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245B1 - 영구 스틸-pc복합보를 시공하중 지지체로 활용한 층고저감형 무지주 역타공법과 그 스틸-pc복합보 - Google Patents

영구 스틸-pc복합보를 시공하중 지지체로 활용한 층고저감형 무지주 역타공법과 그 스틸-pc복합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245B1
KR101071245B1 KR1020090010639A KR20090010639A KR101071245B1 KR 101071245 B1 KR101071245 B1 KR 101071245B1 KR 1020090010639 A KR1020090010639 A KR 1020090010639A KR 20090010639 A KR20090010639 A KR 20090010639A KR 101071245 B1 KR101071245 B1 KR 101071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composite beam
composite
construction
assembl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1449A (ko
Inventor
염경수
김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모니구조엔지니어링
염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모니구조엔지니어링, 염경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모니구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90010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245B1/ko
Publication of KR20100091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타공법에서 영구 스틸-PC복합보를 시공하중 지지체로 활용하여 가설지지체의 설치를 생략 또는 최소화하는 한편 영구 스틸-PC복합보의 분산 지지를 통해 층고를 저감시킬 수 있는 무지주 역타공법과, 그 역타공법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는 스틸-PC복합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구 스틸-PC복합보를 시공하중 지지체로 활용한 층고저감형 무지주 역타공법은, (a)흙막이벽을 시공하는 단계; (b)내부기둥을 시공하는 단계; (c)굴토하면서 1층 층간구조체를 시공하는 단계; (d)굴토하는 단계; (e1)강재와 PC가 합성된 스틸-PC복합보를 준비하여 아래층 시공위치에서 이웃하는 내부기둥 상호 간을 연결하도록 설치하되, 제1현수재를 이용하여 상기 스틸-PC복합보를 상기 1층 층간구조체에 매달리게 설치하는 단계; (f)슬래브바닥판을 설치하고 슬래브철근을 배근한 후 현장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스틸-PC복합보와 슬래브가 일체화된 층간구조체를 시공하는 단계; (g)상기 (d)단계 내지 (f)단계를 반복 실시하되, (e1)단계는 스틸-PC복합보가 시공할 해당층 바로 위의 시공완료층을 포함한 1개층 이상의 시공완료층의 층간구조체에 매달리게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C복합보, 무지주, 역타공법, 현수

Description

영구 스틸-PC복합보를 시공하중 지지체로 활용한 층고저감형 무지주 역타공법과 그 스틸-PC복합보{Non support downward method using Steel-PC composite girder and the Steel-PC composite girder}
본 발명은 역타공법에서 영구 스틸-PC복합보를 시공하중 지지체로 활용하여 가설지지체의 설치를 생략 또는 최소화하는 한편 영구 스틸-PC복합보의 분산 지지를 통해 층고를 저감시킬 수 있는 무지주 역타공법과, 그 역타공법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는 스틸-PC복합보에 관한 것이다.
역타공법(Downward method)은 1층 바닥으로부터 점차 지하층 구축을 위한 공사를 진행하면서 경우에 따라서 동시에 지상공사를 병행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공법으로서, 터파기와 지상공사의 병행으로 공기단축이 가능하고, 영구구조물을 흙막이벽 지지체로 사용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소음과 진동이 적어 주로 도심지 지하 구조체 공사로 각광받고 있다.
역타공법에서 지하층의 층간구조체(보와 슬래브)를 콘크리트 구조로 시공하 려면 콘크리트 시공을 위한 가설작업(거푸집 및 동바리 설치)이 필수적인데, 통상 콘크리트 구조의 층간구조체는 지반을 굴토한 후 굴토바닥을 고른 상태에서 동바리를 세우고 거푸집을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된 후에야 비로소 동바리를 해체한 후 다시 굴토작업에서부터 콘크리트 타설까지 반복하여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층간 작업시간이 상당히 소요된다는 문제와 함께 매 층마다 반복적인 동바리 설치 및 해체작업의 불편함이 따른다. 이를 개선하고자 무지주 역타공법이 개발되었다.
통상의 무지주 역타공법은 동바리를 세우는 것 대신에 가설지지틀과 현수재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현수재로 가설지지틀을 이미 시공완료된 층간구조체에 매달리게 설치하여 시공층의 층간슬래브를 시공하고 점차 가설지지틀을 아래로 이동시키면서 층간구조체를 반복하여 시공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 시공층의 층간구조체의 시공하중은 가설지지틀이 받아 현수재에 의해 최종 시공완료된 층간구조체가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상의 무지주 역타공법은 시공완료된 층간구조체가 대부분의 시공하중을 지지하게 되어 층간구조체의 구조적 안정성에 유의해야 하며, 또한 가설지지틀의 구성이 복잡하고 하중 지지를 위한 현수재의 숫자가 많아 시공성이 좋지 않다.
상기한 바와 같은 통상의 무지주 역타공법의 단점을 개선한 것으로, 브라켓 지지방식의 무지주 역타공법이 있다. 브라켓 지지방식의 무지주 역타공법은 가설지지틀의 하강하중은 현수재가 지지하도록 하면서 층간구조체의 시공하중은 브라켓을 통해 기둥이 지지하도록 한 공법으로, 이는 기둥에 브라켓을 설치하고 층간구조체 시공을 위한 가설지지틀을 브라켓의 지지를 받게 설치함으로써 구현된다.
