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784B1 -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행자 안전 휀스 - Google Patents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행자 안전 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784B1
KR102066784B1 KR1020180024436A KR20180024436A KR102066784B1 KR 102066784 B1 KR102066784 B1 KR 102066784B1 KR 1020180024436 A KR1020180024436 A KR 1020180024436A KR 20180024436 A KR20180024436 A KR 20180024436A KR 102066784 B1 KR102066784 B1 KR 102066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ar
coupling
guide
suppor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3696A (ko
Inventor
김재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티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티티
Priority to KR1020180024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784B1/ko
Publication of KR20190103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73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using fixing devices encircling, partially or fully, the post
    • E04H2017/1473
    • E04H2017/149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행자 안전 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지주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각도로 결합바를 설치할 수 가 있어 급변하는 현장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가 있으며, 결합바와 지주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지주의 외주에서 회전하되, 하부에 상기 연결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면서도 지지하는 가이드부의 구성으로 결합바의 처짐 및 가이드부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안전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행자 안전 휀스{Prefabricated pedestrian safety fence with adjustable angle}
본 발명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행자 안전 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의 위치에 따라서 바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바의 하부를 지지토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행자 안전 휀스에 관한 기술이다.
통상적으로,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여 보행자가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구획해주거나 가정이나 공원 각종 건축물의 정원 등은 그 경계를 따라 휀스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휀스는 토지 등의 경계를 표시하기도 하며, 외부로부터의 무단 침입에 대한 경계의 기능을 수행하기도한다.
한편, 휀스는 다양한 재질과 형태의 구성되어 시공되어 있으며, 근래에는 유지보수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조립식 휀스를 설치하되, 현장 상황에 따라서 지주의 설치 위치에 따라 다양한 각도조절이 가능토록 하는 휀스를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종래의 조립식 구조를 가지면서도 각도조절이 가능한 휀스의 경우에, 지주의 각도 또는 각각의 지주와 결합되는 바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대체적으로 지주와 바의 결합되는 부분을 결합함에 있어서 단순한 체결구조로만 구성되어 처짐 및 잦은 파손 등의 문제가 많아, 잦은 유지보수가 불가피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9774호 (2015.11.1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3094호 (2011.12.0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8920호 (2014.01.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4716호 (2017.07.2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9116호 (2014.08.0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상황에 따라서 직선 또는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지주의 외주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회전테와 가이드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지주와 연결을 위해 분할된 형태로 상호 결합 및 분리되는 다수의 바를 구성하되, 중앙에 배치되는 바의 각도조절이 가능토록 구성하며, 상기 지주의 회전테의 외주를 감싸며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바의 일측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성하되,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회전 시 가이드 되면서도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하여, 처짐 방지 및 여러 부분의 각도조절을 통해 현장상황에 따라 설치되는 지주에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휀스를 설치할 수 있어 작업상의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행자 안전 휀스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휀스를 설치하는 현장상황에 따라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휀스에 있어서, 외주의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의 회전테(110)가 형성되며, 상기 지주(100)의 외주에서 연장되는 연장부(120)와, 상기 지주(100)의 외주에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지주(100)와 연장되는 연장부(120)의 타측과 연장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부(130)가 형성되어, 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100);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개폐가능토록 개폐부(311)가 구성되고, 상기 개폐부(311)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연결뭉치(317)이 구성되며, 상기 연결뭉치(317)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부(13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313)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311)와 연장되는 연결뭉치(317)의 타측에 결합홈(315)이 형성되어 양 끝에 배치되는 지주(100)의 회전테(110)의 외주를 감싸며 구성되는 제1연결부(310)와,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개폐가능토록 