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3268A -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 Google Patents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3268A
KR20090083268A KR1020080071616A KR20080071616A KR20090083268A KR 20090083268 A KR20090083268 A KR 20090083268A KR 1020080071616 A KR1020080071616 A KR 1020080071616A KR 20080071616 A KR20080071616 A KR 20080071616A KR 20090083268 A KR20090083268 A KR 20090083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se plate
reinforced
concrete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기형
Original Assignee
엄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기형 filed Critical 엄기형
Publication of KR20090083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2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딩, 아파트와 같은 건물이나 철골 구조물, 교량과 같이 큰 하중을 갖는 물체를 지층에 지지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단부를 지지하거나, 하중을 받는 기둥의 상단을 지지하는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측으로 깊이 굴토하고 바닥 콘트리트층을 두껍게 형성하여 기초 구조를 형성하거나, 슬라브와 기둥의 상단 사이에서 지지되는 보를 두껍게 형성하는 것 대신에, 부피가 작고, 간단하여, 굴토 깊이를 작게 하거나 또는 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서도 높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는 기초 바닥층 또는 기둥 상부에 인가되는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인장력이나 압축력에도 강한 내력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기초 구조 또는 보의 부피를 작게 시공할 수 있어 터파기 면적, 깊이 및 보의 두께를 감소시켜,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시공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협소한 장소에서도 용이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Reinforcement}
본 발명은 빌딩, 아파트와 같은 건물이나 철골 구조물, 타워크레인 하부, 교량과 같이 큰 하중을 갖는 물체를 지층에 지지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단부를 지지하거나, 하중을 받는 기둥의 상단을 지지하는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측으로 깊이 굴토하고 바닥 콘트리트층을 두껍게 형성하여 기초 구조를 형성하거나, 슬라브와 기둥의 상단 사이에서 지지되는 슬라브, 보를 두껍게 형성하는 것 대신에, 부피가 작고, 간단하여, 굴토 깊이를 작게 하거나 또는 슬라브, 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서도 높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교량 등의 자중에 의해 지반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 시공시 건물의 하부에는 건물 하중이 지반에 골고루 전달되며 지지될 수 있도록 기초 구조가 시공되는데, 종래의 기초 구조는 두꺼운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주로 사용하였다. 건물이 점점 높아지고 규모가 커짐에 따라 단위면적당 기초 구조 에 인가되는 하중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되고 있는 기초 구조의 경우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제작된 기초 구조의 두께를 증대시킴으로써 내력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기초 구조의 크기나 두께가 커짐에 따라 기초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굴토 깊이, 즉 터파기의 깊이가 깊어지게 된다. 이는 기초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지반의 터파기 작업과 기초 구조 설치 공정이 복잡하게 되므로 공사기간이 증대되는 문제와 터파기를 위한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를 유발하였다. 특히 건물 하부에 암반형 지반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터파기를 깊게 하는데 더욱 더 긴 공사기간과 공사비를 소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터파기를 깊게 하는 경우 굴토된 지하층 벽면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측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굴토하여야 하므로, 인접 건물에 피해를 주게 되거나 밀집장소에서의 공사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측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굴토하게 되면 그만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야 할 공간이 커지게 되므로 콘크리트를 낭비하게 된다는 단점도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건물의 슬라브의 자중을 지지하도록 그 저면에 보를 형성하고, 저층 바닥과 보 사이에 기둥 및 내력벽을 설치하게 되는데, 철근콘크리트조의 보 하단과 기둥 또는 내력벽의 상단이 연결되는 부분에 자중이 집중되게 되는데, 건물이 점점 높아지고 규모가 커짐에 따라 단위면적당 보에 인가되는 하중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되고 있는 보의 경우 철근콘크리트조로 제작된 보의 두께를 증대시킴으로써 내력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보의 크기나 두께가 커짐에 따라 이를 형성하기 위한 설치 공정이 복 잡하게 되므로 공사기간이 증대되는 문제와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a, 1b, 1c는 일반적인 기초 바닥, 기둥, 보 등의 전단 하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 1b, 1c는 일반적인 기초 바닥 또는 슬라브, 보의 단면에 집중되는 전단 하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수직의 기둥(A)과 수평의 기초 바닥(B) 사이에는 45도 정도의 비스듬한 방향(C)으로 전단력이 형성되어 가해진다. 기초 바닥(B) 내에 이러한 전단력을 지지할만한 구성이 없는 경우에는, 전단력에 의해 건축 구조물의 변형 내지는 파손을 가져오게 된다. 이는 앙카(a)를 사용하여 건물의 부상을 방지하는 공법의 도 1b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다만, 앙카(a)는 건물을 하방으로 당기는 역할을 하므로, 전단력이 방향이 C'와 같이 하방을 향해 벌어지는 방향으로 나타나게 되거나 앙카(a) 부분만 구멍이 뚫리는 펀칭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건물의 자중과 구조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기둥과 보를 나타내는 도 1c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d는 일반적인 기초 바닥 및 슬라브, 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d의 (a)를 참조하면, 건축물의 바닥층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하중을 지지, 분산시키기 위한 기초 구조를 설치하기 위해, 바닥콘크리트층 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하부 철근(I) 및 그 하측으로 깊은 깊이(H)의 터파기는 물론, 그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하부 철근(I)들과 연결되는 많은 양과 복잡한 구조의 보조철근(I')을 설치하여 기초 바닥 내에 다중의 철근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철근 방식은 여러 층 복잡하게 구비하여야 함은 물론, 설치 자체의 공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기초 바닥의 두께(H)도 두꺼워져야 해서 콘크리트의 소모량이 상당히 늘어나고 시공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철근의 선 방식으로 전단력을 해결하여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하중 지지력을 가질 수밖에 없다.