하지만, 브라켓 지지방식의 무지주 역타공법은 상당한 규모의 브라켓과 가설지지틀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브라켓과 가설지지틀 모두를 한꺼번에 하강시켜야 하기 때문에 그 하강작업을 위해서는 상당한 지지력을 발휘하는 하강기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브라켓 지지방식의 무지주 역타공법에서는 가설지지틀이 브라켓을 서로 연결하는 거더로만 구성되기 때문에 장스팬 구조물 구축 시에는 호리빔이나 특별한 무지주용 데크(가령, 춤이 깊은 데크) 등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더군다나, 브라켓 지지방식의 무지주 역타공법에서 지하 기준층은 통상 와이드빔을 이용한 1방향 슬래브시스템을 사용하나, 지상1층 바닥은 장비하중이나 조경하중 등으로 인해 적재하중이 과대하고 단차부가 많아 2방향 슬래브의 시공이 불가피하게 발생된다. 이로 인해 가설지지틀이 2방향으로 마련되면서 지상1층 만을 위한 가설지지틀이 추가로 필요하게 되므로, 경제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가설지지틀 하강 시 2방향 지지틀 간의 간섭이 발생되어 시공성도 저하된다. 또한 위와 같은 문제를 배제하기 위하여 1층은 다른 공법을 사용한다고 하면 이는 지지틀의 전용회수가 줄어 경제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지주 역타공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개발된 것으로서, 영구 스틸-PC복합보를 시공하중 지지체로 활용하여 가설지지틀의 설치를 생략 또는 최소화하고 나아가 영구 스틸-PC복합보의 분산 지지를 통해 층고를 저감시킬 수 있는 무지주 역타공법을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호리빔이나 특수의 무지주용 데크를 이용하지 않고도 장스팬 구조물을 무지주 방식으로 구축할 수 있으며, 나아가 2방향 슬래브 구조형식을 간단하게 무지주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는 무지주 역타공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영구 스틸-PC복합보를 시공하중 지지체로 활용한 무지주 역타공법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최소의 중량으로 최대의 내력을 발휘함과 동시에 슬래브와의 일체화에 유리한 스틸-PC복합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가지는 영구 스틸-PC복합보를 시공하중 지지체로 활용한 층고저감형 무지주 역타공법과 그 스틸-PC복합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구 스틸-PC복합보를 시공하중 지지체로 활용한 층고저감형 무지주 역타공법은, (a)흙막이벽을 시공하는 단계; (b)내부기둥을 시공하는 단계; (c)1층 층간구조체를 시공하는 단계; (d)굴토하는 단계; (e1)강재와 PC가 합성된 스틸-PC복합보를 준비하여 아래층 시공위치에서 이웃하는 내부기둥 상호 간을 연결하도록 설치하되, 제1현수재를 이용하여 상기 스틸-PC복합보를 상기 1층 층간구조체에 매달리게 설치하는 단계; (f)슬래브바닥판을 설치하고 슬래브철근을 배근한 후 현장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스틸-PC복합보와 슬래브가 일체화된 층간구조체를 시공하는 단계; (g)상기 (d)단계 내지 (f)단계를 반복 실시하되, (e1)단계는 스틸-PC복합보가 시공할 해당층 바로 위의 시공완료층을 포함한 1개층 이상의 시공완료층의 층간구조체에 매달리게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틸-PC복합보는, H형강보 또는 스틸조립튜브보, 외부PC부분 및/또는 내부PC부분, 보강근 또는 연결플레이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아울러 최소의 중량으로 최대의 내력을 발휘함과 동시에 슬래브와의 일체화에 유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영구 스틸-PC복합보를 시공하중 지지체로 활용하기 때문에 가설지지틀의 설치를 생략하거나 최소화하면서 무지주 역타공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가설공사와 관련된 공사비와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둘째, 영구 스틸-PC복합보를 내부기둥이 직접 지지하게 함과 동시에 층간구조체가 현수 지지하게 함으로써 영구 스틸-PC복합보가 받는 시공하중을 내부기둥과 층간구조체로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춤이 작은 스틸-PC복합보를 이용하여 층간구조체의 두께를 줄이면서 무지주 역타공법으로 지하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으며, 층간구조체의 두께 감축은 층고저감 효과로 이어지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공사량을 감축하면서 경제적으로 지하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다.
셋째, 장스팬 구조물은 물론 2방향 슬래브 구조형식도 간편하게 구축할 수 있기 때문에 지하 구조물의 구조형식에 제약없이 경제적으로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영구 스틸-PC복합보를 시공하중 지지체로 활용한 무지주 역타공법과 이러한 무지주 역타공법에 적용하기 위한 스틸-PC복합보를 제안하는 바, 이하부터는 이 둘을 구분하여 설명한다.
1. 무지주 역타공법
도 1a 내지 도 1h는 본 발명에 무지주 역타공법을 도시한 시공순서도인데, 이들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지주 역타공법을 단계적으로 살펴본다.
(a)흙막이벽 시공- 도 1a
건축선에 맞춰 흙막이벽(100)을 시공한다. 흙막이벽(100)은 H말뚝과 토류판, CIP, SCW, 시트파일 등은 물론 지하연속벽(슬러리월)으로 시공 가능하다.
(b)내부기둥 시공- 도 1b
흙막이벽(100) 내부로 내부기둥(200)을 시공한다. 내부기둥(200)은 H형강 등의 철골부재, 콘크리트충전강관과 같은 복합부재가 바람직하고, 경우에 따라 PC부재를 채용할 수도 있다. 다만, 내부기둥(200)으로 PC부재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스틸-PC복합보(300)와의 접합을 고려하여 접합철물이 미리 매입되게 준비해야 할 것이다.
(c)1층 층간구조체 시공- 도 1c
1층 층간구조체(보와 슬래브)를 시공한다. 1층 층간구조체 시공에 앞서 1층 층간구조체의 시공공간 확보를 위해 굴토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1층 층간구조체는 직접 흙막이벽(100)을 지지하도록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별도 가설버팀대를 이용하지 않기 위함이다.
1층 층간구조체는 확보된 시공공간에 따라 RC Beam & Girder, 2-way Floor, Steel Frame, PC Frame 등 다양한 구조형식으로 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1층 층간구조체에서 내부기둥(200) 상호 간을 연결하는 보(girder)는, RC보, 와이드보(Wide Girder), 스틸보, PC보, 스틸-PC복합보 등 다양한 구조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1층 층간구조체는 통상의 방법으로 시공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동바리 등을 이용하면서도 시공할 수 있다.
(d)굴토- 도 1d
아래층 시공위치 아래 깊이로 굴토한다. 굴토깊이는 흙막이벽(100)의 지지상태를 감안하면서 아래층 시공공간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진행하도록 한다.
(e1)스틸-PC복합보 설치- 도 1e
강재와 PC가 합성된 스틸-PC복합보(300)를 준비하여 아래층 시공위치에서 이웃하는 내부기둥(200) 상호 간을 연결하도록 설치하며, 아울러 상기 스틸-PC복합보(300)는 제1현수재(H1)를 이용하여 상기 1층 층간구조체에 매달리게 설치한다. 한편, 스틸-PC복합보(300)는 내부기둥(200)과 흙막이벽(100) 구조체를 연결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스틸-PC복합보(300)는 강재와 PC가 합성된 부재로, 공장 또는 현장에서 제작 완료된 상태의 부재이다. 스틸-PC복합보(300)는 도 2a 내지 도 7c에서와 같은 형태로 준비하여 설치하도록 하며, 스틸-PC복합보(300)의 구체적인 형태와 설치방법은 후술한다.
스틸-PC복합보(300)는 내부기둥(200)에 고정됨과 동시에 제1현수재(H1)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스틸-PC복합보(300)는 내부기둥(200)에 고정되는 양단부와 제1현수재(H1)에 의해 매달린 부분이 곧 지지점이 된다. 이에 따라 스틸- PC복합보(300)에 가해지는 하중은 최종적으로 내부기둥(200)과 1층 층간구조체가 분산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방식을 감안하면 스틸-PC복합보(300)는 중간지점에서 매달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2)가설보 설치- 도 1e
스틸-PC복합보(300) 상호 간을 측면에서 연결하도록 가설보(400)를 설치하며, 다만 가설보(400)는 시공 구조물이 장스팬으로 설계된 경우에만 설치해도 된다. 특히 장스팬 구조물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여러 개의 가설보(400)를 준비하여 두 스틸-PC복합보(300)를 동시에 연결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가설보(400)로는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철골보로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가설보(400)는 스틸-PC복합보(300)와 마찬가지로 제2현수재(H2)를 이용하여 1층 층간구조체에 매달리게 설치하게 되는데, 그 결과 가설보(400)는 스틸-PC복합보(300)에 고정되는 양단부와 그리고 제2현수재(H2)에 의해 매달린 부분이 곧 지지점이 되어 스틸-PC복합보(300)와 1층 층간구조체가 가설보(40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 지지하게 된다.
