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315B1 -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 - Google Patents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315B1
KR102521315B1 KR1020220059773A KR20220059773A KR102521315B1 KR 102521315 B1 KR102521315 B1 KR 102521315B1 KR 1020220059773 A KR1020220059773 A KR 1020220059773A KR 20220059773 A KR20220059773 A KR 20220059773A KR 102521315 B1 KR102521315 B1 KR 102521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frame
panel
doo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규
한정권
허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딤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딤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딤돌
Priority to KR1020220059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3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315B1/ko
Priority to PCT/KR2023/006554 priority patent/WO202322434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05F1/025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with rectilinearly-moving counter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05F1/04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for wings which lift during movement, operated by their own w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7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swinging lever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50Weights
    • E05Y2201/502Wing 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2Partition wall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에 관한 것으로, 세대간 발코니의 경계를 이루는 통로에 설치되는 도어틀(10); 상기 도어틀(10)의 내측에 소정의 전후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게 이격 장착되는 한 쌍의 개선문 형태 도어프레임(20); 상기 도어프레임(20)들 사이에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통로를 개폐하는 도어패널(30); 상기 도어틀(10)과 도어프레임(20)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틀(10)로부터 도어프레임(20)들을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40); 상기 도어패널(30)의 양측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패널(3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도어프레임(20)들 사이로 도어패널(30)이 수납되게 전후로 이동시키는 안내부재(50); 상기 도어틀(1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패널(30)이 자동으로 개방되게 자체 무게를 통해 상승력을 부가하는 개방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로를 개폐하는 도어패널의 상하이동에 따라 도어프레임이 전후로 이동되게 구성함으로써, 도어프레임과 도어패널을 도어틀에 대응하는 두께로 두껍게 형성할 수가 있어 전반적으로 세대간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Evacuation door using intergenerational balcony bulkhead}
본 발명은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손을 통해 대피를 유도하는 격벽을 대신해서 도어프레임으로부터 도어패널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미닫이방식의 개폐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장애물에 간섭받지 않고 통로를 개방할 수가 있으므로 인접세대로 신속 간편하게 대피가 가능하여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고, 중량체의 자체 무게를 통해 적은 힘으로도 도어패널을 상부로 슬라이드 개방되게 구성함으로써, 도어패널의 중량에 구애받지 않고 힘이 약한 노약자도 신속한 대피를 기대할 수 있는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아파트가 고층화로 인해 화재 발생하면, 소방차량의 사다리를 이용해서 피난하는 방식에는 한계가 있다.
즉, 고층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대형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아파트의 세대간 발코니 경계에는 세대별 공간을 구분시키는 파괴 가능한 격벽을 설치하고 있다.
즉, 화재 등의 위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격벽을 파괴하여 인접세대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격벽을 파손하기에 상당한 힘과 시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신속한 대피에 제약이 따른다.
무엇보다 발코니를 확장하여 방으로 개조하거나, 격벽이 위치하는 장소에 각종 물건을 비치함에 따라 대피가 불가능한 상황에 처하게 되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특허문헌1과 같이 격벽에 전후방 회전으로 통로를 개폐하는 여닫이방식의 도어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긴급한 상황에서도 거주자가 도어를 직접적으로 개방해야 하므로 불편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여닫이방식의 도어는 대피하고자 하는 인접세대에 물건이 비치될 경우 도어를 개방시킬 수가 없는 문제가 있다.
