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245B1 -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 - Google Patents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245B1
KR102580245B1 KR1020230024560A KR20230024560A KR102580245B1 KR 102580245 B1 KR102580245 B1 KR 102580245B1 KR 1020230024560 A KR1020230024560 A KR 1020230024560A KR 20230024560 A KR20230024560 A KR 20230024560A KR 102580245 B1 KR102580245 B1 KR 102580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fixed
wind
frame
connec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4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230024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2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2Snow fences or similar devices, e.g.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and drifts or side-wind eff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2Ingredients treated with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지면의 양편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직립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매설봉과, 상기 매설봉을 지면에서 지지하고 둘레 가장자리에는 일정간격마다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다수의 체결홀을 통해 지면의 지중에 삽입되는 다수의 앵커볼트와, 상기 지면의 가장자리 일측에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측에서 자유 낙하하는 수분을 모아 배수시키는 배수로로 구성되어 있는 기초부; 상기 다수개의 매설봉 양편 각 상부에 직립되게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다수의 지지프레임들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접합 고정되는 연결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는 프레임부; 상기 양편의 지지프레임 사이사이에 일정각도를 유지하며 상측 및 하측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차단판; 및 상기 지지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의 접합 부분 상측에 내측으로 접합 고정되는 'ㄱ'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인장 수평헌치와, 상기 지지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의 접합 부분 하부에 내측으로 상기 상부인장 수평헌치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면서 접합 고정되는 'ㅗ'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 압축 수평헌치와, 상기 하부 압축 수평헌치의 단부가 접하는 부위 상측에 접합 고정되는 판 형태의 소성힌지 유도보강재로 구성되어 있는 상부 보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Roadside barriers to prevent icing on the road surface and block dust wind}
본 발명은 도로변 차단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겨울철 도로 노면에 적설로 인한 결빙을 방지함과 동시에 모래나 먼지바람 등이 운전자의 전방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특히 강풍에 대해 높은 지지강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람에 의해 흩날리거나 비산되는 모래의 양이 많은 도로, 혹은 노면에 쌓인 눈이 쉽사리 녹지 않아 결빙 가능성이 높은 도로에는 운전자의 안전한 차량 운행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방사(防砂), 방설(防雪)용 펜스가 설치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방사, 방설용 펜스들은 공기역학(aerodynamics) 구조를 고려하지 않은 채 설계되어 강한 바람에 의한 영향을 받을 경우 펜스의 일부분이 변형되거나 심할 경우 펜스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래서, 강한 바람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펜스들이 개발되었으나, 이들 펜스 역시 초기 설치단계에서 바람이 부는 다양한 방향을 입체적으로 고려한다기 보다는 어느 한 방향만을 염두해두고 설치하기 때문에 계절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바람의 위치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방사/방설용 펜스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일본 특허공개 2007-120091호에 '방설책'이 개시되어 있다.
위 선행기술은 유도사판을 통해 바람의 방향을 결정하여 도로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바람을 형성함으로써 눈이 도로의 노면으로 향하지 않도록 함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지향하고 있지만 유도사판의 경사각은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공기의 유속 또한 일정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도로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바람의 속도가 느리고 세기가 약하여 방설책으로서의 효용성이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에는 방설책이 쉽게 전도(顚倒)되거나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20091호(SNOW BLOWING-TYPE SNOW FENCE, 2010.09.30. 공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9600호(태양광을 이용하는 각도 가변형 방풍벽, 2015.10.26. 공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9067호(도로에 설치되는 방설책, 2008.04.03.