가설보(400)는 스틸-PC복합보(300)와 마찬가지로 중간지점에서 매달리게 할 수 있으나, 도 1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 단부지점에서도 매달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스틸-PC복합보(300)는 영구부재로서 내부기둥(200)에 긴결하게 설치되어 스틸-PC복합보(300)와 내부기둥(200)의 접합부의 안정성이 보장되는 반면, 가설보(400)는 가설부재로서 스틸-PC복합보(300)에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게 설치되어 가설보(400)와 스틸-PC복합보(300)의 접합부의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가설보(400)를 양 단부지점에서 매달리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지지력이 가설보(400)가 접합된 스틸-PC복합보(300)에도 전달되므로 가설보(400)가 접합되는 스틸-PC복합보(300)에는 제1현수재(H1)의 설치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f)층간구조체 시공- 도 1f
슬래브바닥판(510)을 설치하고 슬래브철근(521, 522)을 배근한 후 현장콘크리트(530)를 타설 양생하여 스틸-PC복합보(300)와 슬래브(500)가 일체화된 층간구조체를 시공한다. 다만, 내부기둥 주위로 콘크리트기둥부분이 시공되는 경우라면 스틸-PC복합보(300)와 내부기둥(200)의 접합부인 패널존(panel zone)은 거푸집(240)을 설치하면서 층간구조체를 시공하도록 하며(도 2d 참조), 콘크리트기둥부분(250)이 시공되지 않고 내부기둥(200)만으로 기둥 시공이 마무리되는 경우라면 도 2a와 도 3b와 같은 스틸-PC복합보(길이방향 양단부의 춤이 작아지는 형태의 스틸-PC복합보)를 채용하는 경우에만 거푸집(240)을 설치하면서 패널존(panel zone)의 층간구조체를 시공하도록 한다.
본 단계에서 슬래브바닥판(510)과 슬래브철근(521, 522)의 시공과정은 일체화된 상태의 부재(트러스데크나 하프PC슬래브)를 이용하여 일원화할 수 있으며, 다만 이 경우에도 슬래브철근(521, 522)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현장작업(연결철근을 이용한 슬래브철근의 연결 등)은 수행해야 할 것이다. 또한, 슬래브바닥 판(510)은 합판 등으로 마련하여 호리빔의 지지를 받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층간구조체 시공과정에서 시공하중은 스틸-PC복합보(300)에서 내부기둥(200)과 1층 층간구조체로 전달되어 지지되며, 나아가 가설보(400)를 더 설치한 경우라면 가설보(400)에서 스틸-PC복합보(300)와 1층 층간구조체로 전달되어 지지된다. 특히, 가설보(400)는 층간구조체 시공과정에만 설치되고 층간구조체가 시공 완료되면 해체되는 가설부재이기 때문에, 층간구조체 시공과정 중에 가설보(400)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변장비(λ)가 커져서 시공 중의 슬래브(500)는 1방향 슬래브 구조형식으로 거동하게 되지만 층간구조체 시공완료 후 가설보(400)가 해체된 상태에서는 변장비가 작아져서 완성된 슬래브(500)는 최종적으로 2방향 슬래브 구조형식으로 거동하게 된다.
한편, 스틸-PC복합보(300)를 내부기둥(200)과 흙막이벽(100) 구조체를 이용하여 연결하도록 설치한 경우라면 스틸-PC복합보(300)와 슬래브(500)가 일체화됨에 따라 시공층의 층간구조체가 흙막이벽(100)을 지지하는 버팀대가 된다.
(g)반복 시공- 도 1g
상기 (d)단계 내지 (g)단계를 반복 실시하면서 지하층을 시공한다. 다만, 반복 시공단계에서는 상기 (e1)단계의 경우 스틸-PC복합보(300)가 시공할 해당층 바로 위의 시공완료층을 포함하여 1개층 이상의 시공완료층의 층간구조체에 매달리게 실시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e2)단계를 반복한 경우에는, 시공할 해당층 바로 위의 시공완료층에 설치되어 있는 가설보(400)를 스틸-PC복합보(300)에서 해 체한 후 제2현수재(H2)를 연장시켜 하향 이동시킨 다음 시공할 해당층에 설치된 스틸-PC복합보(300) 상호 간을 연결하도록 실시하되, 시공할 해당층에 설치한 가설보(400)가 시공할 해당층 바로 위의 시공완료층을 포함하여 1개층 이상의 시공완료층의 층간구조체에 매달리도록 실시한다. 이에 따라 반복 시공단계에서 시공할 해당층(n층)의 스틸-PC복합보(300)와 가설보(400)는 바로 위층의 시공 완료된 층간구조체(n-1층)를 포함하여 1개층 이상의 시공 완료된 층간구조체(n-1층, n-2층, …)가 지지하게 된다.
(h)콘크리트기둥부분 시공- 도 1h
본 발명에 따른 무지주 역타공법은 내부기둥(200)만으로 지하구조물의 기둥을 구성할 수 있으나, 구조설계에 따라 내부기둥(200) 주위로 콘크리트기둥부분(250)을 더 시공하여 합성기둥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콘크리트기둥부분(250)은 내부기둥(200)과 스틸-PC복합보(300)의 접합부를 매입시키면서 시공하도록 하며, 상기 (g)단계를 거쳐 내부기둥과 층간구조체를 완성한 후 현장여건에 따라 상향식 또는 하향식으로 시공할 수 있다.
2. 스틸-PC복합보
도 2a 내지 도 7c는 앞서 살펴본 무지주 역타공법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제안된 스틸-PC복합보(300)의 다양한 예와 그 시공상세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최소의 중량으로 최대의 내력을 발휘함과 동시에 슬래브(500)와의 일체화 에 유리한 구조의 스틸-PC복합보(300)를 제안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H형강보(310), 외부PC부분(330), 각종 보강근(331, 332, 333, 334)이 합성된 스틸-PC복합보의 일례와 그 시공상세를 도시한다.
