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492B1 - 내진 도어 - Google Patents

내진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492B1
KR101963492B1 KR1020170021008A KR20170021008A KR101963492B1 KR 101963492 B1 KR101963492 B1 KR 101963492B1 KR 1020170021008 A KR1020170021008 A KR 1020170021008A KR 20170021008 A KR20170021008 A KR 20170021008A KR 101963492 B1 KR101963492 B1 KR 101963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door
inclined surface
main body
earthqu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4630A (ko
Inventor
홍형준
Original Assignee
하이폴딩시스템 주식회사
경남산업개발 주식회사
홍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폴딩시스템 주식회사, 경남산업개발 주식회사, 홍형준 filed Critical 하이폴딩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1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492B1/ko
Publication of KR20180094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 또는 구조물에 설치하며, 내측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제1경사면을 가지는 도어프레임, 도어프레임의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도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 설치하며, 도어프레임의 내측면에 대향되는 외측면에는 제1경사면에 대응되게 경사진 제2경사면을 가지는 도어본체, 도어프레임의 제1경사면에 밀착 배치되도록 도어본체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는 복수의 회전베어링을 포함하는 내진도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내진 도어는, 도어프레임의 내측면 및 도어본체의 외측면에 상호 대응되게 제1경사면 및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지진과 같은 외력에 의해 도어프레임의 변형시, 도어본체가 도어프레임 상에서 실외방향으로 이동하고, 회전베어링은 도어본체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바, 도어프레임에서 도어본체의 개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탈출로를 제공하게 한다.

