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102B1 - 댐퍼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댐퍼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102B1
KR102600102B1 KR1020230028658A KR20230028658A KR102600102B1 KR 102600102 B1 KR102600102 B1 KR 102600102B1 KR 1020230028658 A KR1020230028658 A KR 1020230028658A KR 20230028658 A KR20230028658 A KR 20230028658A KR 102600102 B1 KR102600102 B1 KR 102600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ock
guide
barrel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8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헌
Original Assignee
(주)건우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우케미칼 filed Critical (주)건우케미칼
Priority to KR1020230028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1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6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using a removable actuating or locking member, e.g. a k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using a permanent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4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yieldingly resisting the act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1Damping of valv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댐퍼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댐퍼용 몸체의 외면에 형성된 조작가이드의 전면을 가리며, 내부에는 상기 조작가이드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댐퍼용 개폐 레버의 파지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회전가이드용 포켓이 형성된 제1 잠금통 및 상기 제1 잠금통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나의 통을 형성하면서 상기 조작가이드의 후면을 가리고, 상기 파지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조작가이드의 개폐가이드홀을 따라 양방향 이동되면서 상기 댐퍼용 몸체 내의 밸브를 개폐하는 작동핀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구속시키는 구속홀 및 통을 형성할 시 상기 회전가이드용 포켓과 마주하며, 잠금을 위한 걸림편을 갖는 락킹용 포켓이 형성된 제2 잠금통을 포함하는 구속 본체부; 및 상기 제1 잠금통과 상기 제2 잠금통이 서로 접촉되도록 홀딩되면서 상기 조작가이드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가리도록 잠금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회전가이드용 포켓 및 락킹용 포켓의 내부에 공동으로 수용된 상태로 제자리 회전되고, 회전시 상기 걸림편에 맞물려 잠금시키는 잠금돌기를 갖는 잠금 본체부; 및 상기 잠금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락킹용 포켓의 외부로 노출되는 키홈이 형성된 키 접속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댐퍼 잠금 장치{LOCKING DEVICE FOR DAMPER}
본 발명은 잠금장치를 사용하여 댐퍼용 개폐 레버를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이 허가된 관리자만 개폐 레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댐퍼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를 포함한 각종 유체공급라인상에 설치되느 밸브의 핸들은 인가된 정당한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요구된다.
또한 정당한 사용자에 의한 사용이라고 하더라도 다른 밸브와의 혼동등으로 인해 밸브의 오조작은 반 도체공정등 유체공급라인이 설치된 제조현장에서 매우 중요한 사고 원인의 하나이다.
이러한 밸브의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밸브핸들용 보호캡이 사용되어 왔다(한국 실용신안등록 제165918호 등).
그러나 종래의 밸브핸들용 보호캡은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단순히 덮개를 사용하기 때문에 오조작을 방지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덮개를 종래의 잠금장치 즉 자물쇠와 열쇠로 잠그는 보조장치를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별도의 자물쇠의 사용은 별도의 자물쇠를 사용하여야 하는 등 설치 및 조작이 용이하지 않음으로 인해 사용의 번거로움이 있거나 설치비용 시간 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165918호
본 발명은, 잠금장치를 통해 댐퍼용 개폐 레버를 구속하여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이 허가된 관리자만 개폐 레버를 제어할 수 있는 댐퍼 잠금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잠금장치에 허가되지 않은 자에게 조작상의 혼란성을 줄 수 있는 복수개의 추가 레버를 적용함으로써, 허가된 관리자만 잠금장치를 쉽고 빠르게 개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추가 레버를 통해 잠금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댐퍼 잠금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개폐 레버를 지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구속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게폐 레버의 오조작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댐퍼 잠금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잠금장치를 보강하여 각종 충격으로부터 보호함에 따라,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댐퍼 잠금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연도에 진동을 전달하여 내부 공기통로에 존재하는 각종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언제나 공기와 가스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댐퍼 잠금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는, 댐퍼용 몸체의 외면에 형성된 조작가이드의 전면을 가리며, 내부에는 상기 조작가이드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댐퍼용 개폐 레버의 파지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회전가이드용 포켓이 형성된 제1 잠금통 및 상기 제1 잠금통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나의 통을 형성하면서 상기 조작가이드의 후면을 가리고, 상기 파지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조작가이드의 개폐가이드홀을 따라 양방향 이동되면서 상기 댐퍼용 몸체 내의 밸브를 개폐하는 작동핀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구속시키는 구속홀 및 통을 형성할 시 상기 회전가이드용 포켓과 마주하며, 잠금을 위한 걸림편을 갖는 락킹용 포켓이 형성된 제2 잠금통을 포함하는 구속 본체부; 및 상기 제1 잠금통과 상기 제2 잠금통이 서로 접촉되도록 홀딩되면서 상기 조작가이드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가리도록 잠금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회전가이드용 포켓 및 락킹용 포켓의 내부에 공동으로 수용된 상태로 제자리 회전되고, 회전시 상기 걸림편에 맞물려 잠금시키는 잠금돌기를 갖는 잠금 본체부; 및 상기 잠금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락킹용 포켓의 외부로 노출되는 키홈이 형성된 키 접속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잠금통은 상기 회전가이드용 포켓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부가 걸림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잠금통은 상기 제1 잠금통에 접하도록 접힐 시 상기 걸림편에 맞물려 고정되는 맞물림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잠금통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관통설치되며, 내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복수개의 제1 체결구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체결구에 각각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조작가이드에 형성된 절개홀을 관통하며, 일단이 상기 제2 잠금통의 내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잠금통의 외면을 가압하는 헤드부재를 포함하는 페이크 레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잠금통에 관통설치되고, 내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제2 체결구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잠금통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체결구와 대향되는 제3 체결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작가이드에 형성된 절개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2 체결구와 제3 체결구에 공동으로 체결되어, 상기 잠금부가 미잠금 모드에서도 상기 제1 잠금통과 제2 잠금통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유지부재 및 상기 잠금유지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잠금통의 외면을 가압하는 부가 헤드부재를 포함하는 리얼 잠금 