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105A - 아파트 복합건물의 구조 - Google Patents

아파트 복합건물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105A
KR20100000105A KR1020080059473A KR20080059473A KR20100000105A KR 20100000105 A KR20100000105 A KR 20100000105A KR 1020080059473 A KR1020080059473 A KR 1020080059473A KR 20080059473 A KR20080059473 A KR 20080059473A KR 20100000105 A KR20100000105 A KR 20100000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ate
coupled
sides
apartment com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0131B1 (ko
Inventor
서상모
Original Assignee
서상모
서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상모, 서명호 filed Critical 서상모
Priority to KR1020080059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131B1/ko
Publication of KR20100000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7Partitions constituted of sliding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복합건물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출입구가 설치된 일측의 공간부와 다른 출입구가 설치된 타측의 공간부가 격벽에 의하여 맞대어지도록 설치된 복합건물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일측의 공간부와 타측의 공간부가 선택적으로 연통되어지는 연결부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연결부는 격벽에 형성된 관통홈으로 좌,우왕복 이동되어지는 게이트가 결합된 프레임이 설치되어지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은 격벽속의 공간으로 매립되어지며 상기 프레임의 타측은 게이트가 위치되어 각각의 측공간부를 향하여 게이트의 표면이 노출되어지면서 차단되어지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격벽, 관통홈, 연결부, 게이트, 프레임

