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117B1 - 난간 또는 펜스 설치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난간 또는 펜스 설치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117B1
KR102006117B1 KR1020190008846A KR20190008846A KR102006117B1 KR 102006117 B1 KR102006117 B1 KR 102006117B1 KR 1020190008846 A KR1020190008846 A KR 1020190008846A KR 20190008846 A KR20190008846 A KR 20190008846A KR 102006117 B1 KR102006117 B1 KR 102006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fence
fixing
fixed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현준
문현우
Original Assignee
문현준
문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현준, 문현우 filed Critical 문현준
Priority to KR1020190008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11/1834Connections therefor with adjustable angle, e.g. pivotal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04F2011/1821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andrails
    • E04H2017/149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펜스나 난간의 설치를 위해 연결이 필요한 부재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외주면에 제 1 회전결합부가 마련되는 고정축부재; 상기 고정축부재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회전결합부를 감싸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제 2 회전결합부가 마련되며, 각각의 끝단에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곡률을 가지는 볼수용부가 마련되는 볼하우징; 상기 볼수용부 내에 이탈이 억제되도록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볼수용부로부터 돌출되도록 가동축이 마련되는 볼; 상기 볼을 회피하도록 상기 볼하우징 각각을 서로 관통하여 고정너트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볼하우징을 서로 결합시켜서 상기 고정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상기 볼이 상기 볼수용부로부터 이탈이 억제되도록 하는 고정볼트; 및 상기 가동축의 끝단에 마련되는 힌지결합부;를 포함하도록 한 난간 또는 펜스 설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축에 의한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축간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펜스나 난간의 설치를 위한 연결구조가 다양한 각도와 자세를 이루도록 하고, 이로 인해 난간이나 펜스가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간이나 펜스 설치의 장소적 제약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난간이나 펜스의 편리한 설치를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난간 또는 펜스 설치용 브라켓{Brackets for mounting railing or fence}
본 발명은 난간 또는 펜스 설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난간이나 펜스를 다양한 형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간이나 펜스 설치의 장소적 제약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난간이나 펜스의 편리한 설치를 가능하도록 하는 난간 또는 펜스 설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울타리는 주택이나 초지 등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통상 수직 지주대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후 각각의 지주대 사이를 일정 면적을 갖도록 제작된 펜스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펜스는 상하로 일정 거리를 두고 수평바를 설치한 후, 상기 수평바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격시켜 수직판재를 설치하고 있는데, 평편한 곳에만 설치되지 않고 경사진 곳에도 설치되고, 일직선 상태로만 설치되지 않고 틀어진 상태로 설치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지주대에 수평의 펜스부재를 결합시키는 브라켓의 구조를 개량함으로써 펜스를 경사지게 설치하거나 또는 방향을 틀어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종래 펜스의 설치를 위해 사용되는 브라켓에 대한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250988호의 "펜스용 브라켓"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일정 간격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수직 지주대의 측면에 나사로 고정되는 한편 일측으로 평단면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측방향으로 돌출된 결합캡을 상하로 형성하되 상기 결합캡 사이에는 개방홈이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결합캡에는 내측에 회동 브라켓을 끼워주어 결합캡에 회동 브라켓의 상하측이 걸려 좌우로 회동되게 하되 상기 회동 브라켓의 측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고리는 고정 브라켓에 형성된 개방홈을 통하여 돌출되게 하고, 상기 회동 브라켓의 결합고리에는 힌지로 결합고리를 끼워 결합고리가 상하로 회동되게 하되 상기 결합고리가 측방향으로 형성되는 펜스 브라켓에는 펜스를 구성하는 수평바가 끼워지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고정 각도를 가지는 2축의 회동만 허용됨으로써, 회전의 기준이 되는 축 간의 각도 조절이 불가능하고, 이와 함께 2축 회동으로 제함됨으로써, 펜스의 형태 및 자세 자유도를 높이는데 한계로서 작용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 역시 펜스의 형태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여전히 설치의 장소적 제약은 물론 설치의 어려움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축에 의한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축간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난간이나 펜스의 설치를 위한 연결구조가 다양한 각도와 자세를 이루도록 하고, 이로 인해 난간이나 펜스가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간이나 펜스 설치의 장소적 제약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난간이나 펜스의 편리한 설치를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펜스나 난간의 설치를 위해 연결이 필요한 부재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외주면에 제 1 회전결합부가 마련되는 고정축부재; 상기 고정축부재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회전결합부를 감싸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제 2 회전결합부가 마련되며, 각각의 끝단에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곡률을 가지는 볼수용부가 마련되는 볼하우징; 상기 볼수용부 내에 이탈이 억제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볼수용부로부터 돌출되도록 가동축이 마련되는 볼; 상기 볼을 