물론 대피자의 세대방향으로는 개방이 가능하지만, 도어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잠시 멈추면서 후퇴해야 하므로 대피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6364호 발명의 명칭: 세대간 발코니 격벽을 이용한 방화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파손을 통해 대피를 유도하는 격벽을 대신해서 도어프레임으로부터 도어패널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미닫이방식의 개폐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장애물에 간섭받지 않고 통로를 개방할 수가 있으므로 인접세대로 신속 간편하게 대피가 가능하여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로를 개폐하는 도어패널의 상하이동에 따라 도어프레임이 전후로 이동되게 구성함으로써, 도어패널이 하강하여 통로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도어프레임이 도어틀과 도어패널의 테두리로 밀착되게 인접 이동하여 이음매를 차단해주고, 도어패널이 상승하여 통로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어프레임 사이로 도어패널이 수납되게 이격 이동함에 따라 도어프레임과 도어패널을 도어틀에 대응하는 두께로 두껍게 형성할 수가 있어 전반적으로 세대간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에 관한 것으로, 세대간 발코니의 경계를 이루는 통로에 설치되는 도어틀; 상기 도어틀의 내측에 소정의 전후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게 이격 장착되는 한 쌍의 개선문 형태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들 사이에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통로를 개폐하는 도어패널; 상기 도어틀과 도어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틀로부터 도어프레임들을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도어패널의 양측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패널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도어프레임들 사이로 도어패널이 수납되게 전후로 이동시키는 안내부재; 상기 도어틀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패널이 자동으로 개방되게 자체 무게를 통해 상승력을 부가하는 개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도어틀은, 통로의 바닥에 수평하게 장착되는 바닥프레임; 통로의 천정에 수평하게 장착되는 천정프레임; 통로의 양측 벽부에 각각 수직하게 장착되는 기둥프레임; 상기 천정프레임의 하측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측과 밀착되어 이음매를 차단하는 천정플레이트; 상기 기둥프레임의 전/후측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양측에 밀착되어 이음매를 차단하는 기둥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도어틀의 내측에 각각 도어패널의 양측이 감싸지게 기립 장착되는 사이드바; 상기 사이드바들의 상측에 장착되어 통로의 상부를 폐쇄하며 상승된 도어패널이 은폐되게 수용하는 수납패널; 상기 사이드바들의 내측 중간에 장착되어 도어패널의 잠금은 단속하는 잠금모듈을 수용하는 잠금패널; 상기 사이드바들의 내/외측과 잠금패널의 하측에 장착되어 도어틀과 도어패널과의 이음매를 차단하는 마감플레이트; 상기 사이드바들이 마주하는 전/후면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안내부재와 맞물려 전후로 이동되게 간섭을 유발하는 안내레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안내레일은, 상기 안내부재와의 간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각도로 경사져 사이드바와 수납패널이 전후로 이격되기 시작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상측에 전후 수납패널들 사이로 도어패널이 삽입 가능한 두께로 이격시키는 개방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도어패널은, 상기 도어프레임에 장착되어 전기적 신호에 따라 출몰 작동하는 잠금모듈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상측 중앙에 도어프레임과 마주하는 높이로 돌출되게 장착된 잠금브래킷;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도어틀과 인접하는 도어프레임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틀에 장착되어 힌지점을 제공하는 고정브래킷; 상기 도어틀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에 각각 장착되어 힌지점을 제공하는 연결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의 하측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틀에 수직하게 장착된 리니어가이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고정브래킷의 자세를 수직선상으로 정렬하는 가드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과 연결브래킷 및 가드브래킷에 각각 힌지로 연결되고, 상기 고정브래킷을 기점으로 도어프레임들을 전후로 대칭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로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도어프레임들 사이에 소정 길이로 수직하게 개재되고, 상기 개방부재와 연결되어 상승력을 전달받는 안내프레임; 상기 도어패널과 마주하는 안내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어 도어패널과 안내프레임의 장착을 유도하는 장착브래킷; 상기 도어프레임과 마주하는 안내프레임의 양측에 장착되어 도어프레임들이 전후로 이동되게 간섭을 유발하는 이격브래킷; 상기 이격브래킷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도어프레임들 