Description

아파트 복합건물의 구조{Structure of apartment complex building}
본 발명은 아파트 복합건물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출입구가 각각 설치된 세대가 게이트가 결합된 격벽에 의하여 구분되어짐으로써, 일측의 세대에서 화재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타측의 세대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 피해를 막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동일한 사람이 두세대를 같이 사용할 경우, 각각의 출입구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두세대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게이트와 벽체가 조화를 이루어 내부공간이 미려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식 건물인 빌라, 연립, 다세대(이하, "복합건물"이라 칭함)는 계단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각각 두세대가 서로 마주보는 독립된 구조를 갖도록 시공되어지고, 계단식과 복도식 아파트(이하, "복합건물"이라 칭함)의 경우, 역시 각각의 두세대가 서로 마주보거나 대칭되는 독립된 구조를 갖도록 시공되어 개인의 사생활이나 집안의 사적인 일 등을 남에게 간섭받지 않도록 되어있다.
복합건물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세대별(50a)(50b)로 별도의 출입구(51a)(51b)가 설치되어지고, 출입구(51a)의 내부에는 사용자가 생활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용도별로 다수의 격벽에 의하여 구분되어지는 구조를 갖도록 시공되어 있다. 즉, 출입구(51a)로부터 현관(52a), 거실(53a), 주방(54a) 및 거실(53a)과 주방(54a) 사이에 측면에 침실(55a) 그리고 화장실(56a) 및 발코니(57a)가 시공되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건물은 각각의 세대가 격벽으로 구분되어 프라이버시가 유지되어질 수는 있으나, 인접한 세대내에서 급박한 일인 화재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도움을 주지 못하는 원인으로 인하여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동일한 사람이 두세대를 갖이 사용할 경우, 각각 출입구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들어 오고 나가는 과정에서 출입구를 자주 여닫아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두세대가 마주하는 격벽에 별도의 출입구를 설치할 경우, 기존에 시공된 격벽과 설치된 출입구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출입구가 각각 설치된 세대가 게이트가 결합된 격벽에 의하여 구분되어짐으로써, 일측의 세대 에서 화재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타측의 세대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 피해를 막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동일한 사람이 두세대를 같이 사용할 경우, 각각의 출입구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두세대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게이트와 벽체가 조화를 이루어 내부공간이 미려하게 보일 수 있는 아파트 복합건물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출입구(31a)가 설치된 일측의 공간부(30a)와 다른 출입구(31b)가 설치된 타측의 공간부(30b)가 격벽(10)에 의하여 맞대어지도록 설치된 복합건물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격벽(10)에 일측의 공간부(30a)와 타측의 공간부(30b)가 선택적으로 연통되어지는 연결부(20)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연결부(20)는 격벽(10)에 형성된 관통홈(11)으로 좌,우왕복 이동되어지는 게이트(21)가 결합된 프레임(22)이 설치되어지고, 상기 프레임(22)의 일측은 격벽(10)속의 공간으로 매립되어지며 상기 프레임(22)의 타측은 게이트(21)가 위치되어 각각의 측공간부(30a)(30b)를 향하여 게이트(21)의 표면이 노출되어지면서 상기 공간부(30a) (30b)가 차단되어지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출입구가 각각 설치된 세대가 게이트가 결합된 격벽에 의하여 구분되어지도록 설치함으로써, 일측의 세대에서 화재 등이 발생 하였을 경우, 타측의 세대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 피해를 막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사람이 두세대를 같이 사용할 경우, 각각의 출입구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와 벽체가 조화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간이 더 미려하게 보일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아파트 복합건물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아파트 복합건물에 게이트가 설치된 상태의 격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아파트 복합건물에 게이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격벽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아파트 복합건물에 게이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파트 복합건물의 구조는 도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31a)가 설치된 일측의 공간부(30a)와 다른 출입구(31b)가 설치된 타측의 공간부(30b)가 연결부(20)가 설치된 격벽(10)에 의하여 서로 맞대어지게 시공되어진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격벽(10)은 시멘트 벽돌로 이루어진 조적벽으로 일측의 공간부(30a)와 타측의 공간부(30b)가 구획되어지도록 하부슬라브에서 상부슬라브까지 수직되게 시공되어지고, 수직되게 시공된 일부분의 시멘트 별돌이 제거되어진 형태를 갖도록 하여 제거되어진 부분에 의하여 각각의 공간(30a)(30b)이 선택적으로 연통되어지도록 하는 연결부(20)가 설치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20)는 일측의 공간부(30a)와 타측의 공간부(30b)가 평상시는 단절 또는 차단된 상태로 유지되어지며 사용자가 필요할 경우, 서로 연결되어지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격벽(10)에 형성된 관통홈(11)으로 좌,우왕복 이동되어지는 게이트(21)가 결합된 프레임(22)이 억지끼워맞춤 형태를 갖도록 설치되어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22)은 게이트(21)가 길이방향으로 원활하게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좌측으로 이동하였을 경우, 게이트(21)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22)은 사각의 테두리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 일측이 격벽(10)속의 공간으로 매립되게 시공되어지고, 매립되게 시공된 프레임(20)을 따라 게이트(21)가 원활하게 이동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22)에 결합되어지는 게이트(21)는 소정 두께로 가로 길이에 비하여 더 긴 세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태인 게이트패널(211) 상,하부에 각각 길이방향을 갖는 상,하부안내홈(211-1)(211-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상,하부안내홈(211-1)(211-2)의 양측에 상,하부사이드홈(212-1)(212-2)이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하부안내홈(211-2)에 다수개의 구름휠(213)이 결합되어 후술하는 하부프레임(222)에 형성된 휠받침레일(222-1)에 상기 구름휠(213)이 얹혀져 게이트 패널(211)이 용이하게 