도 1d의 (b)를 참조하면, 건축물의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하중을 지지, 분산시키기 위한 슬라브, 보 및 기둥을 설치하기 위해, 내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하부 철근(I)가 배치되는 보의 두께(H')를 두껍게 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여야 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2의 (a), 3의 (a)와 같이, 바닥콘크리트층 하측으로 터파기 깊이를 줄이거나, 터파기 과정 없이, 바닥콘크리층 내부에 비교적 단순한 형태의 구조체(R)를 설치하고 상기 상,하부 철근(I)을 관통결합시키는 것과 도 2의 (b), 3의 (b)와 같이, 슬라브의 보의 두께(h')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하고, 보의 내부에 단순한 형태의 구조체(R)를 설치하고 상기 상,하부 철근(I)을 관통결합시키는 것으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합성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 3의 (a)를 참조하면, 건물, 교량의 기둥 기초, 타워크레인의 하부 기초 및 내력벽의 기초 등과 같이 지반에 기초를 형성할 때, 전체 하중 이 기둥의 하방으로 가중되고, 바닥 슬라브에는 지반 반력이 상방으로 작용되어, 기둥 기초에 발생하는 전단파괴를 방지하도록 구조체(R)를 설치하고, 도 3의 (b)를 참조하면,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건물 및 지하층 슬라브를 시공할 때, 슬라브 또는 보에 구조체(R)를 내설하여, 슬라브 또는 보의 두께(h')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하면서도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 분산시킬수 있도록 하는 합성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파기를 깊고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높은 하방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기초 구조 및 슬라브, 보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지 않으면서도,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의 내부에 매입되는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형으로 콘크리트층 내에 내입되어 합성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한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판재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상기 판재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각각 상,하 철근홀;이 형성되며,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위치되는 철근들이 상기 상,하 철근홀에 끼워져 연결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판재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 조;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상기 판재의 상단 및/또는 하단에 각각 상,하 철근홈;이 형성되며,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위치되는 철근들이 상기 상,하 철근홈에 끼워져 연결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상기 판재가 2 이상 나란히 또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상기 판재가 상측 단부 및/또는 하측 단부에 수평 방향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별도의 판형 부재를 상기 판재의 상측 및/또는 하측에 용접으로 결합시키거나, 별도의 판형 부재를 상기 판재의 상측 및/또는 하측에 결합구로 결합시키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상방 및/또는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제2기본판재 구조;가 더 구비되어 상호 교차 또는 접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는, 단면이 "I"형, "H"형, "└┘"형, "ㄷ"형, "
Figure 112008052894011-PAT00001
"형, "ㄱ"형, "ㄴ"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의 강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판재에는, 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한 개 이상의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유입공으 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콘크리트가 정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에는 관통되는 한 개 이상의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유입공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하측으로 콘크리트가 원활히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판재에는, 일측을 제외한 타측들이 소정 형태로 절개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접혀서 상기 판재의 표면상에서 돌출되는 열림부;가 한 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열림부가 콘크리트 사이사이에 매입되는 동시에, 상기 열림부의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유입공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콘크리트가 정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판재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돌출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판재가 콘크리트층 내에서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돌출부재는: 외측으로 돌출되며 결합되는 이형철근 또는 볼트부재 또는 열림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재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상하로 겹쳐지는 다른 판재 또는 그 판재의 결합홈이 끼워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가 형성된 판재의 수직 부분 전체 높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다른 판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재의 결합홈에 다른 판재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결합홈의 상단을 덮도록 고정되는 