개폐부(321)가 구성되고, 상기 개폐부(321)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연결뭉치(327)이 구성되며, 상기 연결뭉치(327)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부(13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323)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321)와 연장되는 연결뭉치(327)의 타측에 결합홈(325)이 형성되어 중앙에 배치되는 지주(100)의 회전테(110)의 외주를 감싸며 구성되는 제2연결부(320)로 구성되는 연결부(300);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2,3결합바(410, 420, 430)와, 양측에 상기 제3결합바(430)의 일측이 각각 수평방향으로 힌지 결합되는 제4결합바(440)로 구성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제3결합바(430)가 회전되게 구성되는 결합바(400); 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130)는, 반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부(130a)와 원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부(130b)로 각각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부(130a)는 양 끝에 배치되는 지주(100)의 구성되되 중앙에 배치되는 지주(100)측 방향으로 가이드부(130a)가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30b)는 중앙에 배치되는 지주(100)의 외주에 배치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부(120)의 상측은 상기 가이드부(130)의 상측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30)의 상측은 지주(100)의 회전테(110)의 하측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결합바(410)는 다수개로 구성되되 양측이 볼트형태로 돌출되게 각각 형성되어 일측이 연결부(300)의 결합홈(315, 325)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바(420)는 다수개로 구성되되 양측이 너트형태로 내삽되게 각각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연결부(300)의 결합홈(315, 325)과 결합되지 않은 제1결합바(410)와 결합되며, 상기 제3결합바(430)는 다수개로 구성되되 일측이 볼트형태로 돌출되고 타측이 바형태로 돌출되게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볼트형태의 일측이 제2결합바(420)와 결합되고, 상기 제4결합바(440)는 상기 제3결합바(430)의 사이에 배치되되 양측에 수용홈(441)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3결합바(430)의 바형태로 돌출된 부분이 수용홈(441)에 각각 인입되어, 수직방향으로 힌지 결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주(100)의 회전테(110) 외주와 상기 개폐부(311, 321)의 내주 사이에는 공간(g)이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부(120)는 하나 이상 다수개로 형성되며, 다수개로 형성될 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행자 안전 휀스에 의하면, 휀스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지주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각도로 결합바를 설치할 수 가 있어 급변하는 현장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가 있으며, 결합바와 지주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지주의 외주에서 회전하되, 하부에 상기 연결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면서도 지지하는 가이드부의 구성으로 결합바의 처짐 및 가이드부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안전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 3의 a와b 및 도 4의 c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지주 및 연장부, 가이드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연장부와 가이드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연결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연결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2,3,4결합바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결합바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지주(100), 연결부(300), 결합바(400)로 대분 구성된다.
①지주(100)
상기 지주(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의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의 회전테(110)가 형성되며, 상기 지주(100)의 외주에서 연장되는 연장부(120)와, 상기 지주(100)의 외주에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지주(100)와 연장되는 연장부(120)의 타측과 연장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부(130)가 형성되어, 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테(110)는 도 3,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0)의 외주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하기될 연결부(300)가 상기 회전테(110)의 외주에 결합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0)의 회전테(110) 외주와 상기 개폐부(311, 321)의 내주 사이에는 공간(g)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300)가 회전체(110)의 외주에서 원활한 회전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130)는 도 4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부(130a)와 원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부(130b)로 각각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부(130a)는 양 끝에 배치되는 지주(100)의 배치되되 중앙에 배치되는 지주(100)측 방향으로 가이드부(130a)가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30b)는 중앙에 배치되는 지주(100)의 외주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130)가 반원호 형태 가이드부(130a) 및 원형의 형태 가이드부(130b)로 각각 구성되는 목적으로는 실질적으로 휀스를 구성할 시, 양 끝에 배치되는 지주(100)의 외측방향으로는 결합바(400)가 위치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구성이고, 제작 원가를 절감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120)의 상측은 하기될 연결부(300)를 회전테(110)의 외주를 감싸도록 하여 결합 시 상기 연결부(300)가 회전함에 있어서 상호 마찰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130)의 상측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30)의 상측은 상기 회전테(110)의 하측보다 높게 형성된다.
