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460Y1 - 군용 방폭문 - Google Patents

군용 방폭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460Y1
KR200196460Y1 KR2020000009723U KR20000009723U KR200196460Y1 KR 200196460 Y1 KR200196460 Y1 KR 200196460Y1 KR 2020000009723 U KR2020000009723 U KR 2020000009723U KR 20000009723 U KR20000009723 U KR 20000009723U KR 200196460 Y1 KR200196460 Y1 KR 2001964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fixed
explosion
shaf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아방호
이윤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아방호, 이윤헌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아방호
Priority to KR2020000009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4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4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4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2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air pressure, explosion, or g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폭문(防爆門)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비상(폭격)시 쉽게 완파되지 않고 주변폭발에 의한 연쇄폭발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취급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군용 방폭문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다수의 'H'빔 및 사각빔에 의해 중공부가 형성되고 네면은 'ㄷ'자 모양의 앵글에 의해 마감된 문짝몸체부와, 일정한 길이를 갖는 'I'형강으로 된 가이드레일과, 상부 양측에 구동로울러가 결합되고 하단에는 문짝몸체부에 고정되는 제 1고정축이 결합된 제 1브라켓과, 일측면에는 일단이 절곡된 고정쇠가 결합되고 바닥면에는 협지편과 고정판을 갖는 고정축이 결합된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전·후방 및 중앙 고정부와, 전동풀리와 전동기어가 결합된 전동축과 종동기어와 스프라켓이 결합된 종동축이 구비된 구동부와, 상기 문짝몸체부의 후방 상단에 장공부가 형성된 제 2브라켓이 고정되고 중앙에 종동스프라켓이 결합된 제 2고정축이 관통된 슬라이더로 이루어진 텐션조절부가 구비됨에 따라, 내구성이 향상되어 견고하므로 방폭문이 비상시에도 폭파 및 완파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또한, 병기류의 출납을 위한 방폭문의 개폐가 간편·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취급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효율적인 것이다.

Description

군용 방폭문{BLAST DOOR}
본 고안은 군용 방폭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폭문(防爆門)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비상(폭격)시 쉽게 완파되지 않고 주변폭발에 의한 연쇄폭발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취급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군용 방폭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군부대에는 군사시설로서, 비행기 격납고와 각종 폭발물(탄약) 및 병기류(이하, 병기류라 함)의 도난을 방지하고 안전한 보관을 위해 병기고(兵器庫)가 축조(築造)되며, 특히, 병기고에는 전쟁이나 게릴라 침입등과 같은 비상사태시 폭격에 의한 병기류의 폭발(연쇄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방폭문이 설치된다.
지금까지 축조된 병기고로는 막사(幕舍)형태로 비 또는 눈을 차단하기 위한 지붕과 외부로의 노출을 차단하기 위한 벽체 및 출입을 위한 방폭문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때, 사용되는 방폭문은 일반적인 창고문 형태로 이루어지고 보관된 폭발물 및 병기류의 도난방지를 위해 주야(晝夜)로 항시 경비병이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병기고는 군부대에서 가장 중요하고 신중하게 취급 및 보관되어야 할 폭발물이나 병기류의 보관을 위해 설치된 방폭문의 역할이 단순히 출입을 위한 것으로, 내구성이 떨어져 견고하지 못하고 작은 외력에도 쉽게 파손(완파)되며, 또한 항시 주야로 경비병을 배치해야 되므로 번거롭고 필요이상으로 군사력이 소모되어 효율적이지 못함과 동시에 병기류의 취급 및 보관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폐단을 갖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방폭문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비상시에도 폭파 및 완파되지 않도록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병기류의 출납을 위한 방폭문의 개폐가 간편·용이함과 동시에 취급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군용 방폭문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군용 방폭문에 있어서, 내부에 다수의 'H'빔에 의해 중공부가 형성되고 네면은 'ㄷ'자 모양의 앵글에 의해 마감된 문짝몸체부와, 일정한 길이를 갖는 'I'형강으로 된 가이드레일과, 상부 양측에 구동로울러가 결합되고 하단에는 문짝몸체부에 고정되는 제 1고정축이 결합된 제 1브라켓과, 일측면에는 일단이 절곡된 고정쇠가 결합되고 바닥면에는 협지편과 고정판을 갖는 고정축이 결합된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전·후방 및 중앙 고정부와, 