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346B1 - 방사ㆍ방설용 펜스 - Google Patents

방사ㆍ방설용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346B1
KR100491346B1 KR10-2003-0026375A KR20030026375A KR100491346B1 KR 100491346 B1 KR100491346 B1 KR 100491346B1 KR 20030026375 A KR20030026375 A KR 20030026375A KR 100491346 B1 KR100491346 B1 KR 100491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fence
blocking plate
horizontally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6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2153A (ko
Inventor
조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03-0026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1346B1/ko
Publication of KR20040092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3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56Cold runne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에 의하여 날아오는 모래나 눈이 도로나 급경사 지역 등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사ㆍ방설용 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바람에 의하여 날아오는 모래나 눈이 도로나 급경사 지역 등에 쌓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기본적인 기능은 물론, 특히 환경여건에 따라 설치각도를 변경하여 우수한 통풍성 및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임시적으로 해체하여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성 및 활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전반적으로 취급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방사ㆍ방설용 펜스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사ㆍ방설용 펜스{Snow/sand protection fence}
본 발명은 방사ㆍ방설용 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람에 의하여 날아오는 모래나 눈이 도로나 급경사 지역 등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나 급경사 지역 등의 진행방향에 따라 세워서 설치할 수 있고, 특히 우수한 통풍성을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환경여건에 따라 설치각도의 변경, 해체 등이 용이하여 기능성 향상과 취급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방사ㆍ방설용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람에 의하여 날아오는 모래나 눈이 도로 등에 미치는 영향이 많은 지역에서는 도로쪽 진행방향에 방사(防砂)나 방설(防雪)을 위한 펜스를 세워서 설치하고 있다.
기존의 펜스들은 통풍성이 없는 단순한 판체를 세워서 설치한 것이 대부분이며, 단순히 바람의 진입을 저지하는 정도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펜스구조에서는 펜스의 안쪽을 따라 무풍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특히 강풍시에는 펜스의 윗쪽으로 넘어간 바람이 무풍공간으로 역류하여 기류에 흐트러짐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방사나 방설의 기능을 거의 확보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은 단점을 보완한 통풍성이 있는 펜스가 일부 개발되어 있으나, 이것 역시 바람이 약한 경우에는 어느 정도 모래나 눈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보여주고 있지만, 바람이 강하게 부는 경우에는 방사나 방설에 대한 큰 효과는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 대부분의 펜스들은 한번 설치한 후 해체가 어려운 고정식의 시설물에 가깝기 때문에 주변의 환경변화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면, 계절별로 좀더 많은 통풍조건을 필요로 한다든지, 높이를 낮춰 주변경관의 시야를 확보한다든지 하는 등의 가변적인 조건을 충족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그 효용성 측면에서 많은 미흡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바람에 의하여 날아오는 모래나 눈이 도로나 급경사 지역 등에 쌓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기본적인 기능은 물론, 특히 환경여건에 따라 설치각도를 변경하여 우수한 통풍성 및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임시적으로 해체하여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성 및 활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전반적으로 취급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방사ㆍ방설용 펜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을 기초로 하여 세워지면서 일정거리를 유지하고 있고 높이 중간중간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지지용 바를 갖고 있으며 하단부를 한쪽으로 꺽어 접을 수 있는 다수의 포스트와, 상기 양편의 포스트 사이에 걸쳐지면서 수평으로 지지되고 전방을 향해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하여 그 사이사이로 바람의 진행을 가능하게 하면서 위아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띠판형태의 차단판과, 상기 포스트의 양편 상단에 고정된 지지브라켓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상부보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스트는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축이 체결되는 힌지를 이용하여 한쪽으로 꺽여서 수평상태로 접힐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스트는 하단부 힌지부위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다수의 차단판을 함께 겹쳐서 보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홀을 갖는 보관용 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판은 양단 핀의 체결각도에 따라 그 설치각도를 적어도 4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판은 상하 폭방향으로 요철단면이 반복되는 요철판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판은 서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차단판 본체상의 수직형 과 포스트의 지지용 바측으로 삽입 체결되는 수평형 핀에 의해 지지되어 포스트로부터 해체하거나 재설치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ㆍ방설용 펜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나 급경사 지역의 진행방향을 따라 적당한 거리(예를 들면, 4m 정도의 거리)를 유지하면서 각 지점에 콘크리트 기초공사를 한 후, 그 기초 위에 베이스 플레이트(17)를 볼팅 등으로 설치한다.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17)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는 일정한 높이로 포스트(11)를 설치한다.