회피하도록 상기 볼하우징 각각을 서로 관통하여 고정너트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볼하우징을 서로 결합시켜서 상기 볼하우징이 상기 고정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상기 볼이 상기 볼수용부로부터 이탈이 억제되도록 하는 고정볼트; 및 상기 가동축의 끝단에 마련되는 힌지결합부;를 포함하는 난간 또는 펜스 설치용 브라켓이 제공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심부에 장착홈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을 관통하는 고정볼트가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는 고정축부재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고정축부재가 수직되게 고정되고, 가장자리가 볼트에 의해 상기 연결이 필요한 부재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볼하우징은, 상기 볼수용부가 길이방향으로 외측을 향하여 볼록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다른 볼하우징과의 상기 볼수용부 간의 경계 부분에 상기 가동축이 수용됨으로써 가동범위를 확장시키도록 회피홈이 외측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연결이 필요한 부재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힌지결합부재의 결합편이 내측에 삽입되도록 "U"자 형태를 가지고서,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결합편이 힌지결합볼트와 힌지결합너트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간 또는 펜스 설치용 브라켓에 의하면, 다축에 의한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축간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펜스나 난간의 설치를 위한 연결구조가 다양한 각도와 자세를 이루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난간이나 펜스가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간이나 펜스 설치의 장소적 제약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난간이나 펜스의 편리한 설치를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난간 또는 펜스 설치용 브라켓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난간 또는 펜스 설치용 브라켓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난간 또는 펜스 설치용 브라켓에 대한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난간 또는 펜스 설치용 브라켓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난간 또는 펜스 설치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펜스를 설치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난간 또는 펜스 설치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펜스를 설치한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난간 또는 펜스 설치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펜스를 설치한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난간 또는 펜스 설치용 브라켓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난간 또는 펜스 설치용 브라켓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난간 또는 펜스 설치용 브라켓(100)은 고정부재(110), 고정축부재(120), 볼하우징(130), 볼(140) 및 고정볼트(150) 및 힌지결합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110)는 펜스나 난간의 설치를 위해 연결이 필요한 부재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데, 일례로, 수직으로 설치되는 포스트(10)에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포스트(10)에 대략 수평되게 연결되는 펜수부재(11)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이 밖에도 난간과 이의 설치를 필요로 하는 메인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하나에 고정될 수도 있다.
고정부재(110)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중심부에 장착홈(111)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장착홈(111)을 관통하는 다수의 고정볼트(112)가 장착홈(111)에 장착되는 고정축부재(120)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고정축부재(120)가 수직되게 고정될 수 있고, 가장자리가 볼트(미도시)에 의해 연결이 필요한 부재 중 어느 하나, 예컨대 포스트(10; 도 5에 도시)에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하지 않고, 포스트(10)에 연결되기 위한 펜스부재(20; 도 5에 도시) 또는 난간이나 이의 고정을 필요로 하는 메인부재 등에 고정될 수도 있다.
고정축부재(120)는 고정부재(110)에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외주면에 제 1 회전결합부(121)가 마련된다. 한편, 고정축부재(12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고정부재(110)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고정부재(110)에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볼하우징(130)은 고정축부재(12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제 1 회전결합부(121)를 감싸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제 2 회전결합부(131)가 마련되며, 각각의 끝단에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곡률을 가지는 볼수용부(132)가 마련된다. 제 1 및 제 2 회전결합부(121,131) 각각은 링형태의 돌기 및 링형태의 홈에 의해 서로 요철됨으로써 축방향으로 이탈이 억제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볼하우징(130)은 볼수용부(132)가 길이방향으로 외측을 향하여 볼록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볼(140)이 이탈되지 못하도록 최대한 수용하면서도 가동축(141)의 가동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고, 다른 볼하우징(130)과의 볼수용부(132) 간의 경계 부분에 가동축(141)이 수용됨으로써 가동범위를 확장시키도록 회피홈(133)이 외측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볼수용부(132) 내에서 볼(140)의 회전에 의해 가동축(141)이 최대 180도 범위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볼(140)은 볼수용부(131) 내에 이탈이 억제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볼수용부(131)로부터 돌출되도록 가동축(141)이 마련된다. 따라서, 볼(140)이 볼수용부(132) 내에서 자유자재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고정축부재(120)와 가동축(141)이 이루는 각도가 다양하도록 조절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후술하게 될 힌지 결합으로 인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결합부(170)를 포함한 상태에서 3축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축간의 미세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연결시키고자 하는 부재, 예컨대 포스트(10) 및 펜스부재(11) 간의 각도 조절이 용이해진다.