레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댐퍼용 몸체에 장착되며 상기 제2 잠금통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작동핀의 일정영역을 지지하는 보조 구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구속부는, 상기 조작가이드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댐퍼용 몸체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도록 "C"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이 설치되며, 상기 제거부에 타격되는 탄성재질의 장착 몸체; 상기 장착 몸체의 일측에 수직 결합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조작가이드의 상측에 위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의 바닥면에 결합되며, S극의 극성을 갖는 제1 자석부; 상기 가이드레일의 천장면에 결합되고, S극의 극성을 갖는 제2 자석부;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부공간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에 매립되고, 상기 제1 자석부 및 제2 자석부와 반대 극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상승 또는 하강될 시 상기 제1 자석부 또는 제2 자석부에 각각 부착되는 제3 자석부; 및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며, 일정영역이 상기 가이드레일의 외부로 돌출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끝부분에서 하 방향으로 직각 절곡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하강될 시 상기 조작가이드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수직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의 하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직각 절곡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하강되어 상기 제1 자석부의 상면에 부착될 시 상기 조작가이드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작동핀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작동제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잠금통 및 상기 제2 잠금통의 내부공간에 각각 서로 동일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수용되어, 상기 제1 잠금통 및 제2 잠금통을 각각 보강하는 복수개의 보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1 잠금통 및 제2 잠금통의 내부공간 형상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갖는 보강틀; 상기 보강틀의 내부공간에 서로 수직,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제1 보강바 및 제2 보강바를 포함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구속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수평설치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보조 구속부의 외면을 타격하여 상기 댐퍼용 몸체의 내벽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낙하시키는 제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거부는, 상기 지지판에 각각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의 플런저의 상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상기 장착 몸체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결합되어 경사진 구조를 이루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전진될 시 상기 장착 몸체를 타격하는 타격볼; 상기 장착 몸체에 결합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저면에 수직결합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측면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 및 상기 코일스프링에 결합되고 장착 몸체를 타격한 타격볼을 튕겨내는 튕김판을 포함하는 튕김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잠금장치를 통해 댐퍼용 개폐 레버를 구속하여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이 허가된 관리자만 개폐 레버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잠금장치에 허가되지 않은 자에게 조작상의 혼란성을 줄 수 있는 복수개의 추가 레버를 적용함으로써, 허가된 관리자만 잠금장치를 쉽고 빠르게 개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추가 레버를 통해 잠금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폐 레버를 지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구속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게폐 레버의 오조작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잠금장치를 보강하여 각종 충격으로부터 보호함에 따라,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도에 진동을 전달하여 내부 공기통로에 존재하는 각종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언제나 공기와 가스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가 적용되는 댐퍼를 도시한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가 댐퍼의 개폐 레버를 잠금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에 적용된 잠금부와, 회전 가이드용 포켓 및 락킹용 포켓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에 적용된 잠금부의 잠금상태 및 잠금해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에 적용된 잠금부의 잠금상태 및 잠금해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에 페이크 레버 및 리얼 개폐 레버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에 페이크 레버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에 리얼 개폐 레버와 제2 체결구 및 제3 체결구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에 보강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에 보조 구속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에 적용된 가이드레일과, 슬라이더와, 수평부재 및 지지부재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에 보조 구속부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에 제거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가 적용되는 댐퍼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가 댐퍼의 개폐 레버를 잠금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에 적용된 잠금부와, 회전 가이드용 포켓 및 락킹용 포켓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에 적용된 잠금부의 잠금상태 및 잠금해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에 적용된 잠금부의 잠금상태 및 잠금해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에 페이크 레버 및 리얼 개폐 레버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에 페이크 레버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에 리얼 개폐 레버와 제2 체결구 및 제3 체결구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에 보강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에 보조 구속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에 적용된 가이드레일과, 슬라이더와, 수평부재 및 지지부재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에 보조 구속부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에 제거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1)는, 구속 본체부(10)와, 잠금부(20)와, 제1 체결구(113)와, 페이크 레버(30)와, 제2 체결구(114)와, 제3 체결구(123)와, 리얼 잠금 레버(40)와, 보조 구속부(50)와, 보강부(60)와, 지지판(70) 및 제거부(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속 본체부(10) 및 잠금부(20)는 댐퍼의 작동을 제한하며, 허가된 작업자만 댐퍼를 제어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댐퍼는 저부에 링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된 관체 구조의 댐퍼용 몸체(2)와, 댐퍼용 몸체(2)의 공기통로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 방향으로 회동시 수직 상태를 이루어 댐퍼용 몸체(2)의 공기통로를 개방하고, 하 방향으로 회동시 수평 상태를 이루어 댐퍼용 몸체(2)의 공기통로를 폐쇄하는 밸브(미도시)와, 밸브와 연결되고, 일정영역이 댐퍼용 몸체(2)의 외부로 돌출되는 개폐 레버(4) 및 댐퍼용 몸체(2)의 외면에 설치되며, 전면부(3b)에 개폐 레버(4)의 상,하 슬라이딩 작동을 가이드하는 곡선 형상의 가이드홀(3c)이 형성된 조작가이드(3)를 포함한다.
이때, 댐퍼용 몸체(2)의 플랜지(P)는 연도의 상단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플랜지에 볼팅결합된다.
그리고, 댐퍼용 몸체(2)에는 조작가이드(3)의 가이드홀(3c)과 동일한 형상 및 길이를 갖는 가이드홀(2a)이 형성된다.
그리고, 개폐 레버(4)는 일정영역이 댐퍼용 몸체(2)의 가이드홀(2a)을 관통하여 밸브에 연결되고, 나머지 영역은 댐퍼용 몸체(2)의 외부로 돌출되는 조작핀(4a) 및 댐퍼용 몸체(2)의 외부로 돌출된 조작핀(4a)의 단부에 결합되는 파지부(4b)를 포함한다.
조작핀(4a)의 일정영역은 조작가이드(3)의 가이드홀(3c)에 수용된다.