도 2a에 따른 스틸-PC복합보(300)는, H형강보(310); 상기 H형강보(310)의 길이방향 양 단부를 제외한 상기 H형강보(310)의 하부를 콘크리트가 둘러싸서 형성된 외부PC부분(330); 상기 H형강보(310)의 하단과 동일한 레벨 또는 그 아래의 레벨로 H형강보(310)의 하부플랜지 좌우에 배근되어 상기 외부PC부분(330)에 매입된 하부종방향근(331); 상기 하부종방향근(331) 상호 간을 연결하게 배근되어 상기 외부PC부분(330)에 매입된 하부횡방향근(332); 상기 H형강보(310)의 하부플랜지 위로 H형강보(310)의 웨브 좌우에 배근되어 상기 외부PC부분(330)에 매입된 상부종방향근(333); 상기 상부종방향근(333) 상호 간을 연결하면서 상기 H형강보(310)의 웨브를 관통하게 배근되어 상기 외부PC부분(330)에 매입된 상부횡방향근(334); 상기 외부PC부분(330)의 중간에서 외부PC부분(330)의 측면에 판면이 노출되게 매입된 매입노출철판(33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도 2a와 같은 스틸-PC복합보(300)에서, 외부PC부분(330)이 형성되지 않는 H형강보(310)의 양 단부는 철골기둥(내부기둥)과의 접합을 고려한 형태이며, 상·하부종방향근(331, 333)과 상·하부횡방향근(332, 334)은 외부PC부분(330)을 보강하여 스틸-PC복합보(300)가 일정 이상의 내력을 발휘하게 하기 위해 마련한 구성이다. 그리고, 매입노출철판(335)은 철골보(가설보, 400)와의 접합을 고려하여 제안 된 구성으로서 외부PC부분(330)과의 구속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스터드(336)가 접합된 상태로 외부PC부분(330)에 매입될 수 있으며, 다만 철골보(가설보, 400)를 생략하여 무지주 역타공법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매입노출철판(335)을 생략할 수 있다. 나아가, 도 2a와 같은 스틸-PC복합보(300)는 경우에 따라 외부PC부분(330)에 PC강선을 매입하여 처짐을 보강할 수도 있다.
특히, 도 2a에서는 H형강보(310)의 웨브에 개구부(311)가 형성됨과 아울러, 외부PC부분(330)이 H형강보의 웨브 개구부(311)의 상부부분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한편, 상·하부횡방향근(332, 334)이 서로 이어진 형태로서 상부횡방향근(334)이 H형강보의 웨브의 개구부(311)를 통해 관통 배근되어 외부PC부분(330)에 매입되는 형태의 스틸-PC복합보(300)를 보여주며, 이러한 스틸-PC복합보(300)는 외부PC부분(330) 위로 개방된 H형강보의 웨브 개구부(311)에 의해 슬래브와의 일체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도 2b 참조). 도시하지 않았지만 H형강보(310)의 웨브에 개구부(311)를 형성시키는 것 대신에 상부횡방향근(334)이 관통 배근되는 정도 크기의 관통홀을 형성시켜 스틸-PC복합보(300)를 완성하는 것도 가능한데, 다만 이 경우에는 슬래브와의 일체성을 강화하기 위해 상·하부횡방향근(332, 334)이 서로 분리된 형태로서 하부횡방향근(332)이 외부PC부분(330) 위로 돌출하게 매입되도록 구성해야 할 것이다(도 3a 참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틸-PC복합보(300)에서 H형강보(310)의 상부플랜지 위에 현수재고정구(380)를 설치하면 현수재고정구(380)에 제1현수재(H1)를 설치하면서 앞서 살펴본 무지주 역타공법을 실현할 수 있다. 이때, 현수재고정구(380)는 제1현수재(H1)를 고정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며, 또한 향후 스틸-PC복합보(300)에서 제거될 수도 있고 또는 영구적으로 존치시켜 슬래브(500)에 매입되게 할 수도 있다.
도 2b는 도 2a의 스틸-PC복합보(300)를 철골기둥(내부기둥, 200)에 접합 설치한 상태와 이 상태에서 슬래브(500)를 시공한 상태를 보여준다. 보는 바와 같이 스틸-PC복합보는 통상의 철골조 시공방식에서와 동일하게 연결플레이트(210)를 이용하여 단부의 H형강보(310)를 철골기둥(내부기둥, 200)에 접합하거나 거치플레이트(220)를 이용하여 단부의 H형강보(310)를 거치하는 방식으로 설치하며, 스틸-PC복합보(300)를 설치한 후에는 슬래브바닥판(510)을 설치하고 슬래브철근(521, 522)을 연속성 있게 배근한 다음 현장콘크리트(530)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슬래브(500)를 시공한다. 이때, 슬래브바닥판(510)은 스틸-PC복합보의 외부PC부분(330) 위에 거치하는 방식으로 설치하며, 슬래브철근 중 하부철근(521)은 스틸-PC복합보의 H형강보의 웨브의 개구부(311)를 통과하도록 배근함과 동시에 상부철근(522)은 스틸-PC복합보의 H형강보(310)의 상부플랜지 위에 배근하는 방식으로 배근한다. 만약 스틸-PC복합보의 H형강보(310)로 웨브에 개구부(311) 대신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채택한 경우라면 슬래브철근 중 하부철근(521)의 관통 배근이 곤란해지므로, 이 경우에 슬래브철근 중 하부철근(521)은 단부를 상향 절곡하여 충분한 정착길이를 가지도록 배근한다. 이로써 현장콘크리트(530)가 타설 양생되면 스틸-PC복합보(300)에서 외부PC부분(330)의 윗부분(H형강보의 웨브 일부와 상부플랜지)이 현장콘크리트(530)에 묻히면서 스틸-PC복합보(300)와 슬래브(500)가 일체화된다.
도 2c는 도 2a의 스틸-PC복합보(300)에 철골보(가설보, 400)를 접합 설치한 상태와 이 상태에서 슬래브(500)를 시공한 상태를 보여준다. 보는 바와 같이 철골보(400)는 연결플레이트(410)를 이용하여 스틸-PC복합보의 매입노출철판(335)에 접합하는 방식으로 설치하며, 철골보(가설보, 400)를 설치한 후에는 슬래브바닥판(510)을 철골보(가설보, 400) 위에 거치하고 슬래브철근(521, 522)을 배근한 다음 현장콘크리트(530)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슬래브(500)를 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지주 역타공법에서 철골보(가설보, 400)는 제2현수재(H2)에 의해 매달리게 설치되므로 철골보(가설보, 400)에는 현수재고정구(48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d는 도 2a의 스틸-PC복합보(300)를 철골기둥(내부기둥, 200) 사방에 접합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를 보여준다. 보는 바와 같이 스틸-PC복합보(300)와 철골기둥(내부기둥, 200)의 접합부는 스틸-PC복합보의 H형강보(310)만이 철골기둥(내부기둥, 200)에 접합되고 있기 때문에 스틸-PC복합보와 슬래브의 일체화 시공과정에서는 스틸-PC복합보(300)와 철골기둥(내부기둥, 200)의 접합부에 별도의 거푸집(240)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도 3a 내지 도 7c는 스틸조립튜브보(320)와 내부PC부분(340)이 합성된 스틸-PC복합보(300)의 다양한 예와 그 시공상세를 도시하는데, 스틸조립튜브보(320)의 구체적인 형태와 슬래브(500)와의 일체화를 위해 제안된 형태에 따라 구별하고 있다. 특히, 상기 스틸조립튜브보(320)는 특허 제0787133호의 콘크리트 충전용 조립식 박스형 철골보를 그대로 또는 변경하여 적용하고 있다.