고정볼트(150)는 볼(140)을 회피하도록 볼하우징(130) 각각을 서로 관통하여 고정너트(160)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볼하우징(130)을 서로 결합시켜서 볼하우징(130)이 고정축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볼(140)이 볼수용부(132)로부터 이탈이 억제되도록 한다. 볼하우징(130)은 고정볼트(150)의 관통을 위하여 관통홀(134)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결합부(170)는 가동축(141)의 끝단에 마련되는데, 가동축(141)의 끝단에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가동축(141)의 끝단에 나사 결합되거나, 가동축(1410의 끝단에 용접되거나, 그 밖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가동축(141)의 끝단에 마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힌지결합부(170)는 연결이 필요한 부재 중 다른 하나, 예컨대 펜스부재(20)에 고정되는 힌지결합부재(200)의 결합편(220)이 내측에 삽입되도록 "U"자 형태를 가지고서, 내측으로 삽입된 결합편(220)이 힌지결합볼트(310)와 힌지결합너트(320)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관통홀(171; 도 1에 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힌지결합부재(200)는 본 실시례에서 펜스부재(20)에 고정됨을 나타내나, 이에 한하지 않고 포스트(10)나 그 밖의 난간이나 이의 연결을 필요로 하는 메인부재 등에 고정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볼트 고정을 위한 고정부재(210)에 결합편(220)이 수직되게 일체를 이루도록 마련되고, 결합편(220)에 힌지축의 역할을 하는 힌지결합볼트(310)가 체결되도록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난간 또는 펜스 설치용 브라켓(100)에 따르면,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포스트부재(10)에 펜스부재(20)를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축에 의한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축간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펜스나 난간의 설치를 위한 연결구조가 다양한 각도와 자세를 이루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난간이나 펜스가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간이나 펜스 설치의 장소적 제약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난간이나 펜스의 편리한 설치를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포스트 20 : 펜스부재
100 : 난간 또는 펜스 설치용 브라켓 110 : 고정부재
111 : 장착홈 112 : 고정볼트
120 : 고정축부재 121 : 제 1 회전결합부
130 : 볼하우징 131 : 제 2 회전결합부
132 : 볼수용부 133 : 회피홈
140 : 볼 141 : 가동축
150 : 고정볼트 160 : 고정너트
170 : 힌지결합부 171 : 관통홀
200 : 힌지결합부재 210 : 고정부재
220 : 결합편 310 : 힌지결합볼트
320 : 힌지결합너트

Claims (4)

  1. 펜스나 난간의 설치를 위해 연결이 필요한 부재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외주면에 제 1 회전결합부가 마련되는 고정축부재;
    상기 고정축부재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회전결합부를 감싸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제 2 회전결합부가 마련되며, 각각의 끝단에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곡률을 가지는 볼수용부가 마련되는 볼하우징;
    상기 볼수용부 내에 이탈이 억제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볼수용부로부터 돌출되도록 가동축이 마련되는 볼;
    상기 볼을 회피하도록 상기 볼하우징 각각을 서로 관통하여 고정너트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볼하우징을 서로 결합시켜서 상기 볼하우징이 상기 고정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상기 볼이 상기 볼수용부로부터 이탈이 억제되도록 하는 고정볼트; 및
    상기 가동축의 끝단에 마련되는 힌지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전결합부 및 제 2 회전결합부 각각은 링형태의 돌기 및 링형태의 홈에 의해 서로 요철됨으로써 축방향으로 이탈이 억제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심부에 장착홈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을 관통하는 고정볼트가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는 고정축부재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고정축부재가 수직되게 고정되고, 가장자리가 볼트에 의해 상기 연결이 필요한 부재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상기 볼하우징은,
