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6817A - 건설현장 보호용 조립식 펜스 - Google Patents

건설현장 보호용 조립식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6817A
KR20020056817A KR1020010069638A KR20010069638A KR20020056817A KR 20020056817 A KR20020056817 A KR 20020056817A KR 1020010069638 A KR1020010069638 A KR 1020010069638A KR 20010069638 A KR20010069638 A KR 20010069638A KR 20020056817 A KR20020056817 A KR 20020056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construction site
support
hollow groove
pane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9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9094B1 (ko
Inventor
김종덕
Original Assignee
김종덕
(주)세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덕, (주)세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김종덕
Priority to KR10-2001-0069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9094B1/ko
Publication of KR20020056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6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9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90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5Fences with pivotable slats for reduced wind resistance or for adjusting visibilit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공사현장에 주위에 설치되는 펜스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심한 바람에도 넘어지지 않으며,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보관과 운반이 용이한 펜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다수의 지주 유니트가 상하로 결합된 한조의 지주봉(20,20')과, 상기 한조의 지주봉(20,20')을 이루는 지주 유니트에 양측 상단이 회동되게 결합하는 다수의 패널 유니트(30)와, 상기 한조의 지주봉(20,20')이 삽입 체결되어 지지되는 한조의 받침대(10,10')와, 상기 한조의 지주봉(20,20')간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한조의 지주봉(20,20')의 하부 간 및 상부 간에 개재되는 제1 및 제2 간격재(40,5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패널 유니트가 회동 자재하게 설치되어 펜스가 바람에 잘 넘어지지 않고,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공사현장의 주변을 구획하는 펜스에 이용된다.

