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359B1 -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차폐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차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359B1
KR102407359B1 KR1020200017422A KR20200017422A KR102407359B1 KR 102407359 B1 KR102407359 B1 KR 102407359B1 KR 1020200017422 A KR1020200017422 A KR 1020200017422A KR 20200017422 A KR20200017422 A KR 20200017422A KR 102407359 B1 KR102407359 B1 KR 102407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late
shielding
building
shiel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3099A (ko
Inventor
서관섭
Original Assignee
서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관섭 filed Critical 서관섭
Priority to KR1020200017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359B1/ko
Publication of KR20210103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for temporarily closing door or window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개방부의 외면에 덮혀지는 차폐플레이트, 상기 차폐플레이트의 상, 하단에 조립되며 상기 차폐플레이트를 갱폼의 내부 비계발판에 지지시키는 상, 하부가이드프레임으로 구성하며, 상기 차폐플레이트는 상기 상, 하부가이드프레임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식플레이트, 상기 고정식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맞대여진 상태로 상기 상, 하부가이드프레임 사에 끼워지되, 상기 상, 하부 가이드프레임을 타고 좌, 우 이동하며 상기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이동식플레이트로 구성하여, 차폐장치를 여닫이 방식으로 개방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필요시마다 건축물의 내부 공간을 환기시켜 콘크리트 양생시 발생하는 수화열과 유해가스를 환기시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건축물 개방부 소음 차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차폐장치{Apparatus for noise shielding a open area of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차폐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개방부를 덮어주는 차폐창을 여닫이 방식으로 개방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콘크리트 양생시 발생하는 수화열과 유해가스를 환기시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도록 한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의 아파트나 빌딩 또는 상가 등 건물의 외벽은 대부분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시공이 이루어지는데, 건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대형 철제로 이루어진 거푸집(갱폼, 알폼, 유로폼)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동안 정해진 형상과 치수를 유지시키는 역할 및 콘크리트가 굳기 전까지 수분의 누출을 방지하면서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콘크리트 양생 완료 후 내부 거푸집인 내부 폼(알폼)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소음과 분진이 발생된다. 거푸집 해체 때 발생하는 소음과 분진은 발코니 및 창의 형성을 위해 개방된 구간 즉,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고, 이러한 소음과 분진은 건물 공사 현장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까지 불편을 줌과 아울러 민원 발생의 원인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483370 호(명칭: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건축물의 외벽에 대면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복수 개의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와 직교하도록 설치된 복수 개의 수직바와,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로 돌출된 상기 수직바의 하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 보강대를 포함하는 갱폼에 고정되어 상기 갱폼을 인양할 때 상기 갱폼과 함께 인양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 보강대를 경계로 상하로 분할되어 각각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건축물의 개방부를 차폐하는 상·하부 차폐판을 포함하는 차폐판, 상기 차폐판의 복수 개의 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부에 고정된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수직바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을 상기 수평바 또는 상기 수직바 중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 수직 고정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보강대는 상기 수직바와 교차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상부 차폐판과 상기 하부 차폐판의 경계를 따라 상기 수직 고정대와 상기 건축물의 외벽 사이에 배치된 것을 요지로 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선행기술의 차폐장치는 개방부를 폐쇄시키고 나면 콘크리트 양생 완료 후 내부 거푸집인 내부 폼(알폼)을 해체하는 기간 동안은 개방부를 개방시킬 