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939B1 - 방호 선반 - Google Patents

방호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939B1
KR102291939B1 KR1020210009855A KR20210009855A KR102291939B1 KR 102291939 B1 KR102291939 B1 KR 102291939B1 KR 1020210009855 A KR1020210009855 A KR 1020210009855A KR 20210009855 A KR20210009855 A KR 20210009855A KR 102291939 B1 KR102291939 B1 KR 102291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hoistway
scaffold
coupled
vertical beams
fall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일엔지니어링
박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일엔지니어링, 박상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009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호 선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선반은,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의 미리 정해진 위치마다 선택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방호 선반에 있어서, 중간 발판, 중간 발판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부 발판, 일단은 중간 발판의 네 모서리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 발판의 네 모서리 각각에 결합되는 복수의 상부 수직 빔을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 중간 발판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부 발판, 일단은 하부 발판의 네 모서리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중간 발판의 네 모서리 각각에 결합되는 복수의 하부 수직 빔을 포함하는 하부 프레임; 복수의 상부 수직 빔 각각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상부 추락 방지부; 및 복수의 하부 수직 빔 중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방된 출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1 하부 수직 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추락 방지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부 추락 방지부 각각은, 복수의 상부 수직 빔 각각의 길이 방향과 이루는 각도에 따라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 상단에 고정되거나,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적어도 하나의 하부 추락 방지부 각각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방된 출입구를 향하여 돌출된 상태에서, 하부 프레임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방된 출입구 하단에 접촉할 때에 회전이 단속되고, 하부 프레임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방된 출입구 하단에 접촉할 때에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호 선반{Protective shelves}
본 발명은 방호 선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단순한 구조로 방호 선반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중 추락 방지 구조에 의해 방호 선반의 추락 방지 성능을 향상시켜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방호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공공 주택, 고층 건물 등 건축물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기초 토목 공사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외벽을 형성하고, 건축물의 외벽 형성이 완료되면 내부에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아파트, 고층 건물 등은 건물 내부에 엘리베이터가 승하강하기 위한 승강로가 설치되는데, 엘리베이터 승강로는 건물의 전체적인 골격을 시공하는데 맞추어 하층부터 상층까지 순차적으로 시공되며, 콘크리트를 타설 시공하기 위해 사각 형상의 판넬이 조립된 거푸집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49567호(엘리베이터 승강로용 거푸집 장치)(2012년 6월 7일 공고)에는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에 방호 선반을 설치하고, 사각 형상의 판넬을 조립하여 거푸집을 형성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하층 벽면의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의 판넬을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한 후 방호 선반과 거푸집의 판넬을 크레인 등에 의해 상부 영역으로 이동시켜 상층 벽면을 시공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일반적으로 방호 선반은 상부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하부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시공이 완료된 하층 벽면에 하부 프레임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에 설치된 거푸집을 이용하여 상측 벽면에 대한 시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방호 선반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설치된 상태에서 시공 작업 중 예기치 않은 추락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방호 선반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에 고정 설치하는 구조 이외에 별다른 추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지 못하므로, 방호 선반이 추락하는 경우 치명적인 인명 사고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보다 단순한 구조로 방호 선반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중 추락 방지 구조에 의해 방호 선반의 추락 방지 성능을 향상시켜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방호 선반이 요구된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49567호(엘리베이터 승강로용 거푸집 장치)(2012년 6월 7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각의 상부 수직 빔에 구비된 회전 가능한 상부 추락 방지부와 하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하부 수직 빔에 구비된 회전 가능한 하부 추락 방지부가 회전 동작에 의해 방호 선반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보다 단순한 구조로 방호 선반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중 추락 방지 구조에 의해 방호 선반의 추락 방지 성능을 향상시켜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방호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선반은,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의 미리 정해진 위치마다 선택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방호 선반에 있어서, 중간 발판, 상기 중간 발판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부 발판, 일단은 상기 중간 발판의 네 모서리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 발판의 네 모서리 각각에 결합되는 복수의 상부 수직 빔을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중간 발판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부 발판, 일단은 상기 하부 발판의 네 모서리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중간 발판의 네 모서리 각각에 결합되는 복수의 하부 수직 빔을 포함하는 하부 프레임; 상기 복수의 상부 수직 빔 각각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상부 추락 방지부; 및 상기 복수의 하부 수직 빔 중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방된 