보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재에는 상기 판재의 단면적에 상응하는 형태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다른 판재가 삽입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 철근홈은 경사형부 또는 곡형부를 포함하는 형상인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철근 및/또는 하부 철근과 교차되게 배치되는 보강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은 상호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은 다른 판재들과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은 방사형, 원형, 십자형, 마름모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의 사이에는 집수정 구조체;가 구비되거나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이격 배치된 상기 2 이상의 판재 사이에 연결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이격 배치된 상기 2 이상의 판재 사이에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판재의 사이를 연결, 지지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판재와 용접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판재와 볼트, 너트, 와셔, 나사, 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연결구를 사용하여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2 이상의 연결부가, 상기 결합홈을 통해 상호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2 이상의 연결부재가, 상기 결합홈을 통해 상호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에는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에는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는 기초 바닥층 또는 슬라브 보에 인가되는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인장력이나 압축력에도 강한 내력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기초 구조의 부피를 작게 시공할 수 있어 터파기 면적, 깊이를 감소시키거나, 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서도 높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시공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협소한 장소에서도 용이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 조체는 건물의 바닥콘크리트층 내에 병렬로 다수의 기본판재 구조(10)가 배치되고, 바닥콘크리트층 또는 슬라브 보 내의 상부 및 하부에 2열로 배치되는 기존의 상,하부 철근(I)들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의 사이사이를 가로 지르는 방향으로 다수 개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바닥콘크리트층 또는 슬라브 보 내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철근(I)과 바닥콘크리트층 또는 슬라브 보 내에서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철근(I)은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상,하 철근홀(110)들에 각각 관통결합된다.
상기 상,하부 철근(I)에는 수직방향 등의 교차되는 방향으로 보강철근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판재(100)는 철판과 같은 금속제 판넬을 사용하며, 상,하 철근홀(110)이 형성되어, 상,하부 철근(I)이 각각 그 내부로 관통되어 연결된다. 상,하부 철근(I)이 내입된 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의 하중에 의한 측방 인장력의 발생시에 상,하부 철근(I)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 된다.
상,하부 철근(I)은 어느 한 판재(100)의 상,하 철근홀(110)에 각각 내입된 상태에서, 다른 판재(100)의 상,하 철근홀(110)에 내입되어, 판재(100) 상호 간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상,하부 철근(I)은 상,하 철근홀(110)에 내입되어 안착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별도의 철사, 클램프 등의 체결부재(미도시)를 사용하여 고정시키거나, 용접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은 직립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병렬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호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하부 철근(I)으로 상기 판재(100)들이 연결된 구조의 상기 기 본판재 구조(10)는 측방, 상,하방이 구속된 상,하부 철근(I)에 의해 다양한 방향의 여러 하중을 복합적으로 완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상,하부 철근(I)은 이형철근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구조체의 배치 조합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구조체의 배치 접합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a)와 같이 판재(100)는 십자로 배치되거나, (b)와 같이 샵(# 내지는 우물 정(井)) 형태로 배치되거나, (c)와 같이 그물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판재(100)간의 결합, 접합은 용접에 의하거나, 별도의 결합구(미도시)를 사용하여 가능하게 할 수 있는데, 도 6의 (a)와 같이 어느 한 판재(100)의 측방에 다른 판재(100)를 용접 결합하거나, (b)와 같이 각각의 판재(100)들을 상호 단부에서 용접 결합하거나, (c)와 같이 어느 한 판재(100)의 양 측방에 다른 판재(100)들을 용접 결합할 수 있다. 또는 앵글 등의 결합구를 사용하여, 용접없이 접합시킬 수도 있으며, 판재(100)들에 홈(미도시)을 형성하고, 홈끼리 서로 끼워지도록 접합시킬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구조체를 이루는 판재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판재(100)는 상단부 및 하단부 또는 상, 하단부 중 어느 일측에 수평한 지지부(130)를 구비하여, 상측 하중과 전단력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함은 물론, 시공시에 배치가 이동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지지부(130)는 판재(100)의 상단 또는 하단을 절곡하거나, 각 단부에 용접 또는 결합시켜 형성하는데 제조상 절곡을 하는 것이 가장 용이하다.