    상기 볼수용부가 길이방향으로 외측을 향하여 볼록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다른 볼하우징과의 상기 볼수용부 간의 경계 부분에 상기 가동축이 수용됨으로써 가동범위를 확장시키도록 회피홈이 외측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연결이 필요한 부재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힌지결합부재의 결합편이 내측에 삽입되도록 "U"자 형태를 가지고서,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결합편이 힌지결합볼트와 힌지결합너트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또는 펜스 설치용 브라켓.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08846A 2019-01-23 2019-01-23 난간 또는 펜스 설치용 브라켓 KR102006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846A KR102006117B1 (ko) 2019-01-23 2019-01-23 난간 또는 펜스 설치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846A KR102006117B1 (ko) 2019-01-23 2019-01-23 난간 또는 펜스 설치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117B1 true KR102006117B1 (ko) 2019-07-31

Family

ID=67473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846A KR102006117B1 (ko) 2019-01-23 2019-01-23 난간 또는 펜스 설치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1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64912A (zh) * 2020-09-01 2020-12-11 安徽星辉工业科技有限公司 一种护栏简易接头
KR102289165B1 (ko) * 2020-09-07 2021-08-12 주식회사 아주기업 디자인용 울타리
KR20220137311A (ko) * 2021-04-02 2022-10-12 노덕현 난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872B1 (ko) * 2009-02-03 2009-07-23 김이남 경계펜스
KR20120125100A (ko) * 2011-05-06 2012-11-14 주식회사 톤 난간지주의 가드레일 체결구
KR20140087718A (ko) * 2012-12-31 2014-07-09 주식회사 더우드 전 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872B1 (ko) * 2009-02-03 2009-07-23 김이남 경계펜스
KR20120125100A (ko) * 2011-05-06 2012-11-14 주식회사 톤 난간지주의 가드레일 체결구
KR20140087718A (ko) * 2012-12-31 2014-07-09 주식회사 더우드 전 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연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64912A (zh) * 2020-09-01 2020-12-11 安徽星辉工业科技有限公司 一种护栏简易接头
CN112064912B (zh) * 2020-09-01 2022-02-22 安徽星辉工业科技有限公司 一种护栏简易接头
KR102289165B1 (ko) * 2020-09-07 2021-08-12 주식회사 아주기업 디자인용 울타리
KR20220137311A (ko) * 2021-04-02 2022-10-12 노덕현 난간
KR102620886B1 (ko) * 2021-04-02 2024-01-03 노덕현 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117B1 (ko) 난간 또는 펜스 설치용 브라켓
US7895713B2 (en) Fence hinge
US10413097B2 (en) Modular food guard system
KR100724306B1 (ko) 감시 카메라용 브라켓
KR20190061951A (ko) 지능형 국방경계 감시 카메라 장치
US20110052179A1 (en) Mounting device for security camera
KR200440303Y1 (ko) 돔 형 감시 카메라 장치
GB2354040A (en) Pivotal coupling structure for panels
JP2888541B2 (ja) 監視カメラの取付構造
KR200490442Y1 (ko) 감시 카메라를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할 수 있는 천정형 브라켓 장치
AU2022224774B2 (en) Triaxial dome-type surveillance camera
KR20190103696A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행자 안전 휀스
KR20150010510A (ko) 울타리용 연결 장치
KR101208993B1 (ko)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
KR200451628Y1 (ko)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KR20140035704A (ko) Cctv용 지주의 암장치
KR100324115B1 (ko) 간격조절용기초볼트받침대
US20190338531A1 (en) Bracket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swivel capabilities
KR200200321Y1 (ko) 돔형 카메라의 지지 고정장치
RU87270U1 (ru)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видеокамеры (варианты)
KR101357268B1 (ko) Cctv용 브래킷 장치
KR102313746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배선 관리시스템
KR101436356B1 (ko) 감시카메라 설치대
KR101357867B1 (ko) Cctv용 브래킷 장치
KR200281470Y1 (ko) 휀스 체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