따라서. 개폐 레버(4)는 가이드홀(2a,3c)을 따라 양방향 이동되면서 밸브를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파지부(4b)는 허가된 관리자가 조작하도록 조작가이드(3)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러한 댐퍼의 구성 및 작동 방식은 상용화 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계속해서, 구속 본체부(10)는 댐퍼용 조작가이드(3)를 감싸면서 조작가이드(3)를 구속시켜 허가되지 않은 자가 밸브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구속 본체부(10)는 제1 잠금통(11) 및 제2 잠금통(12)을 포함한다.
제1 잠금통(11)은 조작가이드(3)의 전면부(3b) 전면을 가리는 구성이다.
제1 잠금통(11)은 제2 잠금통(12)과 마주하는 면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조작가이드(3)의 전방으로 돌출된 파지부(4b)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1a)이 형성된다.
제1 잠금통(11)의 수용공간(11a)은 대략 반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잠금통(11)의 일측에는 후술되는 잠금 본체부(21)가 수용되는 회전 가이드용 포켓(111)이 형성된다.
회전 가이드용 포켓(111)의 내부에는 잠금 본체부(21)의 일정영역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 가이드용 포켓(111)은 도 5를 기준으로, 제1 잠금통(11)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2 잠금통(12)은 조작가이드(3)의 전면부(3b) 후면을 가리는 구성이다.
제2 잠금통(12)은 연결편을 매개로 제1 잠금통(11)에 결합된다.
제1 잠금통(11)과, 제2 잠금통(12) 및 연결편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잠금통(11)과 제2 잠금통(12)은 연결편을 통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제2 잠금통(12)은 제1 잠금통(11)과 마주하는 면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12a)이 형성된다.
제2 잠금통(12)의 수용공간(12a)은 반원형 형상과 가까운 형상 또는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잠금통(11) 및 제2 잠금통(12)이 서로 마주하는 면이 접촉되어 전면부(3b)의 전면과 전면부(3b)의 후면을 각각 가리면, 구속 본체부(10)는 하나의 통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제2 잠금통(12)은 양측면에 절개홀(12a)이 각각 형성되어 제1 잠금통(11)과 접촉되는 형태로 접힐 수 있다.
제2 잠금통(12)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조작핀(4a)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구속시키는 구속홀(12b)이 형성된다.
조작핀(4a)의 일정영역이 구속홀(12b)에 수용되어 그 양측이 제2 잠금통(12)에 각각 지지됨으로, 개폐 레버(4)의 조작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조작핀(4a)의 일정영역은 제2 잠금통(12)의 외부로 돌출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핀(4a)의 일정영역은 댐퍼용 몸체(2)의 외면과 제2 잠금통(12)의 사이 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후술되는 보조 구속부(50)에 의해 지지된다.
제2 잠금통(12)은 제1 잠금통(11)과 함께 통을 형성할 시 회전 가이드용 포켓(111)과 접촉되는 락킹용 포켓(121)이 형성된다.
락킹용 포켓(121)은 도 5를 기준으로, 제1 잠금통(11)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락킹용 포켓(121)의 내부에는 잠금 본체부(21)의 다른 일정영역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즉, 제1 잠금통(11)과 제2 잠금통(12)이 접혀져 하나의 통을 형성할 경우, 잠금 본체부(21)의 일정영역은 회전 가이드용 포켓(111)의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나머지 영역은 락킹용 포켓(121)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것이다.
이때, 잠금 본체부(21)는 잠금 또는 해제 작동을 위해 정,역방향으로 원할하게 회전되도록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회전 가이드용 포켓(111)의 수용공간 및 락킹용 포켓(121)의 수용공간은 각각 "U"자 단면 또는 반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잠금통(11) 및 제2 잠금통(12)이 접혀저 전면부(3b)를 가리게 되면 회전 가이드용 포켓(111)의 수용공간 및 락킹용 포켓(121)의 수용공간은 하나의 원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회전 가이드용 포켓(111)의 수용공간의 크기가 락킹용 포켓(121)의 수용공간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락킹용 포켓(121)의 수용공간에는 곡선형상의 걸림편(1211a)이 형성된다.
걸림편(1211a)과 잠금부(20)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1 잠금통(11)과 제2 잠금통(12)을 잠글 수 있다.
그리고, 걸림편(1211a)의 끝단에는 잠금부(20)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1211b)가 형성된다.
스토퍼(1211b)는 걸림편(1211a)의 끝단에서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연장된다.
걸림편(1211a)에 대한 잠금부(20)의 잠금작용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제1 잠금통(11)은 회전 가이드용 포켓(111)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부가 걸림편(112)을 더 포함하고, 제2 잠금통(12)은 제1 잠금통(11)에 접하도록 접힐 시 부가 걸림편(112)에 맞물려 고정되는 맞물림부(122)를 더 포함한다.
맞물림부(122)에는 부가 걸림편(112)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홈 또는 홀 형상의 고정수단(122a)이 형성된다.
맞물림부(122)는 제1 잠금통(11) 및 제2 잠금통(12)과 동일하게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일정수준으로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개폐 레버(4)를 고정하기 위해 조작가이드(3) 상에 제1 잠금통(11) 및 제2 잠금통(12)이 마주하도록 접을 시 손가락으로 맞물림부(122)를 상 방향으로 당겨 휘어지도록 한 다음, 제1 잠금통(11) 및 제2 잠금통(12)을 접은 상태에서는 맞물림부(122)에서 손가락을 이탈시키면, 고정수단(122a)에 부가 걸림편(112)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잠금부(20)는 제1 잠금통(11) 및 제2 잠금통(12)의 우측에서 잠금시키고, 걸림편(1211a) 및 맞물림부(122)는 제1 잠금통(11) 및 제2 잠금통(12)에 좌측에서 맞물리기 때문에 제1 잠금통(11) 및 제2 잠금통(12)의 잠금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잠금부(20)는 제1 잠금통(11)과, 제2 잠금통(12)이 서로 마주하는 면이 접촉되도록 홀딩되면서 전면부(3b)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가리도록 잠금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잠금부(20)는 잠금 본체부(21) 및 키 접속부(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본체부(21)는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 가이드용 포켓(111) 및 락킹용 포켓(121)의 수용공간에 공동으로 수용된 상태로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잠금 본체부(21)의 가장자리에는 잠금 본체부(21)가 회전될 시 걸림편(1211a)에 맞물려 제1 잠금통(11) 및 제2 잠금통(12)을 잠금시키는 잠금돌기(2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잠금 본체부(21)에는 회전 가이드용 포켓(111)의 수용공간에 형성된 수평벽(111a)을 관통하는 축이 형성된다.
