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826Y1 -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 - Google Patents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826Y1
KR200497826Y1 KR2020220000687U KR20220000687U KR200497826Y1 KR 200497826 Y1 KR200497826 Y1 KR 200497826Y1 KR 2020220000687 U KR2020220000687 U KR 2020220000687U KR 20220000687 U KR20220000687 U KR 20220000687U KR 200497826 Y1 KR200497826 Y1 KR 2004978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hoistway
pair
opening
rotating frames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6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873U (ko
Inventor
박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일엔지니어링
박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일엔지니어링, 박상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2200006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826Y1/ko
Publication of KR202300018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8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8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8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23Means supported by building floors or flat roofs, e.g. safety 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Abstract

본 고안은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방된 출입구에 설치되는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방된 출입구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 프레임; 및 한 쌍의 회전 프레임 각각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방호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방호 플레이트는, 한 쌍의 회전 프레임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에 접촉할 때에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수직 개구부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Apparatus for protecting a falling accident of opening}
본 고안은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단순한 구조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수직 개구부를 폐쇄하여 작업자 및 건축 자재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공공 주택, 고층 건물 등 건축물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기초 토목 공사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외벽을 형성하고, 건축물의 외벽 형성이 완료되면 내부에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아파트, 고층 건물 등은 건물 내부에 엘리베이터가 승하강하기 위한 승강로가 설치되는데, 엘리베이터 승강로는 건물의 전체적인 골격을 시공하는데 맞추어 하층부터 상층까지 순차적으로 시공되며, 콘크리트를 타설 시공하기 위해 사각 형상의 판넬이 조립된 거푸집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49567호(엘리베이터 승강로용 거푸집 장치)(2012년 6월 7일 공고)에는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시공 작업 중 출입구 또는 수직 개구부를 통해 예기치 않은 작업자 및 건축 자재의 추락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73657호(벽면 개구부 추락방지용 방호장치)(2019년 6월 27일 공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44503호(개구부 추락방지용 방호장치)(2013년 3월 18일 공고) 등에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설치되는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는 대부분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출입구에만 한정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수직 개구부에 대해서는 별다른 추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지 못하므로, 여전히 치명적인 작업자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보다 단순한 구조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수직 개구부를 폐쇄하여 작업자 및 건축 자재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가 요구된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49567호(엘리베이터 승강로용 거푸집 장치)(2012년 6월 7일 공고)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73657호(벽면 개구부 추락방지용 방호장치)(2019년 6월 27일 공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44503호(개구부 추락방지용 방호장치)(2013년 3월 18일 공고)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방된 출입구 바닥면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 프레임 각각의 상부면에 방호 플레이트가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단순한 구조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수직 개구부를 폐쇄하여 작업자 및 건축 자재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방된 출입구에 설치되는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방된 출입구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회전 프레임 각각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방호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방호 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회전 프레임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에 접촉할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수직 개구부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회전 프레임 각각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방호 플레이트가 안착된 상태에서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 프레임은, 길이 방향으로 따라 복수의 제1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관통 홀 각각을 통해 복수의 볼트 부재 각각의 수나사산부가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하부면에 상기 복수의 볼트 부재 각각의 헤드부가 용접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방호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볼트 부재 각각의 수나사산부에 의해 상기 수평 프레임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호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제1 관통 홀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제2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상기 복수의 제2 관통 홀 각각을 통해 상기 복수의 볼트 부재 각각의 수나사산부가 상부 방향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복수의 너트 부재에 의해 상기 수평 프레임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회전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호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한 쌍의 회전 프레임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패널 데크(Panel deck)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방된 출입구 바닥면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 프레임 각각의 상부면에 방호 플레이트가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단순한 구조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수직 개구부를 폐쇄하여 작업자 및 건축 자재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에 따르면, 한 쌍의 회전 프레임 각각에 상부 방향으로 노출된 복수의 볼트 부재를 용접에 의해 고정하고, 방호 플레이트가 안착된 상태에서 복수의 너트 부재를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에 따르면, 한 쌍의 회전 프레임 각각에 상부면에 결합되는 방호 플레이트를 복수의 패널 데크로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를 구성하는 방호 플레이트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를 구성하는 한 쌍의 회전 