고정브라켓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의 선단 하방에 설치되고 전동풀리와 전동기어가 결합된 전동축과 종동기어와 스프라켓이 결합된 종동축이 구비된 구동부와, 상기 문짝몸체부의 후방 상단에 장공부가 형성된 제 2브라켓이 고정되고 후단에 조절볼트가 결합되고 중앙에 종동스프라켓이 결합된 제 2고정축이 관통된 슬라이더로 이루어진 텐션조절부가 구비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문짝몸체부 내부에는 사각빔에 의해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의 전동축에는 이와 연동되는 전동모우터가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군용 방폭문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부에 대한 확대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군용 방폭문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군용 방폭문의 텐션조절부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군용 방폭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폭문 2 : 가이드레일
4, 6 : 전·후방구동부 8 : 중앙구동부
4', 6', 8' : 브라켓 4a, 6a, 8a : 지지축
4b, 6b, 8b : 고정판 10 : 문짝몸체부
12 : 제 1브라켓 14 : 제 1고정축
16 : 구동로울러 20 : 구동부
30 : 텐션조절부 32 : 보조브라켓
34 : 지지판 40 : 보강프레임
52 : 고정브라켓 54 : 전동풀리
56 : 전동기어 58 : 전동축
62 : 종동기어 64 : 스프라켓
66 : 종동축 72 : 제 2브라켓
74 : 장공부 76 : 슬라이드편
78 : 슬라이더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군용 방폭문을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방폭문(1)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I'형강의 가이드레일(2)이 전·후방 및 중앙고정부(4, 6, 8)에 의해 횡방향으로 지지·고정되고, 문짝몸체부(10)는 제 1브라켓(12)의 제 1고정축(14)에 의해 지지되어 구동로울러(16)에 의해 가이드레일(2)을 따라 양측방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부(20)는 상기 가이드레일(2)의 선단 하방에 설치되데, 문짝몸체부(10)의 후방에 설치된 텐션조절부(30)와 체인(36)으로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문짝몸체부(10) 내부에는 'H'빔 또는 사각빔에 의해 중공부가 형성되며, 제 1브라켓(12)의 제 1고정축(14) 일단이 문짝몸체부(10)에 고정되고 구동로울러(16)는 제 1브라켓(12)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후, 가이드 레일(2) 하부에 얹혀지게 되고, 전·후방 및 중앙고정부(4, 6, 8)의 브라켓(4', 6', 8')은 일단이 갈고리 형상으로 절곡된 고정쇠(22)에 의해 벽체(W)상에 매립·고정되고 지지축(4a, 6a, 8a)의 고정판(4b, 6b, 8b)과 협지판(24, 26, 28)에 의해 가이드레일(2)이 지지되데, 후방고정부(6)는 벽체(W)로부터 매립·고정되는 고정쇠(22)에 'I'형강으로 된 보조브라켓(32)이 종방향으로 돌출되고 'ㄷ'자 모양으로 절곡된 지지판(34)에 의해 가이드레일(2)이 지지된다.
도 2는 도 1의 A부에 대한 확대 측단면도로서, 구동로울러(16)가 제 1브라켓(12)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로 가이드레일(2)의 하부에 얹혀지고, 제 1브라켓(12)의 하부에 볼트(21)로 결합된 간격유지편(23)에 제 1고정축(14)이 결합되데, 그 하방으로는 문짝몸체부(10)가 고정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벽체(W)의 가장자리에는 'ㄴ'자 모양으로 절곡된 보강 프레임(40)이 매립·고정되고 그 일면에는 벽체(W)와 문짝몸체부(10)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차단하기 위한 고무재질의 마감재(42)가 결합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군용 방폭문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로서, 벽체(W)에 매립되는 고정쇠(22)에 의해 고정된 고정브라켓(52)에 전동풀리(54)와 전동기어(56)가 연동되도록 결합된 전동축(58)과, 종동기어(62)와 스프라켓(64)이 결합된 종동축(66)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때, 전동풀리(54)에는 회동을 위한 쇠사슬형태의 로프체인(68)이 감겨지고, 전동축(58)에 결합된 전동기어(56)와 종동축(66)에 결합된 종동기어(62)는 변속을 위해 일정한 비율 즉, 전동기어(56)의 회전수에 비해 종동기어(62)의 회전수가 적은 비율을 가지며 서로 맞물려 결합된 것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군용 방폭문의 텐션조절부를 나타내는 평단면도로서, 가이드레일(2)에 고정되는 제 2브라켓(72)의 하부에 장공부(74)를 갖는 슬라이드편(76)에 슬라이더(78)가 결합되데, 슬라이더(78)에는 종동 스프라켓(80)이 중앙에 위치되도록 제 2고정축(82)이 관통되어지고 후단에는 일단이 제 2브라켓(72)에 고정된 조절볼트(84)가 고정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군용 방폭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구동부(20)의 전동기어(56)가 결합된 전동축(58)에 전동모터(90)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전동모터(90)는 벽체(W)에 고정·설치된 콘트롤 박스(92)와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되도록 연결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8과 86은 베어링, 88은 너트, 94는 스위치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폭문(1)을 설치하려면, 먼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소정 크기의 개구부(출입구)를 갖는 벽체(W)를 형성하되, 개구부의 가장자리에는 보강프레임(40)이 매립·고정되도록 하고 지정된 위치에는 각각의 고정쇠(22)가 매립·고정되도록 한다.