사이로 도어패널이 슬라이드 이동되게 슬립을 유도하는 안내롤러;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개방부재는, 상기 도어틀의 양측에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고, 자체 무게를 통해 도어패널의 상승력을 부가시켜 도어패널의 중량에 구애받지 않고 힘이 약한 노약자도 상기 도어패널을 상승시키는 중량체; 상기 중량체와 안내부재에 연결되어 중량체(61)의 중량을 도어패널로 전달하는 와이어; 상기 도어틀의 상측에 와이어가 경유되게 내장되고, 상기 중량체의 하강으로 도어패널이 상승되게 힘의 방향을 바꿔주는 도르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본 발명은 파손을 통해 대피를 유도하는 격벽을 대신해서 도어프레임으로부터 도어패널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미닫이방식의 개폐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장애물에 간섭받지 않고 통로를 개방할 수가 있으므로 인접세대로 신속 간편하게 대피가 가능하여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중량체의 자체 무게를 통해 적은 힘으로도 도어패널을 상부로 슬라이드 개방되게 구성함으로써, 도어패널의 중량에 구애받지 않고 힘이 약한 노약자도 신속한 대피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통로를 개폐하는 도어패널의 상하이동에 따라 도어프레임이 전후로 이동되게 구성함으로써, 도어패널이 하강하여 통로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도어프레임이 도어틀과 도어패널의 테두리로 밀착되게 인접 이동하여 이음매를 차단해주고, 도어패널이 상승하여 통로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어프레임 사이로 도어패널이 수납되게 이격 이동함에 따라 도어프레임과 도어패널을 도어틀에 대응하는 두께로 두껍게 형성할 수가 있어 전반적으로 세대간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난도어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난도어의 도어틀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난도어의 주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난도어의 도어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난도어의 도어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난도어의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피난도어의 안내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피난도어의 중앙을 절개하여 개방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피난도어가 통로를 개폐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에 관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처럼 도어틀(10), 도어프레임(20), 도어패널(30), 연결부재(40), 안내부재(50), 개방부재(6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틀(10)은 도 2 및 도 3처럼 세대간 발코니의 경계를 이루는 통로에 설치된다.
이러한 도어틀(10)은 바닥프레임(11)과 천정프레임(12) 및 기둥프레임(13) 그리고 천정플레이트(14)와 기둥플레이트(15)로 구성된다.
바닥프레임(11)은 ㅁ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통로의 바닥에 수평하게 장착된다.
천정프레임(12)은 ㅁ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통로의 천정에 수평하게 장착된다.
기둥프레임(13)은 ㅁ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통로의 양측 벽부에 각각 수직하게 장착된다.
천정플레이트(14)는 ㄴ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천정프레임(12)의 하측 전후면 수평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천정플레이트(14)는 후술하는 도어프레임(20)의 수납패널(22)에 감싸져 이음매를 차단해준다.
기둥플레이트(15)는 ㄹ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기둥프레임(13)의 전방과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수직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기둥플레이트(15)는 도어프레임(20)의 마감플레이트(24)와 맞물려 이음매를 차단해준다.
여기서 마감플레이트(24)와 맞물리는 기둥플레이트(15)에는 연질의 기밀패킹이 개재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프레임(20)은 도 2 및 도 3처럼 개선문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어틀(10)의 내측에 소정의 전후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게 이격 장착된다.
즉, 도어프레임(20)은 전방 도어프레임(20)과 후방 도어프레임(20)으로 분할 구성된다.
이러한 도어프레임(20)들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바(21), 수납패널(22), 잠금패널(23), 마감플레이트(24), 안내레일(25)로 각각 구성된다.
사이드바(21)는 기둥프레임(13)의 내측에 각각 도어패널(30)의 양측이 감싸지게 기립 장착된다.
수납패널(22)은 사이드바(21)들의 상측에 장착되어 통로의 상부를 폐쇄하며 상승된 도어패널(30)이 은폐되게 수용한다.
잠금패널(23)은 사이드바(21)들의 내측 중간 즉, 수납패널(22)의 하측에 수평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잠금패널(23)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출몰 작동하여 도어패널(30)의 잠금은 단속하는 잠금모듈을 수용한다.
그리고 잠금패널(23)에는 외부전원이 차단된 정전상태에서 잠금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리튬이온 배터리가 탑재될 수 있다.