도 3a에 따른 스틸-PC복합보(300)는, 하부플레이트(321)와 양 측면판(322)을 조립하여 상부가 개구(開口)되게 제작된 스틸조립튜브보(320); 상기 스틸조립튜브보(320)의 길이방향 양 단부를 제외한 상기 스틸조립튜브보(320)의 하부를 콘크리트가 둘러싸서 형성된 외부PC부분(330); 상기 스틸조립튜브보(320)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져서 형성된 내부PC부분(340); 상기 스틸조립튜브보의 하부플레이트(321)와 동일한 레벨 또는 그 아래의 레벨로 스틸조립튜브보의 하부플레이트(321) 좌우에 배근되어 상기 외부PC부분(330)에 매입된 하부종방향근(331); 상기 하부종방향근(331) 상호 간을 연결하게 배근되어 상기 외부PC부분(330)에 매입된 하부횡방향근(332); 상기 스틸조립튜브보의 하부플레이트(321) 위로 스틸조립튜브보의 양 측면판(322) 좌우에 배근되어 상기 외부PC부분(330)에 매입된 상부종방향근(333); 상기 상부종방향근(333) 상호 간을 연결하면서 상기 스틸조립튜브보의 양 측면판(322)을 구속(접합 또는 관통 배근)되어 상기 외부PC부분(330)과 내부PC부분(340)에 매입된 상부횡방향근(334); 상기 외부PC부분(330)의 중간에서 외부PC부분(330)의 측면에 판면이 노출되게 매입된 매입노출철판(335);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특히, 도 3a에 따른 스틸-PC복합보(300)에서 스틸조립튜브보(320)는 하부플레이트(321)와 ㄷ자형의 양 측면판(322) 뿐만 아니라 양 단면의 마구리판(334)과 상부연결재로서 타공플레이트(323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지만, 스틸-PC복합보(300)와 철골기둥(내부기둥, 200)의 접합방식이 도 3b와 같은 방식(연결플레이트와 마구리판의 접합)을 따르는 경우에는 상부연결재로서 타공플레이트(323a)를 생 략할 수 있으며, 아울러 스틸-PC복합보(300)와 철골기둥(내부기둥, 200)의 접합방식이 도 4b와 같은 방식(탑앵글과 상부연결재의 접합)을 따르는 경우에는 양 단면의 마구리판(324)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철골보(가설보, 400)를 생략하여 무지주 역타공법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스틸-PC복합보(300)에서 매입노출철판(335)을 생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처짐을 보강하기 위해 외부PC부분(330)에 PC강선이 매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a에 따른 스틸-PC복합보(300)에서 스틸조립튜브보의 마구리판(324)과 매입노출철판(335)은 각각 내부PC부분(340)과 외부PC부분(330)과의 구속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스터드(326, 336)를 접합한 채 내부PC부분(340)과 외부PC부분(330)에 매입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a에 따른 스틸-PC복합보(300)에서는 슬래브와의 일체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상·하부횡방향근(332, 334)이 서로 분리된 형태로 하부횡방향근(332)이 외부PC부분(330) 위로 돌출하고 있으나, 슬래브와의 일체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특별한 구성(전단키 등)이 마련된다면 상·하부횡방향근(332, 334)이 도 2a에서와 같이 서로 이어진 형태로 돌출하지 않게 마련될 수도 있다. 무지주 역타공법을 실현하기 위해 제1현수재(H1)의 설치를 고려한다면 현수재고정구(380)는 스틸조립튜브보의 상부연결재(타공플레이트, 323a)에 장치하면 된다.
도 3b는 도 3a의 스틸-PC복합보(300)를 철골기둥(내부기둥)에 접합 설치한 상태와 이 상태에서 슬래브(500)를 시공한 상태를 보여주며, 도 3c는 도 3a의 스틸-PC복합보(300)에 철골보(가설보, 400)를 접합 설치한 상태와 이 상태에서 슬래 브(500)를 시공한 상태를 보여준다. 보는 바와 같이 도 3a의 스틸-PC복합보(300)는 전반적으로 도 2a에 따른 스틸-PC복합보(300)와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 적용된다. 이로써, 도 3a의 스틸-PC복합보(300)는 외부PC부분(330) 윗부분의 스틸조립튜브보(320)와 외부PC부분(330)에 돌출 매입된 하부횡방향근(332)이 현장콘크리트(530)에 묻히면서 슬래브(500)와 일체화된다.
도 4a에 따른 스틸-PC복합보(300)는, 하부플레이트(321)와 양 측면판(322)을 조립하여 상부가 개구되게 제작된 스틸조립튜브보(320); 상기 스틸조립튜브보(320)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져 형성된 내부PC부분(340); 상기 스틸조립튜브보의 상부 개구부(311)를 통해 상기 내부PC부분(340)에 정착하면서 스틸조립튜브보(320) 위로 돌출하게 설치된 ∩자형타이바(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형타이바(350)는 스틸-PC복합보(300)와 슬래브(500)의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마련한 구성이다. 특히, 도 4a에 따른 스틸-PC복합보(300)는 스틸조립튜브보(320)가 상부연결재로서 짧은 길이의 평플레이트(323b)와 연결바(323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아울러, 현수재고정구(380)는 지지플레이트(381), 스터드(382) 및 보강근(383)을 매개로 내부PC부분(340)에 구속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스틸-PC복합보(300)는 제1현수재(H1)에 매달리게 설치될 때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도 4b는 도 4a의 스틸-PC복합보(300)를 철골기둥(내부기둥)에 접합 설치한 상태와 이 상태에서 슬래브(500)를 시공한 상태를 보여준다. 보는 바와 같이 도 4a의 스틸-PC복합보(300)는 거치플레이트(220)와 탑앵글(230)을 이용하여 철골기 둥(내부기둥, 200)에 접합하는 방식으로 설치하며, 스틸-PC복합보(300)를 설치한 후에는 슬래브바닥판(510)을 스틸-PC복합보의 스틸조립튜브보(320) 위에 거치하여 설치하고 슬래브철근(521, 522)을 슬래브바닥판(510) 위로 배근한 다음 현장콘크리트(530)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슬래브(500)를 시공한다(도 4b). 이로써 현장콘크리트(530)가 타설 양생되면 스틸-PC복합보(300)에서 스틸조립튜브보(320)의 위로 돌출된 ∩자형타이바(350)가 현장콘크리트(530)에 묻히면서 스틸-PC복합보(300)와 슬래브(500)가 일체화된다.