프레임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고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고안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한 쌍의 회전 프레임(120) 및 방호 플레이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100)는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개방된 출입구(11)에 설치되며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수직 개구부를 폐쇄하여 작업자 및 건축 자재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개방된 출입구(11)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개방된 출입구(11) 및 내부 벽면에 걸치도록 대략 "ㄱ"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양단에 한 쌍의 회전 프레임(1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 플레이트(11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한 쌍의 회전 프레임(120) 각각이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개방된 출입구(11)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멈춤 부재(112)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 쌍의 회전 프레임(12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양단에 구비된 한 쌍의 힌지 플레이트(111)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내부 벽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회전 프레임(120)은 단면이 "ㄱ"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회전 프레임(12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양단에 구비된 한 쌍의 힌지 플레이트(111)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 프레임(121)과, 수직 프레임(121)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방호 플레이트(130)가 안착된 상태에서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회전 프레임(120)은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내부 벽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폭 또는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방호 플레이트(130)는 한 쌍의 회전 프레임(120) 각각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한 쌍의 회전 프레임(120)이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내부 벽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내부 벽면에 접촉할 때에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수직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 플레이트(13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로부터 한 쌍의 회전 프레임(120)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패널 데크(Panel deck)(130a)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개방된 출입구(11)에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한 쌍의 회전 프레임(120)이 설치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개방된 출입구(11)로부터 내부 벽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패널 데크(130a)를 순차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방호 플레이트(130)의 설치 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방호 플레이트(130)는 한 쌍의 회전 프레임(120) 각각에 미리 구비된 복수의 볼트 부재(123)에 의해 한 쌍의 회전 프레임(120) 각각의 상부면에 조립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를 구성하는 방호 플레이트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 내지 (c)에서는 회전 프레임(120) 및 방호 플레이트(130)의 다양한 결합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4의 (a)에서는 회전 프레임(120)을 구성하는 수평 프레임(122)의 상부면에 결합된 복수의 볼트 부재(123)에 의해 방호 플레이트(130)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고, 도 4의 (b)에서는 회전 프레임(120)을 구성하는 수평 프레임(122)의 상부면에 결합된 복수의 볼트 부재(123) 복수의 제1 너트 부재(124)에 의해 방호 플레이트(130)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4의 (c)에서는 회전 프레임(120)을 구성하는 수평 프레임(122)의 상부면에 결합된 복수의 볼트 부재(123) 및 방호 플레이트(130)에 구비된 복수의 제2 너트 부재(133)에 의해 방호 플레이트(130)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일 예로, 도 2 및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프레임(120)을 구성하는 수평 프레임(122)은 길이 방향으로 따라 복수의 제1 관통 홀(122a)이 형성되고, 복수의 제1 관통 홀(122a) 각각을 통해 복수의 볼트 부재(123) 각각의 수나사산부(123a)가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하부면에 복수의 볼트 부재(123) 각각의 헤드부(123b)가 용접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방호 플레이트(130)는 하부면에 볼수의 볼트 부재(123) 각각의 수나사산부(123a)가 삽입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 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방호 플레이트(130)의 하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 홈(131)을 한 쌍의 회전 프레임(120) 각각에 구비된 수평 프레임(122)의 상부면에 노출된 복수의 볼트 부재(123) 각각의 위치에 맞춰 조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프레임(122)은 복수의 볼트 부재(123) 각각의 헤드부(123b)가 용접된 후 복수의 볼트 부재(123) 각각의 수나사산부(123a)에 복수의 제1 너트 부재(124)를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방호 플레이트(130)의 하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 홈(131)을 한 쌍의 회전 프레임(120) 각각에 구비된 수평 프레임(122)의 상부면에 노출된 복수의 제1 너트 부재(124) 각각의 위치에 맞춰 조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 플레이트(130)는 복수의 제1 관통 홀(122a)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제2 관통 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방호 플레이트(130)는 수평 프레임(122)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복수의 제2 관통 홀(132) 각각을 통해 복수의 볼트 부재(123) 각각의 수나사산부(123a)가 상부 방향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복수의 제2 너트 부재(133)에 의해 수평 프레임(122)의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1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회전 프레임(120)은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내부 벽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를 구성하는 한 쌍의 회전 프레임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회전 프레임(12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로부터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내부 벽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회전 프레임(120)은 상부면에 결합된 방호 플레이트(13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100)는,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개방된 출입구(11) 바닥면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 프레임(120) 각각의 상부면에 방호 플레이트(130)가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단순한 구조로 엘리베이터 승강로(10)의 수직 개구부를 폐쇄하여 작업자 및 건축 자재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100)는, 한 쌍의 회전 프레임(120) 각각에 상부 방향으로 노출된 복수의 볼트 부재(123)를 용접에 의해 고정하고, 방호 플레이트(130)가 안착된 상태에서 복수의 너트 부재를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100)는, 한 쌍의 회전 프레임(120) 각각에 상부면에 결합되는 방호 플레이트(130)를 복수의 패널 데크(130a)로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엘리베이터 승강로 11: 출입구
100: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
110: 베이스 플레이트 111: 힌지 플레이트
112: 멈춤 부재 120: 회전 프레임
121: 수직 프레임 122: 수평 프레임
122a: 제1 관통 홀 123: 볼트 부재
123a: 수나사산부 123b: 헤드부
124: 제1 너트 부재 130: 방호 플레이트
130a: 패널 데크(Panel deck) 131: 고정 홈
132: 제2 관통 홀 133: 제2 너트 부재