출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1 하부 수직 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추락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상부 추락 방지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상부 수직 빔 각각의 길이 방향과 이루는 각도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 상단에 고정되거나,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추락 방지부 각각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방된 출입구를 향하여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방된 출입구 하단에 접촉할 때에 회전이 단속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방된 출입구 하단에 접촉할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상부 추락 방지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상부 수직 빔 각각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복수의 상부 수직 빔 각각의 상단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지지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회전 지지 부재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 상단에 고정되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추락 방지부 각각은, 상기 제1 하부 수직 빔의 일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방된 출입구를 향하는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회전 지지 블록; 및 상기 회전 지지 블록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지지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방된 출입구를 향하여 돌출되는 멈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지지 블록은, 상기 개구부의 상단에 상기 멈춤 부재가 상부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멈춤 부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제1 회전 멈춤단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하단에 상기 멈춤 부재가 하부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멈춤 부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제2 회전 멈춤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추락 방지부 각각은, 상기 멈춤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멈춤 부재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방된 출입구를 향하여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멈춤 부재에 외력을 제공하는 보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보조 부재는, 상기 멈춤 부재의 타단에 결합되어 중력에 의해 상기 멈춤 부재의 수평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방호 선반은, 상기 복수의 상부 수직 빔 및 상기 복수의 하부 수직 빔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유지시키는 복수의 간격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선반에 따르면, 상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각의 상부 수직 빔에 구비된 회전 가능한 상부 추락 방지부와 하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하부 수직 빔에 구비된 회전 가능한 하부 추락 방지부가 회전 동작에 의해 방호 선반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보다 단순한 구조로 방호 선반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중 추락 방지 구조에 의해 방호 선반의 추락 방지 성능을 향상시켜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선반에 따르면, 상부 수직 빔 또는 하부 수직 빔에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 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방호 선반이 엘리베이터 승강로에서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선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선반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선반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선반을 구성하는 상부 추락 방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선반을 구성하는 상부 추락 방지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선반을 구성하는 하부 추락 방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선반을 구성하는 하부 추락 방지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선반을 구성하는 간격 조절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방호 선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선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선반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선반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선반(100)은 상부 프레임(110), 하부 프레임(120), 복수의 상부 추락 방지부(130) 및 적어도 하나의 하부 추락 방지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호 선반(100)은 엘리베이터 승강로(10)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내부 벽면의 미리 정해진 위치마다 선택적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10)은 중간 발판(111), 상부 발판(112), 중간 발판(111)과 상부 발판(112)을 연결하는 복수의 상부 수직 빔(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중간 발판(111)은 방호 선반(100)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며, 복수의 형강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메쉬 망 형태의 발판이 놓여질 수 있다. 상부 발판(112)은 중간 발판(111)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전체적인 구조는 중간 발판(11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중간 발판(111) 및 상부 발판(112)은 사용자가 상하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출입문(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부 수직 빔(113)은 일단(도 1의 예에서, 하단)은 중간 발판(111)의 네 모서리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도 1의 예에서, 상단)은 상부 발판(112)의 네 모서리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수직 빔(113)은 중간 발판(111)의 네 모서리를 따라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중간 발판(111)의 네 모서리를 따라 6 개의 상부 수직 빔(113)이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부 수직 빔(113)의 개수 및 배치 형태 등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120)은 하부 발판(121), 하부 발판(121)과 중간 발판(111)을 연결하는 복수의 하부 수직 빔(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부 발판(121)은 중간 발판(111)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전체적인 구조는 중간 발판(11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부 발판(121)은 사용자가 상하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출입문(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될 수도 있다.
