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507B1 -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 - Google Patents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507B1
KR101592507B1 KR1020150173682A KR20150173682A KR101592507B1 KR 101592507 B1 KR101592507 B1 KR 101592507B1 KR 1020150173682 A KR1020150173682 A KR 1020150173682A KR 20150173682 A KR20150173682 A KR 20150173682A KR 101592507 B1 KR101592507 B1 KR 101592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art
beam unit
unit
installation box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진연
Original Assignee
(주)우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창산업 filed Critical (주)우창산업
Priority to KR1020150173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출입구를 폐쇄하기 위한 차단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강도가 강하기로 알려진 H빔을 이용한 폐쇄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출입구에 대한 견고한 폐쇄력의 부여가 가능하게 하는 한편, 그 폐쇄하는 방법 또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Building structures exit closed structure with H-beam}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출입구를 폐쇄하기 위한 차단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험물질이 저장되는 건축물 또는 폐 시설물 등 사람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출입구를 폐쇄함에 있어, H빔을 이용하여 견고한 폐쇄가 가능하게 하되, 기 설치된 작동구조에 의해 자중에 의한 자동 폐쇄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사능 물질과 같은 위험물질이 폐기되는 건축물이나 건축 수명이 완료되어 폐쇄되는 건축물의 경우 안전을 위해 사람의 출입을 통제하는 것으로, 이러한 건축물의 경우 사람이 출입하는 출입구를 견고하게 폐쇄함으로 사람을 통제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건축물의 출입구를 폐쇄하는 방법으로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폐쇄하거나, 목조를 이용하여 폐쇄하거나, 철판 등을 이용하여 폐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폐쇄방법은 그 공정상에 번거로움이 발생하였기에 견고한 폐쇄구조를 가지면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폐쇄구조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강도가 강하고 건축자재로 흔히 사용하고 있는 H빔을 이용한 폐쇄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출입구에 대한 견고한 폐쇄력의 부여가 가능하게 하는 한편, 그 폐쇄하는 방법 또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중앙의 웨브(web)와 양측의 플랜지(flange)로 된 다수의 H빔으로 구성되되, 각각은 수직을 이루면서 플랜지가 서로 전,후로 교차 중첩되게 좌,우로 연속하여 배열되는 H빔 유닛;
건축물 출입구의 상부에 형성되되, 중앙에는 상기 H빔 유닛이 수용되는 상부 수용공간이 형성된 좌,우 길이를 가지는 틀체 형태로 구성되며 상부 수용공간의 내측 전면 및 후면에는 각각의 H빔의 플랜지가 내재되는 상부 플랜지홈이 수직 형성된 상부 가이드부와, 중앙에는 상기 H빔 유닛이 수용되는 하부 수용공간이 형성된 좌,우 길이를 가지는 틀체 형태로 구성되며 하부 수용공간의 내측 전면 및 후면에는 각각의 H빔의 플랜지가 내재되는 하부 플랜지홈이 수직 형성된 하부 가이드부로 된 H빔 가이드부;
하부 가이드부의 저면에서 좌,우 길이방향을 이루면서 전,후 폭방향에 대항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기어이가 하부를 향하게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치되는 래크와, 하부 가이드부의 하부 일측에서 상기 래크와 치합되며 모터 구동하는 피니언으로 구성되어 H빔 유닛의 하단을 지지 및 필요시 개방하는 H빔 지지부; 및
건축물 출입구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H빔 유닛이 하강시 그 H빔 유닛의 하단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는, 출입구 상부에 배열되는 다수의 H빔 유닛을 H빔 지지부를 통해 버팀 지지된 구조를 가지게 하되, H빔 지지부를 개방시 H빔 유닛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출입구의 자동 폐쇄가 가능하게 하는 등 H빔을 이용한 건축물 출입구를 폐쇄함에 있어 강도가 현격히 강한 H빔을 이용한 견고한 폐쇄가 가능하게 하면서도 간단한 조작에 의해 그 폐쇄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의 개방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의 평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의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의 정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의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의 폐쇄상태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의 개방 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의 측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의 정 단면도이며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는, H빔 유닛(100)과, H빔 가이드부(200)와, H빔 지지부(300)와, 고정부(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H빔 유닛(100)은, 통상의 중앙의 웨브(web)(111)와 양측의 플랜지(flange)(112)로 된 다수의 H빔(110)(110')으로 구성된 것으로, 그 각각의 H빔(110)(110')이 수직으로 이루는 한편, 좌,우로 연속하여 배열되게 구성된다.
