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859B1 -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 - Google Patents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859B1
KR102165859B1 KR1020190115009A KR20190115009A KR102165859B1 KR 102165859 B1 KR102165859 B1 KR 102165859B1 KR 1020190115009 A KR1020190115009 A KR 1020190115009A KR 20190115009 A KR20190115009 A KR 20190115009A KR 102165859 B1 KR102165859 B1 KR 102165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earthquake
door
fastening
bal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오
김진우
신상윤
이정진
차도엽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15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05F1/00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by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은 지진발생 시 문의 일부가 분리되어 탈출로를 확보하도록 외곽프레임 및 중심부재가 체결되어 구성된 조립문에 있어서,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며 상기 중심부재에 설치되고, 지진발생 시 진동으로 인해 상기 빈 공간을 따라 볼이 이동하는 볼 하우징, 상기 볼 하우징의 끝단으로 이동된 볼이 하강하는 통로로서 상기 볼 하우징과 연결되며, 일단에 상기 볼의 하강에 따른 충돌에 의해 고정 해제가 가능한 원터치 스위치가 구비되는 볼 이동부, 둘레 일부가 상기 볼 이동부의 원터치 스위치와 연결되며, 상기 원터치 스위치가 고정 해제됨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기어, 및 일측이 상기 외곽프레임과 결합 가능하고, 상기 회전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기어의 둘레 일부에 타측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중심부재를 상기 외곽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ASSEMBLY TYPE DOOR FOR EMERGENCY ESCAPE HAVING AGAINST EARTHQUAKE}
본 발명은 비상탈출용 조립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진발생 시 진동을 감지하여 잠금장치가 해제됨에 따라 문의 일부가 분리되어 탈출 대피로의 차단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틀은 경첩을 통해 문과 연결되어 문의 회전축 및 외력으로부터 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문틀에 지나친 하중이 가해져 문틀이 변형되면 문에 뒤틀림 혹은 좌굴 현상이 발생해 문의 회전축이 어긋나 열리지 않는다. 이와 같이 비상구의 문틀이 변형된 상태에서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건물 내의 사람들은 변형돼 있는 문을 열지 못하여 안전하게 외부로 대피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문의 일부가 분리되어 문을 여는 기술은 화재 발생 시 닫힌 방화셔터를 여는 목적으로 개발되어 있다. 방화셔터로 인해 대피로가 차단되었을 시 낮은 자세를 유지하면서 대피하는 사람들이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방화셔터 하부에 탈출구를 형성하거나 방화문이 잠겨있더라도 일정한 충격을 가하면 방화문의 일부분이 개방되도록 하여 비상탈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탈출문을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문과 비상상황 발생 시 사용되는 문으로 함께 활용하기에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다.
첫째로, 일정한 충격을 가해 문의 일부분을 개방하도록 하는 기술을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문에 적용하는 경우 무전취식, 절도 등의 범죄행위에 악용될 수 있다. 둘째로, 시야 확보가 되지 않고 긴급한 비상상황에서 사람이 수동적으로 방화문을 개방하는 어려움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5318호(발명의 명칭: 지진 감지 도어, 공개일자: 2019년 5월 23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기를 이용한 센서가 아닌 기계적인 방식으로 센서 역할을 수행하는 지진 감지 구조를 구현하고, 지진 발생 시 잠금장치가 자동 개폐되고, 평상 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비상문의 개폐를 방지하며, 개폐 후에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은 지진발생 시 문의 일부가 분리되어 탈출로를 확보하도록 외곽프레임 및 중심부재가 체결되어 구성된 조립문에 있어서,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며 상기 중심부재에 설치되고, 지진발생 시 진동으로 인해 상기 빈 공간을 따라 볼이 이동하는 볼 하우징, 상기 볼 하우징의 끝단으로 이동된 볼이 하강하는 통로로서 상기 볼 하우징과 연결되며, 일단에 상기 볼의 하강에 따른 충돌에 의해 고정 해제가 가능한 원터치 스위치가 구비되는 볼 이동부, 둘레 일부가 상기 볼 이동부의 원터치 스위치와 연결되며, 상기 원터치 스위치가 고정 해제됨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기어, 및 일측이 상기 외곽프레임과 결합 가능하고, 상기 회전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기어의 둘레 일부에 타측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중심부재를 상기 외곽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볼 하우징은 상기 볼 하우징의 빈 공간에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상기 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진동으로 인해 상기 빈 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볼 수용부, 상기 볼 수용부의 전단과 연결되며, 상기 볼 하우징의 빈 공간에 삽입되는 판 형태의 연결판, 및 양단이 상기 볼 수용부와 상기 연결판의 체결구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볼 수용부와 상기 연결판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볼 