(a)와 같이 상단부와 하단부를 서로 반대방향으로(d처럼 같은 방향도 무방) 절곡하여 지지부(130)를 형성하거나, (b)와 같이 상단부, 하단부에 별도의 지지부(130)를 구비하여 용접으로 결합하거나, (c)와 같이 별도의 결합구(132)를 통해 결합시킬 수 있다. (e)와 같이 ㅗ 자형이 되도록 하거나 (f)와 같이 L자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 9는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에 제2기본판재 구조가 결합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a)는 병렬로 다수 개가 배치되어 상,하부 철근(a)들이 가로질러 연결되는 판재(100)들이 병렬 배치되는 기본판재 구조(10)와 상기 기본판재 구조(10)와 상호 교차되거나 또는 접합되도록 병렬 배치되는 제2기본판재 구조(12)로 이루어진다.
기본판재 구조(10)는 판재(100)들이 횡 방향으로 직립으로 다수가 병렬배치되고, 그 사이사이를 다수의 상,하부 철근(I)이 관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10)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는 상기 기본판재 구조(10)의 연결구조와 동일한 제2기본판재 구조(12)가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와 제2기본판재 구조(12)는 상호 교차 또는 접합된다.
(b)는 상기 기본판재 구조(10) 및 제2기본판재 구조(12)를 이루는 각각의 판재(100)에 상기 상,하 철근홀(110) 외의 추가로 다수 홀을 더 형성하여, 일정 길이를 가지는 막대형 이형철근(104) 들을 각각 끼워넣은 상태로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c)는 상기 기본판재 구조(10) 및 제2기본판재 구조(12)를 이루는 각각의 판재(100)에 스터드 볼트와 같은 볼트부재(106)를 용접, 삽입 등의 방식으로 부착시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이형철근(104) 또는 볼트부재(106)를 더 구비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와 함께 경화될 때, 보다 견고하게 일체화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기본판재 구조(100)에는 스터드 볼트와 같은 볼트부재(106)를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의 표면상에 용접으로 부착하거나, 상기 판재(100)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볼트부재(106)를 그 안으로 끼워넣은 후 반대측으로 너트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볼트부재(106)은 필요에 따라 상기 판재(100)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부착시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와 함께 경화될 때, 볼트부재(106)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일체화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막대형 이형철근(104)들을 상기 판재(100)에 각각 끼워넣은 상태로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시켜, 상기 볼트부재(106)와 동일한 역활을 하도록 하 는 것도 가능하다.
도 9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 또는 제2기본판재 구조(12)의 판재(100)들은 각각의 상단 및/또는 하단이 꺾인 형상으로 지지부(130)를 형성하여, 단면이 "l", "ㄴ", "ㄷ", "
Figure 112008052894011-PAT00002
"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단면이 "l" 구조로 형성되는 상기 기본판재 구조(10) 또는 제2기본판재 구조(12)를 이루는 판재(100) 각각의 상단 및/또는 하단부에는 단면이 "ㄱ" 또는 "┰" 형상을 가지며, 상기 판재(100) 길이와 상응하게 형성되는 지지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판재(100) 각각의 상단 및/또는 하단부에 볼팅 또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기본판재 구조(10) 및 제2기본판재 구조(12)들이 더 높은 지지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10) 및 제2기본판재 구조(12)의 판재(100)들이 꺾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30)가 서로 맞닿는 부분은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볼팅 또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 될 수 있다.