왜냐하면, 상기 연결부(300)를 결합 시, 상기 연결부(300)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홈(313, 323)에 상기 가이드부(130)가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300)가 가이드부(130)를 타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장부(1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20)가 다수개로 형성될 시, 각각의 연장부(120)가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도록 하여, 지주(100)의 전체적인 무게를 경량화시키면서도 내구성을 높여 연결부(300)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연장부(120)의 형상은 둥근 막대 또는 사각형태의 막대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가 있다.
②연결부(300)
상기 연결부(300)는 도 1 내지 도 5 및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개폐가능토록 개폐부(311)가 구성되고, 상기 개폐부(311)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연결뭉치(317)이 구성되며, 상기 연결뭉치(317)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부(13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313)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311)와 연장되는 연결뭉치(317)의 타측에 결합홈(315)이 형성되어 양 끝에 배치되는 지주(100)의 회전테(110)의 외주를 감싸며 구성되는 제1연결부(310)와,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개폐가능토록 개폐부(321)가 구성되고, 상기 개폐부(321)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연결뭉치(327)이 구성되며, 상기 연결뭉치(327)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부(13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323)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321)와 연장되는 연결뭉치(327)의 타측에 결합홈(325)이 형성되어 중앙에 배치되는 지주(100)의 회전테(110)의 외주를 감싸며 구성되는 제2연결부(320)로 구성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310)는 개폐부(311)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연결뭉치(317)가 구성되고, 제2연결부(320)는 개폐부(321)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연결뭉치(327)이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개폐부(311, 321)는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분이 힌지(도면부호 없음) 결합되어 상기 힌지(도면부호 없음)를 중심으로 개폐가능한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도면부호 없음)와 마주하는 부분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통상의 볼트 등으로 결합되게 구성된다.
상기 연결뭉치(317)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될 결합바(400)와의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써, 상기 개폐부(311)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지주(100)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개폐부(311)와 연장되지 않은 외측 중앙부에 결합홈(315)이 형성되어, 결합바(400)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결합홈(315)의 내주는 통상의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뭉치(317)의 하부에는 도 3, 5,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가이드부(130)의 상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31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313)의 구성을 통해, 제1연결부(310)가 지주(100)의 회전테(110)에 외주에 결합 시, 상기 가이드홈(313)이 지주(100)의 가이드부(130)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부(130)의 안내에 따라 제1연결부(310)가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연결뭉치(317)에 결합되는 제1결합바(410)를 수평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부(3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310)와 달리 양측에 각각의 연결뭉치(327)과 각각의 가이드홈(323)과 각각의 결합홈(325)가 형성된다. 이러한 이유로는 상기 한 바와 같이 제2연결부(320)가 휀스를 설치 시 중앙에 배치되는 지주(100)의 회전테(110)에 결합됨에 따라 결합바(400)와 지주(100)의 연결을 위해 양측에 각각의 제1결합바(410)가 결합되고, 제1연결부(310)에는 하나의 제1결합바(410)만 결합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3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만 연결뭉치(317)가 형성되는 이유는 휀스를 설치 시 양 끝에 배치되는 지주(100)의 회전테(110)에 결합됨에 따라 2개가 있을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무게 경량화 및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0)의 회전테(110) 외주와 상기 개폐부(311, 321)의 내주 사이에는 공간(g)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300)가 회전함에 있어서 회전테(110)의 외주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고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다.
③결합바(400)
상기 결합바(400)는 도 1 내지 도 4 및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2,3결합바(410, 420, 430)와, 양측에 상기 제3결합바(430)의 일측이 각각 수평방향으로 힌지 결합되는 제4결합바(440)로 구성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제3결합바(430)가 회전되게 구성된다.