회전 가이드용 포켓(111)에는 대략 "C"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키 접속부(23)는 축의 일측에 형성되며,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로 외부로 외부로 노출된다.
키 접속부(23) 중 회전 가이드용 포켓(111)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는 키홈(23a)이 형성된다.
키홈(23a)의 중앙부분에는 키(K)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돌기(23b)가 형성된다.
키(K)는 수용돌기(23b)가 수용되도록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구조로 형성되며,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된다.
키(K)에는 맞물림돌기(K1)가 형성되고, 키홈(23a)에는 맞물림돌기(K1)가 수용되어 맞물리는 맞물림홈(23c)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잠금통(11) 및 제2 잠금통(12)이 서로 접촉되어 조작가이드(3)의 전면과 후면을 가린 상태에서 맞물림돌기(K1)가 맞물림홈(23c)에 수용되도록 키홈(23a)에 키(K)를 삽입한 후, 키(K)를 정방향으로 돌리면 잠금 본체부(21)의 회전에 의해 잠금돌기(211)가 락킹용 포켓(121)의 수용공간으로 이동되어 걸림편(1211a)에 맞물리게 되어 제1 잠금통(11)과 제2 잠금통(12)이 잠금된다.
이때, 잠금돌기(211)가 스토퍼(1211b)에 접촉되면 잠금 본체부(21)의 회전이 정지됨으로, 허가된 작업자에게 잠금돌기(211)가 걸림편(1211a)에 걸려 제1 잠금통(11)과 제2 잠금통(12)이 정상적으로 잠금상태에 있다는 것을 인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키(K)를 역방향으로 돌리면 잠금 본체부(21)의 회전에 의해 락킹용 포켓(121)의 수용공간에서 걸림편(1211a)에 맞물려 있던 잠금돌기(211)가 다시 회전 가이드용 포켓(111)의 수용공간으로 이동됨으로 제1 잠금통(11)과 제2 잠금통(12)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때, 도 3을 기준으로 제1 잠금통(11)과 제2 잠금통(12)이 서로 접촉되어 통을 형성할 경우, 잠금 본체부(21)는 걸림편(1211a)의 저면에 접촉되거나 또는, 저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고, 잠금돌기(211)는 잠금 본체부(21)의 상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잠금 본체부(21)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락킹용 포켓(121)의 수용공간으로 이동되어 걸림편(1211a)에 맞물리거나 또는, 잠금 본체부(21)의 역 방향 회전에 의해 회전 가이드용 포켓(111)의 수용공간으로 이동되면서 걸림편(1211a)에서 이탈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1)는 제1 잠금통(11)과 제2 잠금통(12)으로 조작가이드(3)의 전면부(3b) 전면과 후면을 가리면서 개폐 레버(4)를 은닉시키고, 잠금부(20)로 제1 잠금통(11)과 제2 잠금통(12)을 잠가서 밸브의 오조작 방지효과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허가되지 않은 자가 밸브를 작동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등 밸브의 보안이 철저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구(113)와, 페이크 레버(30)와, 제2 체결구(114)와, 제3 체결구(123) 및 리얼 잠금 레버(40)는 허가되지 않은 자에게 곤란성을 주어 구속 본체부(10)를 쉽게 열지 못하도록 하고, 허가받은 관리자만 구속 본체부(10)를 쉽게 열도록 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구(113)는 제1 잠금통(11)에 관통설치된다. 제1 체결구(113)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적용되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1 체결구(113)는 내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너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페이크 레버(30)는 제1 체결구(113)에 각각 체결되는 것으로, 조작가이드(3)에 형성된 절개홀(3a)을 관통하여 일단이 제2 잠금통(12)의 내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31) 및 가압부재(31)의 일측에 형성되며, 가압부재(31)가 제2 잠금통(12)의 내면을 가압하는 깊이로 이동될 시 제1 잠금통(11)의 외면을 가압하는 헤드부재(32)를 포함한다.
이때, 페이크 레버(30)는 볼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페이크 레버(30)는 정방향으로 회전될 시 제1 체결구(113)에 체결되고, 역방향으로 회전될 시에는 제1 체결구(113)에서 분리된다.
페이크 레버(30)가 제1 체결구(113)에 체결되면서 제2 잠금통(12)의 내면을 단순 가압함에 따라 제1 잠금통(11)과 제2 잠금통(12)이 잠금 상태에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체결구(114)는 제1 잠금통(11)에 관통설치된다. 제2 체결구(114)는 내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너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구(114)는 제1 체결구(113)들의 사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체결구(123)는 제2 잠금통(12)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제2 체결구(114)와 대향된다.
제3 체결구(123)는 내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너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얼 잠금 레버(40)는 조작가이드(3)에 형성된 절개홀(3a)을 관통하면서 제2 체결구(114)와 제3 체결구(123)에 공동으로 체결되는 잠금유지부재(41) 및 잠금유지부재(41)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1 잠금통(11)의 외면을 가압하는 부가 헤드부재(42)를 포함한다.
이때, 리얼 잠금 레버(40)는 볼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리얼 잠금 레버(40)는 한 쌍의 페이크 레버(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리얼 잠금 레버(40)는 좌측에 위치된 페이크 레버(30)의 좌측에 배치되거나 또는, 우측에 위치된 페이크 레버(3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얼 잠금 레버(40)는 정방향으로 회전될 시 제2 체결구(114) 및 제3 체결구(123)에 체결되고, 역방향으로 회전될 시에는 제2 체결구(114) 및 제3 체결구(123)에서 분리된다.