도 10, 11는 본 발명의 판재에 유입공, 열림부, 결합돌출부재가 구비되는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a)와 같이 판재(100)의 측방으로 유입공(140)을 형성하 거나, 지지부(130)에 유입공(14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콘크리트 타설시에 유입공(140)을 통해 원활한 콘크리트의 유입을 도모함은 물론, 콘크리트가 경화될 때 서로 견고하게 얼기설기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하단 지지부(130)의 경우 유입공(140)을 통해 콘크리트가 유입되기 힘든 지지부(130)의 하방으로 콘크리트가 잘 스며들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b)와 같이, 판재(100)의 측면 및/또는 지지부(130)에 열림부(150)를 구비할 수도 있다. 각각의 판재(100)에는 한 개 이상의 열림부(150)가 다양한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열림부(150)는 각각의 판재(100)의 표면상에 소정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되는데, 이때 열림부(150)는 절개되는 소정 형태에서 일측을 제외한 타측들만이 절개되고, 일측은 절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열림부(150)는 일측을 제외한 타측들이 절개된 상태에서, 절개된 내측면을 밀어내면, 상기 열림부(150)에서 절개되지 않은 일측이 접히면서, 상기 열림부(150)가 상기 판재(100)의 표면상으로 펼쳐지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바닥콘크리트층 또는 슬라브 보 내에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될 때,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100)들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채워질 때, 상기 열림부(150)의 펼쳐진 부분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사이사이에 매입되고, 상기 열림부(150)가 펼쳐질때 관통형성되는 유입공(140)으로는 콘크리트가 유입된 상태로 경화되어, 스터드볼트 등의 별도의 추가 돌출 부재 및 추가 작업 없이도, 간단하게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100)들과 콘크리트가 단단하게 밀착 고정되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열림부(150)는 "━", "ㄱ", "T", "∧", "ㄷ", "□", "▷", "∩"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판재(100)의 표면상에서 양측부는 절개되지 않는 "
Figure 112008052894011-PAT00003
" 형태로 절개된 상태에서, 절개된 내측을 양방으로 각각 밀어내어, 절개되지 않은 양측이 각각 접히면서, 상기 판재(100)의 표면상으로 펼쳐지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판재(100)의 표면상에서 "┼" 형태로 절개된 상태에서, 대각선 방향의 내측을 각각 밀어내어, 상기 판재(100)의 표면상으로 펼쳐지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판재(100)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이형철근(104), 볼트부재(106), 열림부(150) 등과 같은 결합돌출부재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콘크리트층 내에서 콘크리트와 판재(100)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2 내지 15는 본 발명의 판재에 결합홈이 구비되어 상호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판재(100)에 다른 판재(100)가 끼워지는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판재(100)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결합홈(160)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홈(160)에는 마찬가지로 결합홈(160)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판재(100)가 끼워지게 된다.
상기 판재(100)에는 모두 같은 방향으로 결합홈(160)이 형성되거나(a), 양쪽 방향으로 골고루 결합홈(160)이 형성(b, c)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홈(160)의 방향은 현장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a)에서는 상기 기본판재 구조(10) 또는 제2기본판재 구조(12) 중 어느 하나에 결합홈(160)이 절개되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결합홈(160)에 끼워져 상호 교차되는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결합홈(160)은 상기 기본판재 구조(10), 제2기본판재 구조(12)를 이루는 판재(100)의 두께에 상응하는 폭으로 형성되고, 상호 끼워진 상태로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b)에서는 상기 기본판재 구조(10) 및 제2기본판재 구조(12)에 각각 상기 결합홈(160)이 형성되어, 퍼즐과 같이 상기 결합홈(160)이 상호 맞물리게 끼워넣어 상호 교차되는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10)와 제2기본판재 구조(12)를 이루는 판재(100)가 결합홈(160)에 맞물려 상,하방으로 끼워짐으로써,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상,하방으로 밀리는 것을 상호 지지하여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10) 및 제2기본판재 구조(12)를 이루는 각각의 판재(100)에는 상,하 철근홀(110)이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기본판재 구조(10)의 판재(100)에 형성되는 상,하 철근홀(110)과 상기 제2기본판재 구조(12)의 판재(100)에 형성되는 상,하 철근홀(110)의 위치는 동일선상 위에 위치하여, 상,하부 철근(a)이 동시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10) 및 제2기본판재 구조(12)를 이루는 판재(100)에 형성되는 상,하 철근홀(110)에는 2 개 이상의 철근(I)이 서로 엇갈리게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기본판재 구조(10)의 판재(100)에 형성되는 상,하 철근홀(110)과 상기 제2기본판재 구조(12)의 판재(100)에 형성되는 상,하 철근홀(110)이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어 위치가 상이할 경우, 각각 개별적으로 상,하부 철근(I)이 삽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기본판재 구조(10)와 제2기본판재 구조(12)를 이루는 각각의 판재(100)는 결합홈(160)에 맞물려 끼워진 상태로 볼팅 또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를 참조하면, 지지부(130)가 있는 기본 판재(100)에, 수직 부분 전체에 걸쳐 결합홈(160)을 형성하고, 이에 끼워지는 다른 기본 판재(100)에는 결합홈(160)을 전혀 형성하지 않고, 결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에 각각 상기 결합홈(160)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160)이 