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강풍에 대해 높은 지지강성을 발휘할 수 있는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래, 먼지바람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운전자에게 쾌적한 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겨울철 도로 노면상에 적설로 인한 결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는, 도로변에 차량 진행방향으로 설치되는 차단벽에 있어서, 설치대상 지면의 양편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직립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매설봉(111)과, 상기 매설봉(111)을 설치대상 지면에서 지지하고 둘레 가장자리에는 일정간격마다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2)와, 상기 다수의 체결홀을 통해 설치대상 지면의 지중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는 다수의 앵커볼트(113)와, 상기 설치대상 지면의 가장자리 일측에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측에서 자중에 의해 자유 낙하하는 수분을 모아 일측방향으로 배수시키는 배수로(114)로 구성되어 있는 기초부(110); 상기 다수개의 매설봉(111) 양편 각 상부에 직립되게 용접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121)과, 상기 다수의 지지프레임(121)들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접합 고정되는 연결프레임(122)으로 구성되어 있는 프레임부(120); 상기 양편의 지지프레임(121) 사이사이에 일정각도를 유지하며 상측방향 및 하측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차단판(130); 및 상기 지지프레임(121)과 연결프레임(122)의 접합 부분 상측에 내측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접합 고정되는 측면상 'ㄱ'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인장 수평헌치(141)와, 상기 지지프레임(121)과 연결프레임(122)의 접합 부분 하부에 내측으로 상기 상부인장 수평헌치(141)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면서 접합 고정되는 정단면상 'ㅗ'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 압축 수평헌치(142)와, 상기 하부 압축 수평헌치(142)의 단부가 접하는 부위 상측에 접합 고정되는 판 형태의 소성힌지 유도보강재(143)로 구성되어 있는 상부 보강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의 제2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소성힌지 유도보강재(143)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금속재질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의 제3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지지프레임(121)과 연결프레임(122)의 접합 부위 하부에는 내측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접합 고정되는 측면상 'ㄱ'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합부 수평헌치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의 제4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차단판(130)의 일측 표면 또는 타측 표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표면에는 단열작용을 유도하는 열교환도료가 도포될 수 있고, 상기 열교환도료는 아크릴 수지 10 - 48wt%, 폴리우레탄 수지와 아크릴산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아크릴에멀젼 수지 10 - 20wt%, 안료 1 - 5wt%,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구 형상의 고분자 재료와 상기 고분자 재료를 감싸는 무기질 재료로 이루어진 열교환물질 10 - 20wt%, 비스무트, 아연, 실리콘, 망간, 안티몬, 니켈, 티타늄, 코발트, 알루미늄, 크롬, 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차열안료 40 - 60중량%와 바인더 기능을 하는 물유리계 폼 비트 40 - 60중량%로 이루어진 첨가제 1 - 5wt% 및 물 30 - 40wt%로 조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에 의하면,
첫째, 상부인장 수평헌치와 하부 압축 수평헌치의 결합 구조를 통해 차단벽의 접합부에서 압축하중 및 인장하중에 대한 보강을 구현하고, 지지프레임에서 인가되는 진동하중에 대하여 소성힌지 발생구간을 유도함으로서 태풍과 같은 강력한 풍하중에 의한 전도를 방지할 수 있으며.
둘째, 모래, 먼지바람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서 운전자에게 쾌적한 전방시야를 제공할 수 있고,
셋째, 겨울철 도로 노면에 적설로 인한 결빙을 방지할 수 있어 도로 통행에 대한 안전성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하기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의 구성 중, 상부 보강부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의 구성 중, 상부 보강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의 구성 중, 지지프레임에 풍하중이 가해질 경우를 가정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지지프레임을 중심으로 MOMENT 발생영역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결코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복수'는 2개를 의미할 수 있고, '다수'는 2개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차단벽은 도로변에 차량 진행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기초부(110), 프레임부(120), 차단판(130) 및 보강부(140)로 구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초부(110)는 설치대상 지면에 매설되어 지지프레임(121)을 견고히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매설봉(111), 베이스 플레이트(112), 앵커볼트(113) 및 배수로(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매설봉(11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개가 설치대상 지면의 양편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거리마다 직립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매설봉(111)은 도로나 급경사 지점의 차량 진행방향으로 적당한 거리(예를 들면, 4m 정도의 거리)를 유지하면서 각 지점에 콘크리트 기초공사를 한 후, 기초 위의 양편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직립되게 설치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2)는 상기 매설봉(111)을 설치대상 지면에서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둘레 가장자리에는 일정간격마다 다수의 체결홀(도면 미도시)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홀은 앵커볼트(113)를 삽입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앵커볼트(113)는 상기 체결홀을 통해 설치대상 지면의 지중에 일정 깊이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로(114)는 도 1 또는 도 2에서와 같이, 설치대상 지면의 가장자리 일측에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 지점에서 자중에 의해 자유 낙하하는 수분을 집수하여 일측방향으로 배수시킨다.