아울러, 리얼 잠금 레버(40)는 허가되지 않은 자에게 곤란성을 주도록 페이크 레버(3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얼 잠금 레버(40)의 잠금유지부재(41)가 정방향 회전에 의해 제2 체결구(114)와 제2 체결구(114)에 공동으로 체결되고, 부가 헤드부재(42)가 제1 잠금통(11)의 외면을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잠금 본체부(21)를 회전시켜 미잠금 모드로 한 상태에서도 제1 잠금통(11)과 제2 잠금통(12)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리얼 잠금 레버(4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금유지부재(41)를 제3 체결구(123)에서 인출한 후, 잠금 본체부(21)를 회전조작하여 잠금돌기(211)를 잠금홈에서 인출시켜 미잠금상태로 전환하면 제1 잠금통(11) 및 제2 잠금통(12)을 벌려서 구속 본체부(10)를 조작가이드(3) 상에서 제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개폐 레버(4)를 조작할 수 있다.
이때, 제1 잠금통(11)과 제2 잠금통(12)을 벌리는 과정에서 잠금부(20)재의 끝부분이 제2 잠금통(12)의 내측면에 접촉될 경우, 리얼 잠금 레버(40)를 역 방향으로 더 회전시켜 잠금부(20)재를 내측면에서 이격시키면 된다.
페이크 레버(30)는 제1 체결구(113)에만 채결되기 때문에 제1 잠금통(11)과 제2 잠금통(12)을 잠그는데 아무런 기능도 하지 아니하고, 리얼 잠금 레버(40)는 제2 체결구(114) 및 제3 체결구(123)에 공동으로 장착되어 제1 잠금통(11)과 제2 잠금통(12)을 잠금시키며, 페이크 레버(30) 및 리얼 잠금 레버(40)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1)에 대한 사용법을 모르는 허가되지 않은 자가 제1 잠금통(11)과 제2 잠금통(12)의 잠금모드를 해제하려고 시도할 경우 곤란성을 줄 수 있다.
즉, 허가되지 않은 자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페이크 레버(30)들과 리얼 잠금 레버(40) 중 어느 레버를 조작해야 제1 잠금통(11)과 제2 잠금통(12)의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는지 모르는 반면, 허가된 관리자는 페이크 레버(30)들과 리얼 잠금 레버(40) 중 어느 것이 리얼 잠금 레버(40)인지 알기 때문에 허가된 관리자만 리얼 잠금 레버(40)만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잠금통(11)과 제2 잠금통(12)의 잠금모드를 비교적 쉽게 해제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리얼 잠금 레버(40)를 통해 제1 잠금통(11)과 제2 잠금통(12)의 잠금모드를 해제한 후, 제1 잠금통(11)과 제2 잠금통(12)을 벌리는 과정에서 가압부재(31)의 끝부분이 제2 잠금통(12)의 내측면에 접촉될 경우, 페이크 레버(30)를 역 방향으로 더 회전시켜 가압부재(31)를 내측면에서 이격시키면 된다.
한편, 보강부(60)는 제1 잠금통(11) 및 제2 잠금통(12)의 내부공간에 각각 서로 동일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수용되어, 제1 잠금통(11) 및 제2 잠금통(12)을 각각 보강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보강부(6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틀(61)과, 제1 보강바(621) 및 제2 보강바(622)를 포함하는 보강부재(6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틀(61)은 제1 잠금통(11) 및 제2 잠금통(12)의 내부공간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면에는 제1 잠금통(11) 및 제2 잠금통(12)의 내부공간 형상이 "D"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는바, 보강틀(61)은 "D"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강틀(61)은 복수개의 적용되어 제1 잠금통(11) 및 제2 잠금통(12)의 내부공간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수용된다.
이때, 보강틀(61) 간의 간격은 페이크 레버(30) 및 리얼 잠금 레버(40)를 설치할 수 간격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페이크 레버(30)와 리얼 잠금 레버(40)는 서로 다른 보강틀(61)의 사이 마다 배치된다.
보강틀(61)은 제1 잠금통(11) 및 제2 잠금통(12)의 내부공간을 각각 채워 단면두께를 증대시킨다.
그리고, 보강틀(61)은 제1 잠금통(11) 및 제2 잠금통(12)에 가해지는 외력을 탄성적으로 흡수하도록 금속, 합성수지와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제1 보강바(621) 및 제2 보강바(622)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보강틀(61)의 내부공간에 서로 수직,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교차되게 형성된다.
제1 보강바(621) 및 제2 보강바(622)는 보강틀(61)의 단면두께를 증대시킨다.
아울러, 제1 보강바(621)는 제1 잠금통(11) 및 제2 잠금통(12)에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을 지지하고, 제2 보강바(622)는 제1 잠금통(11) 및 제2 잠금통(12)에 수평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을 지지한다.
그리고, 제1 잠금통(11) 및 제2 잠금통(12)에 가해지는 외력은 제1 보강바(621) 및 제2 보강바(622)에 의해 분산된다.
이때, 제1 보강바(621) 및 제2 보강바(622)는 제1 잠금통(11) 및 제2 잠금통(12)에 가해지는 외력을 탄성적으로 흡수하도록 금속, 합성수지와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나아가, 도 12에는 제1 보강바(621) 및 제2 보강바(622)가 단순 일자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느나, 제1 보강바(621) 및 제2 보강바(622)는 외력을 탄성적으로 흡수 및 지지하도록 파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보조 구속부(50)는 조작핀(4a)을 지지하여 밸브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개폐 레버(4)가 밸브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보조 구속부(50)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몸체(51)와, 고정판(52)과, 가이드레일(53)과, 제1 자석부(54)와, 제2 자석부(55)와, 슬라이더(56)와, 제3 자석부(57) 및 작동제한부(58)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 몸체(51)는 조작가이드(3)의 상측에 배치되고, 댐퍼용 몸체(2)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도록 "C"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장착 몸체(51)는 댐퍼용 몸체(2)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댐퍼용 몸체(2)의 양측면에는 장착 몸체(51)의 저면을 각각 지지하는 곡선형상의 지지바(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장착 몸체(51)의 일측과 타측에는 지지판(70)이 각각 수평결합된다.