상기 판재(100) 높이의 절반에 해당하는 깊이를 가지도록 각각 형성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의 결합홈(160)을 상호 맞물리 게 끼워넣었을 때, 상호 교차되게 결합된 상기 판재(100)들의 높이가 서로 일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판재(100)들은 결합홈(160)에 맞물려 끼워진 상태로 볼팅 또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높이가 일치되는 상태로 결합된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 각각의 결합홈(160)에는 보강부재(200)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홈(160)이 양측방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강부재(200)는 상기 결합홈(160) 보다 길게 형성되어, 삽입된 상기 판재(100)와 동시에 상기 결합홈(160)의 양측 상단을 덮도록 볼팅 또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판재에 결합홀이 구비되어 상호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서는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 중 어느 하나에 관통홀(170)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관통홀(170)로 삽입되어 상호 교차되는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관통홀(170)은 끼워지는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의 단면적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호 결합된 상태로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 내지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는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의 상,하 철근홀(110)에 상,하부 철근(I)이 관통, 삽입되어 배치되고, 용접, 너트, 핀, 와셔 기타 다양한 체결 수단에 의해 상호 고정시키게 되는데, 보강철근(300)이 상,하부 철근(I)과 얼기설기 배치되며, 보강철근(300)과 상,하부 철근(I)의 접촉 부분은 체결부재(미도시) 등으로 상호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는 건물의 바닥콘크리트층 또는 슬라브 보 내에 병렬로 기본판재 구조(10)가 배치되고, 바닥콘크리트층 내의 상부 및 하부에 2열로 배치되는 기존의 상,하부 철근(I)들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의 사이사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다수 개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바닥콘크리트층 또는 슬라브 보 내에서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상,하부 철근(I)은 상기 기본판재 구조(100)를 이루는 판재(100)의 상단 및/또는 하단에 형성되는 상,하 철근홈(120)들에 각각 관통결합된다.
상기 상,하부 철근(I)에는 수직방향 등의 교차되는 방향으로 보강철근(300)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판재(100)는 철판과 같이 금속재 판넬을 사용하며, 상,하 철근홈(120)이 형성되어 그 홈 내부로 상,하부 철근(I)이 각각 삽입, 안착된다.
상,하 철근홈(120)은 양측이 폐쇄되고, 상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하부 철근(I)이 내입된 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의 하중에 의한 측방 인장력의 발생시에, 상, 하부 철근(I)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하부 철근(I)은 어느 한 판재(100)의 상,하 철근홈(120)에 각각 내입된 상태에서, 다른 판재(100)의 상,하 철근홈(120)에 각각 내입되어, 각각의 판재(100) 상호 간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상,하부 철근(I)은 각각 상,하 철근홈(120)에 내입되어 안착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별도의 철사, 클램프 등의 체결부재(미도시)를 사용하여 고정시키거나, 용접을 할 수도 있다.
보강철근(300)은 상,하부 철근(I)과 얼기설기 배치되며, 보강철근(300)과 상,하부 철근(I)의 접촉 부분은 체결부재(미도시) 등으로 상호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철근홈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하 철근홈(120)은 어느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형부(120a)를 포함하거나, 곡선 형상의 곡형부(120b)를 포함하여, 상,하 철근홈(120)에 안착된 상,하부 철근(I)이 경사면, 곡면을 따라 제일 낮은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 및 제2기본판재 구조의 다양한 배치 조합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 또는/및 제2기본판재 구조(12)를 이루는 판재(100)들이 상호 교차 또는 접합된 상태로, 직립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본판재 구조(10) 또는/및 제2기본판재 구조(12)를 이루는 판재(100)들은 방사형, 원형, 십자형, 마름모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를 이루도록 직립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a)에서는 기본판재 구조(10) 및 제2기본판재 구조(12)를 이루는 2개의 판재(100)에 홈(미도시)을 형성하여, 각각 상호 간에 "+"자 형태를 이루도록 교차되게 끼워넣어 형성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는 "+"자 형태로 직립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에 "+"자 형태로 직립으로 형성되는 제2기본판재 구조(12)가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고정되게 된다.
(b)에서는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은 상호 간에 "+"자 형태를 이루도록 직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기본판재 구조(12)를 이루는 판재(100)들은 "ㅁ"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의 상부에 배치되어 고정되게 된다.
(c)에서는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다수개의 판재(100)에 홈(미도시)을 형성하여, 각각 상호 간에 교차되게 끼워넣어 형성하고, 제2기본판재 구조(12)를 이루는 판재(100)들을 "ㅁ"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하여, 상기 기본판재 구조(10)의 상부에 배치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는 직립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에 직립으로 형 성되는 제2기본판재 구조(12)가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고정되게 된다.