마감플레이트(24)는 사이드바(21)들의 내/외측과 잠금패널(23)의 하측에 각각 장착된다.
즉, 사이드바들(21)의 외측에 장착되는 마감플레이트(24)는 ㄱ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기둥플레이트(15)와 맞물려 이음매를 차단해준다.
그리고 사이드바(21)들의 내측과 잠금패널(23)의 하측에 장착되는 마감플레이트(24)는 ㄹ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도어패널(30)과 맞물려 이음매를 차단해준다.
안내레일(25)은 사이드바(21)들이 마주하는 전/후면에 각각 장착되고, 후술하는 안내부재(50)의 안내롤러(54)와 맞물려 전후로 이동되게 간섭을 유발한다.
이러한 안내레일(25)은 안내부재(50)와의 간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각도로 경사져 사이드바(21)와 수납패널(22)이 전후로 이격되기 시작하는 경사부(25a)와, 경사부(25a)의 상측에 전후 수납패널(22)들 사이로 도어패널(30)이 삽입 가능한 두께로 이격시키는 개방부(25b)구획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부(25b)는 안내레일(25)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두께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어패널(30)을 따라 안내부재(50)가 경사부(25a)로 진입하면, 도 10처럼 전방 도어프레임(20)과 후방 도어프레임(20)이 전후로 이격되어 양 옆으로 벌어지기 시작한다.
그리고 안내부재(50)가 경사부(25a)를 지나 개방부(25b)로 진입하면, 전방 도어프레임(20)과 후방 도어프레임(20)이 도어패널(30)을 수용 가능한 전후거리로 벌어져 이격된다.
반대로 안내부재(50)가 개방부(25b)에서 경사부(25a)로 역진입하면, 전방 도어프레임(20)과 후방 도어프레임(20)이 서로 가깝게 좁아지기 시작한다.
그리고 안내부재(50)가 경사부(25a)로부터 진출 즉, 안내레일(25)로부터 벗어나면, 전방 도어프레임(20)과 후방 도어프레임(20)이 서로 근접하여 도어틀(10)과 도어패널(30)의 테두리에 압박 밀착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패널(30)은 도 1 내지 도 3처럼 도어프레임(20)들 사이에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통로를 개폐한다.
이러한 도어패널(30)은 후술하는 개방부재(60)에 의해 상승하게 되면, 도어프레임(20)의 전/후 이동하여 수납시켜줌에 따라 두께를 최대화할 수가 있다.
기존의 미닫이 개폐방식의 경우 고정도어로부터 개폐도어가 서로 포개지게 슬라이드 이동하게 됨에 따라 각 도어의 두께는 격벽두께의 반 이하로 제작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도어의 얇은 두께로 인해 차음성능이 낮을 수밖에 없으므로 세대간 사생활 침해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20)이 전후로 이동하여 도어패널(30)을 수납해줌으로써, 여닫이 개폐방식에 비해 장점이 많은 미닫이 개폐방식을 고수하면서도 도어패널(30)의 두께를 격벽두께의 반 이상으로 제작이 가능함에 따라 우수한 차음성능으로 거주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가 있다.
여기서 도어패널(30)의 상측 중앙에는 도 6처럼 잠금패널(23)과 마주하는 높이로 돌출되는 잠금브래킷(31)이 장착된다.
이러한 잠금브래킷(31)은 U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잠금패널(23)에 장착된 잠금모듈과 선택적으로 맞물려 도어패널(30)이 개폐되게 유도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40)는 도 2 및 도 3처럼 도어틀(10)과 도어프레임(20)에 장착된다.
즉, 연결부재(40)는 도어프레임(20)의 상하 양측으로 4개소에 구성되어 도어틀(10)로부터 도어프레임(20)들을 전후로 수평 이동 가능하게 연결해준다.
이러한 연결부재(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래킷(41)과 연결브래킷(42) 및 가드브래킷(43)과 연결로드(44)로 구성된다.