도 4c는 도 4a의 스틸-PC복합보(300)에 철골보(가설보, 400)를 접합 설치한 상태와 이 상태에서 슬래브(500)를 시공한 상태를 보여준다. 보는 바와 같이 도 4a의 스틸-PC복합보(300)는 측면이 스틸조립튜브보의 측면판(322)으로 구성된 형태이기 때문에 연결플레이트(410) 및/또는 거치플레이트(420) 등을 적절히 이용하면 철골보(가설보, 400)와의 접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5a에 따른 스틸-PC복합보(300)는 전체적으로 도 4a에 따른 스틸-PC복합보와 유사하나, 스틸조립튜브보(320)로 중간턱이 형성된 양 측면판(322)을 이용하여 凸자형으로 조립된 것을 채택하고 아울러 스틸-PC복합보(300)와 슬래브(500)의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자형타이바(350) 대신에 관통구멍(361)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관통구멍(361)은 스틸조립튜브보(320)의 중간턱 위에서 양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도 5a와 같은 스틸-PC복합보(300)는 내부PC부분(340)이 스틸조립튜브보(320)의 중간턱 아래까지는 물론 스틸조립튜브보(320)의 내부 전체에 형성되게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며, 다만 내부PC부분(340)이 스틸조립튜브보의 중간턱 아래까지만 형성된다면 관통구멍(361)이 스틸조립튜브보의 양 측면판(322)만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면 될 것이나, 내부PC부분(340)이 스틸조립튜브보(320)의 내부 전체에 형성된다면 관통구멍(361)은 스틸조립튜브보의 양 측면판(322)은 물론 내부PC부분(34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도 5b는 도 5a의 스틸-PC복합보(300)를 철골기둥(내부기둥, 200)에 접합 설치한 상태와 이 상태에서 슬래브(500)를 시공한 상태를 보여준다. 보는 바와 같이 도 5a의 스틸-PC복합보(300)는 거치플레이트(120)와 탑앵글을 이용하여 철골기둥(내부기둥, 200)에 연결 설치하며, 스틸-PC복합보(300)를 설치한 후에는 슬래브바닥판(510)을 스틸-PC복합보의 스틸조립튜브보의 중간턱 위에 거치하여 설치하고 슬래브철근(521, 522)을 배근한 다음 현장콘크리트(530)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슬래브(500)를 시공한다. 이때, 슬래브철근 중 하부철근(521)은 스틸-PC복합보의 관통구멍(361)에 삽입하여 배근하고, 상부철근(522)은 스틸-PC복합보(300) 위로 배근한다. 내부PC부분(340)이 스틸조립튜브보(320)의 중간턱 아래까지만 형성되게 제작된 스틸-PC복합보를 채택하는 경우라면 슬래브 시공과정에서 현장콘크리트(530)가 스틸조립튜브보의 나머지 부분에 채워지게 된다. 이로써 현장콘크리트(530)가 타설 양생되면 스틸-PC복합보(300)에서 스틸조립튜브보(320)의 중간턱 윗부분이 현장콘크리트(530)에 묻히면서 스틸-PC복합보(300)와 슬래브(500)가 일체화된다.
도 5c는 도 5a의 스틸-PC복합보(300)에 철골보(가설보, 400)를 접합 설치한 상태와 이 상태에서 슬래브(500)를 시공한 상태를 보여준다. 보는 바와 같이 철골 보(가설보, 400)는 도 5a의 스틸-PC복합보의 스틸조립튜브보(320)의 중간턱 아랫부분에 접합해야 전체적으로 스틸조립튜브보의 중간턱 위로 슬래브바닥판(510)을 거치하면서 슬래브(500)를 시공할 수 있다.
도 6a에 따른 스틸-PC복합보(300)는, 전체적으로 도 5a에 따른 스틸-PC복합보와 유사하나, 스틸-PC복합보(300)와 슬래브(500)의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관통구멍 대신에 관통커플러바(362)가 마련되고 아울러 상부연결재를 생략하는 한편 마구리판(324)을 포함시켜 제작한 스틸조립튜브보를 채택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관통커플러바(362)는 양단의 커플러와 중간의 연결바로 구성된 형태로서 양단의 커플러가 스틸조립튜브보의 양 측면판(322)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이다.
특히, 도 6a와 같은 스틸-PC복합보(300)는 내부PC부분(340)이 스틸조립튜브보(320)의 내부 전체는 물론 스틸조립튜브보(320)의 중간턱 아래까지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다만 내부PC부분(340)이 스틸조립튜브보(320)의 내부 전체에 형성된다면 관통커플러바(362)는 내부PC부분(340)을 매입되어야 하나 내부PC부분(340)이 스틸조립튜브보(320)의 중간턱 아래까지만 형성된다면 관통커플러바(362)는 내부PC부분(340)에 비매입되게 될 것이다.
도 6b는 도 6a의 스틸-PC복합보(300)를 철골기둥(내부기둥, 200)에 접합 설치한 상태와 이 상태에서 슬래브(500)를 시공한 상태를 보여주며, 도 6c는 도 6a의 스틸-PC복합보(300)에 철골보(가설보, 400)를 접합 설치한 상태와 이 상태에서 슬래브(500)를 시공한 상태를 보여준다. 보는 바와 같이 도 6a의 스틸-PC복합 보(300)는 전반적으로 도 5a의 스틸-PC복합보(300)와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 적용되며, 다만 스틸-PC복합보(300)는 연결플레이트(210)와 거치플레이트(220)가 이용되면서 철골기둥(내부기둥, 200)에 접합되고 아울러 슬래브철근 중 하부철근(521)이 관통커플러바(362)와 연결 배근된다. 이로써, 도 6a의 스틸-PC복합보(300)는 스틸조립튜브보의 중간턱 윗부분이 현장콘크리트(530)에 묻히면서 스틸-PC복합보(300)와 슬래브(500)가 일체화된다.
도 7a에 따른 스틸-PC복합보(300)는, 하부플레이트(321)와 양 측면판(322)을 조립하여 상부가 개구되게 제작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321)가 양 측면판(322)에서 돌출되게 제작된 스틸조립튜브보(320); 상기 스틸조립튜브보(320)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져서 형성된 내부PC부분(340); 상기 스틸조립튜브보 상부에서 스틸조립튜브보(320)의 양 측면판과 내부PC부분(340)을 수평 관통하도록 마련된 관통구멍(361) 또는 관통커플러바(362); 상기 관통구멍(361) 또는 관통커플러바(362)보다 아래 위치에서 상기 스틸조립튜브보의 하부플레이트(321)보다 더 돌출되도록 스틸조립튜브보의 하부플레이트(321)에 거치되어 측면판에 구속된 연결플레이트(37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도 7a에 따른 스틸-PC복합보(300)는 도 5a의 스틸-PC복합보와 유사한 형식(스틸조립튜브보에 상부연결재를 더 포함시키고 동시에 관통커플러바 대신에 관통구멍을 형성시키는 방식)으로 변형할 수 있으며, 아울러 철골보(가설보, 400)를 생략하여 무지주 역타공법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연결플레이트(371)를 생략할 수도 있 다. 이와 같은 스틸-PC복합보(300)는, 스틸박스, ㄷ자채널 등의 별도의 스틸받침대(511)를 마련하여 스틸조립튜브보의 하부플레이트(321) 양 단부 위에 설치하면 스틸받침대(511) 위에 슬래브바닥판(510)을 거치하면서 슬래브를 시공할 수 있다.