아울러, 지지판(70)에는 장착 몸체(51)를 타격하기 위한 제거부(80)가 설치된다.
고정판(52)은 장착 몸체(51)의 일측에 수직 결합되어, 조작가이드(3)의 상측에 배치된다.
가이드레일(53)은 고정판(52)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조작가이드(3)의 상측에 위치된다.
가이드레일(53)에는 "ㅏ"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승강홀이 형성된다.
제1 자석부(54)는 가이드레일(53)의 바닥면에 결합되며, S극의 극성을 갖는다.
제2 자석부(55)는 가이드레일(53)의 천장면에 결합되고, S극의 극성을 갖는다.
슬라이더(56)는 가이드레일(53)의 승강홀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된다.
제3 자석부(57)는 슬라이더(56)의 상면과 저면에 형성된 매립홈에 각각 매립되고, 제1 자석부(54) 및 제2 자석부(55)와 반대 극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3 자석부(57)는 슬라이더(56)가 상승될 시 제1 자석부(54)에 자력으로 부착된다. 그리고, 제3 자석부(57)는 슬라이더(56)가 하강될 시 제2 자석부(55)에 자력으로 부착된다.
작동제한부(58)는 슬라이더(56)에 결합되며, 일정영역이 상기 가이드레일(53)의 외부로 돌출되는 수평부재(581)와, 수평부재(581)의 끝단에서 하 방향으로 직각 절곡되고, 슬라이더(56)가 하강될 시 조작가이드(3)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수직부재(582), 수직부재(582)의 하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직각 절곡되며, 슬라이더(56)가 하강되어 제1 자석부(54)의 상면에 부착될 시 조작가이드(3)의 내부공간에서 조작핀(4a)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583)를 포함한다.
이러한 작동제한부(58)를 통해 조작핀(4a)을 지지하여 밸브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개폐 레버(4)가 밸브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1)는, 잠금부(20)와, 리얼 잠금 레버(40)를 통해 제1 잠금통(11) 및 제2 잠금통(12)의 잠금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허가되지 않은 자에게 조작에 따른 곤란성을 줄 수 있고, 지진, 기타 각종 외력에 의해 제1 잠금통(11) 또는 제2 잠금통(12)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파손되어 개폐 레버(4)에 대한 구속력을 상실하더라도 보조 구속부(50)를 통해 개폐 레버(4)를 구속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의도치 않게 밸브가 댐퍼용 몸체(2)의 공기통로를 차단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잠금 장치(1)는, 잠금부(20)로 제1 잠금통(11) 및 제2 잠금통(12)을 잠금 다음, 페이크 레버(30)와 리얼 잠금 레버(40)를 제1 체결구(113)와, 제2 체결구(114) 및 제3 체결구(123)에 각각 체결한 후, 작동제한부(58)를 하강시켜 지지부재(583)로 조작핀(4a)의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댐퍼의 개폐 레버(4)를 구속하면서 제1 잠금통(11) 및 제2 잠금통(12)을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제1 잠금통(11) 및 제2 잠금통(12)의 잠금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작동제한부(58)를 조작가이드(3)의 상측으로 슬라이딩 시킨 다음, 리얼 잠금 레버(40)를 제3 체결구(123)에서 인출시킨 후, 잠금부(20)를 조작하여 잠금홈에서 잠금돌기(211)를 인출하게 된다.
한편, 지지판(70)은 장착 몸체(5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수평설치되어, 제거부(80)를 지지한다.
제거부(80)는 지지판(70)의 상면에 각각 고정되며, 장착 몸체(51)의 외면을 타격하여 댐퍼용 몸체(2)의 내벽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낙하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거부(8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블록(81)과, 솔레노이드(82)와, 지지대(83)와, 탄성부(84)와, 타격볼(85) 및 튕김부(86)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블록(81)은 지지판(70)의 상면에 각각 배치되어 솔레노이드(82)를 지지한다.
솔레노이드(82)는 받칩블록의 상면에 각각 고정되며, 플린저가 장착 몸체(51)를 향한다.
솔레노이드(82)는 그 작동이 허가된 관리자의 PC, 리모콘, 스마트폰(이하 "제어수단"이라 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어수단에는 솔레노이드(82)의 플런저(821)를 전진시키는 전진 버튼 및 플런저(821)를 후진시키는 후진 버튼이 각각 형성된다.
지지대(83)의 저면에는 솔레노이드(82)의 플런저(821)에 장착되는 장착구(87)가 형성된다.
장착구(87)는 플런저(821)와 마주하는 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플런저(821)의 일정영역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다.
장착구(87)는 플런저(821)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장착구(87)의 상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지지대(83)는 장착구(87)의 경사면에 결합된다.
이때,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장착 몸체(51)와 점진적으로 가까워지는 기울기를 갖는다.
지지대(83)는 솔레노이드(82)의 작동에 의해 장착 몸체(51)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된다.
탄성부(84)는 지지대(83)의 상면에 결합되어, 지지대(83)와 동일하게 경사진 구조를 이룬다.
탄성부(84)는 탄성적으로 휘어지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지지대(83)는 생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탄성부(84)에 전술한 장착구(87)와 동일한 장착구(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부(84)는 장착구를 매개로 플런저(821)에 결합된다.
타격볼(85)은 탄성부(84)의 상면에 결합된다.
타격볼(85)의 저면에는 탄성부(84)의 상측 둘레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장착구(851)가 형성된다.
장착구(851)는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탄성부(84)가 수용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장착구(851)는 탄성부(84)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타격볼(85)은 플런저(821)가 전진 시 함께 전진되어 장착 몸체(51)의 외면을 타격하고, 플린저가 후진될 시 함께 후진되어 장착 몸체(51)와 멀어진다.