하우징의 일단에는 양측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체결홈이 복수의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판의 상부에는 양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끼움편이 구비되며, 상기 끼움편이 상기 체결홈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연결판이 상기 볼 하우징의 빈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판이 상기 체결홈에 끼워지는 위치에 따라 지진에 반응하는 감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볼 하우징의 타단에는 하부에 상기 볼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기어는 중심영역에 구비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기어는 둘레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의 타측이 삽입 가능한 소정 크기의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회전기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의 타측을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삽입홈의 깊이는 상기 가이드홈의 깊이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개폐부는 상기 중심부재의 상부와 맞닿는 상기 외곽 프레임에 설치되며 소정 크기의 체결홀이 구비되는 제1 체결블록, 상기 제1 체결블록과 체결 가능하며 상기 제1 체결블록과 마주하는 면에 돌출 형성된 체결핀이 구비되는 제2 체결블록, 및 일단이 상기 제2 체결블록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기어의 둘레 일부에 삽입 가능한 지지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를 이용한 센서가 아닌 기계적인 방식으로 센서 역할을 수행하는 지진 감지 구조를 구현하고, 지진 발생 시 잠금장치가 자동 개폐되고, 평상 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비상문의 개폐를 방지하며, 개폐 후에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진에 대한 대비를 위해 기존에 있던 건물들을 철거하고 다시 지을 수 없는 상황에서 붕괴 후 대피로를 확보하여 인명피해를 줄이는데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볼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볼 하우징에 구비된 볼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볼 하우징에 구비된 연결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판이 볼 하우징에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지진 감도의 조절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볼 이동부와 회전기어 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원터치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기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비상탈출용 조립문이 개폐되고 난 후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볼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볼 하우징에 구비된 볼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볼 하우징에 구비된 연결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판이 볼 하우징에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지진 감도의 조절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볼 이동부와 회전기어 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원터치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기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비상탈출용 조립문이 개폐되고 난 후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1)은 볼 하우징(100), 볼 이동부(200), 회전기어(300) 및 개폐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의 조립문(1)은 지진발생 시 문의 일부가 분리되어 탈출로를 확보하도록 외곽프레임(10) 및 중심부재(20)가 체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외곽프레임(10)은 조립문(1)의 외곽 테두리에 마련된 프레임에 해당되며, 중심부재(20)는 외곽프레임(10)의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문의 부재에 해당된다.
이때, 외곽프레임(10)과 중심부재(20)의 맞닿는 사면 중 일면은 경첩(15)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볼 하우징(100)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박스 형태로 중심부재(20)에 설치될 수 있다. 볼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지진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볼(30)이 수용될 수 있는데, 지진발생 시 진동으로 인해 빈 공간을 따라 볼(30)이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도 3a, 도 3b,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볼 하우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볼 하우징(100)은 볼 수용부(110), 연결판(120) 및 연결스프링(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볼 수용부(110)는 볼 하우징(100)의 빈 공간에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볼(30)을 수용하도록 구비되고, 진동으로 인해 빈 공간을 따라 볼(30)을 수용한 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수용부(110)는 하부와 상부가 함께 개방된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측면을 구성하는 프레임 내부에 볼(30)이 수용될 수 있다.
참고로, 볼 수용부(110)의 하부와 상부는 도 3a를 기준으로 각각 아래쪽 방향과 위쪽 방향을 의미한다.
