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502B1 -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 Google Patents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502B1
KR101037502B1 KR1020080023321A KR20080023321A KR101037502B1 KR 101037502 B1 KR101037502 B1 KR 101037502B1 KR 1020080023321 A KR1020080023321 A KR 1020080023321A KR 20080023321 A KR20080023321 A KR 20080023321A KR 101037502 B1 KR101037502 B1 KR 101037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late
base plate
plate structur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8126A (ko
Inventor
유홍남
허갑수
이충렬
석원균
장동진
엄기형
김영민
Original Assignee
극동건설주식회사
롯데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보성구조 기술사그룹
(주)대우건설
디엠이엔씨(주)
한라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극동건설주식회사, 롯데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보성구조 기술사그룹, (주)대우건설, 디엠이엔씨(주), 한라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극동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3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7502B1/ko
Publication of KR20090098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8Foundations inserted underneath existing building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딩, 아파트와 같은 건물이나 철골 구조물, 교량과 같이 큰 하중을 갖는 물체를 지층에 지지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단부를 지지하는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측으로 깊이 굴토하고 바닥 콘트리트층을 두껍게 형성하여 기초 구조를 형성하는 것 대신에, 부피가 작고, 간단하여, 굴토 깊이를 작게 하면서도 높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에 대한 것이다. 발명은 기초 바닥층에 인가되는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인장력이나 압축력에도 강한 내력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기초 구조의 부피를 작게 시공할 수 있어 터파기 면적, 깊이를 감소시키면서도 높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시공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협소한 장소에서도 용이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에 유입공, 돌기부 또는 열림부를 형성하거나 판재의 단면형상이 굴곡 또는 절곡을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와 함께 경화될 때, 상호 간에 보다 견고하게 정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Reinforcement}
본 발명은 빌딩, 아파트와 같은 건물이나 철골 구조물, 교량과 같이 큰 하중을 갖는 물체를 지층에 지지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단부를 지지하는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측으로 깊이 굴토하고 바닥 콘트리트층을 두껍게 형성하여 기초 구조를 형성하는 것 대신에, 부피가 작고, 간단하여, 굴토 깊이를 작게 하면서도 높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교량 등의 자중에 의해 지반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 시공시 건물의 하부에는 건물 하중이 지반에 골고루 전달되며 지지될 수 있도록 기초 구조가 시공되는데, 종래의 기초 구조는 두꺼운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주로 사용하였다. 건물이 점점 높아지고 규모가 커짐에 따라 단위면적당 기초 구조에 인가되는 하중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되고 있는 기초 구조의 경우 철근콘 크리트 구조로 제작된 기초 구조의 두께를 증대시킴으로써 내력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기초 구조의 크기나 두께가 커짐에 따라 기초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굴토 깊이, 즉 터파기의 깊이가 깊어지게 된다. 이는 기초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지반의 터파기 작업과 기초 구조 설치 공정이 복잡하게 되므로 공사기간이 증대되는 문제와 터파기를 위한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를 유발하였다. 특히 건물 하부에 암반형 지반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터파기를 깊게 하는데 더욱 더 긴 공사기간과 공사비를 소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터파기를 깊게 하는 경우 굴토된 지하층 벽면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측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굴토하여야 하므로, 인접 건물에 피해를 주게 되거나 밀집장소에서의 공사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측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굴토하게 되면 그만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야 할 공간이 커지게 되므로 콘크리트를 낭비하게 된다는 단점도 있다.
삭제
삭제
도 1은 일반적인 기초 바닥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축물의 바닥층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하중을 지지, 분산시키기 위한 기초 구조를 설치하기 위해, 바닥콘크리트층 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하부철근(a,b) 및 그 하측으로 깊은 깊이(H)의 터파기는 물론, 그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하부철근(a,b)들과 연결되는 많은 양과 복잡한 구조의 보조철근(c)을 설치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여야 했다. 또한 많은 양의 콘크리트를 사용하여야만 하였다.