하부 수직 빔(122)은 일단(도 1의 예에서, 하단)은 하부 발판(121)의 네 모서리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도 1의 예에서, 상단)은 중간 발판(111)의 네 모서리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수직 빔(122)은 하부 발판(121)의 네 모서리를 따라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하부 발판(121)의 네 모서리를 따라 6 개의 하부 수직 빔(122)이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하부 수직 빔(122)의 개수 및 배치 형태 등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하부 수직 빔(122)은 복수의 상부 수직 빔(113)과 동일한 개수가 구비되고, 복수의 하부 수직 빔(122) 각각의 타단(도 1의 예에서, 상단)은 복수의 상부 수직 빔(113) 각각의 일단(도 1의 예에서, 하단)에 결합된 상태로 중간 발판(111)의 네 모서리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상부 수직 빔(113) 및 복수의 하부 수직 빔(122)은 상부 발판(112), 중간 발판(111) 및 하부 발판(121)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 에서는 본 발명에서는 상부 프레임(110)을 구성하는 중간 발판(111), 상부 발판(112) 및 상부 수직 빔(113), 하부 프레임(120)을 구성하는 하부 발판(121) 및 하부 수직 빔(122)이 'ㄷ' 자 형상을 가지는 형상으로 구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선반(100)은 상부 프레임(110) 및 하부 프레임(120)에 각각 상부 추락 방지부(130) 및 하부 추락 방지부(14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선반(100)은 상하로 설치된 이중 추락 방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추락 방지부(130)는 상부 프레임(110)에 구비되고, 방호 선반(100)을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내부 벽면에 고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방호 선반(100)의 예기치 않은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추락 방지부(130)는 복수의 상부 수직 빔(113)과 동일한 개수가 구비되고, 각각의 상부 추락 방지부(130)는 복수의 상부 수직 빔(113) 각각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선반을 구성하는 상부 추락 방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선반을 구성하는 상부 추락 방지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추락 방지부(130)는 한 쌍의 회전 지지 부재(131) 및 걸림 부재(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회전 지지 부재(131)는 상부 수직 빔(113)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상부 수직 빔(113)의 상단 양측에 체결 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걸림 부재(132)는 한 쌍의 회전 지지 부재(131)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볼트(b1) 및 너트(n1) 등 체결 부재에 의해 한 쌍의 회전 지지 부재(131)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부재(132)는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내부 벽면 상단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ㄷ'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회전 지지 부재(131) 각각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 부재(13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걸림 부재(132)의 힌지 결합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힌지 홀(131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a)에서는 상부 추락 방지부(130)가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내부 벽면 상단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내고, 도 5의 (a)에서는 상부 추락 방지부(130)가 회전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내부 벽면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부 추락 방지부(130)는 복수의 상부 수직 빔(113) 각각의 길이 방향과 이루는 각도에 따라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내부 벽면 상단에 고정되거나,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내부 벽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상부 추락 방지부(130)는 회전 각도에 따라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내부 벽면에 고정되어 방호 선반(100)의 추락을 방지하거나,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내부 벽면으로부터 고정 해제되어 방호 선반(100)이 간섭 없이 엘리베이터 승강로(1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추락 방지부(140)는 하부 프레임(120)에 구비되고, 방호 선반(100)의 예기치 않은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부 추락 방지부(140)는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고, 복수의 하부 수직 빔(122) 중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개방된 출입구(11)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1 하부 수직 빔(1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 하부 수직 빔(122)의 중앙 하단에 1 개의 하부 추락 방지부(140)가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하부 추락 방지부(140)의 개수 및 배치 형태 등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선반을 구성하는 하부 추락 방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선반을 구성하는 하부 추락 방지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추락 방지부(140)는 회전 지지 블록(141) 및 멈춤 부재(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 지지 블록(141)은 제1 하부 수직 빔(122)의 일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141a)이 형성되고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개방된 출입구(11)를 향하는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141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멈춤 부재(142)는 회전 지지 블록(141)의 수용 공간(141a)에 수용된 상태에서 볼트(b2) 및 너트(n2) 등 체결 부재에 의해 회전 지지 블록(141)의 힌지 홀(141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이 개구부(141b)를 통해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개방된 출입구(11)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지지 블록(141)은 개구부(141b)의 상단에 멈춤 부재(142)가 상부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멈춤 부재(142)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제1 회전 멈춤단(141d)이 형성되고, 개구부(141b)의 하단에 멈춤 부재(142)가 하부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멈춤 부재(142)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제2 회전 멈춤단(141e)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a)에서는 하부 추락 방지부(140)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7의 (b)에서는 방호 선반(100)이 엘리베이터 승강로(10)를 따라 상부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하부 추락 방지의 모습을 나타내며, 도 7의 (c)에서는 방호 선반(100)이 예기치 않게 추락할 때의 하부 추락 방지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추락 방지부(140)는 멈춤 부재(142)가 평상시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개방된 출입구(11)를 