이동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2)의 타측은 평상시 게이트(21)가 위치되어 각각의 공간부(30a)(30b)를 향하여 게이트(21)의 표면이 노출되어지면서 상기 각각의 공간부(30a)(30b)가 차단되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22)은 상,하부프레임(221)(222)의 양측에 각각 사이드프레임(223)(224)이 결합되어 가로방향이 넓은 직사각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상부프레임(221)은 하부로 개방된 중앙에 간격유지레일(22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상부프레임(221)의 양측에 하단이 마주보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상부사이드레일(221-2)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사이드레일(221-2)이 게이트패널(211)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상부사이드홈(212-1)에 각각 끼워져 게이트패널(211)이 좌우로 이동되어지는 과정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사이드홈(212-1)은 하부가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사이드레일(221-2)가 하부로 용이하게 더 이동되어질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222)은 상기 상부프레임(221)과 대칭되게 형성되어진 것으로 상부로 개방된 중앙에 휠받침레일(222-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하부프레임(222)의 양측에 상단이 휠받침레일(222-1)을 향하여 절곡된 하부사이드레일(22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사이드레일(222-2)이 게이트패널(211)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사이드홈(212-2)에 각각 끼워져 좌우로 왕복 이동되어지는 과정에서 게이트패널(211)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게이트패널(211)이 닫 혔을 경우, 게이트패널(211)의 하부와 하부프레임(222) 사이에 간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닫혀진 부위가 미려하게 보여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21)의 양측면에는 각각 장식돌부(23)가 각각의 공간부(30a)(30b)를 향하여 돌출되어지는 형태를 갖도록 결합되어지고, 상기 장식돌부(23)와 장식돌부(23) 사이로 형성되어지는 장식홈부(24)에 대응되어지는 다른 장식돌부(223-1)(224-1)가 각각의 사이드프레임(223)(224)의 양측에 형성되어 게이드(21)가 닫혔을 경우, 게이트패널(211)에 형성된 장식돌부(23)와 장식홈부(24)에 거의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미려하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22)의 가운데 수직으로 향하는 보강프레임(24)의 상,하단부가 맞대어지게 결합되고, 상기 보강프레임(24)의 가운데 슬라이드공간부(241)가 형성되어지도록 하여 프레임(22)이 처지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여 게이트패널(211)이 원활하게 이동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공간부(241)의 양측에 다른 장식돌부(242)가 마주보게 설치되어지도록 하여 게이트패널(211)이 닫혔을 경우,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미려하게 보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복합건물은 먼저, 격벽(10)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프레임(22)을 수직되게 세운 후 조적벽을 쌓고, 조적벽을 쌓는 과정에서 프레임(22)에 형성 또는 결합된 보강프레임(24) 까지 조적벽이 덮히도록 한다.
다음 구름휠(213)이 결합된 게이트패널(211)을 들어 상부안내홈(211-1)이 상부사이드레일(221-2) 사이로 삽입되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부안내홈(211-1)이 양측이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부사이드레일(221-2)이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삽입되고, 삽입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부사이드레일(221-2)에 절곡된 부분이 각각 상기 상부안내홈(211-1)의 양측에 형성된 상부사이드홈(212-1)에 삽입되어지게 된다.
다음 게이드패널(211)을 더 높게 들어 올리게 되면 상부사이드홈(212-1)의 하부가 경사진 형태로 있음으로써, 상부사이드레일(221-2)이 다시 벌어지면서 게이트패널(211)의 하단이 하부프레임(222)의 중앙에 오도록 한 후 게이트패널(211)을 내려 놓으면 하부안내홈(211-2)의 양측으로 경사진면이 하부사이드레일(222-2)를 벌리면서 삽입이 이루어진다.
다음 하부안내홈(211-2)에 결합된 구름휠(213)이 휠받침레일(222-1)에 안착되어짐과 동시에 상부사이드레일(221-2)와 하부사이드레일(222-2)이 각각 상,하부사이드홈(212-1)(212-2)에 삽입되는 것으로 게이드(21)가 결합되어지게 된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 시공된 연결부(20)는 평상시 닫혀있는 상태 즉, 게이트패널(211)이 관통홈(11)으로 노출되어져 있는 상태에서는 일측의 공간부(30a)와 타측의 공간부(30b)가 차단되어 서로의 프라이버시가 존중되어지면서 생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게이트패널(211)의 양측면에 각각 장식돌부(23)와 장식홈부(24)가 형성되어 각각의 공간부(30a)(30b)에 장식벽체로 보여지도록 하여 주변의 벽체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게이트패널(211)의 상,하부에 형성된 각각의 상,하부사이 드홈(212-1)(212-2)에 상부사이드레일(221-2)과 하부사이드레일(222-2)이 각각 삽입되어 틈새가 보이지 않음으로써, 상,하부가 미려해 보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게이트패널(211)의 좌,우측은 사이드프레임(223)에 형성된 장식돌부(223-1) 및 보강프레임(24)에 형성된 장식돌부(242)가 게이트패널(211)에 형성된 각각의 장식홈부(24)에 삽입되어진 형태가 유지되어 틈새가 보이지 않음으로써, 좌우측이 미려해 보일 수 있게 된다.
이 같은 상태에서 양측 공간부(30a)(30b) 중 어느 하나의 공간부(30a)(30b)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나 이동이 필요할 경우, 게이트 패널(211)에 결합된 장식돌부(23) 등을 붙잡은 상태에서 좌측으로 밀게 되면 구름휠(213)이 휠받침레일(222-1)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되어지게 됨에 따라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닫혀진 게이트패널(211) 또는 게이트(21)를 오픈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게이트(21)가 프레임(22)의 상부프레임(221), 하부프레임(222), 사이드프레임(223) 및 보강프레임(24) 사이에 결합되어 별도의 언록킹장치가 필요없이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하였으나, 게이트(21)의 일측과 맞대어지는 타측인 사이드프레임(223)이나 보강프레임(24)에 별도의 언록킹장치를 사용할 수 도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아파트 복합건물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아파트 복합건물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아파트 복합건물에 게이트가 설치된 상태의 격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아파트 복합건물에 게이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격벽의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아파트 복합건물에 게이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격벽 11:관통홈
20:연결부 21:게이트
22:프레임

