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993B1 -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 - Google Patents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993B1
KR101208993B1 KR1020110033385A KR20110033385A KR101208993B1 KR 101208993 B1 KR101208993 B1 KR 101208993B1 KR 1020110033385 A KR1020110033385 A KR 1020110033385A KR 20110033385 A KR20110033385 A KR 20110033385A KR 101208993 B1 KR101208993 B1 KR 101208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worm wheel
worm gear
rotating member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5831A (ko
Inventor
이순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신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신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신하이텍
Priority to KR1020110033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993B1/ko
Publication of KR20120115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Abstract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감시 카메라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는, 카메라가 고정되는 제1회전부재와, 제1회전부재가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가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지지부재와, 일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1조절부재 및 제2조절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조절부재 및 제2조절부재는 각각 그 일단부에 형성된 제1조절나사 및 제2조절나사와, 그 타단부에 형성된 제1웜기어 및 제2웜기어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고 플렉서블한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부재에는 제1웜기어와 치합하는 제1웜휠과, 제2웜기어와 치합하는 제2웜휠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제1웜휠은 제1회전부재에 형성된 원형래크와 치합하고, 제2웜휠은 제2회전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로 노출되는 제1조절나사 및 제2조절나사의 회전력은 제1웜기어 및 제2웜기어 그리고 원형래크 및 제2웜휠에 전달되어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DIRECTION CONTROL DEVICE OF CAMERA AND WATCHING CAMERA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케이스를 분리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카메라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감시 카메라인 CCTV는 물품의 도난 방지, 건물의 입출입자 통제, 보안 및 안전이 요구되는 장소인 공공기관, 병원, 은행, 아파트, 사무실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각종 사고 예방 및 치안상의 목적으로 일반 도로, 주택가의 골목길은 물론 학교에도 감사 카메라의 설치가 확대되고 있다.
감사 카메라는 설치되는 장소의 특성에 따라서 일자형 또는 돔형 등 여러 가지 형태가 있는데, 이 중에서 건물의 실내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는 카메라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건물의 천정 등에 설치되는 돔형 감시 카메라이다. 돔형 감시 카메라는 돔(dome) 형태의 케이스 내부에 카메라 모듈이 수납되어 있는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감시 카메라는 카메라 모듈이 촬영하는 지점을 변경하기 위해서 카메라의 방향을 조절할 필요성이 있다.
종래의 감시 카메라에서 카메라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돔 형태의 케이스를 분리한 후 사람이 직접 손으로 각도를 변경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는데, 이는 케이스를 분리 및 재결합 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내부에 모터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자동으로 카메라 각도를 변경하는 장치는 구성이 복잡하여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장치의 부피가 커질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카메라 케이스를 분리하지 않고 외부에서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카메라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이 간소하고 부피가 적은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는, 카메라가 고정되는 제1회전부재와, 제1회전부재가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가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지지부재와, 일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1조절부재 및 제2조절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조절부재 및 제2조절부재는 각각 그 일단부에 형성된 제1조절나사 및 제2조절나사와, 그 타단부에 형성된 제1웜기어 및 제2웜기어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고 플렉서블한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부재에는 제1웜기어와 치합하는 제1웜휠과, 제2웜기어와 치합하는 제2웜휠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제1웜휠은 제1회전부재에 형성된 원형래크와 치합하고, 제2웜휠은 제2회전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로 노출되는 제1조절나사 및 제2조절나사의 회전력은 제1웜기어 및 제2웜기어 그리고 원형래크 및 제2웜휠에 전달되어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는 아모링 와이어와 같이 꼬임이 없는 소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를 커버하면서 지지부재와 결합하는 내부커버를 더 포함하고,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는 각각 내부커버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연결부와, 내부커버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는, 센터홀이 형성된 원형결합부와, 원형결합부에서 상향 돌출된 제1지지암 및 제2지지암을 포함하고, 제1지지암에는 제1웜휠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제2지지암에는 제2웜휠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그리고 제1웜기어 및 제2웜기어는 제1지지암 및 제2지지암의 돌출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원형결합부에는 'ㄱ' 형상의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은 원형결합부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에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웜휠은 제1웜기어와 치합하는 접촉웜휠과, 접촉웜휠에 비해 큰 직경을 갖고 원형래크와 치합하는 확대웜휠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와 결합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베이스는 제1조절나사 및 제2조절나사가 각각 나사 결합하는 2개의 조절나사 체결홀을 구비할 수 있다.그리고 2개의 조절나사 체결홀은 상호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감시카메라는 상기의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의 조절부재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나사와, 조절나사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회전력에 의해서도 꼬임이 발생하지 않으며 플렉서블한 연결부와, 연결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있는 웜기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의 조절부재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는 조절나사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연결부와, 웜기어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와,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를 연결하는 이음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는 아모링 와이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 케이스를 분리하지 않고 외부에서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카메라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이 간소하고 부피가 적은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의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감시 카메라에 대한 분해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감시 카메라의 저면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방향 구동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카메라를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카메라를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에 사용되는 조절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가 결합된 감시카메라(300)에 대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감시카메라(3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감시카메라(300)의 저면을 예시하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300)는 돔 형상을 갖는 것으로 그 내부에 카메라(120)가 결합되어 있다. 카메라(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1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카메라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감시카메라(300)의 일 측에는 제1조절나사(162) 및 제2조절나사(192)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데, 사용자는 제1조절나사(162) 및 제2조절나사(192)를 회전시켜서 카메라(120)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300)는 투명커버(270), 내부커버(260), 카메라(120)가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100) 그리고 베이스(280)를 포함한다.