도 7b는 도 7a의 스틸-PC복합보(300)를 철골기둥(내부기둥, 200)에 접합 설치한 상태와 이 상태에서 슬래브(500)를 시공한 상태를 보여준다. 보는 바와 같이 도 7a의 스틸-PC복합보(300)는 거치플레이트(220)와 탑앵글(230)을 이용하여 철골기둥(내부기둥, 200)에 연결 설치하며, 스틸-PC복합보(300)를 설치한 후에는 슬래브바닥판(510)을 스틸받침대(511) 위에 거치하여 설치하고 슬래브철근(521, 522)을 배근한 다음 현장콘크리트(530)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슬래브(500)를 시공한다. 이때, 슬래브철근 중 하부철근(521)은 스틸-PC복합보의 관통커플러바(362)에 연결 배근하고, 상부철근(522)은 스틸-PC복합보(300) 위로 배근한다. 이로써 현장콘크리트(530)가 타설 양생되면 스틸-PC복합보(300)에서 스틸조립튜브보(320)가 현장콘크리트(530)에 묻히면서 스틸-PC복합보(300)와 슬래브(500)가 일체화된다.
도 7c는 도 7a의 스틸-PC복합보(300)에 철골보(가설보, 400)를 접합 설치한 상태와 이 상태에서 슬래브(500)를 시공한 상태를 보여준다. 보는 바와 같이 철골보(가설보, 400)는 스틸-PC복합보의 연결플레이트(371)에 접합하여 설치하며, 이때 철골보(가설보, 400)는 스틸받침대(511)와 동일한 레벨로 설치해야 슬래브바닥판(510)을 거치하면서 슬래브(500)를 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h는 본 발명에 무지주 역타공법을 도시한 시공순서도이다.
도 2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무지주 역타공법에 적용되는 스틸-PC복합보의 다양한 예와 그 시공상세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흙막이벽
200: 내부기둥(철골기둥)
210: 콘크리트기둥부분
300: 스틸-PC복합보
310: H형강보
320: 스틸조립튜브보
330: 외부PC부분
331: 하부종방향근
332: 하부횡방향근
333: 상부종방향근
334: 상부횡방향근
335: 매입노출철판
340: 내부PC부분
350: ∩자형타이바
361: 관통구멍
365: 관통커플러바
371: 연결플레이트
380, 480: 현수재고정구
400: 가설보(철골보)
500: 슬래브
510: 슬래브바닥판
511: 스틸받침대
521: 하부철근(슬래브철근)
522: 상부철근(슬래브철근)
530: 현장콘크리트
H1, H2: 현수재

Claims (6)

  1. (a)흙막이벽(100)을 시공하는 단계;
    (b)내부기둥(200)을 시공하는 단계;
    (c)1층 층간구조체를 시공하는 단계;
    (d)굴토하는 단계;
    (e1)강재와 PC가 합성된 스틸-PC복합보(300)를 준비하여 아래층 시공위치에서 이웃하는 내부기둥(200) 상호 간을 연결하도록 설치하되, 스틸-PC복합보(300)의 단부를 내부기둥(200)에 고정 설치하는 한편 제1현수재(H1)를 이용하여 스틸-PC복합보(300)를 1층 층간구조체에 매달리게 설치하는 단계;
    (f)슬래브바닥판(510)을 설치하고 슬래브철근(521, 522)을 배근한 후 현장콘크리트(530)를 타설 양생하여 스틸-PC복합보(300)와 슬래브(500)가 일체화된 층간구조체를 시공하는 단계;
    (g)상기 (d)단계 내지 (f)단계를 반복 실시하되, (e1)단계는 스틸-PC복합보(300)가 시공할 해당층 바로 위의 시공완료층을 포함한 1개층 이상의 시공완료층의 층간구조체에 매달리게 실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b)단계는, 스틸-PC복합보(300)와의 접합 단부에 강재가 위치하도록 내부기둥(200)을 시공하면서 이루어지고,
    상기 (e1)단계는, 내부기둥(200)과의 접합 단부에 강재가 위치하도록 제작된 스틸-PC복합보(300)을 채택하여 스틸-PC복합보(300) 단부의 강재부분을 통해 내부기둥(200)의 강재부분에 접합 설치함으로써 스틸-PC복합보(300)를 내부기둥(200)에 고정 설치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 스틸-PC복합보를 시공하중 지지체로 활용한 층고저감형 무지주 역타공법.
  2. 제1항에서,
    상기 (e1)단계와 (g)단계 사이에, (e2)상기 스틸-PC복합보(300) 상호 간을 측면에서 연결하도록 가설보(400)를 설치하되 제2현수재(H2)를 이용하여 상기 가설보(400)를 상기 1층 층간구조체에 매달리게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g)단계는, 상기 (e2)단계를 포함한 상태로 상기 (d)단계 내지 (g)단계를 반복 실시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g)단계 속에서 상기 (e2)단계는, 시공할 해당층 바로 위의 시공완료층에 설치되어 있는 가설보(400)를 스틸-PC복합보(300)에서 해체한 후 제2현수재(H2)를 연장시켜 하향 이동시킨 다음 시공할 해당층에 설치된 스틸-PC복합보(300) 상호 간을 연결하도록 실시하되, 시공할 해당층에 설치한 가설보(400)가 시공할 해당층 바로 위의 시공완료층을 포함한 1개층 이상의 시공완료층의 층간구조체에 매달리도록 실시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 스틸-PC복합보를 시공하중 지지체로 활용한 층고저감형 무지주 역타공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e1)단계는, H형강보(310) 또는 스틸조립튜브보(320)의 하부가 외부PC부분(330)으로 둘러싸이도록 제작된 스틸-PC복합보(300)를 채택하면서 이루어지고,
    상기 (f)단계는, 슬래브바닥판(510)을 스틸-PC복합보의 외부PC부분(330) 위에 거치 설치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 스틸-PC복합보를 시공하중 지지체로 활용한 층고저감형 무지주 역타공법.