고정브래킷(41)은 전후 사이드바(21)들 사이에 배치되고, 도어프레임(13)에 장착되어 연결로드(44)의 힌지점을 제공한다.
연결브래킷(42)은 전후 사이드바(21)들이 마주하는 일면에 각각 장착되어 연결로드(44)의 힌지점을 제공한다.
가드브래킷(43)은 전후 사이드바(21)들 사이에 배치되고, 도어프레임(13)에 수직하게 장착된 리니어가이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즉, 가드브래킷(43)은 고정브래킷(41)을 전후 중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전후방 도어프레임(20) 중간에 위치되게 정렬해준다.
연결로드(44)는 고정브래킷(41)과 연결브래킷(42) 및 가드브래킷(43)에 각각 힌지로 연결되어 고정브래킷(41)을 기점으로 도어프레임(20)들을 전후로 대칭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해준다.
이렇게 연결된 도어프레임(20)들은 고정브래킷(41)의 힌지점을 기준으로 자체무게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려는 구심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도어패널(30)의 하강으로 통로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전후방 도어프레임(20)이 도어틀(10)과 도어패널(30)을 압박 밀착하고 있으므로 기밀성을 높여준다.
그리고 도어패널(30)의 상승으로 통로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안내부재(50)와의 간섭이 전후방 도어프레임(20) 중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등하게 작용됨에 따라 도어패널(30)의 상하이동과 자세를 안정되게 유지시켜준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안내부재(50)는 도 2 및 도 3 그리고 도 6처럼 도어패널(30)의 양측에 장착된다.
즉, 안내부재(50)는 도어패널(3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도어프레임(20)들 사이로 도어패널(30)이 수납되게 전후로 이동시켜준다.
이러한 안내부재(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프레임(51)과 장착브래킷(52) 및 이격브래킷(53)과 안내롤러(54)로 구성된다.
안내프레임(51)은 전후 사이드바(21)들 사이에 소정 길이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후술하는 와이어(62)와 연결되어 상승력을 전달받는다.
장착브래킷(52)은 도어패널(30)과 마주하는 안내프레임(51)의 일측에 장착되어 도어패널(30)과 안내프레임(51)의 장착을 유도한다.
이격브래킷(53)은 전후 사이드바(21)들과 마주하는 안내프레임(51)의 양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배열 장착된다.
이러한 이격브래킷(53)은 도어프레임(20)들이 전후로 이동시키는 간섭이 유발되도록 안내프레임(51)의 양측으로 소정 길이로 돌출된다.
안내롤러(54)는 이격브래킷(53)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도어프레임(20)들이 전후로 이동하며 도어패널(30)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안내레일(25)과 슬립을 유도한다.
또한, 상기 안내롤러(54)는 이격브래킷(53)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재난 비상시 도어패널(30)을 상부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이격브래킷(53)의 양측에 장착된 안내롤러(54)가 상승하면서 경사부(25a)를 통과하여 개방부(25b)의 도출된 두께만큼 도어프레임(20)을 양 옆으로 벌어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안내롤러(54)는 이격브래킷(53)의 양측에 1쌍으로하여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쌍으로 안내부재(50)의 이격브래킷(53)의 양측에 장착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개방부재(60)는 도 1 내지 도 3처럼 도어틀(10)의 내부에 장착되고, 도어패널(30)의 상승력을 부가하여 적은 힘으로도 도어패널(30)을 개방되게 도모해준다.
이러한 개방부재(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체(61)와 와이어(62) 및 도르래(63)로 구성된다.
중량체(61)는 복수의 금속판재가 단일체로 묶어진 것으로, 기둥프레임(13)에 수직하게 장착된 리니어가이드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중량체(61)는 자체 무게를 통해 도어패널(30)의 상승력을 부가시켜 주어 도어패널의 중량에 구애받지 않고 힘이 약한 노약자도 힘들지 않고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한다.