향하여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추락 방지부(140)는 하부 프레임(120)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개방된 출입구(11) 하단에 접촉할 때에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내부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즉,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 선반(100)이 엘리베이터 승강로(10)를 따라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부 추락 방지부(140)는 멈춤 부재(142)가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개방된 출입구(11)의 상단에 접촉하고, 이후 회전 지지 블록(141)의 개구부(141b) 하단을 향하는 방향(도 7의 예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방호 선반(100)이 간섭 없이 엘리베이터 승강로(10)를 따라 상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멈춤 부재(142)는 회전 지지 블록(141)의 제2 회전 멈춤단(141e)에 의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단속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추락 방지부(140)는 하부 프레임(120)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개방된 출입구(11) 하단에 접촉할 때에 회전이 단속될 수 있다. 즉,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 선반(100)이 예기치 않게 추락하는 경우, 하부 추락 방지부(140)는 멈춤 부재(142)가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개방된 출입구(11)의 하단에 접촉하고, 이후 회전 지지 블록(141)의 개구부(141b) 상단을 향하는 방향(도 7의 예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나, 회전 지지 블록(141)의 제1 회전 멈춤단(141d)에 의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단속되며, 이로 인해 방호 선반(100)은 더 이상을 추락하지 않고 그 자리에 멈출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추락 방지부(140)는 멈춤 부재(142)에 결합된 보조 부재(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부재(143)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 부재(142)가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개방된 출입구(11)를 향하여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멈춤 부재(142)에 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7의 (a)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 부재(142)는 방호 선반(100)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평상시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개방된 출입구(11)를 향하여 돌출된 상태, 예를 들어, 수평 상태를 유지해야 하고, 보조 부재(143)는 멈춤 부재(142)가 이러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조 부재(143)는 멈춤 부재(142)의 타단에 결합되어 중력에 의해 멈춤 부재(142)의 수평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즉, 멈춤 부재(142)는 자중에 의해 회전 지지 블록(141)의 개구부(141b) 하단을 향하는 방향(도 7의 예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므로, 보조 부재(143)는 이와 반대로 자중에 의해 멈춤 부재(142)가 회전 지지 블록(141)의 개구부(141b) 상단을 향하는 방향(도 7의 예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수평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추락 방지부(140)는 별도의 추가 구성 없이 보다 간단한 구조로 멈춤 부재(142)의 수평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보조 부재(143)는 멈춤 부재(142)의 타단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여 멈춤 부재(142)의 수평 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프링 등 탄성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선반(100)은, 상부 프레임(110)을 구성하는 각각의 상부 수직 빔(113)에 구비된 회전 가능한 상부 추락 방지부(130)와 하부 프레임(120)을 구성하는 하부 수직 빔(122)에 구비된 회전 가능한 하부 추락 방지부(140)가 회전 동작에 의해 방호 선반(100)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보다 단순한 구조로 방호 선반(100)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중 추락 방지 구조에 의해 방호 선반(100)의 추락 방지 성능을 향상시켜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선반(100)은 복수의 상부 수직 빔(113) 및 복수의 하부 수직 빔(122)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부 프레임(110) 및 하부 프레임(120)이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내부 벽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유지시키는 복수의 간격 조절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간격 조절부(150)는 하부 프레임(120)을 구성하는 복수의 하부 수직 빔(122) 중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개방된 출입구(11)를 기준으로 양측에 결합된 하부 수직 빔(122)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간격 조절부(150)는 복수의 하부 수직 빔(122) 중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개방된 출입구(11)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하부 수직 빔(122)에도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선반을 구성하는 간격 조절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조절부(150)는 한 쌍의 고정 부재(151) 및 간격 조절 부재(1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 부재(151)는 하부 수직 빔(12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볼트(b3) 및 너트(n3) 등 체결 부재에 의해 하부 수직 빔(122)의 상단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간격 조절 부재(152)는 한 쌍의 고정 부재(151)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내부 벽면에 접촉할 수 있다. 비록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간격 조절 부재(152)는 한 쌍의 고정 부재(151)에 체결 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체결되거나,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선반(100)은, 상부 수직 빔(113) 또는 하부 수직 빔(122)에 상부 프레임(110) 및 하부 프레임(120)이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내부 벽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 조절부(150)를 구비함으로써, 방호 선반(100)이 엘리베이터 승강로(10)에서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엘리베이터 승강로 11: 출입구
100: 방호 선반 110: 상부 프레임
111: 중간 발판 112: 상부 발판
113: 상부 수직 빔 120: 하부 프레임
121: 하부 발판 122: 하부 수직 빔
123: 제1 하부 수직 빔 130: 상부 추락 방지부
131: 회전 지지 부재 132: 걸림 부재
140: 하부 추락 방지부 141: 회전 지지 블록
142: 멈춤 부재 143: 보조 부재
150: 간격 조절부 151: 고정 부재
152: 간격 조절 부재

Claims (6)

  1.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의 미리 정해진 위치마다 선택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방호 선반에 있어서,
    중간 발판, 상기 중간 발판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부 발판, 일단은 상기 중간 발판의 네 모서리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 발판의 네 모서리 각각에 결합되는 복수의 상부 수직 빔을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중간 발판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부 발판, 일단은 상기 하부 발판의 네 모서리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중간 발판의 네 모서리 각각에 결합되는 복수의 하부 수직 빔을 포함하는 하부 프레임;