볼 수용부(110)는 도 2를 기준으로 전단에 해당하는 일면에 체결구(124)가 형성되어 후술하고자 하는 연결스프링(130)에 의해 연결판(120)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판(120)은 볼 수용부(110)의 전단과 연결되며, 볼 하우징(100)의 빈 공간에 삽입되도록 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연결판(120)은 지진발생 시 진동의 감도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기를 이용한 센서가 아닌 기계적인 방식을 이용한 센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볼 하우징(100)의 일단에는 양측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체결홈(140)이 복수의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연결판(120)이 복수의 쌍 중 한 쌍의 체결홈(140)과 결합되어 볼 하우징(100)의 빈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판(120)의 상부에는 양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끼움편(12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끼움편(122)이 체결홈(140)에 끼워짐에 따라 연결판(120)이 볼 하우징(100)의 빈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연결판(120)은 볼 수용부(110)와 마주보는 일면에 체결구(124)가 형성되어 후술하고자 하는 연결스프링(130)에 의해 볼 수용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스프링(130)은 양단이 볼 수용부(110)와 연결판(120)의 체결구(124)에 각각 체결되어 볼 수용부(110)와 연결판(120)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판(120)이 체결홈(140)에 끼워지는 위치에 따라 지진에 반응하는 감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체결홈(140)에 끼워지는 연결판(120)의 위치에 따라 연결스프링(130)의 탄성력이 변화되며, 이때 변화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진발생에 따른 진동을 감지하는 정도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체결홈(140)에 끼워지는 연결판(120)의 위치에 따라 볼(30)이 볼 하우징(100)을 따라 끝단에 도달되기 위하여 필요한 필요탄성력이 변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4a를 참조하면, 연결판(120)이 복수의 쌍으로 된 체결홈(140) 중 가장 하측에 구비된 홈에 끼워지는 경우, 볼 수용부(110)가 볼 하우징(100)의 끝단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연결스프링(130)의 탄성력이 상대적으로 덜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특정 레벨 이하의 작은 진도로 발생하는 지진에도 반응하는 구조에 해당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4b를 참조하면, 연결판(120)이 복수의 쌍으로 된 체결홈(140) 중 가장 상측에 구비된 홈에 끼워지는 경우, 볼 수용부(110)가 볼 하우징(100)의 끝단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연결스프링(130)의 탄성력이 상대적으로 많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특정 레벨 이상의 큰 진도로 발생하는 지진에 반응하는 구조에 해당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판(120)이 최상측에 구비된 상태에서 볼 하우징(100)과 연결된 경우 더 높은 진도의 지진이 발생되는 상황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볼 하우징(100)의 타단에는 하부에 볼(30)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15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지진발생 시 진동에 반응하여 이동된 볼(30)이 볼 하우징(100)의 끝단까지 내려오면, 볼 수용부(110)의 개방된 하부가 관통홀(150)에 위치하게 되고, 볼(30)은 관통홀(150)을 통해 볼 하우징(100)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참고로, 볼 하우징(100)에는 내부의 빈 공간에 구비되는 볼(30), 볼 수용부(110), 연결판(120) 등을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뚜껑(17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볼 수용부(110)와 연결판(120) 간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볼 수용부(110)의 정확한 왕복운동을 유도하기 위한 리니어가이드(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볼 이동부(200)는 볼 하우징(100)의 끝단으로 이동된 볼(30)이 하강하는 통로로서 볼 하우징(100)과 연결될 수 있다.
볼 이동부(200)는 볼(30)이 하강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해 볼(3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 이동부(200)의 일단에는 볼(30)의 하강에 따른 충돌에 의해 고정 해제가 가능한 원터치 스위치(210)가 구비될 수 있다.
원터치 스위치(210)는 볼 이동부(200)의 일단과 후술하고자 하는 회전기어(300) 사이를 연결하는 부재로서, 볼 이동부(200)를 따라 낙하한 볼(30)이 떨어지면서 가해진 충격에 의해 원터치 조작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터치 스위치(210)는 스위치몸체(212), 스위치헤드(214), 및 걸림부재(2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몸체(212)는 볼 이동부(200)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몸체(212)는 볼 이동부(200)의 일단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 이동부(200)를 따라 하강한 볼이 스위치몸체(212)의 상부에 떨어질 수 있다.