와이어(62)는 중량체(61)와 안내프레임(51)에 연결되어 중량체(61)의 중량을 도어패널(30)로 전달해준다.
도르래(63)는 천정프레임(12)의 양측 내부에 와이어(62)가 경유되게 장착되어 중량체(61)의 하강으로 도어패널(30)이 상승되게 힘의 방향을 바꿔준다.
즉, 잠금모듈이 잠금브래킷(31)과의 결속을 해제하면, 중량체(61)의 무게가 도어패널(30)로 전달됨에 따라 도어패널(30)의 중량에 구애받지 않고 힘이 약한 노약자도 도어패널(30)을 신속하게 개방시킬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재난 및 화재발생시 피난도어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세대별로 부착된 화재감지기나 화재발신기로부터 화재신호가 발생하면, 잠금모듈을 터치하여 도어패널(30)의 잠금을 즉시 해제한다.
물론, 화재신호가 발생하면, 관리실(경비실)에서 잠금모듈의 작동을 단속하여 거주자가 통로의 개폐를 임의로 조작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도어패널(30)의 잠금이 해제되면, 도 10과 같이 거주자는 중량체(61)의 도움을 받아 적은 힘만으로 도어패널(30)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안내롤러(54)를 통해 도어프레임(20)을 양 옆으로 벌어지게 통로를 개방한다.
여기서 도어패널(30)을 따라 상승하는 안내부재(50)에 의해 사이드바(21) 즉, 전방 도어프레임(20)과 후방 도어프레임(20)이 서로 멀어지게 이격되고, 도어패널(30)은 천정프레임(12)까지 상승된 상태로 도어프레임(20)에 수납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도어틀
11: 바닥프레임
12: 천정프레임
13: 기둥프레임
14: 천정플레이트
15: 기둥플레이트
20: 도어프레임
21: 사이드바
22: 수납패널
23: 잠금패널
24: 마감플레이트
25: 안내레일
25a: 경사부
25b: 개방부
30: 도어패널
31: 잠금브래킷
40: 연결부재
41: 고정브래킷
42: 연결브래킷
43: 가드브래킷
44: 연결로드
50: 안내부재
51: 안내프레임
52: 장착브래킷
53: 이격브래킷
54: 안내롤러
60: 개방부재
61: 중량체
62: 와이어
63: 도르래

Claims (8)

  1.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에 있어서,
    세대간 발코니의 경계를 이루는 통로에 설치되는 도어틀(10);
    상기 도어틀(10)의 내측에 소정의 전후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게 이격 장착되는 한 쌍의 개선문 형태 도어프레임(20);
    상기 도어프레임(20)들 사이에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통로를 개폐하는 도어패널(30);
    상기 도어틀(10)과 도어프레임(20)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틀(10)로부터 도어프레임(20)들을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40);
    상기 도어패널(30)의 양측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패널(3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도어프레임(20)들 사이로 도어패널(30)이 수납되게 전후로 이동시키는 안내부재(50);
    상기 도어틀(1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패널(30)이 자동으로 개방되게 자체 무게를 통해 상승력을 부가하는 개방부재(60);를 포함하여,
    상기 안내부재(50)는,
    상기 도어프레임(20)들 사이에 소정 길이로 수직하게 개재되고, 상기 개방부재(60)와 연결되어 상승력을 전달받는 안내프레임(51);
    상기 도어패널(30)과 마주하는 안내프레임(51)의 일측에 장착되어 도어패널(30)과 안내프레임(51)의 장착을 유도하는 장착브래킷(52);
    상기 도어프레임(20)과 마주하는 안내프레임(51)의 양측에 장착되어 도어프레임(20)들이 전후로 이동되게 간섭을 유발하는 이격브래킷(53);
    상기 이격브래킷(53)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도어프레임(20)들 사이로 도어패널(30)이 슬라이드 이동되게 슬립을 유도하는 안내롤러(54);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틀(10)은,
    통로의 바닥에 수평하게 장착되는 바닥프레임(11);
    통로의 천정에 수평하게 장착되는 천정프레임(12);
    통로의 양측 벽부에 각각 수직하게 장착되는 기둥프레임(13);
    상기 천정프레임(12)의 하측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프레임(20)의 상측과 밀착되어 이음매를 차단하는 천정플레이트(14);
    상기 기둥프레임(13)의 전/후측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프레임(20)의 양측에 밀착되어 이음매를 차단하는 기둥플레이트(1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20)은,
