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789A - 가드 레일 - Google Patents

가드 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789A
KR20120020789A KR1020100084631A KR20100084631A KR20120020789A KR 20120020789 A KR20120020789 A KR 20120020789A KR 1020100084631 A KR1020100084631 A KR 1020100084631A KR 20100084631 A KR20100084631 A KR 20100084631A KR 20120020789 A KR20120020789 A KR 20120020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ember
guard rail
rotating
support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5526B1 (ko
Inventor
박규환
서영학
정광호
정철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4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526B1/ko
Publication of KR20120020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13/00Other 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63B2017/045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63B2231/04Irons, steels or ferrous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32Vegetable materials or material comprising predominately vegetable material
    • B63B2231/34Wood or woo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가드 레일이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드 레일은 선박의 상갑판 상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두 개의 폴 형상의 지지부재와, 두 지지부재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회전축을 포함하고, 두 지지부재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플레이트 형상의 회전부재와, 회전부재와 지지부재 중 하나를 고정하여, 회전부재의 회전을 억제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고정부재는 회전부재에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작용하면 지지부재에 대해서 회전부재가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가드 레일{GUARD RAIL}
본 발명은 해적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가드 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승무원이나 여객의 거주구로 이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의 갑판실을 갖고, 갑판실은 상갑판 상에 설치된다. 즉, 승무원이나 여객은 갑판실로부터 나와 상갑판 상에서 이동이 가능하며, 따라서, 상갑판으로부터 해상으로 승무원이나 여객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갑판 상에는 고정된 가드 레일이 설치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의 상갑판(2) 상에 설치된 가드 레일(1) 및 선박의 외곽부인 사이드쉘(3)을 도시한 도면이다. 해상 강도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상갑판(2) 상에 고정된 가드 레일(1) 또는 사이드쉘(3)에 갈고리(4)를 걸어, 선박의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것이 일반적인 침입 형태로서, 최근에는 해상 강도의 침입에 의한 피해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비책의 필요성은 점점 더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해상 강도의 침입에 대한 대비책으로서 종래에는, 해상 강도의 침입이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선내 보호 및 비상 경보, 육지로의 구조요청 등, 해상 강도 침입 후의 대응 시스템이 존재하였다.
또한, 또 다른 종래 기술로서, 해상 강도의 침입이 있는 경우, 간단한 선박의 잠금 장치를 이용하여, 선박의 실내측에서 도어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잠금 장치 등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해상 강도가 선박에 침입한 후에 대한 사후책으로서, 해상 강도의 침입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지는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가드 레일 및 사이드쉘은 해상 강도가 침입하기 위한 갈고리의 걸쇠 역할을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갑판상으로부터 사람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가드 레일의 본연의 기능을 갖는 동시에, 해상 강도가 갈고리를 통해 침입하기 어렵게 하여 해상 강도의 침입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상갑판 상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두 개의 폴 형상의 지지부재와, 상기 두 지지부재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두 지지부재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플레이트 형상의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중 하나를 고정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억제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에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작용하면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서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도록 구성된 가드 레일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고정시키는 착탈 가능한 안전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는 