구(273)에 의해 상부지지프레임(213)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27)을 용접 공정 없이 고정할 수 있도록 보강프레임(27)은 별도의 보강프레임고정구(273)를 이용하여 볼트로 상부지지프레임(213)에 고정할 수 있다.
즉, 상부에 위치한 수평보강바(272)의 양단은 각각 보강프레임고정구(273)에 의해 상부지지프레임(213)에 조립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하부에 위치하는 수평보강바(272)는 보강프레임고정구(273)에 의해 누수방지플레이트(232)에 조립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고정구(273)는 볼트에 의해 상부지지프레임(213) 또는 누수방지플레이트(232)에 조립 고정 가능하므로, 해체시 부재의 손상이 없다.
도 7은 보강프레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일실시예의 고정브래킷에 의한 보강프레임과 벽 패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프레임(27)의 수직보강바(271) 및 수평보강바(272)는 일측 레그(281)의 단부는 보강바(271, 272)에 고정되고, 타측 레그(282)의 단부는 벽 패널(26)에 고정되는 ㄱ형상의 고정브래킷(28)에 의해 벽 패널(26)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강판인 벽 패널(26)에 보강프레임(27)을 고정하는 과정은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의 공장 제작시 이루어지므로 용접 품질 확보가 용이하다.
반면, 상기 보강프레임(27)의 해체는 현장에서 기초 콘크리트 양생 후 승강로 설비 공사 시점에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보강프레임(27)의 해체가 용접이나 산소 절단 등에 숙련도가 떨어지는 현장 설비 작업자들에 의해 이루어져 벽 패널(26)의 손상 가능성이 있으며, 누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 보강프레임(27) 해체시 벽 패널(26)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보강프레임(27)은 ㄱ형상의 고정브래킷(28)을 이용하여 벽 패널(26)에 용접 고정하여 둘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정브래킷(28)의 용접 결합을 위해 벽 패널(26)은 강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래킷(28)은 벽 패널(26)에 보강프레임(27)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공장 제작시 용접에 의해 사전 부착 가능하다.
상기 벽 조성부(22)에 중간 벽체(4)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한 이후 보강프레임(27)을 해체하고자 하는 경우, 고정브래킷(28)의 타측 레그(282)를 절단하여 보강프레임(27)을 해체할 수 있다.
이때, 도 8에서 표기한 고정브래킷(28)의 일점쇄선 부분을 절단하고 보강프레임(27)을 해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브래킷(28)과 벽 패널(26) 사이의 용접 부위가 아니라 고정브래킷(28)의 레그 중간을 절단하면, 벽 패널(26)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평보강바(272)의 양단은 지지포스트(211) 또는 벽 패널(26)의 내측면에 고정 가능하다.
상기 수평보강바(272)는 용접에 의해 고정할 수 있으며, 보강프레임(27) 해체시에는 수평보강바(272) 측 단부를 절단하여 보강프레임(27)을 해체 가능하다.
상기 수직보강바(271)의 내측에는 멍에 고정을 위한 멍에 고정대(29)를 부착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의 고정브래킷에 의한 보강프레임과 벽 패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래킷(28)의 타측 레그(282) 일측에는 연장플레이트(283)가 볼트(B) 결합되고, 상기 연장플레이트(283)의 단부가 벽 패널(26)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8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 고정브래킷(28)의 타측 레그(282)를 절단하여 보강프레임(27)을 제거할 경우, 보강프레임(27)을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고정브래킷(28) 전체를 다시 절단하고 새로운 고정브래킷(28)을 용접 결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브래킷(28)의 타측 레그(282) 단부에 연장플레이트(283)를 볼트(B) 결합하여, 보강프레임(27)의 재사용이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중간 벽체(4) 콘크리트 양생 후 연장플레이트(283)를 절단하여 보강프레임(27)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플레이트(283)와 고정브래킷(28)의 타측 레그(282)를 연결하는 볼트(B)를 해체하여 연장플레이트(283)의 잔여 부분을 제거한 다음, 고정브래킷(28)의 타측 레그(282)에 새로운 연장플레이트(283)를 볼트(B) 체결 가능하다.
이후 보강프레임(27) 재설치시 고정브래킷(28)의 일측 레그(281)와 타측 레그(282) 부분까지 그대로 재활용 가능하다.
1: 지반 2: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21a: 제1피트모듈 21b: 제2피트모듈
211: 지지포스트 212: 측면패널
213: 상부지지프레임 214: 거푸집 거치 프레임
215: 전단차수키 22: 벽 조성부
23: 베이스프레임 231: 바닥철근
232: 누수방지플레이트 25: 선조립 철근망
26: 벽 패널 261: 사다리 고정패널
27: 보강프레임 271: 수직보강바
272: 수평보강바 273: 보강프레임고정구
28: 고정브래킷 281: 일측 레그
282: 타측 레그 283: 연장플레이트
29: 멍에 고정대 3: 콘크리트 기초
3': 버림콘크리트 4: 중간 벽체
B: 볼트