상기 제1결합바(410)는 도 3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로 구성되되 양측이 볼트형태로 돌출되게 각각 형성되어 일측이 연결부(300)의 결합홈(315, 325)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바(420)는 다수개로 구성되되 양측이 너트형태로 내삽되게 각각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연결부(300)의 결합홈(315, 325)과 결합되지 않은 제1결합바(410)와 결합되며, 상기 제3결합바(430)는 다수개로 구성되되 일측이 볼트형태로 돌출되고 타측이 바형태로 돌출되게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볼트형태의 일측이 제2결합바(420)와 결합되고, 상기 제4결합바(440)는 상기 제3결합바(430)의 사이에 배치되되 양측에 수용홈(441)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3결합바(430)의 바형태로 돌출된 부분이 수용홈(441)에 각각 인입되어, 수직방향으로 힌지 결합된다.
한편, 도 10 또는 도 11,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바(400)가 제1,2,3,4결합바(410, 420, 430, 440)으로 분할되게 형성됨에 따라 부분적인 파손이 일어날 경우 그 파손된 하나의 결합바만을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탁월한 효과를 가질 수가 있고, 제3,4결합바(430, 440)의 구조상 수직방향으로 힌지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게 되어, 지주(100)의 설치 방향 및 위치에 따라서 연결부(300)와 더불어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행자 안전 휀스는 휀스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지주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각도로 결합바를 설치할 수 가 있어 급변하는 현장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가 있으며, 결합바와 지주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지주의 외주에서 회전하되, 하부에 상기 연결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면서도 지지하는 가이드부의 구성으로 결합바의 처짐 및 가이드부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안전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100 : 지주 110 : 회전테 120 : 연장부 130 : 가이드부
130a : 가이드부 130b : 가이드부
300 : 연결부
310 : 제1연결부 311 : 개폐부 313 : 가이드홈 315 : 결합홈
320 : 제2연결부 321 : 개폐부 323 : 가이드홈 325 : 결합홈
400 : 결합바 410 : 제1결합바 420 : 제2결합바 430 : 제3결합바
440 : 제4결합바 441 : 수용홈
g : 공간

Claims (6)

  1. 휀스를 설치하는 현장상황에 따라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휀스에 있어서,
    외주의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의 회전테(110)가 형성되며, 지주(100)의 외주에서 연장되는 연장부(120)와, 상기 지주(100)의 외주에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지주(100)와 연장되는 연장부(120)의 타측과 연장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부(130)가 형성되어, 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100);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개폐가능토록 개폐부(311)가 구성되고, 상기 개폐부(311)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연결뭉치(317)이 구성되며, 상기 연결뭉치(317)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부(13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313)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311)와 연장되는 연결뭉치(317)의 타측에 결합홈(315)이 형성되어 양 끝에 배치되는 지주(100)의 회전테(110)의 외주를 감싸며 구성되는 제1연결부(310)와,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개폐가능토록 개폐부(321)가 구성되고, 상기 개폐부(321)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연결뭉치(327)이 구성되며, 상기 연결뭉치(327)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부(13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323)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321)와 연장되는 연결뭉치(327)의 타측에 결합홈(325)이 형성되어 중앙에 배치되는 지주(100)의 회전테(110)의 외주를 감싸며 구성되는 제2연결부(320)로 구성되는 연결부(300);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2,3결합바(410, 420, 430)와, 양측에 상기 제3결합바(430)의 일측이 각각 수평방향으로 힌지 결합되는 제4결합바(440)로 구성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제3결합바(430)가 회전되게 구성되는 결합바(4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행자 안전 휀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30)는,
    반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부(130a)와 원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부(130b)로 각각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부(130a)는 양 끝에 배치되는 지주(100)의 구성되되 중앙에 배치되는 지주(100)측 방향으로 가이드부(130a)가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30b)는 중앙에 배치되는 지주(100)의 외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행자 안전 휀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20)의 상측은 상기 가이드부(130)의 상측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30)의 상측은 지주(100)의 회전테(110)의 하측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행자 안전 휀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바(410)는 다수개로 구성되되 양측이 볼트형태로 돌출되게 각각 형성되어 일측이 연결부(300)의 결합홈(315, 325)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바(420)는 다수개로 구성되되 양측이 너트형태로 내삽되게 각각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연결부(300)의 결합홈(315, 325)과 결합되지 않은 제1결합바(410)와 결합되며,
    상기 제3결합바(430)는 다수개로 구성되되 일측이 볼트형태로 돌출되고 타측이 바형태로 돌출되게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볼트형태의 일측이 제2결합바(420)와 결합되고,
    상기 제4결합바(440)는 상기 제3결합바(430)의 사이에 배치되되 양측에 수용홈(441)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3결합바(430)의 바형태로 돌출된 부분이 수용홈(441)에 각각 인입되어, 수직방향으로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행자 안전 휀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0)의 회전테(110) 외주와 상기 개폐부(311, 321)의 내주 사이에는 공간(g)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행자 안전 휀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20)는 하나 이상 다수개로 형성되며, 다수개로 형성될 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행자 안전 휀스.