탄성체와 탄성체의 한쪽 단에 연결된 결합편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압축되어 상기 탄성체의 다른 쪽 단은 상기 지지부재 중 하나의 홈에 고정되고, 상기 수직방향으로 놓인 상기 회전부재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홈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결합편 용 홈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체의 길이 및 탄성계수는 상기 탄성체의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상기 회전부재 측으로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 용 홈의 결합력에 의한 토크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놓인 두 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 중 하나의 중량이 다른 하나의 중량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들은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 중 더 무거운 플레이트가 아래로 놓인 경우, 선박의 외측을 향하는 면에 날카로운 돌기를 복수개로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갑판 위에 위치하여 선박의 사이드쉘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사이드쉘에 면접하고 있는 단 위에 상기 지지부재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은 목재 또는 철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선박의 상갑판 상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두 개의 폴 형상의 제 1 지지부재와, 상기 두 개의 제 1 지지부재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제 1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두 제 1 지지부재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플레이트 형상의 제 1 회전부재와, 상기 제 1 회전부재와 상기 제 1 지지부재 중 하나를 고정하여, 상기 제 1 회전부재의 회전을 억제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 1 회전부재에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작용하면 상기 제 1 지지부재에 대해서 상기 제 1 회전부재가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 1 가드 레일과, 선박의 상갑판 상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두 개의 폴 형상의 제 2 지지부재와, 상기 두 제 2 지지부재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제 2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제 2 지지부재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플레이트 형상의 제 2 회전부재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 2 가드 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회전부재와 제 2 회전부재는 미리 설계한 값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분리되는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가드 레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갑판 상의 사람의 낙하를 방지하는 동시에, 갈고리를 가드 레일 또는 사이드쉘에 걸어 선박의 외부에서 사람이 기어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해상 강도의 침입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드 레일의 회전부재 사이를 연결부재로 결합시키고, 소수의 가드 레일의 회전부재만을 안전 핀 등의 고정부재로 지지부재에 고정시킴에 따라서, 각각의 회전부재마다 고정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고, 항해 중 위험지역에 진입 시에 제거해야 하는 안전 핀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가 도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회전부재의 외측면에 복수개의 날카로운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서 해상 강도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가드 레일을 갖는 선박에 해상 강도가 갈고리를 통해 침입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3은 선박의 상갑판 상에 마련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 레일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가드 레일을 측면에서 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의 가드 레일의 A-A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고정부재로서의 안전 핀을 이용하여, 지지부재와 회전부재를 고정시킨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또 다른 고정부재로서의 탄성체와 결합편을 이용하여, 지지부재와 회전부재를 고정시킨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고정부재로서의 안전 핀과 결합편을 부착한 탄성체를 이용하여, 회전부재를 지지부재에 고정시켜 놓은 상태를 도시한다.
도 9는 회전부재의 외측면에 날카로운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가드 레일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선박의 상갑판 상에 마련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 레일의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갑판(2) 상에는 복수개의 가드 레일(10, 11)이 설치될 수 있다. 각 가드 레일(10, 11)은 두 개의 지지부재(12, 14, 16, 18)와, 회전부재(30, 40)와 고정부재인 안전 핀(32, 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드 레일(10, 11)의 회전부재(30, 40)는 연결부재(6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연결부재(60)가 외력에 의해 끊어지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연동될 수 있다.