Claims (8)

  1. 중간 벽체(4)에 의해 분할되는 승강로 하부의 콘크리트 기초(3)에 매립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외부측 측면이 측면패널(212)에 의해 폐쇄된 사각형 단면의 제1피트모듈(21a);
    상부가 개방되고, 외부측 측면이 측면패널(212)에 의해 폐쇄된 사각형 단면으로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사이에 벽 조성부(22)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2피트모듈(21b);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측단이 제1피트모듈(21a) 및 제2피트모듈(21b)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장방형의 일체형 베이스프레임(23);
    상기 벽 조성부(22)의 내부에 미리 삽입 설치되는 선조립 철근망(25);
    상기 제1피트모듈(21a) 및 제2피트모듈(21b)의 벽 조성부(22) 측 측면에 구비되는 벽 패널(26); 및
    수직보강바(271)와 수평보강바(272)로 구성되어 상기 벽 패널(26)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보강프레임(27);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2. 제1항에서,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의 상부는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의 외곽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지지프레임(213)으로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보강프레임(27)의 수직보강바(271) 및 수평보강바(272)는 일측 레그(281)의 단부는 보강바(271, 272)에 고정되고, 타측 레그(282)의 단부는 벽 패널(26)에 고정되는 ㄱ형상의 고정브래킷(28)에 의해 벽 패널(26)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6. 제5항에서,
    상기 고정브래킷(28)의 타측 레그(282) 일측에는 연장플레이트(283)가 볼트(B) 결합되고, 상기 연장플레이트(283)의 단부가 벽 패널(26)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7. 제1항에서,
    상기 보강프레임(27)의 상부에 위치한 수평보강바(272)는 보강프레임고정구(273)에 의해 상부지지프레임(213)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8. 제1항에서,
    상기 벽 조성부(22)의 베이스프레임(23) 상부는 누수방지플레이트(232)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KR1020190093767A 2019-08-01 2019-08-01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KR102272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767A KR102272346B1 (ko) 2019-08-01 2019-08-01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767A KR102272346B1 (ko) 2019-08-01 2019-08-01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169A KR20210016169A (ko) 2021-02-15
KR102272346B1 true KR102272346B1 (ko) 2021-07-02

Family

ID=7456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767A KR102272346B1 (ko) 2019-08-01 2019-08-01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3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0205B (zh) * 2022-06-07 2024-04-26 上海城建市政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深基坑筏板、集水井、电梯井一体化快速施工方法
CN118128052B (zh) * 2024-05-06 2024-07-12 山东智鼎电梯有限公司 一种加装电梯钢结构底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0992A (ja) * 2004-06-11 2005-12-22 Takanori Sato 鋼管とh型鋼との締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007U (ko) * 1994-07-11 1996-02-16 조립식 물탱크의 판넬 보강구조.
JPH0849301A (ja) * 1994-08-09 1996-02-20 Misawa Homes Co Ltd 地下室付き建物
WO2001090499A1 (en) * 2000-05-19 2001-11-29 Scallan L Joe Construction of high-rise building with large modular units
KR101826192B1 (ko) * 2016-04-01 2018-02-06 엄재현 형틀지지수단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20190084489A (ko) * 2018-01-08 2019-07-17 김상근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0992A (ja) * 2004-06-11 2005-12-22 Takanori Sato 鋼管とh型鋼との締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169A (ko) 202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419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KR102008414B1 (ko)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구비된 승강로 하부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272346B1 (ko)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KR101574253B1 (ko) Pc패널을 이용한 트윈 월 구조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904692B1 (ko) 슬래브 홀 마감 시공방법 및 형틀
KR101078795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의 접합부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JP2016089610A (ja) 既設柱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工法
KR101908356B1 (ko) 내진보강용 이중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100949785B1 (ko) 피씨 보 제작용 몰드
KR20070106274A (ko) 단위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물탱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20067B1 (ko) 아치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 보의 시공방법
KR101708218B1 (ko) 하이브리드 지하 피트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814442B1 (ko) 무량 슬래브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무량 슬래브 시공방법
KR101726068B1 (ko) 프리캐스트 패널구조체 및, 시공방법
KR100973235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KR101473218B1 (ko) 지하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387408Y1 (ko) 조립식 연속 기초 블록
JP2014001550A (ja) 連結用スラブ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880813B1 (ko) 샌드위치 피씨 패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0599059B1 (ko)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862567B1 (ko) 조립형 매트기초 표준 하우스시스템
KR20190001483A (ko) 샌드위치 피씨-월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437083B1 (ko) 조립이 용이한 강구조 건축물 시공방법
KR101179723B1 (ko) 거푸집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620982B1 (ko) Pc 모듈러 조립 주택 및 pc 모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