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097B1 - 고소 안전 작업대 - Google Patents

고소 안전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097B1
KR101045097B1 KR1020100069669A KR20100069669A KR101045097B1 KR 101045097 B1 KR101045097 B1 KR 101045097B1 KR 1020100069669 A KR1020100069669 A KR 1020100069669A KR 20100069669 A KR20100069669 A KR 20100069669A KR 101045097 B1 KR101045097 B1 KR 101045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opening
safety
worker
a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형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성
Priority to KR1020100069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0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04G2001/155Platforms with an access hatch for getting through from one level to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 안전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등의 기둥구조물 주변의 작업을 위해 그 기둥구조물의 주변에 설치되는 것으로 층모듈 및 단위체로 분해조립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설치와 해체 및 이동이 용이함은 물론, 크레인과 같은 기중장치로 작업공간의 높이까지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기둥구조물이 진입되며 감싸여 지지되는 구조로서 지상에서부터 작업공간의 높이에 이르게까지 비계와 같은 구조물을 적층 설치하는 작업이 필요 없어 설치 작업이 안전하고, 나아가 작업자가 지나기 위한 바닥과 외측으로 작업자의 낙하를 방지하는 펜스를 형성함으로써 기둥구조물 주변을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고소 안전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는, 기둥 형상의 기둥구조물 주변의 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고소 안전 작업대에 있어서, 상하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고, 일측에서 상기 기둥구조물이 진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각 층에는 작업자가 지나기 위한 바닥이 형성되고, 작업자가 외측으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외측으로 펜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소 안전 작업대{SAFETY WORKING PLATFORM FOR A HIGH PLACE}
본 발명은 고소 안전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등의 기둥구조물 주변의 작업을 위해 그 기둥구조물의 주변에 설치되는 것으로 층모듈 및 단위체로 분해조립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설치와 해체 및 이동이 용이함은 물론, 크레인과 같은 기중장치로 작업공간의 높이까지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기둥구조물이 진입되며 감싸여 지지되는 구조로서 지상에서부터 작업공간의 높이에 이르게까지 비계와 같은 구조물을 적층 설치하는 작업이 필요 없어 설치 작업이 안전하고, 나아가 작업자가 지나기 위한 바닥과 외측으로 작업자의 낙하를 방지하는 펜스를 형성함으로써 기둥구조물 주변을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고소 안전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 작업대라 함은 건물의 외벽이나 창문, 또는 건물 내부의 천장 등과 같이 사람의 손이 직접 닿지 않는 높은 곳에서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만들어진 장치로 작업자가 작업대 위에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아파트나 연립주택 등과 같은 건축물 또는 구조물 공사시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비계를 설치하게 된다. 비계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비계용 파이프를 클램프 등으로 결속시켜서 격자형태로 설치하고, 상기와 같이 설치된 비계용 파이프에 합판과 같은 판상부재를 가로로 걸쳐서 작업로를 형성하는 형태를 취하여 구축된다.
상기와 같이 고소 작업을 위한 비계는 비계용 파이프를 설치하는 데 상당한 시간과 더불어 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작업효율성을 저하시키고 전체적인 작업의 공정시간을 지체하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비계의 설치 작업이 고소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다.