상기 수분은 바람에 의해 흩날리는 눈이 녹으면서 생성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바람에 의해 흩날리는 눈이 차단판(130)을 통과하거나 부딪힐 때, 차단판(130)으로부터 발휘되는 단열 효과에 의해 눈의 결정이 수분으로 변화하게 되고, 상기 수분은 자중에 의해 자유 낙하되면서 배수로(114)로 집수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부(12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21) 및 연결프레임(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21)은 다수개의 매설봉(111) 양편 각 상부에 직립되게 용접 결합되고, 차량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21)에 대한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프레임(121)은 'ㄷ' 자형 단면을 갖는 부재를 "U"자 형태로 밴딩 성형하여 부재 사이에 일정간격이 형성되게 하고, 그 사이에 별도의 체결홀을 갖는 지지용 바(도면 미도시)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수평 설치할 수 있다. 상기한 지지용 바는 지지프레임(121)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균등 설치할 수 있고, 그 수량은 지지프레임(121)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판(130)의 수량에 맞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21)의 측면은 도 2에서와 같이 소위 '∩'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H' 자형 단면을 갖는 빔부재로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프레임(122)은 다수의 지지프레임(121)들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접합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단판(130)은 상기 양편의 지지프레임(121) 사이사이에 일정각도를 유지하며 상측방향 및 하측방향으로 평행하게 다수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21) 사이에서 상측방향 및 하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되는 다수의 차단판(130)은 각각이 일정한 경사 각도를 유지하는 가운데 통풍조건을 충분히 충족시키면서 바람을 타고 실려오는 모래나 먼지바람, 또는 눈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판(130)은 양쪽 지지프레임(121)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양단이 지지프레임(121)상에 직접 볼팅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다수의 차단판(130)이 위쪽과 아래쪽으로 나란하게 배치하면서 고정시키게 되면 양쪽 지지프레임(121) 사이의 전체 면적을 모두 마감할 수 있다.
상기 차단판(130)에 대한 추가 실시예로서, 상기 차단판(130)의 일측 표면 또는 타측 표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표면에는 단열작용을 유도하는 열교환도료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차단판(130)의 표면에 단열작용을 유도하기 위한 열교환도료를 도포할 경우, 바람에 실려오는 눈은 상기 차단판(130)에 부딪히면서 액체 상태의 수분으로 상변화하게 되고, 상변화된 수분은 자중에 의해 배수로(114)를 향해 자유 낙하하므로 도로 노면상에 눈이 쌓이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열교환도료의 조성물질 및 조성비에 대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열교환도료는 아크릴 수지 10 내지 48wt%, 폴리우레탄 수지와 아크릴산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아크릴에멀젼 수지 10 내지 20wt%, 안료 1 내지 5wt%,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구 형상의 고분자 재료와 상기 고분자 재료를 감싸는 무기질 재료로 이루어진 열교환물질 10 내지 20wt%, 비스무트, 아연, 실리콘, 망간, 안티몬, 니켈, 티타늄, 코발트, 알루미늄, 크롬, 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차열안료 40 내지 60중량%와 바인더 기능을 하는 물유리계 폼 비트 40 내지 60중량%로 이루어진 첨가제 1 내지 5wt% 및 물 30 내지 40wt%로 조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판(130)에 대한 다른 추가 실시예로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차단판(130)은 폭방향으로 요철이 반복되는 요철판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체 면적에 걸쳐 다수의 타공망을 갖게 하여 풍속을 보다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요철구조는 차단판(130) 자체의 강성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타공망은 주변의 시야나 경관의 확보를 가능케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의 구성 중, 상부 보강부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의 구성 중, 상부 보강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의 구성 중, 지지프레임에 풍하중이 가해질 경우를 가정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지지프레임을 중심으로 MOMENT 발생영역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보강부(140)는 상부인장 수평헌치(141), 하부 압축 수평헌치(142) 및 소성힌지 유도보강재(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인장 수평헌치(141)는 상기 지지프레임(121)과 연결프레임(122)의 접합 부분 상측에 내측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접합 고정되고, 측면상 'ㄱ'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인장 수평헌치(141)는 인장력의 작용을 도모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하부 압축 수평헌치(142)와의 유기적인 작용을 통해 내진성능 