Description

내진 도어{Safety door for earthquake}
본 발명은 지진과 같이 구조물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도어본체를 지지하는 도어프레임의 변형시, 도어본체가 도어프레임에서 안정적으로 이탈되게 하는 내진 도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외에서 발생한 일련의 큰 지진으로 인하여 지진의 피해에 대한 경각심과 내진설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으며, 건물의 내진보강 방법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지진력에 대해 건물이 저항할 수 있도록 튼튼하게 설계하는 내진설계와 더불어 지진에 의한 입력에너지를 흡수하는 제진(Vibration control)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같이, 내진설계기준에 따라 설계된 건물이라 할지라도 지진에 의한 구조적 손상을 피할 수 없고, 인명의 안전 또한 위협받을 수 있으며, 건물의 특정부위가 변형되어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지진으로부터 건물을 구성하는 구조물을 안전하게 보전할 수 있는 제진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건설되고 있는 고층 건물의 대부분은 내진설계기준에 따라 설계되고 있으며, 건물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제진장치로, 강재댐퍼, 마찰댐퍼, 오일댐퍼, 점탄성댐퍼 등과 같이 댐퍼가 설치된다.
그러나, 도어의 경우에는 지진 발생시, 도어프레임의 비틀림 변형으로 인해 도어본체의 개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도어프레임의 변형 부위에 대응되게 도어본체의 일정 부분이 파손되게 하거나 이탈 또는 절곡되게 하는 안전 도어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 도어는 도어본체에 별도의 파손 또는 이탈이나 절곡되게 하는 부분을 구비해야하는 바, 오랜기간 사용시 도어본체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과 더불어 파손 또는 이탈이나 절곡되는 부위가 도어본체의 일부분이므로 지진 발생시 안전한 탈출로를 제공함에 한계가 있다.
이같은, 종래의 안전 도어는,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4775호(2016.10.06)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지진과 같이 구조물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도어본체를 지지하는 도어프레임의 변형시, 도어본체 전체가 도어프레임에서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이탈되게 하여, 안전한 탈출을 가능하게 하는 내진 도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 또는 구조물에 설치하며, 내측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제1경사면을 가지는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의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도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 설치하며, 상기 도어프레임의 내측면에 대향되는 외측면에는 상기 제1경사면에 대응되게 경사진 제2경사면을 가지는 도어본체, 상기 도어프레임의 제1경사면에 밀착 배치되도록 상기 도어본체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는 복수의 회전베어링을 포함하는 내진도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도어프레임이 설치된 상기 건물이나 구조물의 실외방향으로 상기 도어본체가 개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의 상호 맞닿는 표면은 상호 대응되는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의 상호 맞닿는 표면은 상호 대응되는 물결무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도어는, 도어프레임의 내측면 및 도어본체의 외측면에 상호 대응되게 제1경사면 및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지진과 같은 외력에 의해 도어프레임의 변형시, 도어본체가 도어프레임 상에서 실외방향으로 이동하고, 회전베어링은 도어본체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바, 도어프레임에서 도어본체의 개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탈출로를 제공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도어의 제1경사면 및 제2경사면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도어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낸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낸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내진 도어는, 도어프레임(100), 도어본체(200), 회전베어링(3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100)은 이후 설명될 도어본체(200)를 건물의 벽체나 구조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연결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이러한, 상기 도어프레임(100)은 건물의 벽체나 구조물에 사람이나 물건 또는 공기가 내외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프레임(100)은 좌우방향으로 상호 나란한 상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수직부재(100a)와, 한 쌍의 상기 제1수직부재(100a) 상단 및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1수평부재(100b)를 포함한다. 이같이, 상기 도어프레임(100)은 상기 한 쌍의 제1수직부재(100a)와 상기 한 쌍의 제1수평부재(100b)의 결합을 통해 건물의 벽체나 구조물에 사람이나 물건 또는 공기가 내외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내측에 사각형상의 개방부(10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방부(101)는 이후 설명될 도어본체(200)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는 폭과 높이를 가지게 된다.
더불어, 상기 도어프레임(100)의 내측면에는 도어본체(20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한 상태에서 일측방향으로만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단턱부(도면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프레임(100)의 내측면, 즉, 상기 한 쌍의 제1수직부재(100a)의 상호 대향되는 면부 및 상기 한 쌍의 제1수평부재(100b)의 상호 대향되는 면부에는 제1경사면(1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경사면(110)은 도어본체(100)를 일측 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내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면부(102a)보다 실외방향을 향하는 후면부(102b)가 수직방향에 대해 더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프레임(100)이 설치된 상기 건물이나 구조물의 실내에서 실외 방향으로만 상기 도어본체(200)를 개방되게 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상기 도어프레임(100)의 제1경사면(110)은 평평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5와 같이 물결무늬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같이, 상기 제1경사면(110)이 물결무늬 형상을 가질 경우, 지진에 의한 외력이 상기 도어프레임(100)에 가해질 때, 상기 도어프레임(100)의 변형이 최소화하도록 강도를 보강함과 더불어 상기 도어프레임(100)의 변형시에는 도어본체(200)가 상기 도어프레임(100)에서 실외 방향으로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도어프레임(100)의 일측에는 상기 도어본체(200)의 개폐동작시, 충격을 흡수함과 더불어 실외에서 실내로의 먼지 유입을 방지하는 씰링부재(120)가 결합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본체(200)는 상기 도어프레임(100)의 개방부(101)를 개폐하도록 상기 도어프레임(100)에 연결 설치한다. 