스위치헤드(214)는 스위치몸체(212)의 내부에서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스위치몸체(212)의 상부에 일부가 노출되며 볼(30)이 하강함에 따라 가압될 수 있다.
걸림부재(216)는 고정핀 형태로서 일측이 스위치헤드(214)의 탄성부재(미도시)와 연결되고, 타측이 회전기어(300)의 둘레 일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르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이동부(200)를 따라 하강한 볼이 스위치헤드(214)를 가압하는 경우,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스위치헤드(214)는 눌려지고 탄성부재(미도시)가 수축되어 걸림부재(216)의 타측이 당겨지면서 회전기어(300)의 둘레 일부에 걸려 있던 걸림부재(216)가 스위치몸체(212) 방향으로 빠짐에 따라, 원터치 스위치(210)가 고정 해제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의 원터치 스위치(210)는 일 실시예에 해당되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원터치 조작 가능한 스위치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볼 이동부(200)의 일단에는 하강한 볼(30)을 회수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볼 회수구(220)가 구비될 수 있다.
볼 회수구(220)는 볼(30)이 볼 이동부(200)를 따라 낙하하여 원터치 스위치(210)를 가압한 후에 재사용을 위해 외부로 회수될 수 있도록, 원터치 스위치(2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회전기어(300)는 둘레 일부가 볼 이동부(200)의 원터치 스위치(210)와 연결되며, 원터치 스위치(210)가 고정 해제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회전기어(300)는 회전판(300a)과 고정판(300b)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회전판(300a)은 원터치 스위치(210)가 고정 해제됨에 따라 회전하는 기어몸체의 일부에 해당되며, 고정판(300b)은 회전기어(300)가 안전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판(300a)을 지지해주는 기어몸체의 또 다른 일부에 해당된다.
이때, 회전기어(300)의 중심축에 DU부시(340)가 삽입됨에 따라 회전판(300a) 및 고정판(300b)은 안정적으로 결합 및 회전될 수 있다.
회전기어(300)는 둘레 일부에 걸림 고정되어 있던 원터치 스위치(210)의 걸림부재(216)가 걸림 해제되고 나면 기어몸체에 구비된 토션스프링(310)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토션스프링(310)은 회전기어(300)의 중앙영역에 구비되며 회전기어(300)를 90도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토션스프링(310)은 회전기어(300)의 중심축에 삽입된 DU부시(340)의 외부에 감겨져 구비될 수 있다.
회전기어(300)는 삽입홈(320) 및 가이드홈(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삽입홈(320)은 회전기어(300)의 둘레 일부에 형성되며, 후술하고자 하는 개폐부(400)의 타측이 삽입 가능한 소정 크기를 가지는 홈에 해당된다.
구체적으로, 회전기어(300)가 회전하기 이전에는 삽입홈(320)에 원터치 스위치(210)가 걸림 고정되어 있다가, 회전하고 난 후에는 삽입홈(320)에 개폐부(400)의 타측이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홈(330)은 삽입홈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기어(3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후술하고자 하는 개폐부(400)의 타측을 삽입홈으로 삽입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홈에 해당된다.