이상태에서, 전방 및 중앙 고정부(4, 8)의 브라켓(4', 8')과 후방 고정부(6)의 보조 브라켓(32)을 고정한 다음, 가이드레일(2)에 고정축(4a, 6a, 8a)을 결합한 후, 고정축(4a, 6a, 8a)을 전방 및 중앙 고정부(4, 8)의 브라켓(4', 8')과 후방 고정부(6)의 보조 브라켓(32)에 고정하게 되면 가이드레일(2)이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가이드레일(2)과 고정축(4a, 6a, 8a)의 결합은 고정판(4b, 6b, 8b)에 결합되는 협지판(24,, 26, 28)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고정판(4b, 6b, 8b)이 가이드레일(2)의 상면에 얹혀지고 협지판(24, 26, 28)이 그 하방으로부터 가이드레일(2)의 상부 저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가이드레일(2)과 고정축(4a, 6a, 8a)이 결합되며, 또한, 가이드레일(2)과 결합된 고정축(4a, 6a, 8a)을 각각의 브라켓(4', 8') 및 보조 브라켓(32)에 고정함에 있어, 후방 고정부(6)의 고정쇠(22) 매립·고정위치가 전방 고정부(4)와 중앙 고정부(8)의 고정쇠(22) 매립·고정위치보다 가이드레일(2)로부터 보조 브라켓(32)의 길이 만큼 먼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고정축(6a)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전방 고정부(4) 및 중앙 고정부(8)와는 다르게 별도의 'ㄷ'자 모양으로 절곡된 지지판(34)을 이용하여 보조 브라켓(32)에 거치시킨 후, 이에 고정축(6a)을 관통시켜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레일(2)이 설치되면, 문짝몸체부(10) 상면에 제 1브라켓(12)의 제 1고정축(14)을 고정한 후, 제 1브라켓(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구동로울러(16)를 벽체(W)에 설치된 가이드레일(W) 하부 상면에 얹게 되면, 제 1브라켓(12)의 제 1고정축(14)에 의해 문짝몸체부(10)가 지면으로부터 약간 이격된 상태로 지지·고정되고 구동로울러(16)에 의해 가이드레일(2)상에서 전·후방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문짝몸체부(10) 내부에는 다수개의 'H'빔 또는 사각빔에 의해 중공부가 형성되고 네면에는 'ㄷ'자 모양의 앵글로 마감처리된다.
이와 같이하여, 문짝몸체부(10)의 설치가 완료되면, 가이드레일(2) 선단 하방에 해당하는 벽체(W)에 개폐를 위해 구동부(20)를 설치하게 되면 방폭문(1)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으로, 구동부(20)의 설치는 지정된 위치에 기 매립·고정된 고정쇠(22)에 고정브라켓(52)을 고정시키되, 고정브라켓(52)에는 외측방으로 드러나지도록 전동풀리(54)가 결합되고 내부에는 전동기어(56)가 결합된 전동축(58)이 결합되고 그 하방으로는 상기 전동기어(56)와 맞물려 회동되는 종동기어(62)와 체인(34)을 걸어 동력을 전달시킬 수 있는 스프라켓(64)이 결합된 종동축(66)이 결합된다.