상기 포스트(11)는 "ㄷ"자형 단면을 갖는 부재를 "U"자형태로 벤딩성형하여 부재 사이에 일정간격이 형성되게 하고, 그 사이에 체결홀(15)을 갖는 지지용 바(10)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수평 설치한다.
이러한 지지용 바(10)는 포스트(11)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균등 설치하고, 그 수량은 포스트(11)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판(12)의 수량에 맞게 설치하며, 양쪽의 포스트(11)에 있는 지지용 바(10)는 좌우 1개씩 높이를 동일하게 맞추어 서로 짝을 이루도록 한다.
이에 따라, 포스트(11)에 있는 양쪽의 지지용 바(10)에 차단판(12)을 수평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포스트(11)의 안정된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양편 포스트(100)의 상단에는 지지브라켓(19a)이 고정되며 이 지지브라켓(19a)에는 수평으로 양 포스트(11)를 잇는 상부보강대(19)가 결합된다. 이때 지지브라켓(19a)과 상부보강대(19)는 볼팅결합되며 핀결합시켜도 무방하다.
상기 지지용 바(10)가 갖는 체결홀(15)은 사각형의 홀로 가공하되, 홀의 형성위치를 90°회전된 상태로 가공하여, 즉 각 꼭지점이 상하 및 좌우측에 위치되게 가공하여 이곳에 삽입 체결되는 차단판(12)의 자세를 고정시키면서 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차단판(12)의 자세 고정 및 각도 조절은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위와 같이 설치되는 포스트(11)는 하단 기초만으로 그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각 포스트(11)의 상단부를 별도의 부재로 연결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포스트(11)는 하단부를 꺽어서 한쪽으로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미사용시의 공간점유율을 낮출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위하여, 포스트(11)의 하단부는 일정한 높이(예를 들면, 4m 정도의 높이를 갖는 포스트의 경우 지면에서 약 1m 정도의 높이)에 축이 체결되는 힌지(14)구조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힌지(14)부위를 꺽어서 포스트를 한쪽으로 접을 수 있다.
상기 차단판(12)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폭을 갖는 띠판형태의 요철판으로 제작하고, 그 양단부에는 보강을 위해 차단판 브라켓(18)을 덧대고 볼팅에 의해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요철판에는 다양한 형태, 즉 원형, 타원형, 장공, 네모 등의 통공을 형성하여 바람의 저항을 줄이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차단판(12)은 양단에 2개의 조합형으로 이루어진 핀(13)을 구비하고 있고, 이것을 이용하여 양쪽 포스트(11) 사이에 가로 걸쳐지면서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핀(13)은 차단판 본체상에 부착되는 수직형 핀(13a)과, 이 수직형 핀(13a)에 삽입 결합되면서 포스트(11)의 지지용 바(10)에 있는 체결홀(15)에 삽입 체결되는 수평형 핀(13b)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수직형 핀(13a)의 단부에는 수평형 핀(13b)에 결합 후 이탈을 방지하며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13c)이 결합된다.
상기 수평형 핀(13b)은 체결홀(15)의 단면형상과 마찬가지로 사각단면으로 되어 있어서, 체결홀(15)에 체결된 상태에서는 회전되는 일없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차단판(12)의 양단부에 돌출시킨 수직형 핀(13a)을 포함하는 차단판의 전체 길이는 포스트(11) 사이의 좌우 폭보다 약간 적기때문에 차단판(12) 및 수직형 핀(13a)을 수평형 핀(13b)으로부터 위쪽으로 빼내면 포스트(11)에서 쉽게 탈거할 수 있고, 설치는 그 반대조작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양쪽의 포스트(11) 사이에서 위아래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되는 다수의 차단판(12)은 각각이 일정한 경사진 각도을 유지함에 따라 통풍조건을 만족시키면서 바람에 날려오는 먼지나 눈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차단판(12)은 바람이 불어오는 전방에 대해 비스듬히 세워진 각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각 차단판 사이로는 꺽여서 아래로 진행되는 바람의 통로가 확보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바람에 실려온 모래나 눈은 차단판(12)의 전면에 부딪히면서 차단될 수 있다.