투명커버(270)는 카메라(120) 및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1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돔 형상을 가지고 투명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내부커버(260)는 투명커버(270)의 내부에 수용되어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내부커버(260)는 투명커버(270)와 대응되는 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내부커버(260)에는 카메라(12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구멍에 해당하는 회동부(262)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280)는 건물의 천정이나 벽면 등에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투명커버(270) 및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100)와 결합한다. 베이스(280)의 일 측에는 2개의 조절나사 체결홀(284)이 상호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다. 조절나사 체결홀(284)에는 카메라(100)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제1조절부재(150) 및 제2조절부재(180)의 제1조절나사(162) 및 제2조절나사(192)가 나사 결합한다. 사용자는 카메라(120)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투명커버(270) 및 내부커버(260)를 분리할 필요 없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제1조절나사(162) 및 제2조절나사(192)를 돌리기만 하면 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조절나사(162) 및 제2조절나사(192)는 베이스(280)의 저면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그 단부에는 외부연결부(156, 186)는 내부커버(26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외부연결부(156, 186)는 절곡되어 내부커버(260)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연결부(154, 184)에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100)의 일 측면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카메라(120)를 제1축(a)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100)의 타 측면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카메라(120)를 제2축(b)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서 제1축(a)은 카메라(12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고 카메라(120)의 중심을 관통하는 선에 해당하고, 도 6 내지 도 7에서 제2축(b)은 제1축(a)과 직교하는 것으로 제1회전부재(130) 및 제2회전부재(220)의 중심을 지나는 선에 해당한다. 카메라(120)가 제1축(a)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경우, 제2회전부재(220)는 회전하지 않고 제1회전부재(130) 및 카메라(120)만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제2회전부재(220)가 제2축(b)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는 경우, 제2회전부재(220), 제1회전부재(130) 및 카메라(120)가 모두 회전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100)는, 카메라(120)가 결합되는 제1회전부재(130)와, 제1회전부재(130)가 제1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회전부재(220)와, 제2회전부재(2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지지부재(2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100)는 카메라(120)를 제1축(a)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조절부재(150)와, 제1조절부재(150)와 치합(齒合)하는 제1웜휠(140)과, 제1웜휠(140)과 치합하는 원형래크(132)를 포함한다. 또한,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100)는 카메라(120)를 제2축(b)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조절부재(180)와, 제2조절부재(180)와 치합하는 제2웜휠(170)을 포함한다.