  4. 삭제
  5. 강재와 PC가 합성된 스틸-PC복합보(300)로서,
    하부플레이트(321)와 양 측면판(322)을 조립하여 상부가 개구되게 제작된 스틸조립튜브보(320);
    상기 스틸조립튜브보(320)의 길이방향 양 단부를 제외한 상기 스틸조립튜브보(320)의 하부를 콘크리트가 둘러싸서 형성된 외부PC부분(330);
    상기 스틸조립튜브보(320)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져서 형성된 내부PC부분(340);
    상기 스틸조립튜브보의 하부플레이트(321)와 동일한 레벨 또는 그 아래의 레벨로 스틸조립튜브보의 하부플레이트(321) 좌우에 배근되어 상기 외부PC부분(330)에 매입된 하부종방향근(331);
    상기 하부종방향근(331) 상호 간을 연결하게 배근되어 상기 외부PC부분(330)에 매입된 하부횡방향근(332);
    상기 스틸조립튜브보의 하부플레이트(321) 위로 스틸조립튜브보의 양 측면판 좌우에 배근되어 상기 외부PC부분(330)에 매입된 상부종방향근(333); 및,
    상기 상부종방향근(333) 상호 간을 연결하면서 상기 스틸조립튜브보의 양 측면판을 관통하게 배근되어 상기 외부PC부분(330)과 내부PC부분(340)에 매입된 상부횡방향근(334);을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외부PC부분(330)의 중간에서 외부PC부분(330)의 측면에 판면이 노출되게 매입된 매입노출철판(335);을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PC복합보.
  6. 강재와 PC가 합성된 스틸-PC복합보(300)로서,
    하부플레이트(321)와 양 측면판(322)을 조립하여 상부가 개구되게 제작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321)가 양 측면판(322)에서 돌출되게 제작된 스틸조립튜브보(320);
    상기 스틸조립튜브보(320)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져서 형성된 내부PC부분(340);
    상기 스틸조립튜브보 상부에서 스틸조립튜브보(320)의 양 측면판과 내부PC부분(340)을 수평 관통하도록 마련된 관통구멍(361) 또는 관통커플러바(362);를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관통구멍(361) 또는 관통커플러바(362)보다 아래 위치에서 상기 스틸조립튜브보의 하부플레이트(321)보다 더 돌출되도록 스틸조립튜브보의 하부플레이트(321)에 거치되어 측면판에 구속된 연결플레이트(371);를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PC복합보.
KR1020090010639A 2009-02-10 2009-02-10 영구 스틸-pc복합보를 시공하중 지지체로 활용한 층고저감형 무지주 역타공법과 그 스틸-pc복합보 KR101071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639A KR101071245B1 (ko) 2009-02-10 2009-02-10 영구 스틸-pc복합보를 시공하중 지지체로 활용한 층고저감형 무지주 역타공법과 그 스틸-pc복합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639A KR101071245B1 (ko) 2009-02-10 2009-02-10 영구 스틸-pc복합보를 시공하중 지지체로 활용한 층고저감형 무지주 역타공법과 그 스틸-pc복합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449A KR20100091449A (ko) 2010-08-19
KR101071245B1 true KR101071245B1 (ko) 2011-10-10

Family

ID=4275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639A KR101071245B1 (ko) 2009-02-10 2009-02-10 영구 스틸-pc복합보를 시공하중 지지체로 활용한 층고저감형 무지주 역타공법과 그 스틸-pc복합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2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03994A (zh) * 2013-03-08 2013-05-15 中天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可拆卸的顶板加固支撑装置和它的应用
KR101499343B1 (ko) * 2013-09-12 2015-03-05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보강형 조립 강재 보,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CN107035200A (zh) * 2017-05-10 2017-08-11 南京瑞麒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悬梁吊板建造方法及悬梁吊板结构
WO2021089919A1 (en) * 2019-11-08 2021-05-14 Peikko Group Oy Method and arrangement for supporting a floor element on a beam and bea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1775B1 (ko) * 1997-07-31 2000-07-15 박형국 무지주역타설 거푸집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정착구, 커플러, 커넥터, 거푸집 지지틀 및 유압승강기
KR100596072B1 (ko) * 2004-05-31 2006-07-06 주식회사 노빌테크 하부플랜지 매립 및 일체 연결 구조의 프리캐스트콘크리트 패널 합성빔
KR100784191B1 (ko) * 2006-10-17 2007-12-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복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 바닥판 구조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1775B1 (ko) * 1997-07-31 2000-07-15 박형국 무지주역타설 거푸집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정착구, 커플러, 커넥터, 거푸집 지지틀 및 유압승강기
KR100596072B1 (ko) * 2004-05-31 2006-07-06 주식회사 노빌테크 하부플랜지 매립 및 일체 연결 구조의 프리캐스트콘크리트 패널 합성빔
KR100784191B1 (ko) * 2006-10-17 2007-12-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복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 바닥판 구조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449A (ko)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097B1 (ko)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및 합벽 구조물과 시공 방법, 그리고 받침브라켓
KR101148272B1 (ko) 미끄럼 골거푸집(scf)을 활용한 지하실 하향공법
KR101743509B1 (ko) 내진성능이 강화된 일시적 힌지구조를 가지도록 제작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94971A (ko) 지하구조물 역타설 시공방법
KR101007708B1 (ko) 세미-힌지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20060092552A (ko) 현장타설파일을 이용한 무지보 하향골조 시공방법
KR100531385B1 (ko) 매립형 철골띠장과 슬래브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지하 구조물 시공방법
KR101107567B1 (ko) Rc 구조물 역타 공법을 위한 보구조체와 수직 강재부재의 접합장치, 전용지지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20096605A (ko)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694493B1 (ko) 브라켓 지지되는 가설구조체를 작업대로 활용할 수 있는역타설 공법
KR101071245B1 (ko) 영구 스틸-pc복합보를 시공하중 지지체로 활용한 층고저감형 무지주 역타공법과 그 스틸-pc복합보
KR100817685B1 (ko)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철근콘크리트 무량판의 접합구조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지하층의 탑-다운 시공방법
KR102286225B1 (ko) 무지주 탑다운 지하구조물 pc복합화 시공공법
KR20100100193A (ko) Rc역타공법에서의 rc보 시공용 거푸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rc역타공법
KR101051978B1 (ko) 피씨부재를 이용한 지하층 구조물 시공방법
KR20080100740A (ko) 지하합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가설 개방형 판재를 이용한흙막이벽의 역타지지구조 및 이를 적용한 건축물 지하합벽의 연속 시공방법
KR101006411B1 (ko) Cft 기둥을 이용한 철골조 역타설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18877A (ko) 건축물의 수직 골조부와 피씨거더부재의 연결구조 및 그시공 방법
KR100673475B1 (ko) 지하층 골조부의 골조용 피씨거더부재, 이를 이용한 지하층골조부의 조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04747B1 (ko)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구조물의 골조시공방법
JPH0892981A (ja) 土留擁壁
KR200263526Y1 (ko) 매달아 내려치고 되올려치는 콘크리트 구조물 구축장치
KR101483865B1 (ko) 합성구조의 띠장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시공방법
JP2847447B2 (ja) 逆打ち工法
KR101431009B1 (ko) 역타공법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