이때, 배열되는 H빔(110)(110')은, 이웃하는 H빔(110)(110') 간의 플랜지(112)가 서로 전,후로 교차 중첩된 상태에서 좌,우로 연속 배열되게 구성되며, 이에 그 전,후방에는 H빔(110)(110')의 플랜지(112)가 교차되면서 돌출되는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H빔 가이드부(200)는, 상기 H빔 유닛(100)을 고정 및 하강을 가이드하게 구성된 것으로, 건축물 출입구(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부 가이드부(210)와 하부 가이드부(220)로 분리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가이드부(210)는, H빔 가이드부(200)의 상부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중앙에는 상기 H빔 유닛(100)의 상부가 수용되는 상부 수용공간(211)이 형성된 좌,우 길이를 가지는 틀체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 수용공간(211)의 내측 전면 및 후면에는 상기 H빔 유닛(100)의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112)가 내재되는 상부 플랜지홈(212)이 수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가이드부(220)는, 상기 상부 가이드부(210)의 하부에 위치되어 H빔 가이드부(200)의 하부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중앙에는 상기 H빔 유닛(100)의 하부가 수용되는 하부 수용공간(221)이 형성된 좌,우 길이를 가지는 틀체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하부 수용공간(221)의 내측 전면 및 후면에는 상기 H빔 유닛(100)의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112)가 내재되는 하부 플랜지홈(222)이 수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H빔 가이드부(200)는, 건축물 출입구(10)의 벽체 상부에서 그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상,하부 가이드부(210)(220)의 내측에 형성된 상,하부 수용공간(211)(221)는 H빔 유닛(100)이 수용되되, 각각의 H빔(110)(110')의 플랜지(112)가 상,하부 플랜지홈(212)(222)에 내재된 형태를 이루어 그 수직형태가 유지되게 된다.
상기 H빔 지지부(300)는, 상기 하부 가이드부(220)의 저면에 형성되어 H빔 가이드부(200)에 수용된 H빔 유닛(100)이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필요시 개방하여 H빔 유닛(100)을 하부로 인출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H빔 지지부(300)는, 먼저, 하부 가이드부(220)의 저면에서 좌,우 길이방향을 이루며, 전,후 폭방향에 대항되게 "ㄷ"형 가이드레일(310)이 형성된다.
그리고, 그 가이드레일(310)에는 래크(320)가 안치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래크(320)는 그 기어이(도면중 미도시함)이 하부를 향하게 안치된다.
그리고, 하부 가이드부(22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래크(320)와 치합되며 모터 구동하는 피니언(330)이 형성된다.
즉, H빔 지지부(300)는, 래크(320)를 통해 하부 가이드부(220)의 저면을 마감함과 동시에 H빔 유닛(100)의 하단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며, 피니언(330)의 작동으로 래크(320)를 일측으로 개방하게 되면 그 H빔 유닛(100)의 지지력이 해제되어 자중에 의해 순차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H빔(110)(110')의 플랜지(112)는 상,하부 플랜지홈(212)(222)에 내재된 상태를 이루는 것인바, 그 수직방향으로의 원활한 하강을 유도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400)는, 건축물 출입구(10)의 바닥면에서 상기 H빔 가이드부(200)와 동일한 수직 선상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H빔 유닛(100)이 하강시 그 H빔 유닛(100)의 하단이 삽입 고정되게 구성되며, 설치박스(410)와, 충격흡수판(420)과 개폐판(440)(44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설치박스(410)는, 상기 H빔 유닛(100)과 대항되게 바닥에 매설되는 것으로, 좌,우 길이를 가지면서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 함체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충격흡수판(420)은, 상기 설치박스(410)에 내측에 형성되어 바닥부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충격흡수판(420)은, 상부로부터 하강하는 H빔 유닛(100)의 충격을 감소시키게 구성된 것으로, 이를 위해서 그 설치박스(410)의 내측 바닥면과 충격흡수판(420)의 사이에는 다수의 스프링(430)이 단설되어 가능하게 된다.
즉, 상부로부터 H빔 유닛(100)이 하강시 그 충격에 충격흡수판(420)에 전해짐에 있어 스프링(430)의 탄력에 의해 그 충격이 흡수되게 된다.