타격볼(85)은 고무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튕김판(864)은 장착 몸체(51)에 수평 결합되는 수평판(861)과, 수평판(861)의 저면에 수직결합되는 수직판(862)과, 수직판(862)의 측면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863) 및 코일스프링(863)에 결합되고 장착 몸체(51)를 타격한 타격볼(85)을 튕겨내는 튕김판(864)을 포함하는 튕김부(86)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제거부(8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전술한 제어수단의 전진 버튼을 눌러 솔레노이드(82)를 작동시키면 플런저(821)가 전진되어, 타격볼(85)이 장착 몸체(51)를 타격한다.
타격볼(85)의 타격력은 댐퍼용 몸체(2) 및 연도에 전달되어 진동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연도 및 댐퍼용 몸체(2)의 내벽면 및 밸브에 묻어 있는 먼지나 기타 이물질이 낙하된다.
타격볼(85)이 댐퍼용 몸체(2)를 타격하면 탄성부(84)가 자체 탄성에 의해 장착 몸체(5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타격볼(85)이 튕김판(864)에 충돌된다.
튕김판(864)은 타격볼(85)이 충될되면 코일스프링(863)을 압축시키면서 후진된다.
그리고, 탄성부(84)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다시 장착 몸체(51)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휘어짐과 아울러, 코일스프링(863)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다시 팽창되어 튕김판(864)이 타격볼(85)을 튕겨내서 장착 몸체(51)를 다시 타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타격볼(85)은 탄성부(84)의 휘어짐이 정지되고, 코일스프링(863)의 압축, 팽창 작용이 자연적으로 정지될 때까지 장착 몸체(51)를 반복적으로 타격한다.
이로 인해, 댐퍼용 몸체(2)에 타격볼(85)에 의한 진동이 반복적으로 발생되며, 결국, 댐퍼용 몸체(2)의 내면 및 밸브에 묻어 있는 먼지나 기타 이물질이 낙하 된다.
이때, 솔레노이드(82)는 제어수단의 전진 버튼을 누를 경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플런저(821)를 반복적으로 후진시켰다가 전진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구체적으로, 솔레노이드(82)는 타격볼(85)이 최초 장착 몸체(51)를 타격한 시점을 기준으로 탄성부(84)의 휘어짐 작용 및 코일스프링(863)의 압축, 팽창 작용이 정지되는 시간에 다시 플런저(821)를 전진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84)의 휘어짐 작용 및 코일스프링(863)의 압축, 팽창 작용이 정지되는 시간이 10초라면 솔레노이드(82)는 10초 간격으로 플런저(821)를 후진시켰다가 전진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댐퍼 잠금 장치 10 : 구속 본체부
11 : 제1 잠금통 111 : 회전 가이드용 포켓
112 : 부가 걸림편 113 : 제1 체결구
114 : 제2 체결구 12 : 제2 잠금통
12a : 절개홀 121 : 락킹용 포켓
1211a : 걸림편 1211b : 스토퍼
122 : 맞물림부 122a : 고정수단
123 : 제3 체결구 20 : 잠금부
21 : 잠금 본체부 211 : 잠금돌기
23 : 키 접속부 23a : 키홈
23b : 수용돌기 23c : 맞물림홈
30 : 페이크 레버 31 : 가압부재
32 : 헤드부재 40 : 리얼 잠금 레버
41 : 잠금유지부재 42 : 부가 헤드부재
50 : 보조 구속부 51 : 장착 몸체
52 : 고정판 53 : 가이드레일
54 : 제1 자석부 55 : 제2 자석부
56 : 슬라이더 57 : 제3 자석부
58 : 작동제한부 581 : 수평부재
582 : 수직부재 583 : 지지부재
60 : 보강부 61 : 보강틀
62 : 보강부재 621 : 제1 보강바
622 : 제2 보강바 70 : 지지판
80 : 제거부 81 : 받침블록
82 : 솔레노이드 821 : 플런저
83 : 지지대 84 : 탄성부
85 : 타격볼 851, 87 : 장착구
86 : 튕김부 861 : 수평판
862 : 수직판 863 : 코일스프링
864 : 튕김판

Claims (3)

  1. 댐퍼용 몸체의 외면에 형성된 조작가이드의 전면을 가리며, 내부에는 상기 조작가이드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댐퍼용 개폐 레버의 파지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회전가이드용 포켓이 형성된 제1 잠금통 및 상기 제1 잠금통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나의 통을 형성하면서 상기 조작가이드의 후면을 가리고, 상기 파지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조작가이드의 개폐가이드홀을 따라 양방향 이동되면서 상기 댐퍼용 몸체 내의 밸브를 개폐하는 작동핀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구속시키는 구속홀 및 통을 형성할 시 상기 회전가이드용 포켓과 마주하며, 잠금을 위한 걸림편을 갖는 락킹용 포켓이 형성된 제2 잠금통을 포함하는 구속 본체부; 및
    상기 제1 잠금통과 상기 제2 잠금통이 서로 접촉되도록 홀딩되면서 상기 조작가이드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가리도록 잠금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회전가이드용 포켓 및 락킹용 포켓의 내부에 공동으로 수용된 상태로 제자리 회전되고, 회전시 상기 걸림편에 맞물려 잠금시키는 잠금돌기를 갖는 잠금 본체부; 및
    상기 잠금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락킹용 포켓의 외부로 노출되는 키홈이 형성된 키 접속부를 포함하는 댐퍼 잠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통은 상기 회전가이드용 포켓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부가 걸림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잠금통은 상기 제1 잠금통에 접하도록 접힐 시 상기 걸림편에 맞물려 고정되는 맞물림부를 더 포함하는 댐퍼 잠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통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관통설치되며, 내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복수개의 제1 체결구;
    상기 제1 체결구에 각각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조작가이드에 형성된 절개홀을 관통하며, 일단이 상기 제2 잠금통의 내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잠금통의 외면을 가압하는 헤드부재를 포함하는 페이크 레버;
    상기 제1 잠금통에 관통설치되고, 내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제2 체결구;
    상기 제2 잠금통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체결구와 대향되는 제3 체결구;
    상기 조작가이드에 형성된 절개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2 체결구와 제3 체결구에 공동으로 체결되어, 상기 잠금부가 미잠금 모드에서도 상기 제1 잠금통과 제2 잠금통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유지부재 및 상기 잠금유지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잠금통의 외면을 가압하는 부가 헤드부재를 포함하는 리얼 잠금 레버;
    상기 댐퍼용 몸체에 장착되며 상기 제2 잠금통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작동핀의 일정영역을 지지하는 보조 구속부;
    상기 제1 잠금통 및 상기 제2 잠금통의 내부공간에 각각 서로 동일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수용되어, 상기 제1 잠금통 및 제2 잠금통을 각각 보강하는 복수개의 보강부;