Description

건설현장 보호용 조립식 펜스{FABRICATED FENCE FOR CONSTRUCTION SITE}
본 발명은 공사현장에서 사용되는 펜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심한 바람에도 넘어지지 않도록 구성되고, 보관과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사현장에서는 공사 현장 주위에 관계자 외의 접근을 막기 위하여 펜스를 설치하고 있는데,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던 펜스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펜스는, 봉재를 사각형상의 틀(1)로 형성하고, 상기 사각형상의 틀(1)에 패널(2)을 용접하여 구성된 펜스를 사용하여 왔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펜스는 바람이 심하게 부는 경우 잘 넘어지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펜스 하단에 모래주머니(3)를 설치하거나 이웃한 펜스와 철사(4) 등으로 묶어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펜스는 분리나 적층이 불가능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심한 바람에도 넘어지지 않으며,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보관과 운반이 용이한 펜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던 펜스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펜스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주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패널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1 간격재의 사시도이다.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2 간격재의 사시도이다.
도 4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3 간견제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 받침대20, 20' : 지주봉
30 : 패널 유니트40 : 제 1 간격재
50 : 제 2 간격재60 : 제 3 간격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단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제1 중공홈이 형성되고, 상단 측면으로부터 폭방향으로 제2 중공홈이 형성되고, 상단면에 수직으로 원통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지주 유니트가 서로 간에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1 중공홈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한조의 지주봉과; 상기 제2 중공홈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돌기를 양측 상단에 형성하고 있는 다수의 패널 유니트와; 상기 지주봉의 최하단 지주유니트의 제1 중공홈에 사입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지주고정부를 상단면에 형성하고 있는 한조의 받침대; 및 상기 한조의 지주봉의 상단부 간 및 하단부 간에 개재되어 상기 지주봉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간격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2 이하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등,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펜스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펜스는, 다수의 지주 유니트가 상하로 결합된 한조의 지주봉(20,20')과, 상기 한조의 지주봉(20,20')을 이루는 지주 유니트에 양측상단이 회동되게 결합하는 다수의 패널 유니트(30)와, 상기 한조의 지주봉(20,20')이 삽입 체결되어 지지되는 한조의 받침대(10,10')와, 상기 한조의 지주봉(20,20')간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한조의 지주봉(20,20')의 하부 간 및 상부 간에 에 개재되는 제1 및 제2 간격재(40,50)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펜스는 다수개가 서로간에 측면이 연결되어 다수 설치 가능한데, 이를 위해 하나의 받침대에 임의의 펜스의 한측 지주봉과 인접하는 다른 펜스의 지주봉을 동시에 삽입 고정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다수의 패널 유니트(30)들이 양측의 지주봉(20,20')에 양측 상단이 회동되게 고정하여, 바람이 불면 상기 양측 상단의 고정점을 힌지로 회동되게 함으로 바람에 의한 영향을 극소화하였다는 것이다. 따라서 도3에 도시된 바와 본 발명은 심한 바람이 불어도 패널 유니트가 바람에 따라 회동하므로 바람에 의해 펜스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a는 받침대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지주봉을 구성하는 지주 유니트의 사시도이고, 도 4c는 패널 유니트의 사시도이고, 도 4d 내지 도 4f는 제 1 내지 제 3 간격재의 사시도이다.
받침대(10)는 펜스를 지면에 지지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1) 중앙에 수직으로 두 개의 지주 고정부(12)가 원기둥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지주 고정부(12)를 두 개 구비하도록 한 이유는 하나의 펜스와 인접하는 펜스가 하나의 받침대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지주 유니트(24)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길이를 가지는 봉재 형상을 가지며, 하단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제1 중공홈(21)이 형성되고, 상단 측면으로부터 폭방향으로 제2 중공홈(23)이 형성되고, 상단면에서 수직으로 원통형상의 돌출부(22)가 형성된다. 이러한 지주 유니트는 서로 간에 상기 돌출부(22)와 상기 제1 중공홈(22)이 상하로 결합되어 지주봉(20 또는 20')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최하단에 위치하는 지주 유니트의 제1 중공홈(21)은 상기한 받침대(10)의 지주 고정부(12)가 삽입되어 지주봉(20 도는 20')이 받침대(1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 종공홈(23)에는 후술하는 패널 유니트의 양측 상단의 원통형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패널 유니트가 회동하는 힌지로 기능한다.
패널 유니트(30)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재로 구성되어 상기 지주봉(20,20')의 제2 중공홈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돌기(31)를 양측 상단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 원통 형상의 돌기(31)의 직경은 상기 지주봉(20,20')의 제2 중공홈(23)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 중공홈(23)의 내경보다도 작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돌기(31)가 상기 제2 중공홈(23)에 유격을 가지고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패널 유니트(32)는 양측 상단이 지주봉(20.20')에 회동 자재하게 고정된다.
제 1 간격재(40)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유니트(30)와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판재로 제조되며, 한조의 지주봉(20,20') 하단부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즉, 양측면에 받침대(10)의 지주고정부(12)가 관통할 수 있는 홀(41)이 형성되어 지주봉(20,20')의 최하단 지주유니트가 상기 받침대(10)에 삽입되기 전에 상기 지주고정부(12)에 삽입되어 받침대(10,10') 간의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므로 지주봉(20,20') 하단부 간이 벌어지지 않고 일정 간격으로 유지된다.
제 2 간격재(50)는, 지주봉(20,20')의 상단부가 벌어지지 않고 일정 간격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봉(20,20')의 최상단 지주 유니트의 원통형 돌기(22)가 내삽되기 위해 중공홈(53)을 가지는 캡(52)이 양측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측단의 캡(52)은 연결부재(51)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 2 간격재(50)의 길이도 패널 유니트(30)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제작된다.
이상과 같은 제1 및 제2 간격재(40,50)는 패널 유니트(30)가 한조의 지주봉(20,20')에 회동 자재하도록 걸쳐 설치되기 때문에 한조의 지주봉(20,20')이 벌어져 패널 유니트(30)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3 간격재(도2의 60)는 동일한 받침대(10)에 설치되는 지주봉(20)간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도2 참조),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 지주 고정부(12) 간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두개의 홀(61)이 형성되어 있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펜스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패널 유니트(30)의 길이와 거의 유사한 간격으로 한조의 받침대(10,10')를 위치시킨다. 이후, 제 1 간격재(40)를 각 받침대(10,10')의 지주 고정부(12)에 삽입 설치한다. 그리고, 다수개의 지주 유니트(24)들을 상하로 결합하여 한조의 지주봉(20,20')을 조립하고, 각 지주봉(20,20')의 최하단 지주 유니트(24)의 하단 증공홈(21)을 받침대(10,10')의 지주 고정부(12)에 꽂아 설치한다. 이후 패널 유니트(30)의 양측 상단의 원통형상 돌기(31)를 지주 유니트(24)의제2 중공홈(23)에 삽입하여 회동 자재하게 결합시키고, 최상단 패널유니트(300가 설치되고 나면 제2 간격재(50)를 최상단 지주유니트에 결합시켜 하나의 펜스를 완성한다. 그리고 동일한 방법으로 다른 하나의 펜스를 완성하여 연결시키되 받침대를 공유하도록 하고, 제3 간격재(60)를 소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펜스 간 결합을 지지하게 한다.
이상, 상술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발명은, 바람이 부는 환경에서도 패널 유니트의 회동에 의해 저항이 최소화되어 펜스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보관과 운반이 간편해지고 부분적인 수리가 가능하여 재사용에 다른 수명이 연장되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공사현장 주위에 설치되는 펜스에 있어서,
    하단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제1 중공홈이 형성되고, 상단 측면으로부터 폭방향으로 제2 중공홈이 형성되고, 상단면에 수직으로 원통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지주 유니트가 서로 간에 상하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한조의 지주봉과;
    상기 제2 중공홈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돌기를 양측 상단에 형성하고 있는 다수의 패널 유니트와;
    상기 지주봉의 최하단 지주유니트의 제1 중공홈에 삽입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지주고정부를 상단면에 형성하고 있는 한조의 받침대; 및
    상기 한조의 지주봉의 상단부 간 및 하단부 간에 개재되어 상기 지주봉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간격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보호용 조립식 펜스.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격재는,
    양측면에 상기 받침대의 지주고정부가 관통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판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보호용 조립식 펜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간격재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양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지주봉의 최상단 지주 유니트의 원통형 돌기가 내삽되기 위한 중공홈을 구비하는 2개의 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보호용 조립식 펜스.
KR10-2001-0069638A 2001-11-09 2001-11-09 건설현장 보호용 조립식 펜스 KR100409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638A KR100409094B1 (ko) 2001-11-09 2001-11-09 건설현장 보호용 조립식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638A KR100409094B1 (ko) 2001-11-09 2001-11-09 건설현장 보호용 조립식 펜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7125U Division KR200223806Y1 (ko) 2000-12-29 2000-12-29 건설현장 보호용 조립식 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817A true KR20020056817A (ko) 2002-07-10
KR100409094B1 KR100409094B1 (ko) 2003-12-18