삭제
이에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바닥콘크리트층 하측으로 터파기 깊이를 줄이거나, 터파기 과정 없이, 바닥콘크리층 내부에 비교적 단순한 형태의 구조체(A)를 상기 상, 하부철근(a,b)에 연결하거나, 또는 상, 하부철근(a,b)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과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도 2를 참조하면, 건물, 교량의 기둥 기초 및 내력벽의 기초 등과 같이 지반에 기초 구조를 형성할 때, 전체 하중이 기둥의 하방으로 가중되고, 기초 구조에는 지반 반력이 상방으로 작용되어, 기초 구조에 발생하는 전단파괴를 방지하도록 구조체(A)를 설치하여,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합성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파기를 깊고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높은 하방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기초 구조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지 않으면서도,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형으로 콘크리트층 내에 내입되어 지지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한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에 유입공, 돌기부 또는 열림부를 형성하거나 판재의 단면형상이 굴곡 또는 절곡을 이루도록 하여, 별도의 추가부재 없이도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와 함께 경화될 때, 상호 간에 견고하게 정착되는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부철근 및 하부철근을 포함하는 철근콘크리트구조 내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 2 이상의 판재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상기 상, 하부철근이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상, 하부철근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콘크리트 타설, 경화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에는, 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한 개 이상의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유입공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콘크리트가 정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는, 단면이 굴곡 또는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판재의 굴곡면 또는 절곡면 사이사이에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콘크리트가 정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는, 상기 판재의 표면상에 분포되는 다수 개의 돌기부;가 형성 또는 구비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돌기부가 콘크리트 사이사이에 매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콘크리트가 정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에는, 일측을 제외한 타측들이 소정 형태로 절개된 상태에서, 일측방으로 접혀서 상기 판재의 표면상에서 돌출되는 열림부;가 한 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열림부가 콘크리트 사이사이에 매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콘크리트가 정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에는, "
Figure 112008018329667-pat00001
" 형태로 절개된 상태에서, 양측방으로 접혀서 상기 판재의 표면상에서 돌출되는 양측열림부;가 한 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양측열림부가 콘크리 트 사이사이에 매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콘크리트가 정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에는, "┼" 형태로 절개된 상태에서, 4측방으로 접혀서 상기 판재의 표면상에서 돌출되는 4측열림부;가 한 개 이상 형성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4측열림부가 콘크리트 사이사이에 매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콘크리트가 정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부는: 일정길이의 막대형 철근으로 형성되고, 상기 판재의 표면상에 평행하게 용접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림부는: "━", "ㄱ", "T", "∧", "ㄷ", "□", "▷", "∩"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는 각각 상, 하철근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철근홈에 상기 상부철근이 끼워지거나 또는 상기 하철근홈에 상기 하부철근이 끼워지거나 또는 상하 양쪽에 끼워져,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상기 상부철근 또는 하부철근에 의해 콘크리트 경화시 상호 일체되어 지지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 쪽 또는 양쪽에 각각 상, 하철근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철근홀에 상기 상부철근이 끼워지거나 또는 상기 하철근홀에 상기 하부철근이 끼워지거나 또는 상하 양쪽에 끼워져,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상기 상부철근 또는 하부철근에 의해 콘크리트 경화시 상호 일체되어 지지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이 상호 교차 또는 접합되도록 배열된 상태로, 상기 상부철근과 하부철근 사이에 위치되고, 콘크리트 경화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은 상호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은 다른 판재들과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은 다른 판재들과 접합되며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은 십자형, 방사형, 마름모형, 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의 두께에 상응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결합홈;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 이상의 판재가 상기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에는,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 의 두께에 상응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결합홈;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결합홈이 상호 맞물리게 삽입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의 단면적에 상응하는 형태의 관통홀;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 이상의 판재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 각각의 사이에는 브라켓;이 구비되어 상호 고정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 둥 어느 하나 이상의 판재가, 다른 하나 이상의 판재 상단에 올려지는 상태로 결합되어, 상호 교차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는 기초 바닥층에 인가되는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인장력이나 