지지부재(12, 14, 16, 18)는 선박의 상갑판(2) 상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며, 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재(30, 40)는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회전축(31, 41)을 포함하고, 두 지지부재(12, 14, 16, 18)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플레이트 형상을 하고 있다. 회전부재(30, 40)는 회전축(31, 41)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놓인 두 개의 플레이트(33, 34, 43, 44)로 이루어질 수 있고, 회전부재(30, 40)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회전부재(30, 40)가 상갑판에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회전부재(30, 40)는 철판 또는 철망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고정부재인 안전 핀(32, 42)은 회전부재(30, 40)를 회전부재(30, 40)의 양측에 위치한 지지부재 중 하나(12, 42)에 고정하여, 회전부재(30, 4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고정부재는 취부 또는 제거 가능한 안전 핀(32, 42)일 수 있고, 또한 하기에 설명할 결합편을 갖는 용수철로도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60)는 각 가드 레일(10, 11)의 회전부재(30, 40) 사이를 연결하여, 회전부재(30, 40)가 서로의 회전을 억제하도록 한다. 그러나, 연결부재(60)는 사람 및 갈고리의 중량 등 일정 크기 이상의 힘, 즉 미리 설계한 값 이상의 힘으로서, 예를 들어 60kgf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분리되거나 끊어지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60)를 사용하면, 상갑판 상에 마련된 복수개의 가드 레일의 회전부재에 있어서, 소수의 가드 레일의 회전부재만을 안전 핀 등의 고정부재로 지지부재에 고정시킴에 따라서, 각각의 회전부재마다 고정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고, 항해 중 위험지역에 진입 시에 제거해야 하는 안전 핀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가 도모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가드 레일(10)을 측면에서 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전부재(30)의 회전축(31)은 수직 방향에 있어서, 회전부재(30) 및 지지부재(12)의 가운데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부재인 안전 핀(32)은 회전부재(30)에 있어서, 회전축(31)으로부터 최대한 먼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대적으로 더 큰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지지부재(12)는, 상갑판(2) 위에 위치하여 선박의 사이드쉘(3)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사이드쉘(3)의 내측면과 접하고 있는 고정된 단(50) 상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단(50)은 목재, 또는 철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해상 강도 등의 외부 침입자가 갈고리를 사이드쉘(3)에 걸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가드 레일의 A-A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회전부재(30)는, 회전축(31)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놓이고 각각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플레이트(33, 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두 개의 플레이트(33, 34) 중 하나의 플레이트(34)의 중량이 다른 플레이트(33)의 중량보다 상대적으로 커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회전부재(30)는 중량이 더 큰 플레이트(34)에 의한 중력 작용으로 인하여 수직하게 세워져 있을 수 있게 된다.
만일, 두 개의 플레이트(33, 34)가 동일한 중량으로 형성되는 경우, 별도의 무게 추(도시 안됨)을 하부쪽 플레이트(34)의 저부에 더 부가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선박의 횡동요에 대항하여 원래대로 회전부재(30)가 세워져 있을 수 있도록 복원력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고정부재로서의 안전 핀(32)을 이용하여, 지지부재(12)와 회전부재(30)를 고정시킨 것을 도시한 것이다.
안전 핀(32)은 상기 회전축(31)(도 5 참조)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서 상호 대응되도록 마련된 지지부재(12)와 회전부재(30)의 홈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방식으로 체결되어서, 지지부재(12)에 대하여, 안전 핀(32)이 홈에 체결되어 있는 동안, 회전부재의 플레이트(33)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가드 레일은 안전 핀(32)이 꽂혀 있는 동안은, 사람의 낙하를 방지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나, 안전 핀(32)은 사용자에 의해 제거될 수 있으며, 안전 핀(32)이 제거되는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회전부재가 회전하여, 외부의 침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7은 다른 고정부재로서의 탄성체(37)와 결합편(39)을 이용하여, 지지부재(12)와 회전부재(30)를 고정시킨 것을 도시한 것이다.
탄성체(37)의 한쪽 단은 회전부재(30)의 대향 측면쪽 지지부재(12)의 홈에 부착되어 고정되고, 다른 쪽 단은 결합편(39)과 연결되어 있다. 결합편(39)은 지지부재(12)의 대향 측면쪽 회전부재(30)의 결합편용 홈에 결합된다.
결합편(39)이 결합편 용 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탄성체는 압축되어 있으며, 결합편(39)에는 지지부재(12)로부터 회전부재(30) 측으로의 부세력이 작용할 수 있다.