    상기 복수의 상부 수직 빔 각각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상부 추락 방지부; 및
    상기 복수의 하부 수직 빔 중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방된 출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1 하부 수직 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추락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상부 추락 방지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상부 수직 빔 각각의 길이 방향과 이루는 각도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 상단에 고정되거나,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추락 방지부 각각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방된 출입구를 향하여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방된 출입구 하단에 접촉할 때에 회전이 단속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방된 출입구 하단에 접촉할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회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추락 방지부 각각은,
    상기 제1 하부 수직 빔의 일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방된 출입구를 향하는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회전 지지 블록; 및
    상기 회전 지지 블록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지지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방된 출입구를 향하여 돌출되는 멈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지지 블록은,
    상기 개구부의 상단에 상기 멈춤 부재가 상부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멈춤 부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제1 회전 멈춤단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하단에 상기 멈춤 부재가 하부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멈춤 부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제2 회전 멈춤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 선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부 추락 방지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상부 수직 빔 각각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복수의 상부 수직 빔 각각의 상단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지지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회전 지지 부재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 상단에 고정되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 선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추락 방지부 각각은,
    상기 멈춤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멈춤 부재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방된 출입구를 향하여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멈춤 부재에 외력을 제공하는 보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 선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부재는,
    상기 멈춤 부재의 타단에 결합되어 중력에 의해 상기 멈춤 부재의 수평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 선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 선반은,
    상기 복수의 상부 수직 빔 및 상기 복수의 하부 수직 빔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유지시키는 복수의 간격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 선반.
KR1020210009855A 2021-01-25 2021-01-25 방호 선반 KR102291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855A KR102291939B1 (ko) 2021-01-25 2021-01-25 방호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855A KR102291939B1 (ko) 2021-01-25 2021-01-25 방호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939B1 true KR102291939B1 (ko) 2021-09-28

Family

ID=77923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855A KR102291939B1 (ko) 2021-01-25 2021-01-25 방호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9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212B1 (ko) * 2022-04-26 2022-10-25 미진정공(주) 엘리베이터 승강기 수직통로의 낙하물 방호선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2226A (ko) * 1994-12-24 1996-07-18 최훈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
KR101149567B1 (ko) 2010-11-29 2012-06-07 임상철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거푸집 장치
KR20170035733A (ko) * 2015-09-23 2017-03-31 주식회사 에스지이엔지 자재 인양이 가능한 코아용 안전 케이지
KR200489367Y1 (ko) * 2019-04-01 2019-06-07 미래테크(주)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작업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2226A (ko) * 1994-12-24 1996-07-18 최훈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
KR101149567B1 (ko) 2010-11-29 2012-06-07 임상철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거푸집 장치
KR20170035733A (ko) * 2015-09-23 2017-03-31 주식회사 에스지이엔지 자재 인양이 가능한 코아용 안전 케이지
KR200489367Y1 (ko) * 2019-04-01 2019-06-07 미래테크(주)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작업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212B1 (ko) * 2022-04-26 2022-10-25 미진정공(주) 엘리베이터 승강기 수직통로의 낙하물 방호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1939B1 (ko) 방호 선반
KR20090035721A (ko) 현수된 유리 패널을 가진 내진 커튼 벽
KR101963492B1 (ko) 내진 도어
CN110770404A (zh) 凸阳台护栏兼用火灾或其他灾害疏散设施
JP7128943B2 (ja) ユニット家具
WO2011099278A1 (ja) エレベータ
KR102210420B1 (ko) 내진 구조를 구비한 목조 주택
JP2016138426A (ja) 高耐震性間仕切装置におけるドア装置
KR200497826Y1 (ko)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
KR20190068404A (ko) 조적벽 전도방지용 보강 모듈
JP7076674B2 (ja) 脱出ドアユニット
KR20190136715A (ko) 한옥의 기둥 면진구조
KR101096604B1 (ko) 상부수평철근을 위한 전도방지 철근스페이서
JP6779001B2 (ja) 建物
KR102018001B1 (ko) 이중바닥구조물의 안전결속장치
JP6958208B2 (ja) 間仕切壁における引戸装置
JP2963715B2 (ja) 建築物の免震構造
JP2018035616A (ja) 免震構造物
JP2017089244A (ja) 空間構造体
JP5294515B2 (ja) 室内用耐震シェルター
JP3284882B2 (ja) 既設建屋の耐震補強構造
JP7286904B2 (ja) 建物
JP2010261265A (ja) 構造物の開口部構造、及び構造物
JPH11324139A (ja) 可動通路構造
KR20240008682A (ko) 내진성능이 보강된 이중마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