향상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압축 수평헌치(142)는 연결프레임(122)의 상부에서 인가되는 하중 및 자중에 의해 발생하는 압축력에 대하여 보강하도록 내력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소성힌지 유도보강재(143)는 연결프레임(122)의 양측 상단에서 발생하는 인장하중에 대한 내력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적 구현을 위해서는, 하부 압축 수평헌치(142)는 지지프레임(121)과 연결프레임(122)의 접합 부분 하부에 내측으로 상기 상부인장 수평헌치(141)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면서 접합 고정되는 정단면상 'ㅗ'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소성힌지 유도보강재(143)는 하부 압축 수평헌치(142)의 단부가 접하는 부위 상측에 접합 고정되는 판(plate)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압축 수평헌치(142) 및 소성힌지 유도보강재(143)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하부 압축 수평헌치(142) 및 소성힌지 유도보강재(143)를 통해 지지프레임(121)들에 대하여 연결프레임(122)의 양단에 형성되는 압축하중 및 인장하중에 대응하는 내력을 보강하여 안정성을 확보함은 물론, 강력한 태풍 발생시에 상기 지지프레임(121)과 상기 연결프레임(122)의 접합면으로 인가되는 진동하중에 의한 소성힌지를 상기 하부 압축 수평헌치(142) 및 소성힌지 유도보강재(143)를 통해 소성힌지구간을 원하는 위치로 유도하여 취성파괴에 대한 접합부의 취성파괴를 막고, 이와 동시에 내진성 및 강풍에 대한 지지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소성힌지 유도보강재(143)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금속재질 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121)과 연결프레임(122)의 접합 부위 하부에는 내측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접합 고정되는 측면상 'ㄱ'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합부 수평헌치(도면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합부 수평헌치는 압축하중 및 인장하중에 대해 더욱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에 따르면, 첫째, 상부인장 수평헌치와 하부 압축 수평헌치의 결합 구조를 통해 차단벽의 접합부에서 압축하중 및 인장하중에 대한 보강을 구현하고, 지지프레임에서 인가되는 진동하중에 대하여 소성힌지 발생구간을 유도함으로서 태풍과 같은 강력한 풍하중에 의한 전도를 방지할 수 있으며, 둘째, 모래, 먼지바람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서 운전자에게 쾌적한 전방시야를 제공할 수 있고, 셋째, 겨울철 도로 노면에 적설로 인한 결빙을 방지할 수 있어 도로 통행에 대한 안전성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10 : 기초부 111 : 매설봉
112 : 베이스 플레이트 121a : 차단판 체결홀
113 : 앵커볼트 114 : 배수로
120 : 프레임부 121 : 지지프레임
122 : 연결프레임 130 : 차단판
140 : 상부 보강부 141 : 상부인장 수평헌치
142 : 하부 압축 수평헌치 143 : 소성힌지 유도보강재

Claims (4)

  1. 도로변에 차량 진행방향으로 설치되는 차단벽에 있어서,
    설치대상 지면의 양편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직립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매설봉(111)과, 상기 매설봉(111)을 설치대상 지면에서 지지하고 둘레 가장자리에는 일정간격마다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2)와, 상기 다수의 체결홀을 통해 설치대상 지면의 지중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는 다수의 앵커볼트(113)와, 상기 설치대상 지면의 가장자리 일측에 함몰되게 형성되며, 바람에 의해 흩날리는 눈이 하기 차단판을 통과하거나 부딪힐 때, 차단판으로부터 발휘되는 단열 효과에 의해 눈의 결정이 수분으로 변화하게 되면서 자중에 의해 자유 낙하하는 수분을 모아 일측방향으로 배수시키는 배수로(114)로 구성되어 있는 기초부(110);
    상기 다수개의 매설봉(111) 양편 각 상부에 직립되게 용접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121)과, 상기 다수의 지지프레임(121)들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접합 고정되는 연결프레임(122)으로 구성되어 있는 프레임부(120);
    상기 양편의 지지프레임(121) 사이사이에 일정각도를 유지하며 상측방향 및 하측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폭방향으로 요철이 반복되는 요철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다수의 차단판(130); 및
    상기 지지프레임(121)과 연결프레임(122)의 접합 부분 상측에 내측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접합 고정되는 측면상 'ㄱ'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인장 수평헌치(141)와, 상기 지지프레임(121)과 연결프레임(122)의 접합 부분 하부에 내측으로 상기 상부인장 수평헌치(141)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면서 접합 고정되는 정단면상 'ㅗ'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 압축 수평헌치(142)와, 상기 하부 압축 수평헌치(142)의 단부가 접하는 부위 상측에 접합 고정되는 판 형태의 소성힌지 유도보강재(143)로 구성되어 있는 상부 보강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소성힌지 유도보강재(143)는 직사각형의 금속재질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프레임(121)과 연결프레임(122)의 접합 부위 하부에는 내측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접합 고정되는 측면상 'ㄱ'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합부 수평헌치가 구비되며,