    상기 보조 구속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수평설치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보조 구속부의 외면을 타격하여 상기 댐퍼용 몸체의 내벽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낙하시키는 제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구속부는,
    상기 조작가이드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댐퍼용 몸체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도록 "C"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이 설치되며, 상기 제거부에 타격되는 탄성재질의 장착 몸체;
    상기 장착 몸체의 일측에 수직 결합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조작가이드의 상측에 위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의 바닥면에 결합되며, S극의 극성을 갖는 제1 자석부;
    상기 가이드레일의 천장면에 결합되고, S극의 극성을 갖는 제2 자석부;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부공간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에 매립되고, 상기 제1 자석부 및 제2 자석부와 반대 극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상승 또는 하강될 시 상기 제1 자석부 또는 제2 자석부에 각각 부착되는 제3 자석부; 및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며, 일정영역이 상기 가이드레일의 외부로 돌출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끝부분에서 하 방향으로 직각 절곡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하강될 시 상기 조작가이드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수직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의 하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직각 절곡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하강되어 상기 제1 자석부의 상면에 부착될 시 상기 조작가이드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작동핀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작동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1 잠금통 및 제2 잠금통의 내부공간 형상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갖는 보강틀;
    상기 보강틀의 내부공간에 서로 수직,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제1 보강바 및 제2 보강바를 포함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거부는,
    상기 지지판에 각각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의 플런저의 상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상기 장착 몸체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결합되어 경사진 구조를 이루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전진될 시 상기 장착 몸체를 타격하는 타격볼;
    상기 장착 몸체에 결합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저면에 수직결합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측면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 및 상기 코일스프링에 결합되고 장착 몸체를 타격한 타격볼을 튕겨내는 튕김판을 포함하는 튕김부를 포함하는 댐퍼 잠금 장치.
KR1020230028658A 2023-03-03 2023-03-03 댐퍼 잠금 장치 KR102600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658A KR102600102B1 (ko) 2023-03-03 2023-03-03 댐퍼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658A KR102600102B1 (ko) 2023-03-03 2023-03-03 댐퍼 잠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0102B1 true KR102600102B1 (ko) 2023-11-09

Family

ID=88747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8658A KR102600102B1 (ko) 2023-03-03 2023-03-03 댐퍼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1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918Y1 (ko) 1999-07-21 2000-02-15 주식회사복숭아밸브 밸브핸들 보호캡
KR101159030B1 (ko) * 2011-12-16 2012-06-21 김광민 밸브 잠금장치
KR101200393B1 (ko) * 2012-06-20 2012-11-12 이창헌 밸브핸들의 부정한 조작을 방지하는 밸브핸들용 보호캡
KR101520452B1 (ko) * 2014-01-23 2015-05-14 김정남 밸브형 배관 피팅의 보호커버
KR20170106854A (ko) * 2016-03-14 2017-09-22 주식회사 쏠락 밸브 핸들용 보호커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918Y1 (ko) 1999-07-21 2000-02-15 주식회사복숭아밸브 밸브핸들 보호캡
KR101159030B1 (ko) * 2011-12-16 2012-06-21 김광민 밸브 잠금장치
KR101200393B1 (ko) * 2012-06-20 2012-11-12 이창헌 밸브핸들의 부정한 조작을 방지하는 밸브핸들용 보호캡
KR101520452B1 (ko) * 2014-01-23 2015-05-14 김정남 밸브형 배관 피팅의 보호커버
KR20170106854A (ko) * 2016-03-14 2017-09-22 주식회사 쏠락 밸브 핸들용 보호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9543B2 (en) Door locking system with an idle handle
US20050022568A1 (en) Method and assembly to prevent impact-driven manipulation of cylinder locks
US20120000255A1 (en) Lockable enclosure with loading cartridge
US6966585B2 (en) Door lock device
US11261621B2 (en) Integrated zipper lock
JP2018509543A (ja) ある錠前の両プラグの相互制御、ロック解除方法及び両プラグが相互制御の錠前
KR102600102B1 (ko) 댐퍼 잠금 장치
US9683390B1 (en) Combination lock assembly
JP2015030606A (ja) エレベータ乗場戸の解錠装置
JP4333983B2 (ja) シリンダ錠の保護装置
JP5886808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6758366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に取り付けられる安全装置
JP4384579B2 (ja) ドアガード
KR102165859B1 (ko) 지진발생 대비 비상탈출용 조립문
CN110318616B (zh) 一种防盗链装置
KR102286351B1 (ko) 도어록용 교차 잠금 장치
JP3147785U (ja) 地震発生で重錘が転倒し、その重みで鋼板製物置小屋の引き戸の錠前を解錠する装置
EP2532811A1 (en) Double-bit safety lock
JP3946236B1 (ja) 衝撃解錠阻止機構を備える磁気カ−ド錠
KR101127548B1 (ko) 도어록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CN215978884U (zh) 防敲击锁
JP3754690B2 (ja) 衝撃解錠阻止機構を備える磁気カ−ド錠
CN107630596A (zh) 一种防盗门防撬锁体
JP4460376B2 (ja) ケース用施錠装置
JP4291981B2 (ja) 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