제1회전부재(130)는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그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에는 카메라(120)가 고정되어 있고, 그 둘레에는 회전삽입돌기(136)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삽입돌기(136)는 제2회전부재(220)의 몸통 부분과 결합커버(22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결합커버(222)는 체결부(224)에 의해 제2회전부재(220)의 몸통 부분과 연결된다. 이로 인해, 제1회전부재(130)는 제2회전부재(220)에 대해 제1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회전부재(130)의 상단부에는 외향 돌출된 플랜지(134)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134)의 저면 전체에는 원형래크(132)가 형성되어 있다. 원형래크(132)는 제1웜휠(140)과 치합하면서, 제1웜휠(140)의 회전력을 제1회전부재(13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2회전부재(220)는 반구 형상을 갖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제1회전부재(130)의 일부가 위치하게 된다. 제2회전부재(220)는 지지부재(230)에 대해 제2축(b)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제2회전부재(220)는 링 형상의 결합커버(222)와, 결합커버(222)를 제2회전부재(220)의 몸통 부분에 체결하는 체결부(224)를 포함한다. 결합커버(222)와 제2회전부재(220)의 몸통 부분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간격에는 제1회전부재(130)의 회전삽입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됨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2회전부재(220)의 측면에는 제2웜휠(170)이 고정되어 있다. 제2웜휠(170)은 제2조절부재(180)의 제2웜기어(182)와 치합하고 있기 때문에, 제2웜기어(182)의 회전력은 제2웜휠(170)에 전달되어 제2회전부재(220)가 제2축(b)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지지부재(230)는 제2회전부재(2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링 형상의 원형결합부(232)와, 원형결합부(232)의 일면에서 상향 돌출된 제1지지암(244) 및 제2지지암(252)을 포함한다.
원형결합부(232)는 베이스(280)에 체결되어서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100)를 베이스(280)에 대해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원형결합부(232)의 중앙에는 센터홀(242)이 형성되어 있는데, 센터홀(242)은 반구 형상의 제2회전부재(220)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원형결합부(232)에는 제1삽입홈(234) 및 제2삽입홈(236)이 형성되어 있다. 제1삽입홈(234) 및 제2삽입홈(236)은 'ㄱ'자 형상으로 상호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원형결합부(232)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삽입홈(234) 및 제2삽입홈(236)에는 각각 제1조절부재(150)의 제1내부연결부(154)와 제2조절부재(180)의 제2내부연결부(184)가 위치하게 된다. 제1조절부재(150) 및 제2조절부재(180)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 제1내부연결부(154) 및 제2내부연결부(184)는 'ㄱ'자 형상의 제1삽입홈(234) 및 제2삽입홈(236) 끝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원형결합부(232)에는 다수 개의 체결공(238)이 형성되어 있는데, 체결공(238)에는 스크류(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되어 지지부재(230)를 베이스(280)에 결합하게 한다.
원형결합부(232)의 일면에서 상향 돌출된 제1지지암(244) 및 제2지지암(252)은 상호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제2회전부재(220)를 제2축(b)을 중심으로 회전 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제1지지암(244) 및 제2지지암(252)은 'F'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그 상부에는 제1웜삽입홈(248) 및 제2웜삽입홈(256)이 형성되어 있다. 제1웜삽입홈(248)에는 제1조절부재(150)의 제1웜기어(15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2웜삽입홈(256)에는 제2조절부재(180)의 제2웜기어(18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1지지암(244)에는 제1웜휠(14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제2지지암(252)에는 제2웜휠(17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1웜휠(140) 및 제2웜휠(170)은 모두 제2회전축(b)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1웜휠(140)은 제1조절부재(150)의 회전력을 원형래크(132)에 전달하여, 카메라(120) 및 제1회전부재(130)가 제1축(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제1웜휠(140)은 제1조절부재(150)의 제1웜기어(152)와 치합하는 접촉웜휠(142)과, 접촉웜휠(142)에 비해 직경이 크고 원형래크(132)와 치합하는 확대웜휠(144)을 포함한다. 접촉웜휠(142)과 확대웜휠(144)은 상호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양자는 일체로 회전을 하게 된다. 제1웜휠(140)을 직경이 작은 접촉웜휠(142)과 직경이 큰 확대웜휠(144) 2개로 형성한 것은, 제1웜기어(152)와 원형래크(132)에 동시에 치합하는 하나의 웜휠을 형성하는 것은 공간상 많은 제약이 따르기 때문이다.
제2웜휠(170)은 제2회전부재(220)의 측면에 고정되어 제2회전부재(220)와 일체로 회전한다. 제2웜휠(170)은 제2웜기어(182)와 치합하면서 제2웜기어(182)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도 8은 제1조절부재(150)에 대한 사시도이다. 제1조절부재(150) 및 제2조절부재(180)는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제1조절부재(150)에 대한 설명으로 제2조절부재(180)에 대한 설명을 대신하기로 한다.