수 없어 환기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즉, 혹서기 콘크리트 양생시 발생하는 수화열과 유해가스가 차폐창에 의해 갇힘으로써 밀폐된 공간에서 작업해야 하는 근로자의 업무능력저하 및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또한 동절기 같탄 등 가열 보온 양생시 발생하는 산소농도 부족 및 유해가스가 다량 발생하며, 또한 밀폐된 공간에서 청소 등의 작섭시 미세먼지에 대한 환기 필요성이 요구된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483370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개방부를 덮어주는 차폐창을 여닫이 방식으로 개방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콘크리트 양생시 발생하는 수화열과 유해가스를 환기시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도록 한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차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차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의 외면에 덮혀지는 차폐플레이트, 상기 차폐플레이트의 상, 하단에 조립되며 상기 차폐플레이트를 갱폼의 내부 비계발판에 지지시키는 상, 하부가이드프레임으로 구성하며, 상기 차폐플레이트는 상기 상, 하부가이드프레임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식플레이트, 상기 고정식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맞대여진 상태로 상기 상, 하부가이드프레임 사에 끼워지되, 상기 상, 하부 가이드프레임을 타고 좌, 우 이동하며 상기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이동식플레이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축물의 개방부를 덮어주는 차폐장치를 여닫이 방식으로 개방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필요시마다 건축물의 내부 공간을 환기시켜 콘크리트 양생시 발생하는 수화열과 유해가스를 환기시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개방부 소음 차폐장치의 전체 구성을 분해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건축물 개방부 소음 차폐장치의 결합입체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물 개방부 소음 차폐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개방부 소음 차폐장치의 전체 구성을 분해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RCS(Rail Climbing System) 공법이 접목된 건축물 개방부에 차폐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다양한 실시 예를 들어 기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개방부 소음 차폐장치의 전체 구성을 분해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건축물 개방부 소음 차폐장치의 결합입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물 개방부 소음 차폐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물 개방부 소음 차폐장치(100)는 갱폼(10), 비계기둥(20) 및 차폐플레이트(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갱폼(10)은 건축물의 개방부(200) 위쪽의 외벽에 고정 설치되며 건축물의 외벽 작업을 위해 설치되어 지는 비계기둥(20)을 건축물의 외벽에 지지시키게 된다.
상기 갱폼(10)은 상, 하 일정 간격 떨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프레임(12), 상기 수평프레임(12)을 가로지른 상태로 설치되며 그 하단은 제일 아래쪽 수평프레임(12)의 아래로 일정길이 노출되어 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프레임(14)으로 구성한다.
상기 비계기둥(20)은 건축물의 외벽에 거푸집 시공과 같은 작업을 위해 설치되어 지는 것으로서, 내, 외측 비계기둥(22, 24), 상기 내, 외측 비계기둥(22, 24) 사이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밟을 수 있는 비계발판(26)으로 구성한다.
상기 내측 비계기둥(22)은 건축물의 외벽에 근접되게 위치하는 데, 이때 상기 내측 비계기둥(22)은 상기 갱폼(10)의 수직프레임(14) 하단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접합되며 갱폼(10)에 지지되어 진다.
상기 차폐플레이트(50)는 건축물의 개방부(200)를 덮어 차폐시킬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된 판이다. 상기 차폐플레이트(50)는 상기 건축물의 개방부(200) 크기가 상대적으로 클 경우에는 동일한 구조의 차폐플레이트(50) 2개 내지 4개를 좌우로 맞대어 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차폐플레이트(50)는 고정식플레이트(60)와 이동식플레이트(70)로 나뉘어 구성하며, 상기 고정식플레이트(60)와 상기 이동식플레이트(70)는 좌, 우 방향에서 서로 맞대어지도록 한다.
상기 차폐플레이트(50)를 구성하는 고정식플레이트(60) 및 이동식플레이트(70)의 상, 하면에는 상기 고정식플레이트(60) 및 이동식플레이트(70)가 건축물의 개방부(200)를 덮은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상, 하부 가이드프레임(80, 82)이 설치된다.
상기 상, 하부가이드프레임(80, 82)의 양측 상, 하단에는 상, 하부브라켓(90, 92)의 일단이 볼트 체결되고, 상기 상, 하부 브라켓(90, 92)의 타단은 상기 내측 비계기둥(22)에 끼워진 상태로 볼트 결합되며 상기 건축물의 개방부(200)에 덮혀지는 고정식플레이트(60) 및 이동식플레이트(70)를 상기 내측 비계기둥(22)에 고정 지지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차폐플레이트(50)를 구성하는 고정식 플레이트(60)는 건축물의 개방부(200)를 덮은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플레이트이며, 상기 이동식 플레이트(70)는 상기 고정식 플레이트(200)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옆 방향으로(여닫이 방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레이트이다.