압축력에도 강한 내력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기초 구조의 부피를 작게 시공할 수 있어 터파기 면적, 깊이를 감소시키면서도 높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시공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협소한 장소에서도 용이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에 유입공, 돌기부 또는 열림부를 형성하거나 판재의 단면형상이 굴곡 또는 절곡을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와 함께 경화될 때, 상호 간에 보다 견고하게 정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와 상,하부철근의 연결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는 건물의 바닥콘크리트층 내에 병렬로 다수의 기본판재 구조(10)가 배치되고, 바닥콘크리트층 내의 상부 및 하부에 2열로 배치되는 기존의 상,하부철근(a,b)들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을 가로질러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상,하부철근(a,b)의 사이에 기본판재 구조(10)가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콘크리트층 내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철근(a)과 바닥콘크리트층 내에서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철근(b)은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각각의 판재 상단에 형성되는 상철근홈(141)과 상기 기본판재 구조(10)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철근홈(142)에 각각 끼워져 연결되거나, 어느 한쪽만 끼워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콘크리트층 내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철근(a)과 바닥콘크리트층 내에서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철근(b)은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각각의 판재(100) 상부에 형성되는 상철근홀(151)과 상기 기본판재 구조(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철근홀(152)에 각각 관통되거나, 어느 한쪽만 관통되어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콘크리트층 내에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각각의 판재(100)들이 바닥콘크리트층 내의 상부 및 하부에 2열로 배치되는 기존의 상부철근(a)과 하부철근(b)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은 교차 또는 접합된 상태로, 상호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직립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는 철판과 같이 금속제 판넬을 사용하며, 각각 상,하철근홈(141,142) 또는 상,하철근홀(151,152)이 형성되어, 상,하부철근(a,b)이 각각 끼워져 연결되거나 상기 상,하부철근(a,b)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 경화되어 이루어지며, 상방으로부터의 하중에 의한 측방 인장력의 발생시에, 상,하부철근(a,b)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하부철근(a,b)은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어느 한 판재(100)의 상,하철근홈(141,142) 또는 상,하철근홀(151,152)에 각각 내입된 상태에서, 다른 판재(100)의 상,하철근홈(141,142) 또는 상,하철근홀(151,152)에 내입되어,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 간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상,하부철근(a,b)은 상,하철근홈(141,142) 또는 상,하철근홀(151,152)에 내입되어 안착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별도의 철사, 클램프 등의 체결부재(미도시)를 사용하여 고정시키거나, 용접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은 직립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병렬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호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 하부철근(b)으로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이 연결된 구조 전체적인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는 기본판재 구조(10)는 물론, 측방, 상,하방이 구속된 상,하부철근(a,b)에 의해 다양한 방향의 여러 하중을 복합적으로 완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에 유입구가 형성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각각의 판재(100)에는 다수 개의 유입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유입공(110)은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각각의 판재(100)에 측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바닥콘크리트층 내에 상기 기본판재 구조(10)가 위치되고 상,하부철근(a,b)이 각각 끼워져 연결되거나 상기 상,하부철근(a,b)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상기 판재(100)들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채워질 때, 상기 유입공(110)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고, 상기 유입공(110)에 콘크리트가 채워진 상태로 경화되어, 스터드볼트 등의 별도의 추가 부재 및 추가 작업 없이도, 간단하게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과 콘크리트가 단단하게 밀착 고정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 형상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각각의 판재(100)는 단면이 굴곡 또는 절곡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콘크리트층 내에 상기 기본판재 구조(10)가 위치되고 상,하부철근(a,b)이 각각 끼워져 연결되거나 상기 상,하부철근(a,b)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각각의 판재(100)는 단면상 길이방향 또는 높이방향으로 굴곡 또는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재(100)들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채워질 때, 상기 판재(100) 표면상 에 형성되는 굴곡면 또는 절곡면의 사이사이에 콘크리트가 유입되고, 상기 굴곡면 또는 절곡면의 사이사이에 콘크리트가 채워진 상태로 경화되어, 스터드볼트 등의 별도의 추가 부재 및 추가 작업 없이도, 간단하게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과 콘크리트가 단단하게 밀착 고정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에 돌기부가 형성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각각의 판재(100)에는 다수 개의 돌기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120)는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각각의 판재(100)의 표면상에서 일측은 돌출되며 타측은 움푹 파인 형태를 이루어, 상기 판재의 표면이 올록볼록하도록 분포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콘크리트층 내에 상기 기본판재 