    상기 도어틀(10)의 내측에 각각 도어패널(30)의 양측이 감싸지게 기립 장착되는 사이드바(21);
    상기 사이드바(21)들의 상측에 장착되어 통로의 상부를 폐쇄하며 상승된 도어패널(30)이 은폐되게 수용하는 수납패널(22);
    상기 사이드바(21)들의 내측 중간에 장착되어 도어패널(30)의 잠금은 단속하는 잠금모듈을 수용하는 잠금패널(23);
    상기 사이드바(21)들의 내/외측과 잠금패널(23)의 하측에 장착되어 도어틀(10)과 도어패널(30)과의 이음매를 차단하는 마감플레이트(24);
    상기 사이드바(21)들이 마주하는 전/후면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안내부재(50)와 맞물려 전후로 이동되게 간섭을 유발하는 안내레일(2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25)은,
    상기 안내부재(50)와의 간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각도로 경사져 사이드바(21)와 수납패널(22)이 전후로 이격되기 시작하는 경사부(25a);
    상기 경사부(25a)의 상측에 전후 수납패널(22)들 사이로 도어패널(30)이 삽입 가능한 두께로 이격시키는 개방부(25b);
    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30)은,
    상기 도어프레임(20)에 장착되어 전기적 신호에 따라 출몰 작동하는 잠금모듈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상측 중앙에 도어프레임(20)과 마주하는 높이로 돌출되게 장착된 잠금브래킷(31);
    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도어틀(10)과 인접하는 도어프레임(20)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틀(10)에 장착되어 힌지점을 제공하는 고정브래킷(41);
    상기 도어틀(10)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프레임(20)에 각각 장착되어 힌지점을 제공하는 연결브래킷(42);
    상기 고정브래킷(41)의 하측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틀(10)에 수직하게 장착된 리니어가이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고정브래킷(41)의 자세를 수직선상으로 정렬하는 가드브래킷(43);
    상기 고정브래킷(41)과 연결브래킷(42) 및 가드브래킷(43)에 각각 힌지로 연결되고, 상기 고정브래킷(41)을 기점으로 도어프레임(20)들을 전후로 대칭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로드(4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재(60)는,
    상기 도어틀(10)의 양측에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고, 자체 무게를 통해 도어패널(30)의 상승력을 부가시켜 도어패널의 중량에 구애받지 않고 힘이 약한 노약자도 상기 도어패널(30)을 상승시키는 중량체(61);
    상기 중량체(61)와 안내부재(50)에 연결되어 중량체(61)의 중량을 도어패널(30)로 전달하는 와이어(62);
    상기 도어틀(10)의 상측에 와이어(62)가 경유되게 내장되고, 상기 중량체(61)의 하강으로 도어패널(30)이 상승되게 힘의 방향을 바꿔주는 도르래(63);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
KR1020220059773A 2022-05-16 2022-05-16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 KR102521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773A KR102521315B1 (ko) 2022-05-16 2022-05-16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
PCT/KR2023/006554 WO2023224340A1 (ko) 2022-05-16 2023-05-15 슬라이드 방식 대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773A KR102521315B1 (ko) 2022-05-16 2022-05-16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1315B1 true KR102521315B1 (ko) 2023-04-13

Family

ID=85979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773A KR102521315B1 (ko) 2022-05-16 2022-05-16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1315B1 (ko)