Claims (4)

  1. 출입구(31a)가 설치된 일측의 공간부(30a)와 다른 출입구(31b)가 설치된 타측의 공간부(30b)가 격벽(10)에 의하여 맞대어지도록 설치된 아파트 복합건물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격벽(10)에 일측의 공간부(30a)와 타측의 공간부(30b)가 선택적으로 연통되어지는 연결부(20)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연결부(20)는 격벽(10)에 형성된 관통홈(11)으로 좌,우왕복 이동되어지는 게이트(21)가 결합된 프레임(22)이 설치되어지고, 상기 프레임(22)의 일측은 격벽(10)속의 공간으로 매립되어지며 상기 프레임(22)의 타측은 게이트(21)가 위치되어 각각의 공간부(30a)(30b)를 향하여 게이트(21)의 표면이 노출되어지면서 상기 공간부(30a)(30b)가 차단되어지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복합건물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2)에 결합되어지는 게이트(21)는 게이트패널(211)의 상,하부에 각각 길이방향을 갖는 상,하부안내홈(211-1)(211-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상,하부안내홈(211-1)(211-2)의 양측에 상,하부사이드홈(212-1)(212-2)이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하부안내홈(211-2)에 다수개의 구름휠(213)이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복합건물의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2)은 상,하부프레임(221)(222)의 양측에 사이드프레임(223) (224)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상부프레임(221)은 하부로 개방된 중앙에 간격유지레일(22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상부프레임(221)의 양측에 하단이 마주보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상부사이드레일(221-2)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사이드레일(221-2)이 게이트패널(211)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상부사이드홈(212-1)에 각각 끼워지고, 상기 하부프레임(222)은 상부로 개방된 중앙에 휠받침레일(222-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하부프레임(222)의 양측에 상단이 휠받침레일(222-1)을 향하여 절곡된 하부사이드레일(22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사이드레일(222-2)이 게이트패널(211)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사이드홈(212-2)에 각각 끼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복합건물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21)의 양측면에는 각각 장식돌부(23)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장식돌부(23)와 장식돌부(23) 사이인 장식홈부(24)에 대응되어지는 다른 장식돌부(223-1)(224-1)가 각각의 사이드프레임(223)(224)의 양측 내면에 형성되어지고, 상기 프레임(22)의 가운데 수직으로 향하는 보강프레임(24)의 상,하단부가 맞대어지게 결합되어지되, 상기 보강프레임(24)은 가운데 슬라이드공간부(241)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슬라이드공간부(241)의 양측에 다른 장식돌부(242)가 마주보게 설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복합건물의 구조.
KR1020080059473A 2008-06-24 2008-06-24 아파트 복합건물의 구조 KR101050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473A KR101050131B1 (ko) 2008-06-24 2008-06-24 아파트 복합건물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473A KR101050131B1 (ko) 2008-06-24 2008-06-24 아파트 복합건물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105A true KR20100000105A (ko) 2010-01-06
KR101050131B1 KR101050131B1 (ko) 2011-07-21

Family

ID=41810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473A KR101050131B1 (ko) 2008-06-24 2008-06-24 아파트 복합건물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1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554B1 (ko) * 2022-01-28 2023-02-07 박인규 재난시 인접세대로의 비상탈출 구조물
KR102521315B1 (ko) * 2022-05-16 2023-04-13 주식회사 디딤돌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2Y1 (ko) * 2002-09-19 2003-01-14 주식회사 한올 슬라이딩 도어의 포켓 프레임 구조
KR200377467Y1 (ko) * 2004-12-01 2005-03-10 주식회사 메탈하우징 슬라이딩도어의 포켓하우징
KR20060036364A (ko) * 2005-01-26 2006-04-28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세대간 발코니 격벽을 이용한 방화문
KR20080001960U (ko) * 2006-12-15 2008-06-19 장의준 이중 도어를 갖춘 공동주택의 세대간 비상 대피통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554B1 (ko) * 2022-01-28 2023-02-07 박인규 재난시 인접세대로의 비상탈출 구조물
KR102521315B1 (ko) * 2022-05-16 2023-04-13 주식회사 디딤돌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
WO2023224340A1 (ko) * 2022-05-16 2023-11-23 주식회사 디딤돌 슬라이드 방식 대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0131B1 (ko) 201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131B1 (ko) 아파트 복합건물의 구조
JP2008190203A (ja) 建物
KR200418951Y1 (ko) 슬라이드 창호의 창틀 프레임 구조
JP2001323583A (ja) 出窓付壁面パネル体
JP4120922B2 (ja) ユニット式建物
JPH0853983A (ja) 住 宅
JP4279742B2 (ja) 建物
JP2006077455A (ja) 建物
JP6689021B2 (ja) 建物
JP7040720B2 (ja) 狭小建物
JP2019065664A (ja) 集合住宅
JP2018109278A (ja) 組立式建築物
JP5389330B2 (ja) 収納構造
JP2001279937A (ja) 集合住宅
JP2009121142A (ja) 建物
JP2000282581A (ja) ユニット式建物
JP2020070598A (ja) 住宅
JP6723699B2 (ja) 二世帯住宅
JP4684568B2 (ja) 集合住宅のポーチの構造
JP2003166356A (ja) 共用廊下に面するプライバシーを配慮した住宅構造
JPH10246009A (ja) 住 宅
JP4403496B2 (ja) 三階建て住宅構造
JP3092677U (ja) 建 物
JP2008214949A (ja) 住居
KR200368455Y1 (ko) 발코니용 분합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