한편, 건축물이나 구조물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기둥 주변에 대한 작업은 기둥이 건축물 등의 가장자리에 위치되어 건축물의 외부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내부에서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건축물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기둥 주변의 작업을 위해서는 건축물의 외부에 비계를 설치하고, 건축물의 내부에도 별도의 작업대를 설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 등의 기둥구조물 주변의 작업을 위해 그 기둥구조물의 주변에 설치되는 것으로 층모듈 및 단위체로 분해조립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설치와 해체 및 이동이 용이함은 물론, 크레인과 같은 기중장치로 작업공간의 높이까지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기둥구조물이 진입되며 감싸여 지지되는 구조로서 지상에서부터 작업공간의 높이에 이르게까지 비계와 같은 구조물을 적층 설치하는 작업이 필요 없어 설치 작업이 안전하고, 나아가 작업자가 지나기 위한 바닥과 외측으로 작업자의 낙하를 방지하는 펜스를 형성함으로써 기둥구조물 주변을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고소 안전 작업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는, 기둥 형상의 기둥구조물 주변의 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고소 안전 작업대에 있어서, 상하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고, 일측에서 상기 기둥구조물이 진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각 층에는 작업자가 지나기 위한 바닥이 형성되고, 작업자가 외측으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외측으로 펜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는, 상기 각 층에는 개구부 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바닥을 연결하도록 답판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는, 각 층은 층모듈로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는, 상기 층모듈은, 개구부와 대향된 측에 위치되는 중앙단위체와,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중앙단위체의 양단부 각각에 연결되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는 타단부 측에서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중앙단위체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게 놓여 그 중앙단위체와 일체로 연결되는 양측단위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는, 상기 층모듈 각각에는 내측에 사다리가 형성되고, 그 사다리가 위치된 위치에서 바닥의 일부가 개폐되게 통과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는 층모듈 및 단위체로 분해조립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설치와 해체 및 이동이 용이하고, 작업공간의 높이까지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개구부를 통해 기둥구조물에 진입된 상태로 지지됨으로써 설치 작업이 안전하며, 작업자가 지나기 위한 바닥과 외측으로 작업자의 낙하를 방지하는 펜스를 형성함으로써 기둥구조물 주변을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의 층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의 층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의 설치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의 평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의 층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의 설치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1)는 기둥 형상의 기둥구조물(P) 주변의 작업을 위해 그 기둥구조물(P) 주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고소 안전 작업대(1)는 일측에서 상기 기둥구조물(P)이 진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개구부(O)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고소 안전 작업대(1)는 도 5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ㅁ"자의 형태의 사각단면을 갖는 기둥구조물(P)을 둘러쌀 수 있도록 상기 기둥구조물(P)이 진입될 수 있는 진입통로로서의 개구부(O)가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를 취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소 안전 작업대(1)는 상호 분리가능한 복수의 층모듈(10, 20, 30, 40)이 결합됨으로써 상하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소 안전 작업대(1)를 4층으로 구성하였다.
즉, 상기 고소 안전 작업대(1)의 각 층이 층모듈(10, 20, 30, 40)로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기둥구조물(P)의 높이나 건축물의 층간 높이에 따라 상기 층모듈(10, 20, 30, 40) 각각의 높이 및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고소 안전 작업대(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고소 안전 작업대(10)의 설치와 해체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소 안전 작업대(1)의 각 층에는 바닥(B) 및 펜스(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B)은 작업자가 지나기 위한 이동로가 되는 구성이고, 상기 펜스(F)는 외측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외측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바닥(B)을 작업자가 밟고 지나면서 상기 기둥구조물(P)을 일주하며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외측에 형성된 상기 펜스(F)로 인하여 작업자의 낙하를 방지하는 등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닥(B)과 펜스(F)는 작업자의 시야, 무게, 재료원가 등을 고려하여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철망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고소 안전 작업대(1)를 구성하는 층모듈(10, 20, 30, 40) 각각에는 내측에 사다리(L)가 형성되고, 그 사다리(L)가 위치된 위치에서 바닥(B)의 일부가 개폐되게 통과문(G)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과문(G)의 일측을 상기 바닥(B)에 경첩과 같은 구조물(미도시)로 힌지연결하여 작업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통과문(G)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바닥(B)의 일부가 개폐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사다리(L) 및 상기 통과문(G)의 구성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상호 이웃하는 층모듈(10, 20 또는 20, 30 또는 30 또는 40)을 상하로 오르내릴 수 있게 되어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에는 상기 복수의 층모듈(10, 20, 30, 40) 중 2층을 구성하는 층모듈(20)을 도시하였는데,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층모듈(20)은 중앙단위체(21)와, 양측단위체(22, 23)와, 답판(24)과, 안전체인(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앙단위체(21)는 상기 개구부(O)와 대향된 측에 위치되고, 상기 양측단위체(22, 23)는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중앙단위체(21)의 양단부 각각에 연결되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는 타단부 측에서 상기 개구부(O)가 형성되도록 상기 중앙단위체(21)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게 놓여 그 중앙단위체(21)와 일체로 연결된다.