WO (1) WO20232243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4340A1 (ko) * 2022-05-16 2023-11-23 주식회사 디딤돌 슬라이드 방식 대피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6364A (ko) 2005-01-26 2006-04-28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세대간 발코니 격벽을 이용한 방화문
KR20100000105A (ko) * 2008-06-24 2010-01-06 서상모 아파트 복합건물의 구조
US20160186484A1 (en) * 2014-12-22 2016-06-30 Aneeta Window Systems (Vic) Pty Ltd Sliding window assembly
KR101674166B1 (ko) * 2016-05-18 2016-11-08 주식회사 코아스 슬라이드 개폐장치
KR20170000446U (ko) * 2015-07-24 2017-02-02 신칠호 미닫이 도어용 슬라이딩 경첩 및 이를 구비한 수납장
KR101871262B1 (ko) * 2018-01-16 2018-06-27 손순랑 자동 개방식 비상대피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89924B1 (ko) * 2021-09-30 2022-04-25 (주)디딤돌 수평이동 비상탈출구
KR102497554B1 (ko) * 2022-01-28 2023-02-07 박인규 재난시 인접세대로의 비상탈출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315B1 (ko) * 2022-05-16 2023-04-13 주식회사 디딤돌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6364A (ko) 2005-01-26 2006-04-28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세대간 발코니 격벽을 이용한 방화문
KR20100000105A (ko) * 2008-06-24 2010-01-06 서상모 아파트 복합건물의 구조
US20160186484A1 (en) * 2014-12-22 2016-06-30 Aneeta Window Systems (Vic) Pty Ltd Sliding window assembly
KR20170000446U (ko) * 2015-07-24 2017-02-02 신칠호 미닫이 도어용 슬라이딩 경첩 및 이를 구비한 수납장
KR101674166B1 (ko) * 2016-05-18 2016-11-08 주식회사 코아스 슬라이드 개폐장치
KR101871262B1 (ko) * 2018-01-16 2018-06-27 손순랑 자동 개방식 비상대피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89924B1 (ko) * 2021-09-30 2022-04-25 (주)디딤돌 수평이동 비상탈출구
KR102497554B1 (ko) * 2022-01-28 2023-02-07 박인규 재난시 인접세대로의 비상탈출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4340A1 (ko) * 2022-05-16 2023-11-23 주식회사 디딤돌 슬라이드 방식 대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24340A1 (ko) 202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21399B2 (en) Fire protection door
KR102521315B1 (ko)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
JP2012140852A (ja) 引戸式ドア、及び、引戸式ドアの防護体
US20220307260A1 (en) System for Reversibly Dividing a Space
US10385600B2 (en) Horizontal garage door assembly
KR101545524B1 (ko) 피난 장치
KR102497554B1 (ko) 재난시 인접세대로의 비상탈출 구조물
JP6436438B2 (ja) 差圧緩和型迅速作動両開き扉
KR101241179B1 (ko) 방음기능이 우수한 건축용 실내 도어
EP3604725B1 (en) Break-in-resistant intelligent sliding enclosure
JP2003293658A (ja) 折戸および遮煙防火設備
KR101024520B1 (ko) 건축물의 방범용 창문 위치 고정 구조
KR101128480B1 (ko) 해치형 비상 피난장치
WO2006137804A1 (en) Top hung sliding door system for interior use
KR102238734B1 (ko) 풀오픈형 비상탈출용 자동문
US2310247A (en) Window
JP2757153B2 (ja) ドア装置
KR970004548Y1 (ko) 방화 및 방범용 셔터
JPH0552189U (ja) 開閉機能付き格子体
KR20090110530A (ko) 새로운 비상구 구조를 갖는 방화 스크린 셔터
KR102336573B1 (ko) 방화 자동문
KR102186140B1 (ko) 개폐의 편의성과 우수한 기밀성을 겸비하는 창호
KR102580957B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 및 리프트용 화염차단 방화도어
JP3789180B2 (ja) 可動式連絡通路
CN209908282U (zh) 一种应用于建筑疏散门的自动报警开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