(d)에서는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다수개의 판재(100)에 홈(미도시)을 형성하여, 각각 상호 간에 교차되게 끼워넣어 형성하고, 제2기본판재 구조(12)를 이루는 판재(100)들 방사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기본판재 구조(10)의 상부에 배치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는 직립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에 직립으로 형성되는 제2기본판재 구조(12)가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고정되게 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10)와 상기 제2기본판재 구조(12)는 상호 엇갈리게 각각의 상,하부에 결합됨으로써, 서로 간에 상,하방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하여 안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갖는다.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구조체에 집수정이 구비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 중 어느 한 쌍의 판재(100)의 일부분을 하측으로 연장 연결시키는 집수부 판넬(401)을 형성하고, 상기 판재(100)의 사이에는 또 다른 한 쌍의 집수부 판넬(402)을 접합시키고 하단부를 밀폐시켜 독립된 공간을 가지는 집수부(400)를 형성한다.
집수부 판넬(401,402)과 상기 판재(100)는 용접 또는 볼트 결합 방식으로 상호 접합되며, 내부는 방수 밀폐 가공을 한다. 집수부 판넬(401,402)에 의해 둘러쌓여 형성된 집수부(400)의 내부 공간에는 지하층 바닥에 고이는 빗물이나 상향 수압 에 의한 지하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집수정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가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에 설치되거나, 집수정 배치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에 기초 바닥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집수정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의 형상 조합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서로 떨어져 있는 판재(100)들을 서로 연결시키거나, 접합시킬 수도 있다. (a)는 판재(100)가 일체로 연결부(510)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실시예이며, (b)는 2개의 판재(100)를 연결부재(520)를 통해 서로 연결시키는 실시예이다. 연결부재(520)는 판재(100)와 용접으로 결합시키거나, 볼트, 너트, 나사, 핀, 와셔, 못, 쐐기 등의 연결구(5222)를 사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c)는 위아래로 2개의 연결부재(520)를 구비하여 견고하게 결합시킨 예이며, (d)는 판재(100)의 측방 단부를 절곡시키고, 절곡된 접합부(530)를 서로 마주보며 접합되도록 하여, 볼트, 너트 등의 연결구(532)로 결합시키는 예이다.
도 23 내지 25는 연결부 또는 연결부재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및 24를 참조하면, 연결부(510) 또는 연결부재(520)에도 각각 결합홈(511)(521)을 형성할 수 있다. 결합홈(511)(521)은 상방을 향한 것과 하방을 향 한 것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것들이 상호 마주보면서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을 통해 판재는 보다 견고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510)나 연결부재(520)의 형상이나 설치 위치는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으며, 판재의 모양도 마름모꼴, 사다리꼴, 원형 등으로 자유롭게 선택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5와 같이, 연결부(510) 또는 연결부재(520)에 절곡된 지지부(110)를 구비하여, 보다 견고하게 연결 작용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기초 바닥 및 슬라브, 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를 사용한 기초 바닥 및 슬라브, 보의 단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를 사용한 기초 바닥 및 슬라브, 보의 단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구조체의 배치 조합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구조체의 배치 접합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구조체를 이루는 판재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9는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에 제2기본판재 구조가 결합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11는 본 발명의 판재에 유입공, 열림부, 결합돌출부재가 구비되는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15는 본 발명의 판재에 결합홈이 구비되어 상호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판재에 결합홀이 구비되어 상호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내지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 및 제2기본판재 구조의 다양한 배치 조합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구조체에 집수정이 구비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기본판재 구조 12: 제2기본판재 구조
100: 판재 110: 철근홀
120: 철근홈 130: 지지부
140: 유입공 150: 열림부
160: 결합홈 170: 관통홀
200: 보강부재 300: 보강철근
400: 집수부

Claims (34)

  1.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판재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상기 판재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각각 상,하 철근홀;이 형성되며,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위치되는 철근들이 상기 상,하 철근홀에 끼워져 연결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2.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판재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상기 판재의 상단 및/또는 하단에 각각 상,하 철근홈;이 형성되며,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위치되는 철근들이 상기 상,하 철근홈에 끼워져 연결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상기 판재가 2 이상 나란히 또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상기 판재가 상측 단부 및/또는 하측 단부에 수평 방향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별도의 판형 부재를 상기 판재의 상측 및/또는 하측에 용접으로 결합시키거나,
    별도의 판형 부재를 상기 판재의 상측 및/또는 하측에 결합구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상방 및/또는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제2기본판재 구조;가 더 구비되어 상호 교차 또는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는,
    단면이 "I"형, "H"형, "└┘"형, "ㄷ"형, "
    Figure 112008052894011-PAT00004
    "형, "ㄱ"형, "ㄴ"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의 강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판재에는, 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한 개 이상의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유입공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콘크리트가 정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관통되는 한 개 이상의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유입공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하측으로 콘크리트가 원활히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판재에는, 일측을 제외한 타측들이 소정 형태로 절개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접혀서 상기 판재의 표면상에서 돌출되는 열림 부;가 한 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열림부가 콘크리트 사이사이에 매입되는 동시에,