Family

ID=27725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638A KR100409094B1 (ko) 2001-11-09 2001-11-09 건설현장 보호용 조립식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90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42804A (zh) * 2016-06-28 2018-08-24 蒋爱君 一种可调的有纱网加固型围栏防风沙方法
CN108590331A (zh) * 2016-06-28 2018-09-28 蒋爱君 一种电磁式可调节墙上围栏防风沙的方法
CN108678541A (zh) * 2016-06-28 2018-10-19 蒋爱君 一种墙上加固型有纱网的围栏
CN108678538A (zh) * 2016-06-28 2018-10-19 蒋爱君 一种电磁复位有纱网的围栏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105Y1 (ko) * 2013-05-24 2014-04-09 이항복 접이식 임시설치 펜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4208Y2 (ko) * 1975-07-11 1978-08-22
US4007919A (en) * 1975-07-24 1977-02-15 Totten Clyde D Fence structure
JPH11182051A (ja) * 1997-12-24 1999-07-06 Daisan:Kk 仮設フェンス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42804A (zh) * 2016-06-28 2018-08-24 蒋爱君 一种可调的有纱网加固型围栏防风沙方法
CN108590331A (zh) * 2016-06-28 2018-09-28 蒋爱君 一种电磁式可调节墙上围栏防风沙的方法
CN108590329A (zh) * 2016-06-28 2018-09-28 蒋爱君 一种电磁式墙上围栏防风沙的方法
CN108590330A (zh) * 2016-06-28 2018-09-28 蒋爱君 一种电磁式的可调节围栏防风沙的方法
CN108612398A (zh) * 2016-06-28 2018-10-02 蒋爱君 一种电磁式可调节围栏防风沙的方法
CN108612399A (zh) * 2016-06-28 2018-10-02 蒋爱君 一种可调节的围栏防风沙的方法
CN108612395A (zh) * 2016-06-28 2018-10-02 蒋爱君 一种采用可调节围栏防风沙的方法
CN108612396A (zh) * 2016-06-28 2018-10-02 蒋爱君 一种采用墙上围栏防风沙的方法
CN108612401A (zh) * 2016-06-28 2018-10-02 蒋爱君 一种可调有纱网加固型墙上围栏防风沙方法
CN108612397A (zh) * 2016-06-28 2018-10-02 蒋爱君 一种可调节墙上围栏防风沙的方法
CN108661417A (zh) * 2016-06-28 2018-10-16 蒋爱君 一种可调有纱网加固型围栏防风沙方法
CN108678541A (zh) * 2016-06-28 2018-10-19 蒋爱君 一种墙上加固型有纱网的围栏
CN108678538A (zh) * 2016-06-28 2018-10-19 蒋爱君 一种电磁复位有纱网的围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9094B1 (ko) 200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1365A (en) Fence construction
KR100941698B1 (ko) 펜스용 힌지
KR100409094B1 (ko) 건설현장 보호용 조립식 펜스
KR200223806Y1 (ko) 건설현장 보호용 조립식 펜스
KR102236839B1 (ko) 휀스
EP3567189B1 (en) Arrangement in a fence structure
KR200492378Y1 (ko) 경사지 지주 설치용 체결밴드
KR102066784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행자 안전 휀스
JP2744585B2 (ja) 組立式フェンス
KR100491346B1 (ko) 방사ㆍ방설용 펜스
KR102139820B1 (ko) 안전난간 구조체
KR101477752B1 (ko) 자유각 시공이 용이한 방호 울타리 및 이 시공 방법
KR102591449B1 (ko) 휀스 및 그 시공방법
KR102078207B1 (ko) 휀스
CN214273214U (zh) 一种考古工地临时围挡结构
CN217151538U (zh) 一种便于组装的园林栏栅
KR102145026B1 (ko) 경사지 및 곡선구간에 설치 가능하며, 지주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휀스 구조
KR102162962B1 (ko) 휀스
KR200359420Y1 (ko) 전주용 궁지선 금구
KR101315952B1 (ko) 자연의 경관을 조망하기 위한 시설물
EP3567190B1 (en) Arrangement in a fence structure
KR102317730B1 (ko) 물탱크 받침용 기초 조립체
KR200228819Y1 (ko) 나무지지대
CN218406690U (zh) 一种新型的平台龙骨支撑柱
KR102557666B1 (ko) 데크 로드 구조물 및 그 설치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