구조(10)가 위치되고 상,하부철근(a,b)이 각각 끼워져 연결되거나 상기 상,하부철근(a,b)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상기 판재(100)들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채워질 때, 상기 돌기부(120)의 돌출된 부분은 콘크리트 사이사이에 매입되고, 움푹 파인 부분에는 콘크리트가 유입된 상태로 경화되어, 스터드볼트 등의 별도의 추가 부재 및 추가 작업 없이도, 간단하게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과 콘크리트가 단단하게 밀착 고정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7,8,9는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에 형성되는 열림부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각각의 판재(100)에는 한 개 이상의 열림부(130)가 다양한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림부(130)는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각각의 판재(100)의 표면상에 소정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열림부(130)는 절개되는 소정 형태에서 일측을 제외한 타측들만이 절개되고, 일측은 절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열림부(130)는 일측을 제외한 타측들이 절개된 상태에서, 절개된 내측면을 밀어내면, 상기 열림부(130)에서 절개되지 않은 일측이 접히면서, 상기 열림부(130)가 상기 판재(100)의 표면상으로 펼쳐지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바닥콘크리트층 내에 상기 기본판재 구조(10)가 매설될 때,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채워질 때, 상기 열림부(130)의 펼쳐진 부분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사이사이에 매입되고, 상기 열림부(130)가 펼쳐지고 관통형성되는 부분으로는 콘크리트가 유입된 상태로 경화되어, 스터드볼트 등의 별도의 추가 부재 및 추가 작업 없이도, 간단하게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과 콘크리트가 단단하게 밀착 고정되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열림부(130)는 "━", "ㄱ", "T", "∧", "ㄷ", "□", "▷", "∩"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열림부(132)는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각각의 판재(100)의 표면상에서 양측부는 절개되지 않는 "
Figure 112008018329667-pat00002
" 형태로 절개된 상태에서, 절개된 내측을 양방으로 각각 밀어내어, 절개되지 않은 양측이 각각 접히면서, 상기 판재(100)의 표면상으로 펼쳐지도록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측열림부(134)는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각각의 판재(100)의 표면상에서 "┼" 형태로 절개된 상태에서, 대각선 방향의 내측을 각각 밀어내어, 상기 판재(100)의 표면상으로 펼쳐지도록 형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에 막대형 철근이 구비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에 형성되는 상기 돌기부(120)의 다른 형태의 일 실시 예로, 상기 판재(100)의 표면상에 막대형 철근(121)을 다수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막대형 철근(121)은 각각 일정길이를 이루도록 절단형성되고, 상기 판재(100)의 표면상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하도록 용접방식으로 부착된다.
상기 막대형 철근(121)은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10) 와 함께 경화될 때, 타설되는 콘크리트 사이사이로 매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과 콘크리트가 보다 견고하게 일체화되어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1 내지 15는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의 결합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12,13,14,1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은 상호 간에 다양한 결합형태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상호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거나,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되거나, 상호 접합된 상태로 배치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홈(160)이 절개되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판재(100)를 상기 결합홈(160)에 끼워넣어, 각각 상호 간에 "+"자 형태를 이루도록 교차되게 결합 된 상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 각각에 상기 결합홈(160)이 형성되어, 퍼즐과 같이 상기 결합홈(160)이 상호 맞물리게 끼워넣어 상호 교차되는 상태로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은 횡 방향으로 직립으 로 다수가 병렬배치되고, 종 방향으로 병렬배치되는 다수의 판재(100)들이 상호 교차 또는 접합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결합홈(160)은 상기 판재(100) 두께에 상응하는 폭으로 형성되고, 상호 끼워진 상태로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재(100)들이 결합홈(ㄴ)에 맞물려 상,하방으로 끼워짐으로써, 바닥콘크리트층 내에 상기 기본판재 구조(10)가 배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상,하방으로 밀리는 것을 상호 지지하여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 중 어느 하나에 관통홀(170)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판재(100)가 상기 관통홀(170)로 삽입되어 상호 교차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관통홀(170)은 끼워지는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의 단면적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호 결합된 상태로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의 일단부가 상호 일정 각을 이루도록 접합 배열될 때, 상기 판재(100)들 각각의 사이에는 브라켓(180)을 구비하여, 볼팅 또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판재(100)들이 하측에 병렬로 배치되고, 다른 하나 이상의 판재(100)들이 그 상단에 올려져 결합되어, 하측의 판재(100)들과 그 상측의 판재(100)들이 상호 교차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하측에 위치되는 판재(100)들이 횡 방향으로 직립되게 병렬배치되고, 그 상측에 다른 판재(100)들이 종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교차 또는 접합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이 상호 교차 또는 접합되어 다양한 형태로, 직립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은 십자형, 방사형, 마름모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를 이루도록 직립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a)에서는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2개의 판재(100)에 결합홈을 형성하여, 상호 간에 십자 형태를 이루도록 직립으로 형성된 구조를 나타낸다.