즉, 차폐플레이트(50)는 건축물의 개방부(200)를 폐쇄시키고 나면 콘크리트 양생 완료 후 내부 거푸집인 내부 폼(알폼)을 해체하는 기간 동안은 개방부(200)를 계속적으로 폐쇄시키게 되는 데, 이때 콘크리트 양생시 발생하는 수화열과 유해가스가 차폐플레이트(50)에 의해 개방부(200)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갇힘으로써 밀폐된 공간에서 작업해야 하는 근로자의 업무능력저하 및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또한 동절기 같탄 등 가열 보온 양생시 발생하는 산소농도 부족 및 유해가스가 다량 발생하며, 또한 밀폐된 공간에서 청소 등의 작섭시 미세먼지에 대한 환기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폐플레이트(50)를 고정식플레이트(60) 및 이동식플레이트(70)로 구성한 상태에서,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이동식플레이트(70)는 고정식플레이트(60)의 일측에 맞대어져 개방부(200)를 폐쇄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환기를 위해 개방부(200)를 개방시켜야 할 때에는 이동식플레이트(70)를 일방향(도 5에서 우측방향)으로 밀어주면 상기 이동식플레이트(70)는 여닫이 방식으로 상, 하부 가이드프레임(80, 82)을 타고 이동하게 됨으로서 개방부(200)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필요시마다 건축물의 내부 공간을 환기시켜 각종 유해가스 등으로 인한 근로자의 건강을 위협하거나 이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개방부 소음 차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와 같이, 건축물 개방부 소음 차폐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이 갱폼(10), 내부 비계기둥(22), 차폐플레이트(50), 상, 하부가이드프레임(80, 82) 및 상, 하부브라켓(90, 92)으로 구성하되, 상기 차폐플레이트(50)가 4개의 분할된 플레이트 구조로 제작한 것에 차이를 가진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폐플레이트(50)는 개방부(200)의 크기가 많이 클 때에는 4개의 차폐플레이트(50)를 사용하여야 하며, 이때에는 양측 외곽에 고정식플레이트(60)를 각각 배치하고, 고정식플레이트(60)의 안쪽으로 이동식플레이트(70)를 설치하여 환기가 필요할 때, 상기 이동식플레이트(70)를 양측으로 밀어 개방부(200)를 개방시키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이 차폐플레이트(50)를 개방식으로 구성할 경우, 전술한 갱폼구조가 아니라, RCS(Rail Climbing System) 공법으로 벽체 거푸집용 작업발판, 비계틀과 마감용 비계틀을 일체로 제작한 상태에서 이들을 유압시스템으로 자동 리프팅시키는 공법에 차폐장치가 설치될 때, RCS(Rail Climbing System) 공법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유압실린더(310)가 차폐플레이트(50)에 간섭받지 않고 승강 동작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첨부된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RCS(Rail Climbing System) 공법의 유압실린더를 승강시켜 장비를 리프팅시킬 때, 건축물의 개방부(200)를 폐쇄하고 있는 차폐플레이트(50)의 이동식플레이트(70)를 이동시키게 되면 개방부(200)가 개방됨과 동시에 이동식플레이트(70)의 이동으로 인한 유압실린더(310)의 승강 동작 그리고 유압실린더(310)를 지지하는 수직기둥레일(300)이 지나가기 위해 필요한 공간이 자동 확보됨으로서 RCS(Rail Climbing System) 공법이 접목된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차폐장치를 활용할 수 있다.
즉, 유압실린더(310) 및 수직 기둥레일(300)은 건축물의 개방부(200) 외면에 덮혀진 차폐플레이트(50) 및 상, 하부가이드프레임(80, 90)에 간섭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바, RCS(Rail Climbing System) 공법의 벽체 거푸집에 본 발명의 차폐플레이트(50)를 설치하면 차폐플레이트(50)의 이동식플레이트(70)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고정식 플레이트(60)와 이동식플레이트(70) 사이에 수직 기둥레일(300) 및 유압실린더(310)가 지나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매우 실용적이다.
물론 상기 차폐플레이트(50)를 지지하는 상, 하부가이드프레임(80, 90)에는 상기 수직기둥레일(300) 및 유압실린더(31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과부(81, 91)를 절개 형성할 필요는 있다.
