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1630A - 해적침입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해적침입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1630A
KR20130071630A KR1020110138943A KR20110138943A KR20130071630A KR 20130071630 A KR20130071630 A KR 20130071630A KR 1020110138943 A KR1020110138943 A KR 1020110138943A KR 20110138943 A KR20110138943 A KR 20110138943A KR 20130071630 A KR20130071630 A KR 20130071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rotective plate
intrusion prevention
ship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8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정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8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1630A/ko
Publication of KR20130071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6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13/00Other 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63B2017/045Bulwark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적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체의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난간구조물과 상기 난간구조물과 제1힌지부를 매개로 힌지결합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탄성 위치복원이 가능하도록 위치복원기능이 구비된 방호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체의 경계지역에 위치한 난간구조물에 힌지를 매개로 자체 회전 및 탄성 복원이 가능한 방호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갈고리 등을 이용하여 침입을 하고자 하는 해적들의 침입시도를 무력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적침입방지장치{Anti-pirate system in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해적 침입 방지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항해중 외부로부터 허가받지 않은 자가 선박의 난간을 통해 침입하는 것을 차단 또는 최대한 지연하여 선박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해적침입 방지설비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해적이 출몰하는 지역을 운항하는 선박에서는 외부로부터 허가받지 않은 자에 의해 선박이 점거되는 피랍 사고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바, 이러한 피랍 사고는 허가받지 않은 자가 선체의 난간부위에 로프에 매달린 갈고리(Hook)를 투척하여 승선함에 따라 주로 발생하게 된다.
그럼에도, 통상의 선박에 있어 난간부위에는 외부로부터 허가받지 않은 자의 침입을 제한하기 위한 보안 시설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해적과 같이 허가받지 않은 자에 의한 승선을 막을 수 없었고, 이에 따라 피랍 사고의 발생은 별다른 대책 없이 방치되는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운항중인 선박에 대해 이루어지는 각종 피랍 사고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보다 근본적인 대책의 강구가 요구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해적들의 침입방지를 위해 고안된 장치로, 선박의 해적 침입 방지설비는 선체에 있어 경계지역에 위치한 난간 부재(10)에 설치되는 방호부재(防護部材; 12)로 이루어지는바, 상기 방호부재(12)는 외부로부터 허가받지 않은 자가 선박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난간 부재(10)에 대해 갈고리(50)에 의해 이루어지는 걸림 작용을 차단하는 일종의 보호장치(Anti-grasping Cover Device; 12)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즉, 선체의 경계지역에 위치한 상기 난간 부재(10)에 대해 외부로부터 허가받지 못한 자가 로프(52)에 매달린 갈고리(50)를 투척하여 침입하고자 할 때, 상기 난간 부재(10)에 상기 갈고리(50)가 걸리지 않도록 하여 선박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구조에서 방호부재(12)는 상면부(12a)의 폭이 상기 갈고리(50)의 개방부가 가지는 최대 이격거리(L) 보다 크게 설정되어 상기 방호부재(12) 상에 상기 갈고리(50)의 걸림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난간 부재(10)에 대해 상기 갈고리(50)의 걸림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상기 방호부재(12)의 상면부(12a)는 평탄한 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호부재(12)의 구조는 갈고리(50)가 걸리기는 쉽지 않으나, 표면의 돌출부(30) 등에 갈고리가 걸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 효율적인 방호 부재로 기능 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558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체의 경계지역에 위치한 난간구조물에 힌지를 매개로 자체 회전 및 탄성 복원이 가능한 방호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갈고리 등을 이용하여 침입을 하고자 하는 해적들의 침입시도를 무력화시킬 수 있는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체의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난간구조물; 과 상기 난간구조물과 제1힌지부를 매개로 힌지 결합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탄성 위치복원이 가능하도록 위치복원기능이 구비된 방호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호플레이트는, 상기 방호플레이트의 일면에 상기 난간구조물을 연결하는 탄성 유닛에 의해 탄성 위치복원이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방호플레이트는,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하부 쪽 플레이트의 하중이 상부 쪽 플레이트의 하중보다 크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방호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쪽 플레이트가 2 이상 분리되어 분리되는 단위플레이트에 제2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힌지부에 의해 상기 각 단위플레이트가 탄성 위치복원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해적침입방지장치는, 상기 제1힌지부 또는 제2힌지부의 구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에 의해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체의 경계지역에 위치한 난간구조물에 힌지를 매개로 자체 회전 및 탄성 복원이 가능한 방호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갈고리 등을 이용하여 침입을 하고자 하는 해적들의 침입시도를 무력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방호플레이트 자체의 탄성 복원을 탄성체 또는 하중을 이용하여 제조비용을 감소시키며, 이중 힌지구조를 채택해 보다 신뢰성 있는 방호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해적 침입 방지용 구조물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적침입 방지용 구조물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해적침입방지장치(이하, '본 장치'라 한다.)