이러한, 상기 도어본체(200)의 일측은 상기 도어프레임(10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한 쌍의 제1수직부재(100a) 중 일측의 제1수직부재(100a)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201)로 연결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본체(200)는 좌우방향으로 상호 나란한 상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수직부재(200a)와, 한 쌍의 상기 제2수직부재(200a) 상단 및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2수평부재(200b) 및, 상기 제2수직부재(200a)와 상기 제2수평부재(200b)를 통해 사각틀로 형성된 상태에서 내측에 결합 설치되는 투명판(200a)을 포함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내부에는 강재가 채워진 하나의 판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투명판(200a)은 유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평상시 안정적인 강도를 유지하면서 지진에 의한 외력 발생시, 파쇄수단을 통해 용이하게 깨트릴 수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도어본체(200)는 상기 도어프레임(100)의 개방부(101)에 수용할 수 있는 폭과 높이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본체(200)의 외측면 테두리, 즉, 상기 한 쌍의 제2수직부재(200a)의 상기 도어프레임(100) 내측면에 대향되는 면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수평부재(200b)의 상기 도어프레임(100) 내측면에 대향되는 면부에는 제2경사면(2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경사면(210)은 상기 도어프레임(100)의 제1경사면(110)에 대응되도록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내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면부(202a)보다 실외방향을 향하는 후면부(202b)가 수직방향에 대해 더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프레임(100)이 설치된 상기 건물이나 구조물의 실내에서 실외 방향으로만 상기 도어본체(200)를 개방되게 할 수 있다.
이같이, 상기 도어본체(200)가 상기 도어프레임(100)의 개방부(101)를 폐쇄하도록 상기 도어본체(200)의 제2경사면(210)과 상기 도어프레임(100)의 제1경사면(110)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지진과 같은 외력에 의해 상기 도어프레임(100)의 변형이 발생될 때, 상기 제1경사면(110)과 상기 제2경사면(220)은 상기 도어본체(200)를 개방되는 방향으로 미는 힘을 작용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본체(200)의 제2경사면(210)은 상기 제1경사면(110)의 표면형상에 대응되도록 평평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앞서 도 5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경사면(110)의 표면형상이 물결무늬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2경사면(210)은 물결무늬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같이, 상기 제2경사면(210)과 상기 제1경사면(110)이 상호 대응되게 체결되는 물결무늬 형상을 가질 경우, 지진에 의한 외력이 상기 도어프레임(100)에 가해질 때, 상기 도어프레임(100) 및 상기 도어본체(200)의 변형이 최소화하도록 강도를 보강함과 더불어 상기 도어프레임(100)의 변형될 때에는 상기 도어본체(200)가 상기 도어프레임(100) 상에서 실외 방향으로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가이드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본체(200)에는 사용자에 의한 파지를 통해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2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본체(200)의 일측에는 상기 도어본체(200)의 개폐동작시, 상기 도어프레임(100)과의 충격을 흡수함과 더불어 실외에서 실내로의 먼지 유입을 방지하는 씰링부재(230)가 결합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베어링(300)은 지진과 같은 외력에 의해 상기 도어프레임(100)의 변형이 발생될 때, 상기 도어본체(200)가 상기 도어프레임(100) 상에서 실외방향으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이동되게 한다. 즉, 상기 회전베어링(300)은 상기 도어프레임(100) 내측면과 상기 도어본체(200) 외측면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상기 도어프레임(100)의 변형시, 상기 도어본체(200)를 안정적으로 이탈시킬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베어링(300)은 롤베어링이나 볼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기 회전베어링(300)은 상기 도어본체(200)의 외측면 테두리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한다. 즉, 상기 회전베어링(300)은 상기 도어프레임(100)의 제1경사면(110) 표면에 밀착 배치되도록 상기 도어본체(200)의 제2경사면(21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도어본체(200) 외측면에 연결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베어링(300)은 한 쌍의 제2수평부재(200b) 일측에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2수직부재(200a) 중 힌지(201)와 연결되지 않은 제2수직부재(200a)의 상단 및 하단에 연결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20)를 잡고 밀 때, 상기 도어본체(200)가 상기 도어프레임(100) 상에서 실외방향으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도어는, 상기 도어프레임(100)의 내측면 및 상기 도어본체(200)의 외측면에 상호 대응되게 제1경사면(110) 및 제2경사면(210)이 형성되어, 지진과 같은 외력에 의해 상기 도어프레임(100)의 변형시, 상기 도어본체(200)가 상기 도어프레임(100) 상에서 실외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회전베어링(300)은 상기 도어본체(20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바, 상기 도어프레임(100)에서 상기 도어본체(200)의 개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탈출로를 제공하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도어프레임 101: 개방부
110: 제1경사면 200: 도어본체
201: 힌지 210: 제2경사면
220: 손잡이 300: 회전베어링