10: 갱폼 20: 비계발판
22: 내부비계발판 50: 차폐플레이트
60: 고정식 플레이트 70: 이동식 플레이트

Claims (1)

  1. 건축물의 개방부(200)를 덮어주는 소음 차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200)의 외면에 덮혀지는 차폐플레이트(50);
    상기 차폐플레이트(50)의 상, 하단에 조립되며 상기 차폐플레이트(50)를 상기 개방부(200)의 외면에 고정시키는 상, 하부가이드프레임(80, 82)으로 구성하며;
    상기 차폐플레이트(50)는;
    상기 상, 하부가이드프레임(80, 82)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식플레이트(60);
    상기 고정식플레이트(60)의 일측에 맞대여진 상태로 상기 상, 하부가이드프레임(80, 82) 사이에 끼워지되, 상기 상, 하부 가이드프레임(80, 82)을 타고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개방부(200)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이동식플레이트(70)로 구성하며;
    상기 차폐플레이트(50)는 RCS(Rail Climbing System) 공법이 적용된 건축물의 개방부(200)에 설치될 때, 상기 이동식플레이트(70)의 이동에 따른 개방부(200)의 개방 동작을 통해 장비를 리프팅하는 유압실린더(310) 및 상기 유압실린더(310)를 지지하는 수직기둥레일(300)이 지나가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며,
    상기 차폐플레이트(50)를 지지하는 상, 하부가이드프레임(80, 90)에는 상기 수직기둥레일(300) 및 유압실린더(31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과부(81, 91)가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개방부를 덮어주는 소음 차폐장치.
KR1020200017422A 2020-02-13 2020-02-13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차폐장치 KR102407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422A KR102407359B1 (ko) 2020-02-13 2020-02-13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차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422A KR102407359B1 (ko) 2020-02-13 2020-02-13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차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099A KR20210103099A (ko) 2021-08-23
KR102407359B1 true KR102407359B1 (ko) 2022-06-10

Family

ID=77499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422A KR102407359B1 (ko) 2020-02-13 2020-02-13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차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35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719B1 (ko) * 2015-11-26 2017-04-24 이옥순 갱폼 창호 시스템
KR200483370Y1 (ko) 2016-12-01 2017-05-08 김두진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장치
KR200489824Y1 (ko) * 2017-10-23 2019-10-21 서관섭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099A (ko) 202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054B1 (ko) 건축 공사용 거푸집 차폐 장치
AU2016203815B2 (en) Hoisting Apparatus and System
DK2483488T3 (en) BUILDING STRUCTURE WITH PREFABRICATED RIB PANELS
CN115298400A (zh) 构造方法
KR200496431Y1 (ko)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KR102407359B1 (ko)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차폐장치
KR200485750Y1 (ko)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KR20210066799A (ko) 다층 구조물과 파사드를 세우는 방법
KR200489824Y1 (ko)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KR101729719B1 (ko) 갱폼 창호 시스템
KR102079390B1 (ko) 확장기능을 갖는 건축공사용 케이지
JP5764073B2 (ja) 飛散防止構造および外部吹付け物の除去方法
KR101045097B1 (ko) 고소 안전 작업대
KR20140124500A (ko) 벽체 오프닝 차폐 방법
JP2008196267A (ja) 家屋の耐震補強体構造
US3820448A (en) Skylight turret with movable screen for industrial halls
KR200496446Y1 (ko)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EP0034705A2 (de) Feuerabschlussvorrichtung für eine Wanddurchlassöffnung, insbesondere in Bauwerken mit raumunterteilenden Wandelementen
KR20090103560A (ko) 갱폼 일체형 낙하물 방지장치
EP3495578B1 (en) A method for realising a prefabricated wall for a colum and beam construction made of reinforced concrete, and a method for realising the construction
KR102430549B1 (ko) 소음방지패널
JP6328994B2 (ja) 建具
JP7137915B2 (ja) 既存建物の屋根改修方法
ES2259314T3 (es) Pared de separacion estructural ajustable, en particular pared de separacion cortafuegos.
KR101581928B1 (ko) 돌출형태에 대응구성을 갖는 건축용 갱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