이렇게 차단되는 모래나 눈은 차단판(12)에 부딪혀 밑으로 떨어지므로, 그 뒷쪽으로 도로나 경사진 지역으로 모래나 눈이 쌓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차단판(12)은 양단부 수평형 핀(13b)의 체결방향을 전환시켜주면 그 설치각도를 적어도 4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각단면으로 되어 있는 핀의 각 모서리를 90°씩 돌려가면서 체결홀(15)에 삽입 체결하면, 차단판(12)의 설치각도를 수직선에 대해 좌우 대칭자세나 수평선에 대해 상하 대칭자세로 가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람의 방향이 바뀌는 경우, 바람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는 조건, 눈이 오지 않는 경우 등에는 차단판의 각도를 도 5와 같이 수평자세 등으로 가변시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통풍조건을 확보할 수 있고 또 충분한 시야조건을 확보할 수 있으며 도로의 경우 운전자의 위압감을 덜어주며 연접해 있는 농작물 등의 일조난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펜스의 미사용시에 따른 해체 및 보관상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각 포스트(11)의 하단부에는 다수의 체결홀(15)을 갖는 보관용 바(16)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한다.
이때의 체결홀(15)은 보관할 차단판(12)의 수에 맞게 형성한다.
따라서, 포스트(11)에 설치되어 있는 차단판(12)을 핀 분리를 통해 해체한 후, 이렇게 해체한 차단판(12)을 포스트(11)의 하단부에 있는 보관용 바(16)에 일렬로 겹쳐서 삽입 체결하여 함께 고정시키고, 계속해서 각 포스트(11)의 힌지(14)부위를 한쪽, 즉 안쪽으로 꺽어 접으면, 도 6 내지 도 7에 도시한 상태와 같이 펜스를 적은 부피로 보관할 수 있다.
상기에서 포스트(11)를 한쪽으로 꺽어 접기 위하여는 포스트(11)의 상단에 결합된 상부보강대(19)의 탈거작업이 먼저 시행되며, 이때 상부보강대(19)는 탈거 후 펜스의 바깥쪽에 길이방향으로 가지런히 보관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포스트(11)의 하단부 즉 힌지(14)와 차단판(12) 사이의 포스트(11)에 상단에 고정된 것과 같이 지지브라켓(19a)을 고정한 후 이에 수평으로 볼팅결합시킬 수 도 있다. 이에 따라 상부보강대(19)는 꺽어진 포스트(11)의 하측을 지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펜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간단한 작업으로 높이를 낮추고 적은 부피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도로의 경우에는 주변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우수한 통풍성을 발휘할 수 있고 환경여건에 따라 설치각도의 변경, 해체 등이 용이하여 기능성 향상과 취급의 편리함을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방사ㆍ방설용 펜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1) 눈보라에 의해 발생하는 도로에서의 눈의 쌓임, 흙 눈보라를 방지하고 시야 장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 산간부, 연안지대의 급경사에 발생하는 눈덮임을 방지하는 울타리로서 이용할 수 있고 민가 및 도로 통행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3) 산림을 조성하고 눈사태의 발생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조성하는 수목의 성장을 눈쌓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4) 해안선에서 도로의 방풍림을 모래날림으로부터 보호하고 보행자, 운전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5) 바람의 방향, 기후조건 등의 환경변화에 맞게 펜스의 설치상태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펜스의 기능성 및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6) 펜스의 미사용시 간단한 작업만으로 적은 부피로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으므로 도로 등의 경우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취급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7) 차단판을 수평상태로 할 경우, 펜스로부터 오는 운전자의 위압감을 줄일 수 있으며 펜스 외측의 농작물 등의 일조난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ㆍ방설용 펜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 부위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차단판을 회전시켜 설치한 상태를 보이는 부분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ㆍ방설용 펜스의 보관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용 바 11 : 포스트
12 : 차단판 13 : 핀
14 : 힌지 15 : 체결홀
16 : 보관용 바 17 : 베이스 플레이트
18 : 차단판 브라켓 19 : 상부보강대

Claims (1)