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장치는 선체(100)의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난간구조물(110)과 상기 난간구조물(110)과 제1힌지부를 매개로 힌지결합하는 결합부(210), 그리고 상기 결합부(210)를 중심으로 탄성 위치복원이 가능하도록 위치복원기능이 구비된 방호플레이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상기 방호플레이트(200)는, 상기 방호플레이트의 일면에 상기 난간구조물(110)을 연결하는 탄성 유닛(220)에 의해 탄성 위치복원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난간구조물에 방호플레이트가 장착이 되는 경우, 상기 방호플레이트(200)의 일면에 난간구조물(110)과 결합하는 결합부(210)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는 방호플레이트(200)가 힌지구동 할 수 있도록 제1힌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시된 것과 같이, 갈고리(G)가 상기 방호플레이트(200)의 상단부에 걸리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부(210)를 축으로 상기 방호플레이트(200)이 힌지구동하며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하여 갈고리가 걸리지 않고 미끄러지도록 하며, 이후 상기 방호플레이트(200)는 탄성 유닛(220)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 탄성 유닛(220)은 도시된 것과 같이, 스프링과 같은 탄성력을 가지는 부재이며 어느 것이나 가능하며, 본 장치의 방호플레이트의 탄성 복원력을 구현하기 위해서 상기 탄성 유닛(220)과 병행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방호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의 무게를 다르게 형성하여 자체적으로 하중에 의해 복원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도 3을 통해, 이를 설명하면, 본 장치의 방호플레이트(200)과 난간구조물(110)이 결합되는 결합부(210)를 중심으로 하부 쪽 플레이트(B)의 하중이 상부 쪽 플레이트(A)의 하중보다 크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도시된 것과 같이 별도의 탄성 유닛(22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자체 하중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상기 방호플레이트가 복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상기 탄성 유닛은 도시된 것과 같이 스프링 구조 등의 별개의 구조물로 외부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는 결합부(210)의 내부에 제1힌지부에 결합되는 스프링 부재를 내재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의 구조에서는 갈고리 등의 외부 물체에 의해 방호플레이트(200)가 당겨지는 경우의 이동방향(X1)에 대해, 탄성 유닛(220)에 의해 복원하려는 복원력의 방향(X2)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구조는 도 3의 방호플레이트의 구조에 하부 쪽 플레이트(B)를 단위 모듈로 세분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하부 쪽 플레이트(B)가 2 이상 분리되어 배치되는 단위플레이투(B1, B2)로 형성하며, 각 단위플레이트를 힌지 구동하도록 형성하는 제2힌지부(230)를 포함하여 형성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갈고리 등의 외부 물체가 도 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방호플레이트의 상부 쪽에 걸리는 것이 아니라 방호플레이트의 아래 쪽에 걸리는 경우에도 상기 단위플레이트 각각이 힌지 구동하도록 하여,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갈고리가 걸리지 않도록 꺾여지게 되며, 이후 상기 제2힌지부(230)에 의해 상기 각 단위플레이트가 탄성 위치복원되도록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각 단위플레이트 간의 탄성 복원을 위해 별도의 스프링 등의 탄성 복원용 구조물을 구비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2 내지 도 4에서 상술한 상기 해적침입방지장치는, 상기 제1힌지부 또는 제2힌지부의 구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에 의해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외부 침입을 자동감지하여 선실 내에 경고함으로써, 외부의 침입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보안시스템과 연계하는 것이다. 물론, 각 개소에 CCTV 등의 설비와 연동하여 해적 침입을 더욱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선체
110: 난간구조물
200: 방호플레이트
210: 결합부(제1힌지부)
220: 탄성 유닛

Claims (5)

  1. 선체의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난간구조물; 과
    상기 난간구조물과 제1힌지부를 매개로 힌지결합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탄성 위치복원이 가능하도록 위치복원기능이 구비된 방호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박용 해적침입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호플레이트는,
    상기 방호플레이트의 일면에 상기 난간구조물을 연결하는 탄성 유닛에 의해 탄성 위치복원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해적침입방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호플레이트는,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하부 쪽 플레이트의 하중이 상부 쪽 플레이트의 하중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선박용 해적침입방지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호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쪽 플레이트가 2 이상 분리되어 분리되는 단위플레이트에 제2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힌지부에 의해 상기 각 단위플레이트가 탄성 위치복원되도록 구현되는 선박용 해적침입방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해적침입방지장치는,
    상기 제1힌지부 또는 제2힌지부의 구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에 의해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박용 해적침입방지장치.