Claims (6)

  1.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방된 출입구에 설치되는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방된 출입구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회전 프레임 각각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방호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방호 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회전 프레임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에 접촉할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수직 개구부를 폐쇄하되,
    상기 한 쌍의 회전 프레임 각각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방호 플레이트가 안착된 상태에서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은,
    길이 방향으로 따라 복수의 제1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관통 홀 각각을 통해 복수의 볼트 부재 각각의 수나사산부가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하부면에 상기 복수의 볼트 부재 각각의 헤드부가 용접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방호 플레이트는,
    하부면에 상기 복수의 볼트 부재 각각의 수나사산부가 삽입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 홈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고정 홈 각각을 상기 복수의 볼트 부재 각각의 수나사산부의 위치에 맞춰 조립하여 상기 수평 프레임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 벽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한 쌍의 회전 프레임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패널 데크(Panel deck)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
KR2020220000687U 2022-03-18 2022-03-18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 KR2004978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687U KR200497826Y1 (ko) 2022-03-18 2022-03-18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687U KR200497826Y1 (ko) 2022-03-18 2022-03-18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873U KR20230001873U (ko) 2023-09-26
KR200497826Y1 true KR200497826Y1 (ko) 2024-03-07

Family

ID=88190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687U KR200497826Y1 (ko) 2022-03-18 2022-03-18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826Y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2438A (ko) * 2006-02-23 2006-07-18 (주) 미도랜드 맨홀
KR101149567B1 (ko) 2010-11-29 2012-06-07 임상철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거푸집 장치
KR101244503B1 (ko) 2011-02-25 2013-03-18 김정화 개구부 추락방지용 방호장치
KR20190073657A (ko) 2017-12-19 2019-06-27 권택원 벽면 개구부 추락방지용 방호장치
JP7107327B2 (ja) * 2019-01-16 2022-07-2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プレス成形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873U (ko) 202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4062B1 (ko)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판넬구조
EP2956600A1 (en) Climbing screen
KR200497826Y1 (ko)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
KR20180070956A (ko) 내진보강 구조
JP6615083B2 (ja) 耐震および制振補強施工方法
JP5850235B2 (ja) 避難用建物
KR102291939B1 (ko) 방호 선반
KR200480362Y1 (ko) 갱 폼의 낙하방지망
JP6690150B2 (ja) 板状集合住宅の柱梁構造
KR101045097B1 (ko) 고소 안전 작업대
KR101568030B1 (ko) 사다리용 안전 출입문
KR101323276B1 (ko) 건물의 승강기 출입구용 안전문
JP4979310B2 (ja) 建物の耐震補強方法及び建物
JP3520499B2 (ja) 集合住宅建物
JP2011236700A (ja) 建物の張出部連結構造
JP7239292B2 (ja) 仮設足場の墜落防止構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隙間閉塞部材
KR102430549B1 (ko) 소음방지패널
JP4047765B2 (ja) 壁パネルの取付工法
JP6448832B1 (ja) 建物の耐震補強構造
KR200497827Y1 (ko) 건축물 개방부 차폐 구조
KR102431423B1 (ko) 사다리 개구부 추락방지 장치
JP7298755B1 (ja) エレベータの乗場出入口の安全柵及びこの設置方法
JP6617608B2 (ja) 板状建築物の柱梁構造
JP7305221B1 (ja) 手摺
CN212478622U (zh) 一种悬挑式施工楼层安全通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