또한, 개폐판(440)(440')은, 평상시 상기 설치박스(410)의 상부 개방부의 개폐를 단속하게 구성된 것으로, 설치박스(410)의 전,후 폭방향에 대항되게 경첩(440a) 설치되게 구성되어 그 경첩(440a)을 축으로 하여 폭방향 회동 개방되게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개폐판(440)(44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전,후 폭방향으로 관통되는 핀고정부(441)(441')가 형성되고, 그 핀고정부(441)(441')에는 고정핀(442)이 삽탁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평상시 고정핀(442)을 핀고정부(441)(441')에 삽입 고정함으로 개폐판(440)(440')의 설치박스(410) 폐쇄가 가능하게 되며, H빔 유닛(100)을 하강 시키고자 할 시에는 그 고정핀(442)을 분리함으로 개폐판(440)(440')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는 건축물의 출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그 H빔 유닛(100)이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인바, 이는, H빔 유닛(100)의 상,하부 가이드부(210)(220)의 상,하부 수용공간(211)(221)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부 가이드부(220)의 저면을 H빔 지지부(300)의 래크(320)가 지지하고 있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건축물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고정부(400)는 그 개폐판(440)(440')이 설치박스(410)의 상부를 마감하고 있는 것으로, 이는 핀고정부(441)(441')에 고정핀(442)이 결합된 상태를 이루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시설된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를 통해 건축물의 출입구(10)를 폐쇄하기 위해서는, 먼저, 고정부(400)의 개폐판(440)(440')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핀(442)을 제거하게 되면 개폐판(440)(440')의 회동이 가능한 것인바, 양측의 개폐판(440)(440')을 경첩(440a) 회동시켜 설치박스(410)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H빔 유닛(100)을 하강시키되, 이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H빔 유닛(100)을 지지하고 있는 H빔 지지부(300)의 래크(320)를 개방하면 되는 것으로, 그 래크(320)와 치합된 피니언(330)을 모터(331) 구동시키게 되면 래크(320)가 이동되면서 하부 가이드부(220)의 저면을 순차적으로 개방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각각의 H빔(110)(110')은 상,하부 가이드부(210)(220)를 가이드로 하여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이때, 하강하는 각각의 H빔(110)(110')은 설치박스(410)로 유입되게 되는 것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충격흡수판(420)을 타격시 스프링(430)력에 의해 그 충격이 흡수되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각각의 H빔(110)(110')이 하강하게 되면, 도 6의 도시와 같이 건축물 출입구(10)가 완전 폐쇄되게 되는 것으로, 이렇게 폐쇄된 건축물의 출입구는 H빔의 중량 및 강도가 상당한 것인바, 상당한 외력을 부여하지 않고는 그 개방이 불가능하여 사람의 출입을 완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100 : H빔 유닛 110,110' : H빔
111 : 웨브 112 : 플랜지
200 : H빔 가이드부 210 : 상부 가이드부
211 : 상부 수용공간 212 : 상부 플랜지홈
220 : 하부 가이드부 221 : 하부 가이드홈
222 : 하부 플랜지홈 300 : H빔 지지부
310 : 가이드레일 320 : 래크
330 : 피니언 331 : 모터
400 : 고정부 410 : 설치박스
420 : 충격흡수판 430 : 스프링
440,440' : 개폐판 441,441' : 핀고정부
442 : 고정핀

Claims (2)

  1. 중앙의 웨브(web)(111)와 양측의 플랜지(flange)(112)로 된 다수의 H빔(110)(110')으로 구성되되, 각각은 수직을 이루면서 플랜지(112)가 서로 전,후로 교차 중첩되게 좌,우로 연속하여 배열되는 H빔 유닛(100);
    건축물 출입구의 상부에 형성되되, 중앙에는 상기 H빔 유닛(100)이 수용되는 상부 수용공간(211)이 형성된 좌,우 길이를 가지는 틀체 형태로 구성되며 상부 수용공간(211)의 내측 전면 및 후면에는 각각의 H빔(110)(110')의 플랜지(112)가 내재되는 상부 플랜지홈(212)이 수직 형성된 상부 가이드부(210)와, 중앙에는 상기 H빔 유닛(100)이 수용되는 하부 수용공간(221)이 형성된 좌,우 길이를 가지는 틀체 형태로 구성되며 하부 수용공간(221)의 내측 전면 및 후면에는 각각의 H빔(110)(110')의 플랜지(112)가 내재되는 하부 플랜지홈(222)이 수직 형성된 하부 가이드부(220)로 된 H빔 가이드부(200);