KR1020180024436A 2018-02-28 2018-02-28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행자 안전 휀스 KR102066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436A KR102066784B1 (ko) 2018-02-28 2018-02-28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행자 안전 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436A KR102066784B1 (ko) 2018-02-28 2018-02-28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행자 안전 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696A KR20190103696A (ko) 2019-09-05
KR102066784B1 true KR102066784B1 (ko) 2020-02-11

Family

ID=67949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436A KR102066784B1 (ko) 2018-02-28 2018-02-28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행자 안전 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7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561A (ko) 2020-09-23 2022-03-31 주식회사 극동 터닝 휀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7242B (zh) * 2021-01-28 2022-03-08 王道领 基于新能源的道路桥梁施工用安全警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528B1 (ko) 2011-07-25 2012-08-27 도아기업주식회사 관절형 완충 난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094B1 (ko) 2009-12-15 2011-12-13 주식회사 알엠앤에코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
KR101348920B1 (ko) 2012-11-28 2014-01-08 김경태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및 휀스용 연결구
KR101429116B1 (ko) 2013-10-31 2014-08-13 주식회사 디자인큐나인 휀스용 연결조립체
KR101569774B1 (ko) 2014-07-01 2015-11-17 주식회사 나무나라 가로 목의 각도설치가 용이한 휀스용 지주
KR101764716B1 (ko) 2017-01-31 2017-08-04 황성규 설치각도의 조정이 용이한 하중분산형 휀스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528B1 (ko) 2011-07-25 2012-08-27 도아기업주식회사 관절형 완충 난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561A (ko) 2020-09-23 2022-03-31 주식회사 극동 터닝 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696A (ko) 2019-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0445B2 (en) Tri-truss self-closing gate
US7299813B2 (en) Foldable tent
KR101429116B1 (ko) 휀스용 연결조립체
KR102066784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행자 안전 휀스
KR102347678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용 브라켓
KR102024717B1 (ko) 안전난간 및 안전난간용 지주
KR102006117B1 (ko) 난간 또는 펜스 설치용 브라켓
CN100476159C (zh) 保护门或窗开口的可调节装置和模块化可调节安全装置
KR101678826B1 (ko) 전선이 노출되지 않는 신호등 구조
KR101883734B1 (ko) 막구조물 코너 등분포하중용 장력조절장치
KR102094970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휀스
KR102347686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브라켓이 적용된 디자인형 울타리
KR101630189B1 (ko) 플렉시블 펜스
KR101993351B1 (ko)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
KR20240036314A (ko) 각도조절이 편리한 조립식 보행자 안전 휀스
KR101045097B1 (ko) 고소 안전 작업대
KR102145026B1 (ko) 경사지 및 곡선구간에 설치 가능하며, 지주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휀스 구조
JP4789196B2 (ja) 門扉用ヒンジ
KR102233225B1 (ko) 안전펜스
KR102209278B1 (ko) 이동식 천막 구조물
CN214832205U (zh) 市政工程隔离带
KR20220084767A (ko) 로드킬 방지용 펜스
KR20020056817A (ko) 건설현장 보호용 조립식 펜스
KR102078207B1 (ko) 휀스
KR102306896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펜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