부세력에 의해 발생하는 결합편(39)과 결합편 용 홈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발생하는 토크에 의해 회전부재(30)는 지지부재(12)에 대해서, 회전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체의 탄성계수 및 길이는 평상시에는 회전부재(30)가 회전되지 않고, 유사시에는 회전부재(30)가 회전될 수 있을 정도로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평상시는 선원이 가드 레일의 회전부재(30)에 단순히 기대었을 때 회전부재(30)가 회전되지 않아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유사시는 해상 강도가 선박의 외부로부터 갈고리를 본 실시예의 가드 레일의 회전부재(30) 쪽으로 걸어 연결한 후, 갈고리의 와이어를 잡아 당기거나 와이어를 잡고 넘어오려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편(39)과 결합편 용 홈 사이에 작용하는 정지마찰력의 최대값 또는 그에 의한 토크는 상갑판 상의 사람이 기대는 정도의 외력(예 : 60kg 중, 회전부재에 있어서 회전축으로부터 가장 먼 지점에서 회전 방향으로 작용)에 의한 토크보다는 크고, 갈고리의 와이어에 의해 잡아당겨지는 외력(예 : 80kgf, 회전부재에 있어서 회전축으로부터 가장 먼 지점에 회전 방향으로 작용)에 의한 토크보다는 작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8은 고정부재로서의 안전 핀(32)과 결합편(39)을 부착한 탄성체(37)를 이용하여, 회전부재(30)를 지지부재(12)에 고정시켜 놓은 상태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항해 중, 비 위험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안전 핀(32)을 꽂아 놓고, 해상 강도 등이 자주 출몰하는 위험 지역에서는, 안전 핀(32)을 제거한 뒤, 결합편(39)을 부착한 탄성체(37)에 의해서만 회전부재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는 가드 레일에 의해서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해상 강도 등이 갈고리를 가드 레일에 걸고 침입하려는 경우, 회전부재가 회전하여 해상 강도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회전부재의 외측면에 날카로운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가드 레일을 도시한다.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회전부재의 외측면에 복수개의 날카로운 돌기(3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38)에 의해서, 해상 강도가 갈고리를 걸어서 침입할 때에 회전부재가 회전하지 않더라도, 그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돌기(38)는 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들을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각 구성요소들은 공지된 다양한 구성들로 구현 또는 대체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각 구성요소들은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로 구현 또는 대체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11 : 가드 레일 12, 14, 16, 18 : 지지부재
30, 40 : 회전부재 31, 41 : 회전축
32, 42 : 안전 핀 33, 34, 43, 44 : 플레이트
37 : 탄성체 39 : 결합편
38 : 돌기 50 : 단
60 : 연결 고리

Claims (8)

  1. 선박의 상갑판 상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두 개의 폴 형상의 지지부재와,
    상기 두 지지부재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두 지지부재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플레이트 형상의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 또는 상기 지지부재 중 하나에 설치되고, 설치된 곳 반대쪽에 대응되는 상기 회전부재 또는 상기 지지부재 중 하나와 체결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억제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에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작용하면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서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가드 레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서 상호 대응되도록 마련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홈에 착탈 가능한 안전 핀을 포함하는
    가드 레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탄성체와, 탄성체의 한쪽 단에 연결된 결합편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압축되어 상기 탄성체의 다른 쪽 단은 상기 지지부재 중 하나의 홈에 고정되고, 상기 수직방향으로 놓인 상기 회전부재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홈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결합편 용 홈에 상기 결합편이 결합되고, 상기 탄성체의 길이 및 탄성계수는 상기 탄성체의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상기 회전부재 측으로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 용 홈의 결합력에 의한 토크를 고려하여 설계되는
    가드 레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놓인 두 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 중 하나의 중량이 다른 하나의 중량보다 큰
    가드 레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들은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 중 더 무거운 플레이트가 아래로 놓인 경우, 선박의 외측을 향하는 면에 날카로운 돌기를 복수개로 갖는
    가드 레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갑판 위에 위치하여 선박의 사이드쉘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사이드쉘에 면접하고 있는 단 위에 상기 지지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가드 레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은 목재 또는 철판으로 이루어진
    가드 레일.
  8. 선박의 상갑판 상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두 개의 폴 형상의 제 1 지지부재와,
    상기 두 개의 제 1 지지부재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제 1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두 제 1 지지부재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플레이트 형상의 제 1 회전부재와,
    상기 제 1 회전부재와 상기 제 1 지지부재 중 하나를 고정하여, 상기 제 1 회전부재의 회전을 억제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 1 회전부재에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작용하면 상기 제 1 지지부재에 대해서 상기 제 1 회전부재가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 1 가드 레일; 및
    선박의 상갑판 상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두 개의 폴 형상의 제 2 지지부재와,
    상기 두 제 2 지지부재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제 2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제 2 지지부재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플레이트 형상의 제 2 회전부재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 2 가드 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회전부재와 제 2 회전부재는 미리 설계한 값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분리되는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가드 레일.