    상기 열림부의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유입공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콘크리트가 정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판재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돌출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판재가 콘크리트층 내에서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재는:
    외측으로 돌출되며 결합되는 이형철근 또는 볼트부재 또는 열림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상하로 겹쳐지는 다른 판재 또는 그 판재의 결합홈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형성된 판재의 수직 부분 전체 높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다른 판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결합홈에 다른 판재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결합홈의 상단을 덮도록 고정되는 보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에는 상기 판재의 단면적에 상응하는 형태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다른 판재가 삽입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철근홈은 경사형부 또는 곡형부를 포함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철근 및/또는 하부 철근과 교차되게 배치되는 보강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2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은 상호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2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은 다른 판재들과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2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은 방사형, 원형, 십자형, 마름모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2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의 사이에는 집수정 구조체;가 구비되거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2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이격 배치된 상기 2 이상의 판재 사이에 연결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2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이격 배치된 상기 2 이상의 판재 사이에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판재의 사이를 연결,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판재와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판재와 볼트, 너트, 와셔, 나사, 핀 중 어느 하나 이 상의 연결구를 사용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2 이상의 연결부가, 상기 결합홈을 통해 상호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2 이상의 연결부재가, 상기 결합홈을 통해 상호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34.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KR1020080071616A 2008-01-29 2008-07-23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KR200900832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258 2008-01-29
KR20080009258 2008-0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268A true KR20090083268A (ko) 2009-08-03

Family

ID=41204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616A KR20090083268A (ko) 2008-01-29 2008-07-23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32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923B1 (ko) * 2020-10-23 2022-04-20 삼원중공업 주식회사 모멘트 접합이 가능한 삼각형 기둥의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923B1 (ko) * 2020-10-23 2022-04-20 삼원중공업 주식회사 모멘트 접합이 가능한 삼각형 기둥의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378B1 (ko)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KR102234513B1 (ko) 자립 기둥과 저항 기초 블럭을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공법
WO2011114507A1 (ja) 新設地下構造物の施工方法
KR101178168B1 (ko) 건축물의 장스팬 고하중용 아이엠티 슬래브
KR20080100740A (ko) 지하합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가설 개방형 판재를 이용한흙막이벽의 역타지지구조 및 이를 적용한 건축물 지하합벽의 연속 시공방법
CN211369158U (zh) 一种带强水平连接节点的装配式剪力墙
JP5228862B2 (ja) 地下構造、地下構造の構築方法
KR20090102596A (ko)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KR100808977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코너 버팀보의 연결장치
KR101071245B1 (ko) 영구 스틸-pc복합보를 시공하중 지지체로 활용한 층고저감형 무지주 역타공법과 그 스틸-pc복합보
KR100628537B1 (ko) 내진성능확보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벽체시스템
KR101037502B1 (ko)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KR101072286B1 (ko) 조립식 옹벽
JP3804322B2 (ja) 耐震補強鋼板を用いた耐震補強構造、耐震補強鋼板の取付方法、耐震補強鋼板を用いた耐震補強方法
KR20110119472A (ko) 프리캐스트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중저층 건물의 기둥 리모델링 보강공법
KR20090083268A (ko)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KR200370135Y1 (ko)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JP3680150B1 (ja) 建造物の基礎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935305B1 (ko) 건축물 기초 바닥층의 전단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결합방법
JP4809399B2 (ja) 壁面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盛土構造物の施工方法
KR102354647B1 (ko) 프리캐스트 패널을 활용한 다각형 선조립 기둥
KR102523155B1 (ko) 중간거더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6496464B2 (ja) 既製柱とフーチングの接合構造
JP5541520B2 (ja) 地下構法
KR101013028B1 (ko) 콘크리트말뚝용 두부보강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110100215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321

Effective date: 20120808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321

Effective date: 2012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