  1. 지면을 기초로 하여 세워지면서 일정거리를 유지하고 있고 높이 중간중간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지지용 바(10)를 갖고 있으며 하단부를 한쪽으로 꺽어 접을 수 있는 다수의 포스트(11)와, 상기 양편의 포스트(11) 사이에 걸쳐지면서 수평으로 지지되고 전방을 향해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하여 그 사이사이로 바람의 진행을 가능하게 하면서 위아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띠판형태의 차단판(12)과, 상기 포스트(11)의 양편 상단에 고정된 지지브라켓(19a)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상부보강대(19)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포스트(11)는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축(14)이 체결되는 힌지부위를 이용하여 한쪽으로 꺽여서 수평상태로 접힐 수 있도록 되며, 하단부 축체결부위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다수의 차단판(12)을 함께 겹쳐서 보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홀(15)을 갖는 보관용 바(16)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차단판(12)은 서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차단판 본체상의 수직형 핀(13a)과 포스트(11)의 지지용 바(10)측으로 삽입 체결되는 수평형 핀(13b)에 의해 지지되어 포스트(11)로부터 해체하거나 재설치가 가능하도록 되며, 양단 핀(13)의 체결각도에 따라 그 설치각도를 적어도 4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고, 상하 폭방향으로 요철단면이 반복되는 요철판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ㆍ방설용 펜스
KR10-2003-0026375A 2003-04-25 2003-04-25 방사ㆍ방설용 펜스 KR100491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375A KR100491346B1 (ko) 2003-04-25 2003-04-25 방사ㆍ방설용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375A KR100491346B1 (ko) 2003-04-25 2003-04-25 방사ㆍ방설용 펜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918U Division KR200320623Y1 (ko) 2003-04-25 2003-04-25 방사ㆍ방설용 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153A KR20040092153A (ko) 2004-11-03
KR100491346B1 true KR100491346B1 (ko) 2005-05-27

Family

ID=37372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375A KR100491346B1 (ko) 2003-04-25 2003-04-25 방사ㆍ방설용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134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207B1 (ko) 2007-05-04 2008-10-13 (주)와이.에스.씨 방풍판을 구비하는 방풍벽
CN105803959A (zh) * 2016-04-14 2016-07-27 成都佳美嘉科技有限公司 道路沙障结构
KR102580245B1 (ko) * 2023-02-23 2023-09-19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
KR102580231B1 (ko) * 2023-02-23 2023-09-19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사/방설용 차단판을 갖는 펜스
KR102580232B1 (ko) * 2023-02-23 2023-09-20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차단벽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2499A (zh) * 2020-12-10 2022-06-14 中国科学院西北生态环境资源研究院 倾斜式导沙栅栏、路堑隧道口防护体系及其应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207B1 (ko) 2007-05-04 2008-10-13 (주)와이.에스.씨 방풍판을 구비하는 방풍벽
CN105803959A (zh) * 2016-04-14 2016-07-27 成都佳美嘉科技有限公司 道路沙障结构
KR102580245B1 (ko) * 2023-02-23 2023-09-19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
KR102580231B1 (ko) * 2023-02-23 2023-09-19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사/방설용 차단판을 갖는 펜스
KR102580232B1 (ko) * 2023-02-23 2023-09-20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차단벽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153A (ko) 200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0773B1 (en) Mailbox snowplow block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10220857A1 (en) Protective barrier for winds carrying snow or sand
KR100737501B1 (ko) 가드레일을 이용한 동물 침입방지용 펜스
US10448772B1 (en) Mailbox protector
KR100491346B1 (ko) 방사ㆍ방설용 펜스
KR200320623Y1 (ko) 방사ㆍ방설용 펜스
JP5485970B2 (ja) 防風雪等のフェンス
JP2011026915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を備えた防護柵
KR100491349B1 (ko) 방풍 및 방사ㆍ방설용 펜스
US4997307A (en) Removable snow pole insert
JPS59118905A (ja) 風速低減のためのシ−ルド装置
KR200320625Y1 (ko) 방풍 및 방사ㆍ방설용 펜스
JP3785621B2 (ja) 防雪柵
CN212103712U (zh) 一种折叠式挡雪网
KR100491347B1 (ko) 방사ㆍ방설용 펜스
KR200320624Y1 (ko) 방사ㆍ방설용 펜스
JP3874769B2 (ja) 落石防護ネット構造及びその工法
JP3160240U (ja) 斜風誘導板付き吹き払い式防雪柵
FI96978B (fi) Melueste
CN219710150U (zh) 一种护栏
JP3339847B2 (ja) 防風ネットの支持構造
JP4096077B2 (ja) 吹き止め式防雪柵
JPH0111786Y2 (ko)
CN220685783U (zh) 一种防护到底的桥梁防护栏
CN219365679U (zh) 装配式临时围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