즉, 상기 중앙단위체(21)와 상기 한 쌍의 양측단위체(22, 23)가 "ㄷ"자 형상으로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개구부(O)가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중앙단위체(21) 및 상기 양측단위체(22, 23)에는 각각 상기 바닥(B)과 상기 펜스(F)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단위체(21) 또는 상기 양측단위체(22, 23)의 바닥(B)에는 상기 통과문(G)이 형성되는 것은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답판(24)은 상기 개구부(O) 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양측단위체(22, 23)의 타단부 바닥(B)을 연결하도록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답판(24)은 상기 바닥(B)과 펜스(F)와 마찬가지로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철망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한 쌍의 양측단위체(22, 23)의 타단부 바닥(B)과의 상기 답판(24)의 연결 및 분리는 상기 한 쌍의 양측단위체(22, 23)의 타단부에서 각각 서로 마주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브래킷(221, 231)을 구비하고, 상기 답판(24)이 상기 지지브래킷(221, 231)에 지지되도록 놓은 후 상기 답판(24)과 상기 지지브래킷(221, 231)을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미도시)로 상호 연결함으로서 구현할 수 있다 할 것이고, 그외에도 다양한 연결 및 분리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에는 상기 고소 안전 작업대(1)의 설치 과정을 도시하였는데 상기 고소 안전 작업대(1)는 크레인과 같은 기중장치(C)에 의해 작업을 위한 소정의 높이로 들어올려진 후 상기 개구부(O)를 통하여 상기 기둥구조물(P)을 감싸도록 삽입되는데 이 과정에서는 상기 기둥구조물(P)의 진입을 위하여 상기 개구부(O)에 상기 답판(24)은 분리되어야 한다. 상기 기둥구조물(P)이 상기 개구부(O)로 진입되게 되면 비로서 상기 개구부(O) 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한 쌍의 양측단위체(22, 23)의 타단부 바닥(B)을 연결하도록 상기 답판(24)이 설치되는 것이다. 즉, 지상에서부터 작업공간의 높이에 이르게까지 비계와 같은 구조물을 적층 설치하는 작업이 필요 없이 상기 기중장치(C)에 의해 작업공간의 높이까지 들어올려 진 후 상기 기둥구조물(P)에 지지되는 구조로서 설치 작업에 안전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답판(24)은 상기 바닥(B)과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지나기 위한 이동로가 됨은 물론 상기 답판(24)으로 인해 상기 고소 안전 작업대(1)가 상기 기둥구조물(1) 주변을 일주하여 둘러싸게 됨으로써 상기 고소 안전 작업대(1)의 안전성이 한층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답판(24)이 건축물의 내부에 위치되는 경우 1층을 형성하는 상기 층모듈(10)의 답판(24)과 건축물의 바닥(S)을 상호 앵커볼트와 같은 결합수단(미도시) 등으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고소 안전 작업대(1)가 건축물에 보다 확고하게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둥구조물(P)이 "ㅁ"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있어 상기 중앙단위체(21), 상기 양측단위체(22, 23)와 마찬가지로 상기 답판(24) 또한 직사각형 타입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안전체인(25)은 작업자가 상기 답판(24)이 설치된 상기 개구부(O)의 외측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개구부(O)를 형성하는 상기 양측단위체(22, 23)의 서로 마주보는 타단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안전체인(25)은 상기 펜스(F)와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외측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인 것이다.
상기 고소 안전 작업대(1)는 복수개의 층모듈(10, 20, 30, 40)이 결합되어 구성되고, 또한 각각의 층모듈(20)은 중앙단위체(21)와, 양측단위체(22, 23)와, 답판(24)과, 안전체인(25) 등 각각 단위체로 분해조립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고소 안전 작업대(1)의 설치와 해체 및 이동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1)를 도시하였는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층모듈(20')을 구성하는 상기 양측단위체(22', 2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하였지만 상기 중앙단위체(21') 및 상기 답판(24')의 내측부에는 반원형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 고소 안전 작업대(1)가 "ㅇ"자의 형태의 원형단면을 갖는 기둥구조물(P)을 둘러싸는 경우 상기 기둥구조물(P)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고소 안전 작업대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고소 안전 작업대
10,20,30,40 층모듈
O 개구부
B 바닥
F 펜스
L 사다리
G 통과문
21 중앙조립체
22,23 양측조립체
24 답판
25 안전체인
P 기둥구조물

Claims (5)

  1. 건축물이나 구조물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기둥 형상의 기둥구조물 주변의 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고소 안전 작업대에 있어서,
    상하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고, 일측에서 상기 기둥구조물이 진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각 층에는 작업자가 지나기 위한 바닥이 형성되고, 작업자가 외측으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외측으로 펜스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층은 각각 층모듈로 분리가 가능하고,