(b)에서는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다수 개의 판재(100)에 결합홈을 형성하여, 각각 상호 간에 교차되게 끼워넣어 결합 된 형태를 이루는 구조를 나타낸다.
(c)에서는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이 상호 간에 십자 형태를 이루도록 직립으로 형성되고, 다른 판재(100)들이 마름모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호 접합되게 배치된 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은 철판과 같이 금속제 판넬을 사용하며, 도면에 도시된 형태 외의 다양한 형태로 상호 교차 또는 접합되는 구조를 이루어, 측방, 상, 하방 등 다양한 방향의 여러 하중을 복합적으로 완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기초 바닥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를 사용한 기초 바닥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와 상,하부철근의 연결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에 유입구가 형성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 형상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에 돌기부가 형성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8,9는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에 형성되는 열림부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에 막대형 철근이 구비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15는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의 결합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기본판재 구조 100: 판재
110: 유입공 120: 돌기부
130: 열림부 132: 양측열림부
134: 4측열림부 141: 상철근홈
142: 하철근홈 151: 상철근홈
152: 하철근홈 160: 결합홈
170: 관통홀 180: 브라켓
a: 상부철근 b: 하부철근

Claims (22)

  1. 상부철근 및 하부철근을 포함하는 철근콘크리트구조의 기초 바닥층 내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
    2 이상의 판재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상기 상, 하부철근이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상, 하부철근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콘크리트 타설, 경화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은 십자형, 방사형, 마름모형, 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는, 단면이 굴곡 또는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판재의 굴곡면 또는 절곡면 사이사이에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콘크리트가 정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에는, 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한 개 이상의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유입공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콘크리트가 정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는, 상기 판재의 표면상에 분포되는 다수 개의 돌기부;가 형성 또는 구비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돌기부가 콘크리트 사이사이에 매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콘크리트가 정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에는, 일측을 제외한 타측들이 소정 형태로 절개된 상태에서, 일측방으로 접혀서 상기 판재의 표면상에서 돌출되는 열림부;가 한 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열림부가 콘크리트 사이사이에 매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콘크리트가 정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에는, "
    Figure 112010028621813-pat00003
    " 형태로 절개된 상태에서, 양측방으로 접혀서 상기 판재의 표면상에서 돌출되는 양측열림부;가 한 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양측열림부가 콘크리트 사이사이에 매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콘크리트가 정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에는, "┼" 형태로 절개된 상태에서, 4측방으로 접혀서 상기 판재의 표면상에서 돌출되는 4측열림부;가 한 개 이상 형성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4측열림부가 콘크리트 사이사이에 매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콘크리트가 정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일정길이의 막대형 철근으로 형성되고, 상기 판재의 표면상에 평행하게 용접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열림부는:
    "━", "ㄱ", "T", "∧", "ㄷ", "□", "▷", "∩"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0. 제 2 항 또는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는 각각 상, 하철근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철근홈에 상기 상부철근이 끼워지거나 또는 상기 하철근홈에 상기 하부철근이 끼워지거나 또는 상하 양쪽에 끼워져,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상기 상부철근 또는 하부철근에 의해 콘크리트 경화 시 상호 일체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1. 제 2 항 또는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 쪽 또는 양쪽에 각각 상, 하철근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철근홀에 상기 상부철근이 끼워지거나 또는 상기 하철근홀에 상기 하부철근이 끼워지거나 또는 상하 양쪽에 끼워져,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상기 상부철근 또는 하부철근에 의해 콘크리트 경화 시 상호 일체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2. 제 2 항 또는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이 상호 교차 또는 접합되도록 배열된 상태로, 상기 상부철근과 하부철근 사이에 위치되고, 콘크리트 경화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3. 제 2 항 또는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4. 제 2 항 또는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은 상호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5. 제 2 항 또는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은 다른 판재들과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6. 제 2 항 또는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은 다른 판재들과 접합되며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7. 삭제