이때, 삽입홈(320)의 깊이 또는 높이는 가이드홈(330)의 깊이 또는 높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개폐부(400)는 일측이 외곽프레임(10)과 결합 가능하고, 회전기어(30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기어(300)의 둘레 일부에 타측이 삽입됨으로써 중심부재(20)를 외곽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즉, 개폐부(400)는 평상시에 외곽프레임(10)과 중심부재(20)를 연결해주는 부재로서 조립문(1)에 설치되어 있다가, 지진발생 시 전술한 일련의 과정이 벌어짐에 따라 외곽프레임(10)과 중심부재(20) 간 연결구조를 해제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400)는 제1 체결블록(410), 제2 체결블록(420) 및 지지봉(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블록(410)은 중심부재(20)의 상부와 맞닿는 외곽 프레임에 설치되며 소정 크기의 체결홀(412)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홀(412)은 리니어부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체결블록(420)은 제1 체결블록(410)과 체결 가능하며 제1 체결블록(410)과 마주하는 면에 돌출 형성된 체결핀(422)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핀(422)의 일부는 돌출 형성되되 나머지 일부는 제2 체결블록(420)의 내부에 삽입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지지봉(430)은 일단이 제2 체결블록(420)과 결합되고 타단이 회전기어(300)의 둘레 일부에 삽입 가능한 소정 길이의 봉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제2 체결블록(420)과 결합되는 지지봉(430)의 일측은 다수의 갈래로 분기된 형상으로 구현되어 제2 체결블록(42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앞서 전술한 개폐부(400)의 타측은 지지봉(430)의 끝단으로서 제2 체결블록(420)과 마주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 구비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전술한 구조에 의하면, 지진발생 시 진동에 의해 볼 하우징(100)에 이어 볼 이동부(200)를 따라 이동된 볼(30)이 원터치 스위치(210)를 가압하게 되고, 가압된 원터치 스위치(210)가 고정 해제됨에 따라 회전기어(3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개폐부(400)의 타측 즉, 지지봉(430)의 일측이 회전기어(300)가 회전하는 중에 가이드홈(330)을 따라 이동하다가 삽입홈(320)으로 삽입되어 제1 체결블록(410)으로부터 제2 체결블록(420) 및 지지봉(430)이 분리되면서 최종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재(20)를 외곽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를 이용한 센서가 아닌 기계적인 방식으로 센서 역할을 수행하는 지진 감지 구조를 구현하고, 지진 발생 시 잠금장치가 자동 개폐되고, 평상 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비상문의 개폐를 방지하며, 개폐 후에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진에 대한 대비를 위해 기존에 있던 건물들을 철거하고 다시 지을 수 없는 상황에서 붕괴 후 대피로를 확보하여 인명피해를 줄이는데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조립문
10 : 외곽프레임
15 : 경첩
20 : 중심부재
30 : 볼
100 : 볼 하우징
110 : 볼 수용부
120 : 연결판
122 : 끼움편
124 : 체결구
130 : 연결스프링
140 : 체결홈
150 : 관통홀
160 : 리니어가이드
170 : 뚜껑
200 : 볼 이동부
210 : 원터치 스위치
212 : 스위치몸체
214 : 스위치헤드
216 : 걸림부재
220 : 볼 회수구
300 : 회전기어
300a : 회전판
300b : 고정판
310 : 토션스프링
320 : 삽입홈
330 : 가이드홈
340 : DU부시
400 : 개폐부
410 : 제1 체결블록
412 : 체결홀
420 : 제2 체결블록
422 : 체결핀
430 : 지지봉

Claims (9)

  1. 지진발생 시 문의 일부가 분리되어 탈출로를 확보하도록 외곽프레임 및 중심부재가 체결되어 구성된 조립문에 있어서,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며 상기 중심부재에 설치되고, 지진발생 시 진동으로 인해 상기 빈 공간을 따라 볼이 이동하는 볼 하우징;
    상기 볼 하우징의 끝단으로 이동된 볼이 하강하는 통로로서 상기 볼 하우징과 연결되며, 일단에 상기 볼의 하강에 따른 충돌에 의해 고정 해제가 가능한 원터치 스위치가 구비되는 볼 이동부;
    둘레 일부가 상기 볼 이동부의 원터치 스위치와 연결되며, 상기 원터치 스위치가 고정 해제됨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기어; 및
    일측이 상기 외곽프레임과 결합 가능하고, 상기 회전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기어의 둘레 일부에 타측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중심부재를 상기 외곽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개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하우징은
    상기 볼 하우징의 빈 공간에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상기 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진동으로 인해 상기 빈 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볼 수용부;
    상기 볼 수용부의 전단과 연결되며, 상기 볼 하우징의 빈 공간에 삽입되는 판 형태의 연결판; 및