KR1020100084631A 2010-08-31 2010-08-31 가드 레일 KR101185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631A KR101185526B1 (ko) 2010-08-31 2010-08-31 가드 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631A KR101185526B1 (ko) 2010-08-31 2010-08-31 가드 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789A true KR20120020789A (ko) 2012-03-08
KR101185526B1 KR101185526B1 (ko) 2012-09-24

Family

ID=46129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631A KR101185526B1 (ko) 2010-08-31 2010-08-31 가드 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55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401Y1 (ko) * 2012-08-20 2015-06-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외적침입 방지설비
EP3168127A1 (en) * 2016-02-19 2017-05-17 Grey Page Marine Systems Limited Security bulwark, perimeter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of protecting a perimeter
EP3168129A1 (en) * 2016-02-19 2017-05-17 Grey Page Marine Systems Limited Perimeter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of protecting a perime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682B1 (ko) 2017-06-08 2019-08-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핸드레일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9620B2 (ja) 2000-07-24 2010-01-20 住友重機械マリ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船舶への違法乗り込み防止装置
JP2007261355A (ja) * 2006-03-28 2007-10-11 Sumitomo Heavy Industries Marine & Engineering Co Ltd 船舶における可動式ハンドレール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401Y1 (ko) * 2012-08-20 2015-06-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외적침입 방지설비
EP3168127A1 (en) * 2016-02-19 2017-05-17 Grey Page Marine Systems Limited Security bulwark, perimeter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of protecting a perimeter
EP3168129A1 (en) * 2016-02-19 2017-05-17 Grey Page Marine Systems Limited Perimeter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of protecting a perimeter
WO2017055643A3 (en) * 2016-02-19 2017-05-18 Gray Page Marine Systems Limited Perimeter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of protecting a perimeter
WO2017055641A3 (en) * 2016-02-19 2017-05-18 Gray Page Marine Systems Limited Security bulwark, perimeter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of protecting a perimeter
US10858073B2 (en) 2016-02-19 2020-12-08 Gray Page Marine Systems Limited Security bulwark, perimeter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of protecting a perim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5526B1 (ko) 2012-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526B1 (ko) 가드 레일
US9993669B2 (en) D-ring keeper assembly
US20060201744A1 (en) Elevator shaft safety net system
TWI635998B (zh) 人員升降機安全防護裝置
JP6553737B2 (ja) 安全固定システム、安全固定システムに使用可能なカラビナ、および安全固定システムを含む固定組立品
US10435897B2 (en) Fall protection tool for use in blocking an opening
US5676188A (en) Blind cord security device
KR20160148763A (ko) 방폭 구조물
KR102165859B1 (ko)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
KR200476116Y1 (ko) 구조물 보호용 방화 롤러 셔터
KR101625503B1 (ko) 선박용 난간
KR101153788B1 (ko)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JP2012206672A (ja) 船舶の侵入防止構造
KR20130071630A (ko) 해적침입방지장치
RU2304678C1 (ru) Гибкое запорно-пломбир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477401Y1 (ko) 선박의 외적침입 방지설비
KR101260232B1 (ko) 비상용 사다리 구조물
KR20160027362A (ko) 선박 객실 비상탈출장치
KR200486490Y1 (ko) 선박의 시어 스트레이크 보호 장치
KR200462231Y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438452B1 (ko) 갱폼 안전 인양장치
KR102254914B1 (ko) 안전격납 유물진열대
KR101271127B1 (ko) 선박용 난간
JP3145311U (ja) 地震発生で吊り下げ錘が揺れて、その運動でスプリングによって引っ張られていた可動板のロックを外し、鋼板製物置小屋の引き戸の錠前を解錠する装置
JP6566528B2 (ja) ロック機構付き防災用パネル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