제1조절부재(150)는 제1조절나사(162), 제1외부연결부(156), 제1이음부(158), 제1내부연결부(154) 그리고 제1웜기어(152)를 포함한다.
제1조절나사(162)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80)의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제1조절나사(16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164)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헤드 부분에는 공구삽입홈(166)이 형성되어 있다. 제1조절나사(162)는 베이스(280)에 형성된 조절나사 체결홀(284)에 나사 결합된다. 또한, 제1조절나사(162)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80)의 저면으로 그 일부가 돌출된다.
제1외부연결부(156)는 제1조절나사(162)의 단부에서 연장된 것으로 제1내부연결부(154)에 비해 길게 형성된다. 제1외부연결부(156)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절곡되어 내부커버(260)의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제1내부연결부(154)는 제1웜기어(152)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내부연결부(154)는 도 4 및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내부커버(260)의 내부에서 제1지지암(244) 및 제2지지암(252)에 대해 평행하게 위치하고 있다. 제1내부연결부(154)는 지지부재(230)의 제1삽입홈(234)에 위치함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1내부연결부(154) 및 제1외부연결부(156)는 아모링 와이어와 같은 꼬임이 없고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내부연결부(154) 및 제1외부연결부(156)에 꼬임이 발생하는 경우, 제1조절나사(162)가 회전하더라도 꼬임에 의해 제1웜기어(152)에 정확한 회전력 전달이 어렵게 된다.
제1이음부(158)는 제1내부연결부(154) 및 제1외부연결부(156)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10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카메라 조절장치(100)를 이용하여 카메라(120)를 제1축(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기 위해서는, 베이스(28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제1조절나사(162)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된다. 제1조절나사(162)가 회전을 하면 제1외부연결부(156) 및 제1내부연결부(154)가 회전하면서 제1웜기어(152)에 회전력을 그대로 전달하게 된다. 제1웜기어(152)가 회전을 하면, 제1웜기어(152)와 치합되어 있는 제1웜휠(140)이 회전을 하고, 이와 연동하여 원형래크(132)가 제1축(a)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원형래크(132)는 제1회전부재(1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형래크(132)의 회전에 의해 제1회전부재(130) 및 카메라(120)가 제1축(a)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제2회전부재(220)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데, 이는 제2조절부재(180)의 제2조절나사(192)가 베이스(280)의 조절나사 체결홀(284)에 나사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카메라(120)가 제1축(a)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하는 경우, 카메라(120)가 획득하는 이미지가 반전된다.
카메라 조절장치(100)를 이용하여 카메라(120)를 제2축(b)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기 위해서는, 베이스(28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제2조절나사(192)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된다. 제2조절나사(192)가 회전을 하면 제2외부연결부(186) 및 제2내부연결부(184)가 회전하면서 제2웜기어(182)에 회전력을 그대로 전달하게 된다. 제2웜기어(182)가 회전을 하면, 제2웜기어(182)와 치합되어 있는 제2웜휠(170)이 회전을 하고, 이와 연동하여 제2웜휠(170)이 고정되어 있는 제2회전부재(220)가 제2축(b)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제1회전부재(130)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데, 이는 제1조절부재(150)의 제1조절나사(162)가 베이스(280)의 조절나사 체결홀(284)에 나사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카메라(120)가 제2회전축(b)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카메라(120)가 지향하는 방향이 변경된다. 그리고 카메라(120)가 제2회전축(b)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범위는 내부커버(260)에 형성되어 있는 회동부(262)의 크기에 대응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100)는 카메라(120)의 위치 변경을 위해서 모터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100)는 제1조절나사(162) 및 제2조절나사(192)를 간단히 돌리기만 하면 카메라(12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120: 카메라
130: 제1회전부재 132: 원형래크
140: 제1웜휠 150: 제1조절부재
152: 제1웜기어 162: 제1조절나사
170: 제2웜휠 180: 제2조절부재
182: 제2웜기어 192: 제2조절나사
220: 제2회전부재 230: 지지부재
232: 원형결합부 244: 제1지지암
252: 제2지지암 260: 내부커버
270: 투명커버 280: 베이스
284: 조절나사 체결홀 300: 감시카메라

Claims (14)

  1. 카메라가 고정되는 제1회전부재;
    상기 제1회전부재가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회전부재;
    상기 제2회전부재가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지지부재; 및