Claims (4)

  1. 건물의 벽체 또는 구조물에 설치하며, 내측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제1경사면을 가지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도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 설치하며, 상기 도어프레임의 내측면에 대향되는 외측면에는 상기 제1경사면에 대응되게 경사진 제2경사면을 가지는 도어본체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제1경사면에 밀착 배치되도록 상기 도어본체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는 복수의 회전베어링; 및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측 및 도어본체의 일측에 결합 설치하며, 상기 도어본체의 개폐동작시, 충격을 흡수함과 더불어 실외에서 실내로의 먼지 유입을 방지하는 씰링부재;를 구비하며,
    지진에 의한 외력이 상기 도어프레임에 가해질 때, 제1경사면 및 제2경사면은 도어본체가 도어프레임 상에서 실외 방향으로 개방되는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도록 도어프레임이 설치된 건물이나 구조물의 실내에서 실외방향으로 도어본체가 개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외력에 의한 도어프레임의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도어프레임 및 도어본체의 변형이 최소화하도록 강도를 보강함과 더불어 도어본체를 개방되는 방향으로 미는 힘이 안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제1경사면 및 제2경사면의 상호 맞닿는 표면이 상호 대응되게 체결되는 물결무늬 형상을 가지는 내진 도어.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21008A 2017-02-16 2017-02-16 내진 도어 KR101963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008A KR101963492B1 (ko) 2017-02-16 2017-02-16 내진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008A KR101963492B1 (ko) 2017-02-16 2017-02-16 내진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630A KR20180094630A (ko) 2018-08-24
KR101963492B1 true KR101963492B1 (ko) 2019-03-28

Family

ID=63454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008A KR101963492B1 (ko) 2017-02-16 2017-02-16 내진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4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859B1 (ko) * 2019-09-18 2020-10-1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
KR20220065281A (ko) * 2020-11-13 2022-05-20 김현민 창문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8737B (zh) * 2019-12-17 2021-10-29 涡阳县幸福门业有限公司 一种过热后易开启的防火门
KR102296392B1 (ko) * 2020-12-04 2021-09-01 박문규 지진 발생 시 탈출구조를 갖는 방화문
IT202100005642A1 (it) * 2021-03-10 2021-06-10 Epeon Apertura facilitata dei portoncini di ingresso alle civili abitazioni in caso di sism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445B1 (ko) * 2006-03-16 2006-06-14 (주)종합건축사사무소범건축 건축물 창문틀 부속시설
JP2007063755A (ja) * 2005-08-29 2007-03-15 Teiji Kojima 扉付き耐震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0441A (ja) * 1995-08-29 1997-03-04 Kazuo Suzuki 開口枠とこれに枢着された扉枠とを含む地震対策が施された扉装置
KR101320595B1 (ko) * 2011-11-29 2013-10-28 이엠시프로(주) 방호도어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3755A (ja) * 2005-08-29 2007-03-15 Teiji Kojima 扉付き耐震構造体
KR100589445B1 (ko) * 2006-03-16 2006-06-14 (주)종합건축사사무소범건축 건축물 창문틀 부속시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859B1 (ko) * 2019-09-18 2020-10-1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
KR20220065281A (ko) * 2020-11-13 2022-05-20 김현민 창문구조
KR102563206B1 (ko) * 2020-11-13 2023-08-04 김현민 창문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630A (ko) 2018-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492B1 (ko) 내진 도어
US6430884B1 (en) Seismic wall and ceiling expansion joint covers
KR102100156B1 (ko) 창호용 면진 시스템
CN106536847B (zh) 用于翼,门,大门,上翻门,窗,气窗的防坠落安全系统
JP5937289B2 (ja) 室内設備の冠水を防止する防火扉
KR102060361B1 (ko) 내진 창호 시스템과 내진 창호용 내진브라켓유닛
JP2004068254A (ja) 耐震ドア
KR101674171B1 (ko) 지진 발생시 안전 도어
JPH10280821A (ja) 対地震用開き戸
KR200488517Y1 (ko) 완충장치가 구비된 천장 점검구
JP3141378U (ja) 対震ドア
KR102165859B1 (ko)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
KR102055102B1 (ko) 가구용 자동잠금장치
KR102221947B1 (ko) 미닫이 여닫이 복합형 교실 출입문
KR101592507B1 (ko)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
KR102055704B1 (ko) 내진 안전 도어
JP5024914B1 (ja) 物品保管室
KR100928956B1 (ko) 시스템 창호의 여닫이 구조
KR102665913B1 (ko) 반자동 미닫이문
JP3175735U (ja) 衝撃吸収型仕切防煙垂壁
JP5590902B2 (ja) 多層建築物の浮上り防止構造
KR101467625B1 (ko) 댐퍼가 구비된 티-티 방식 창호
KR102439551B1 (ko) 좌우 겸용 방화문
KR20150054101A (ko) 도어 차폐장치
JP6982903B2 (ja) 中間階免震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