    양단이 상기 볼 수용부와 상기 연결판의 체결구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볼 수용부와 상기 연결판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 하우징의 일단에는 양측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체결홈이 복수의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판의 상부에는 양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끼움편이 구비되며,
    상기 끼움편이 상기 체결홈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연결판이 상기 볼 하우징의 빈 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이 상기 체결홈에 끼워지는 위치에 따라 지진에 반응하는 감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 하우징의 타단에는 하부에 상기 볼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는
    중심영역에 구비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는
    둘레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의 타측이 삽입 가능한 소정 크기의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회전기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의 타측을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깊이는 상기 가이드홈의 깊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중심부재의 상부와 맞닿는 상기 외곽 프레임에 설치되며 소정 크기의 체결홀이 구비되는 제1 체결블록;
    상기 제1 체결블록과 체결 가능하며 상기 제1 체결블록과 마주하는 면에 돌출 형성된 체결핀이 구비되는 제2 체결블록; 및
    일단이 상기 제2 체결블록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기어의 둘레 일부에 삽입 가능한 지지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
KR1020190115009A 2019-09-18 2019-09-18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 KR102165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009A KR102165859B1 (ko) 2019-09-18 2019-09-18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009A KR102165859B1 (ko) 2019-09-18 2019-09-18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859B1 true KR102165859B1 (ko) 2020-10-14

Family

ID=72847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009A KR102165859B1 (ko) 2019-09-18 2019-09-18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8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549B1 (ko) * 2022-04-13 2022-11-02 주식회사 광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재난 발생시 자동 개방되는 탈출도어를 갖는 방화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8254A (ja) * 2002-08-01 2004-03-04 Horiguchi Yasuhiro 耐震ドア
CN201306103Y (zh) * 2008-11-10 2009-09-09 李龙江 防震子母门
JP2010270538A (ja) * 2009-05-22 2010-12-02 Kenji Morikawa 扉の脱出構造
KR101963492B1 (ko) * 2017-02-16 2019-03-28 하이폴딩시스템 주식회사 내진 도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8254A (ja) * 2002-08-01 2004-03-04 Horiguchi Yasuhiro 耐震ドア
CN201306103Y (zh) * 2008-11-10 2009-09-09 李龙江 防震子母门
JP2010270538A (ja) * 2009-05-22 2010-12-02 Kenji Morikawa 扉の脱出構造
KR101963492B1 (ko) * 2017-02-16 2019-03-28 하이폴딩시스템 주식회사 내진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549B1 (ko) * 2022-04-13 2022-11-02 주식회사 광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재난 발생시 자동 개방되는 탈출도어를 갖는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492B1 (ko) 내진 도어
KR102165859B1 (ko)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
US20020095900A1 (en) Self-closing gate for fence enclosures
US20120096677A1 (en) Style of safety door hinge design
CN106068358B (zh) 在结构失效情况下可打开的门
KR20180029057A (ko) 등반 용도를 위한 자가 빌레이 배열체
KR20120020789A (ko) 가드 레일
JPH10280821A (ja) 対地震用開き戸
JP3141378U (ja) 対震ドア
JP4298415B2 (ja) 無人開口避難装置
KR100887995B1 (ko) 전자식 도어록
KR20230112464A (ko) 화재 대피용 난간
KR101260232B1 (ko) 비상용 사다리 구조물
JP5352362B2 (ja) 建物
KR20140078388A (ko) 안전 고리
RU2156389C1 (ru) Запорно-пломбир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600102B1 (ko) 댐퍼 잠금 장치
JP2018071067A (ja) 地震対策ドア
JP5319833B1 (ja) ドアチェーン装置
JP5405163B2 (ja) 建築物の扉の鍵が振動で解ける自己解錠装置
JPS636241A (ja) 免震装置
KR102457911B1 (ko) 재난 발생시 자동 개방구조를 갖는 도어
CN215379480U (zh) 一种基于rs485通信的智能面板
KR100574396B1 (ko) 안전창문구조
JP5479393B2 (ja) 免震スリットカバ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