    일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1조절부재 및 제2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절부재 및 제2조절부재는 각각 그 일단부에 형성된 제1조절나사 및 제2조절나사와, 그 타단부에 형성된 제1웜기어 및 제2웜기어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고 플렉서블한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제1웜기어와 치합하는 제1웜휠과, 상기 제2웜기어와 치합하는 제2웜휠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웜휠은 상기 제1회전부재에 형성된 원형래크와 치합하고, 상기 제2웜휠은 상기 제2회전부재에 고정되어 있으며,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1조절나사 및 제2조절나사의 회전력은 상기 제1웜기어 및 제2웜기어 그리고 상기 원형래크 및 상기 제2웜휠에 전달되어 상기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는 아모링 와이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를 커버하면서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하는 내부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는 각각 상기 내부커버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연결부와, 상기 내부커버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센터홀이 형성된 원형결합부와, 상기 원형결합부에서 상향 돌출된 제1지지암 및 제2지지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암에는 상기 제1웜휠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지지암에는 상기 제2웜휠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웜기어 및 제2웜기어는 상기 제1지지암 및 제2지지암의 돌출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결합부에는 'ㄱ' 형상의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은 상기 원형결합부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웜휠은 상기 제1웜기어와 치합하는 접촉웜휠과, 상기 접촉웜휠에 비해 큰 직경을 갖고 상기 원형래크와 치합하는 확대웜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조절나사 및 제2조절나사가 각각 나사 결합하는 2개의 조절나사 체결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조절나사 체결홀은 상호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11.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12.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나사;
    상기 조절나사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회전력을 그대로 전달하며 플렉서블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있는 웜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조절나사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웜기어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를 연결하는 이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의 조절부재.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아모링 와이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의 조절부재.
KR1020110033385A 2011-04-11 2011-04-11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 KR101208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385A KR101208993B1 (ko) 2011-04-11 2011-04-11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385A KR101208993B1 (ko) 2011-04-11 2011-04-11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831A KR20120115831A (ko) 2012-10-19
KR101208993B1 true KR101208993B1 (ko) 2012-12-06

Family

ID=47284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385A KR101208993B1 (ko) 2011-04-11 2011-04-11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9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407B1 (ko) * 2014-09-30 2015-02-0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높이 변화가 가능한 고속 고분해 팬틸트 장치
KR200487470Y1 (ko) * 2016-07-26 2018-11-02 팅크웨어(주) 카메라 하우징 장치
KR200491889Y1 (ko) * 2018-09-14 2020-06-25 팅크웨어(주) 카메라 하우징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315Y1 (ko) 2007-06-04 2008-10-29 김영배 적외선 감시카메라의 배율·초점 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315Y1 (ko) 2007-06-04 2008-10-29 김영배 적외선 감시카메라의 배율·초점 조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831A (ko) 201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38574C (zh) 安全摄像机
KR100587564B1 (ko) 감시용 카메라를 수용하는 카메라 케이스
KR100724306B1 (ko) 감시 카메라용 브라켓
KR100950733B1 (ko)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
US9503621B2 (en) Pendant housing for a camera
KR101208993B1 (ko)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
US11134200B2 (en) Two axis pan tilt camera system configured to maintain a level image when wall or ceiling mounted
JP2001238101A (ja) テレビカメラ
KR20080011962A (ko) 돔형 카메라 장치
KR100775203B1 (ko) 돔 카메라
US8749702B2 (en) Network camera assembly
US20210003271A1 (en) Motorized recessed spotlight
JP5212409B2 (ja) 監視カメラ装置
KR200490442Y1 (ko) 감시 카메라를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할 수 있는 천정형 브라켓 장치
KR101581013B1 (ko) 감시카메라용 5축 회전 브래킷
TWM504975U (zh) 攝像模組繞線結構及其攝像裝置
CN112136320B (zh) 三轴圆顶式监控摄像机
JP5187535B2 (ja) 監視カメラ装置
TW202020360A (zh) 監測系統及其安裝基座
KR200320712Y1 (ko) 팬틸트카메라
KR100913392B1 (ko) 카메라 틸팅 장치
KR100987110B1 (ko)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
KR200277709Y1 (ko) 돔형 감시카메라 장치
KR20130001644U (ko) 고정 브라켓을 이용한 감시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
KR200391550Y1 (ko) 감시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