    상기 층모듈은, 개구부와 대향된 측에 위치되는 중앙단위체와,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중앙단위체의 양단부 각각에 연결되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는 타단부 측에서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중앙단위체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게 놓여 그 중앙단위체와 일체로 연결되는 양측단위체와, 개구부 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바닥을 연결하도록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답판과, 상기 답판이 위치된 개구부에서 양단이 상기 양측단위체의 타단을 연결하는 안전체인으로 구성되며,
    상기 층모듈 각각에는 내측에 사다리가 형성되고, 그 사다리가 위치된 위치에서 바닥의 일부가 개폐되게 통과문이 형성되고,
    상기 각 층모듈의 개구부에 답판과 안전체인이 연결되지 않은 'ㄷ'자 형태로 조립된 상태에서 기중장치로 들어올려져 상기 건축물이나 구조물의 외측에서 개구부를 통해 상기 건축물이나 구조물의 가장자리에 위치된 기둥구조물이 진입되고, 상기 기둥구조물이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에 답판과 안전체인이 연결되어 상기 건축물이나 구조물의 가장자리에 위치된 기둥구조물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안전 작업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00069669A 2010-07-19 2010-07-19 고소 안전 작업대 KR101045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669A KR101045097B1 (ko) 2010-07-19 2010-07-19 고소 안전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669A KR101045097B1 (ko) 2010-07-19 2010-07-19 고소 안전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5097B1 true KR101045097B1 (ko) 2011-06-29

Family

ID=44406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669A KR101045097B1 (ko) 2010-07-19 2010-07-19 고소 안전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0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21337A (zh) * 2014-01-06 2014-05-28 中建钢构有限公司 一种整体安拆式高空操作平台
KR20190142582A (ko) * 2018-06-18 2019-12-27 유한회사 선재테크 단부작업용 무비계 작업발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692U (ja) * 1992-05-18 1993-12-07 住友林業株式会社 仮設足場
KR20030078217A (ko) * 2002-03-28 2003-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리뷰우를 이용한 프로그램 가이드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200378217Y1 (ko) * 2004-12-10 2005-03-10 광건티앤씨(주) 고소작업용 틀비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692U (ja) * 1992-05-18 1993-12-07 住友林業株式会社 仮設足場
KR20030078217A (ko) * 2002-03-28 2003-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리뷰우를 이용한 프로그램 가이드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200378217Y1 (ko) * 2004-12-10 2005-03-10 광건티앤씨(주) 고소작업용 틀비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21337A (zh) * 2014-01-06 2014-05-28 中建钢构有限公司 一种整体安拆式高空操作平台
CN103821337B (zh) * 2014-01-06 2015-11-18 中建钢构有限公司 一种整体安拆式高空操作平台
KR20190142582A (ko) * 2018-06-18 2019-12-27 유한회사 선재테크 단부작업용 무비계 작업발판
KR102214564B1 (ko) * 2018-06-18 2021-02-08 유한회사 선재테크 단부작업용 무비계 작업발판의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21870B2 (en) Improved frame for climbing screen
CN107109840B (zh) 模块式隔音屋
US4787475A (en) Safety fence assembly for use in a building under construction
US20160362278A1 (en) Hoisting apparatus and system
JP2015525839A (ja) モジュール式建物
US20160215491A1 (en) Balcony
RU2734199C2 (ru) Боковое ограждение, система опалубки перекрытия, имеюща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 такое боковое ограждение,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такого бокового ограждения
EA026639B1 (ru) Ограждение для предохранения людей, присутствующих на открытых перекрытиях зданий или подмостях
AU2012234909A1 (en) Building system
JP6099409B2 (ja) 屋外作業用の仮設屋根構造
KR101045097B1 (ko) 고소 안전 작업대
CN100476159C (zh) 保护门或窗开口的可调节装置和模块化可调节安全装置
CA2918831C (en) Overhead conveying device having a securing element
KR20200126688A (ko) 층간 슬라브용 개구부 차폐틀
KR200467252Y1 (ko) 건물 외부 작업용 케이지
KR101191757B1 (ko) 초고층 건축물 초고층 아파트 화재 무동력 다수인 피난설비(무동력 접이식 수납형 피난데크)
KR100828576B1 (ko) 이동식 틀비계용 난간대
KR102066784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행자 안전 휀스
EP2325416B1 (en) Perimeter protection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RU2349726C2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407359B1 (ko)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차폐장치
KR200497826Y1 (ko) 개구부 추락 방지용 방호 장치
KR200438874Y1 (ko) 타워크레인용 방호 선반
JP3137257B2 (ja) 足場装置および足場構築工法
KR200491643Y1 (ko) 대형 가공물의 비파괴 검사를 위한 조립식 검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