    상기 차단판(130)의 일측 표면 또는 타측 표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표면에는 단열작용을 유도하는 열교환도료가 도포되고, 상기 열교환도료는 아크릴 수지 10 - 48wt%, 폴리우레탄 수지와 아크릴산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아크릴에멀젼 수지 10 - 20wt%, 안료 1 - 5wt%,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구 형상의 고분자 재료와 상기 고분자 재료를 감싸는 무기질 재료로 이루어진 열교환물질 10 - 20wt%, 비스무트, 아연, 실리콘, 망간, 안티몬, 니켈, 티타늄, 코발트, 알루미늄, 크롬, 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차열안료 40 - 60중량%와 바인더 기능을 하는 물유리계 폼 비트 40 - 60중량%로 이루어진 첨가제 1 - 5wt% 및 물 30 - 40wt%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30024560A 2023-02-23 2023-02-23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 KR102580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560A KR102580245B1 (ko) 2023-02-23 2023-02-23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560A KR102580245B1 (ko) 2023-02-23 2023-02-23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245B1 true KR102580245B1 (ko) 2023-09-19

Family

ID=88196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4560A KR102580245B1 (ko) 2023-02-23 2023-02-23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24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346B1 (ko) * 2003-04-25 2005-05-27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방사ㆍ방설용 펜스
KR100819067B1 (ko) 2008-01-22 2008-04-03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도로에 설치되는 방설책
KR101172497B1 (ko) * 2012-02-22 2012-08-10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도로용 투명방음벽 구조
KR20150119600A (ko) 2014-04-16 2015-10-26 신범휴 태양광을 이용하는 각도 가변형 방풍벽
KR20180010833A (ko) * 2016-07-22 2018-01-3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헌치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내진 보강 접합부
KR101896971B1 (ko) * 2018-03-12 2018-09-10 이큐구조엔지니어링(주) 내진접합부를 가지는 철골구조물
KR102101788B1 (ko) * 2019-02-27 2020-04-20 주식회사 성은씨엔씨 열교환도료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346B1 (ko) * 2003-04-25 2005-05-27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방사ㆍ방설용 펜스
KR100819067B1 (ko) 2008-01-22 2008-04-03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도로에 설치되는 방설책
KR101172497B1 (ko) * 2012-02-22 2012-08-10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도로용 투명방음벽 구조
KR20150119600A (ko) 2014-04-16 2015-10-26 신범휴 태양광을 이용하는 각도 가변형 방풍벽
KR20180010833A (ko) * 2016-07-22 2018-01-3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헌치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내진 보강 접합부
KR101896971B1 (ko) * 2018-03-12 2018-09-10 이큐구조엔지니어링(주) 내진접합부를 가지는 철골구조물
KR102101788B1 (ko) * 2019-02-27 2020-04-20 주식회사 성은씨엔씨 열교환도료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20091호(SNOW BLOWING-TYPE SNOW FENCE, 2010.09.30. 공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6438A (en) Modular rock catchment barrier
EP1728924B1 (en) Device for holding sliding masses or bodies
KR100737501B1 (ko) 가드레일을 이용한 동물 침입방지용 펜스
JP3143816U (ja) 落石防護ネット構造
KR102580245B1 (ko) 도로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고 먼지바람을 차단하는 도로변 차단벽
US11427976B2 (en) Barrier system and barrier system installation method
JP5490670B2 (ja) 落石防護ネット構造
US20220349137A1 (en) Barrier System and Barrier System Installation Method
CN109577351B (zh) 土石方开挖安全防护结构及土石方开挖安全防护方法
KR102580231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사/방설용 차단판을 갖는 펜스
US9909272B2 (en) Crash guard
KR100863207B1 (ko) 방풍판을 구비하는 방풍벽
KR100491349B1 (ko) 방풍 및 방사ㆍ방설용 펜스
JP7072821B2 (ja) 離間型スノーシェルター
CN110144805B (zh) 一种具有抗横向力的公路桥梁
KR101235823B1 (ko)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 방호울타리
CN202543814U (zh) 一种双层柔性防风网
JP3134480U (ja) 雪崩予防柵
RU169180U1 (ru) Двухстороннее фронтально-боковое ограждение
KR100629909B1 (ko) 도로용 이단 보조시설구조를 갖는 낙석 방지장치
CN218203946U (zh) 一种高陡边坡下公路碎石防护结构
KR200320625Y1 (ko) 방풍 및 방사ㆍ방설용 펜스
CN219710150U (zh) 一种护栏
CN113931094B (zh) 一种自适应弹塑性偏转芦苇束式沙障
CN215593792U (zh) 一种市政工程用的安全限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