KR1020110138943A 2011-12-21 2011-12-21 해적침입방지장치 KR201300716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943A KR20130071630A (ko) 2011-12-21 2011-12-21 해적침입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943A KR20130071630A (ko) 2011-12-21 2011-12-21 해적침입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630A true KR20130071630A (ko) 2013-07-01

Family

ID=48986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8943A KR20130071630A (ko) 2011-12-21 2011-12-21 해적침입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163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3803A (zh) * 2018-09-30 2019-01-25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防海盗栏杆及应用方法
GR1010056B (el) * 2020-06-02 2021-08-13 Νεκταριος Δημητριου Λιβιτσανης Ενεργο συστημα προφυλαξης και αποτροπης κακοβουλης εισβολης απο επιθετικες ενεργειες και ρεσαλτο σε παντος τυπου πλοια
CN113911305A (zh) * 2021-08-12 2022-01-11 广东海洋大学 一种防海盗装置及包含其的船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3803A (zh) * 2018-09-30 2019-01-25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防海盗栏杆及应用方法
GR1010056B (el) * 2020-06-02 2021-08-13 Νεκταριος Δημητριου Λιβιτσανης Ενεργο συστημα προφυλαξης και αποτροπης κακοβουλης εισβολης απο επιθετικες ενεργειες και ρεσαλτο σε παντος τυπου πλοια
CN113911305A (zh) * 2021-08-12 2022-01-11 广东海洋大学 一种防海盗装置及包含其的船舶
CN113911305B (zh) * 2021-08-12 2022-11-08 广东海洋大学 一种防海盗装置及包含其的船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9051B2 (en) Security bulwark to prevent unauthorised boarding of ships
KR20110005586A (ko) 선박의 외적침입 방지설비
JP2007261355A (ja) 船舶における可動式ハンドレール
KR20130071630A (ko) 해적침입방지장치
US201201335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control panel attacks in a security system
KR101210327B1 (ko) 지능형 선박용 경보 시스템
KR20160006426A (ko)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
EP3178528B1 (en) Fall protection harness with damage indicator
KR20110092555A (ko) 해적 침입 방지 장치 및 방법
US20240096159A1 (en) Secure exit lane door
EP3178527B1 (en) Fall protection harness with damage indicator
EP3168129A1 (en) Perimeter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of protecting a perimeter
KR20120020789A (ko) 가드 레일
JP2019035262A (ja) 侵入防止構造体
KR200477401Y1 (ko) 선박의 외적침입 방지설비
KR20130005714U (ko) 선박의 해적 침입 방지장치
KR101625503B1 (ko) 선박용 난간
KR20150048990A (ko) 해적 침입 방지용 고압분사장치
EP3656654B1 (en) Security arrangement
US11126857B1 (en) System and method for object falling and overboarding incident detection
KR200470663Y1 (ko) 선박의 해적 침입 방호시스템
KR101271127B1 (ko) 선박용 난간
JP2006160485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US9953495B2 (en) Active automated anti-boarding device and maritime asset security system
EP3237283B1 (en) Ship rail securit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