  18. 제 2 항 또는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의 두께에 상응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결합홈;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 이상의 판재가 상기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9. 제 2 항 또는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에는,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의 두께에 상응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결합홈;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결합홈이 상호 맞물리게 삽입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20. 제 2 항 또는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의 단면적에 상응하는 형태의 관통홀;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 이상의 판재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21. 제 2 항 또는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 각각의 사이에는 브라켓;이 구비되어 상호 고정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22. 제 2 항 또는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 둥 어느 하나 이상의 판재가, 다른 하나 이상의 판재 상단에 올려지는 상태로 결합되어, 상호 교차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KR1020080023321A 2008-03-13 2008-03-13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KR101037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321A KR101037502B1 (ko) 2008-03-13 2008-03-13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321A KR101037502B1 (ko) 2008-03-13 2008-03-13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126A KR20090098126A (ko) 2009-09-17
KR101037502B1 true KR101037502B1 (ko) 2011-05-26

Family

ID=41357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321A KR101037502B1 (ko) 2008-03-13 2008-03-13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75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691A (ko) * 2017-08-23 2019-03-06 주식회사 포스코 기둥부재와 슬래브의 보강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9612A1 (en) 2015-07-27 2017-02-02 Mary Kay Inc. Topical skin formulatio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304Y2 (ja) * 1989-06-30 1995-10-0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篭形鉄筋
KR19990074854A (ko) * 1998-03-16 1999-10-05 이상덕 지반보강용 유공보강재
KR20040038488A (ko) * 2002-11-01 2004-05-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와이퍼액 분사노즐
KR200438488Y1 (ko) 2007-02-23 2008-02-20 (주)건양구조 무량판 슬래브의 이방향 전단 보강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304Y2 (ja) * 1989-06-30 1995-10-0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篭形鉄筋
KR19990074854A (ko) * 1998-03-16 1999-10-05 이상덕 지반보강용 유공보강재
KR20040038488A (ko) * 2002-11-01 2004-05-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와이퍼액 분사노즐
KR200438488Y1 (ko) 2007-02-23 2008-02-20 (주)건양구조 무량판 슬래브의 이방향 전단 보강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691A (ko) * 2017-08-23 2019-03-06 주식회사 포스코 기둥부재와 슬래브의 보강구조물
KR102031415B1 (ko) * 2017-08-23 2019-10-11 주식회사 포스코 기둥부재와 슬래브의 보강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126A (ko)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2324B2 (ja) 擁壁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140378B1 (ko)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KR102234513B1 (ko) 자립 기둥과 저항 기초 블럭을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공법
KR20130006420A (ko) 신설 지하 구조물의 시공 방법
JP2011157812A (ja) 擁壁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80100740A (ko) 지하합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가설 개방형 판재를 이용한흙막이벽의 역타지지구조 및 이를 적용한 건축물 지하합벽의 연속 시공방법
JP2007146399A (ja) ソイルセメント杭,ソイルセメント杭の施工方法
JP2011017184A (ja) 擁壁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037502B1 (ko)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KR101270697B1 (ko) 프리캐스트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중저층 건물의 기둥 리모델링 보강공법
JP2015183366A (ja) 盛土構造体の構造および構築方法
JP5228862B2 (ja) 地下構造、地下構造の構築方法
KR20100007721A (ko)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
KR100808977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코너 버팀보의 연결장치
JP3804322B2 (ja) 耐震補強鋼板を用いた耐震補強構造、耐震補強鋼板の取付方法、耐震補強鋼板を用いた耐震補強方法
KR200370135Y1 (ko)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JP5270255B2 (ja) 既存の木造住宅における基礎の補強方法
JP4571904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による耐震補強工法
KR101483865B1 (ko) 합성구조의 띠장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시공방법
KR102354647B1 (ko) 프리캐스트 패널을 활용한 다각형 선조립 기둥
JP5322214B2 (ja) 既存の木造住宅における土台の補強方法
KR101058982B1 (ko) 피에이치씨파일로 구성된 흙막이벽의 층간 보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83268A (ko)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JP6774774B2 (ja) 杭基礎構造
KR20030013138A (ko) 쇄석 채움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