    하부 가이드부(220)의 저면에서 좌,우 길이방향을 이루면서 전,후 폭방향에 대항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레일(310)과, 기어이가 하부를 향하게 상기 가이드레일(310)에 안치되는 래크(320)와, 하부 가이드부(220)의 하부 일측에서 상기 래크(320)와 치합되며 모터(331) 구동하는 피니언(330)으로 구성되어 H빔 유닛(100)의 하단을 지지 및 필요시 개방하는 H빔 지지부(300); 및
    건축물 출입구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H빔 유닛(100)이 하강시 그 H빔 유닛(100)의 하단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4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부(400)는,
    상기 H빔 유닛(100)과 대항되게 바닥에 매설되는 좌,우 길이를 갖는 상부 개방형 설치박스(410);
    설치박스(410)의 내부에서 바닥부를 이루는 한편, 하부에는 다수의 스프링(430)이 탄설된 충격흡수판(420);
    설치박스(410)의 상부 개방부를 개폐 단속하되, 설치박스(410)의 전,후 폭방향에 대항되게 경첩(440a) 설치되는 대항되는 한 쌍의 개폐판(440)(44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각각의 개폐판(440)(440') 양단에는 전,후 폭방향으로 관통되는 핀고정부(441)(441')가 형성되고, 그 핀고정부(441)(441')에는 고정핀(442)이 삽탈되어 개폐판(440)(440')의 개폐를 단속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
KR1020150173682A 2015-12-08 2015-12-08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 KR101592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682A KR101592507B1 (ko) 2015-12-08 2015-12-08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682A KR101592507B1 (ko) 2015-12-08 2015-12-08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507B1 true KR101592507B1 (ko) 2016-02-05

Family

ID=55353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682A KR101592507B1 (ko) 2015-12-08 2015-12-08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5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715B1 (ko) 2016-09-08 2016-11-25 최승규 폐기물 저장용 건축 구조물 폐쇄장치
KR101679707B1 (ko) 2016-09-08 2016-11-25 최승규 폐기물 저장용 건축 구조물 폐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460Y1 (ko) 2000-04-06 2000-09-15 주식회사대아방호 군용 방폭문
KR100805364B1 (ko) 2007-02-22 2008-02-21 (주) 이엔이씨 난간형 슬라이딩 자동도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460Y1 (ko) 2000-04-06 2000-09-15 주식회사대아방호 군용 방폭문
KR100805364B1 (ko) 2007-02-22 2008-02-21 (주) 이엔이씨 난간형 슬라이딩 자동도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715B1 (ko) 2016-09-08 2016-11-25 최승규 폐기물 저장용 건축 구조물 폐쇄장치
KR101679707B1 (ko) 2016-09-08 2016-11-25 최승규 폐기물 저장용 건축 구조물 폐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507B1 (ko)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
KR101963492B1 (ko) 내진 도어
KR102218063B1 (ko) 방화 자동문
JP6679225B2 (ja) 開閉体のガイドレール構造
KR102100156B1 (ko) 창호용 면진 시스템
JP2010077774A (ja) 建具
KR20210121692A (ko) 방폭 도어
KR102521315B1 (ko)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
JP2008013356A (ja) エレベータ出入り口装置およびその付設方法
JP3176998U (ja) 引き戸装置
CN210637023U (zh) 一种工厂用于防火减噪的提升门
JP6480232B2 (ja) 網戸付きサッシ
KR101438052B1 (ko) 방화 스크린 셔터
JP2020094490A5 (ko)
JP2010261264A (ja) 構造物の開口部構造、及び構造物
JP2020094490A (ja) 開閉体のガイドレール構造
KR102665913B1 (ko) 반자동 미닫이문
KR20110037478A (ko)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
KR101292691B1 (ko) 모듈러 하우스 구조
JP2016204843A (ja) 止水ガレージ
JP6025113B2 (ja) 間仕切収納装置
CN220226641U (zh) 一种加密式防护混凝土密闭门
CN218439049U (zh) 一种人防门减振装置
JPH0821897A (ja) 遮蔽体
JP6112481B2 (ja) 引戸装置及び引戸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