또한, 문짝몸체부(10)의 후방으로는 구동부(20)의 스프라켓(64)과 체인(34)으로 연결되어 문짝몸체부(10)의 유동을 위한 종동스프라켓(80)이 설치되데, 종동스프라켓(80)은 가이드레일(2)상에 고정된 제 2브라켓(72)의 슬라이드편(76)내에서 조절볼트(84)의 풀림 및 조임작용에 의해 슬라이드되면서 장공부(74) 범위내에서 유동되어 체인(34)의 텐션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된 방폭문(1)의 개폐는 구동부(20)의 전동풀리(54)에 감겨진 로프체인(68)을 잡아당겨 전동풀리(54)를 회동시키게 되면, 전동축(58)이 회동됨에 따라 전동기어(56)가 회동되고 이와 맞물린 종동기어(62)가 회동되며 종동기어(62)가 회동됨에 따라 종동축(66)에 의해 스프라켓(64)이 연동되고 이에 감겨진 체인(36)이 유동되어 문짝몸체부(10)가 당겨져 개폐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폭문(1)의 개폐를 위한 전동기어(56)의 회동을 전동모터(90)를 이용하게 되면, 콘트롤박스(92)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폭문을 이용함에 따라, 내구성이 향상되어 견고하므로 방폭문이 비상시에도 폭파 및 완파되지 않고 주변폭발에 의한 연쇄폭발이 방지되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또한, 병기류의 출납을 위한 방폭문의 개폐가 간편·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취급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효율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군용 방폭문에 있어서,
    내부에 다수의 'H'빔 및 사각빔에 의해 중공부가 형성되고 네면은 'ㄷ'자 모양의 앵글에 의해 마감된 문짝몸체부(10)와;
    일정한 길이를 갖는 'I'형강으로 된 가이드레일(2)과;
    상부 양측에 구동로울러(16)가 결합되고 하단에는 문짝몸체부(10)에 고정되는 제 1고정축(14)이 결합된 제 1브라켓(12)과;
    일측면에는 일단이 절곡된 고정쇠(22)가 결합되고 바닥면에는 협지편(24, 26, 28)과 고정판(4b, 6b, 8b)을 갖는 고정축(4a, 6a, 8a)이 결합된 브라켓(4', 6', 8')으로 이루어진 전·후방 및 중앙 고정부(4, 6, 8)와;
    고정브라켓(52)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2)의 선단 하방에 해당하는 위치의 벽체(W)에 설치되고 전동풀리(54)와 전동기어(56)가 결합된 전동축(58)과 종동기어(62)와 스프라켓(64)이 결합된 종동축(66)이 구비된 구동부(20)와;
    상기 문짝몸체부(10)의 후방 상단에 장공부(74)가 형성된 슬라이드편(76)을 갖는 제 2브라켓(72)과 후단에 조절볼트(84)가 결합되고 중앙에 종동스프라켓(80)이 결합된 제 2고정축(82)이 관통되는 슬라이더(78)로 이루어진 텐션조절부(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 방폭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의 전동축(58)에 전동모우터(9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 방폭문.
KR2020000009723U 2000-04-06 2000-04-06 군용 방폭문 KR2001964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723U KR200196460Y1 (ko) 2000-04-06 2000-04-06 군용 방폭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723U KR200196460Y1 (ko) 2000-04-06 2000-04-06 군용 방폭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460Y1 true KR200196460Y1 (ko) 2000-09-15

Family

ID=19650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723U KR200196460Y1 (ko) 2000-04-06 2000-04-06 군용 방폭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46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563B1 (ko) * 2007-08-23 2009-04-24 하나답코 주식회사 수동개폐 모드로의 자동전환이 가능한 방폭문
KR101592507B1 (ko) 2015-12-08 2016-02-05 (주)우창산업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
KR20160023033A (ko) * 2014-08-21 2016-03-03 예종락 자동 방폭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563B1 (ko) * 2007-08-23 2009-04-24 하나답코 주식회사 수동개폐 모드로의 자동전환이 가능한 방폭문
KR20160023033A (ko) * 2014-08-21 2016-03-03 예종락 자동 방폭문
KR101689269B1 (ko) * 2014-08-21 2016-12-23 예종락 자동 방폭문
KR101592507B1 (ko) 2015-12-08 2016-02-05 (주)우창산업 H빔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출입구 폐쇄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8383A (en) Security enclosure and gate system
US5392836A (en) Door assembly
KR100759957B1 (ko) 차단 바 자동복귀 시스템
US4624600A (en) Anti-terrorist vehicle impaler
US4333268A (en) Energy saving electrically actuated barrier gate control means operable from solar energy
US20150345168A1 (en) Above-Ground Shelter
US5537778A (en) Security barrier apparatus
CA2371302A1 (en) Slidable room assembly
DE69935926T2 (de) Seilabsperrung
KR200196460Y1 (ko) 군용 방폭문
WO2018129712A1 (zh) 利用发条机构驱动的翻转撑起式拦截网
AU660331B2 (en) Anti-theft device for hoisting or striking a flag or the like
ES2190033T5 (es) Dispositivo de enclavamiento.
KR20090020316A (ko) 수동개폐 모드로의 자동전환이 가능한 방폭문
US20180305977A1 (en) Overhead closure with tube and hook end lock
RU2338830C1 (ru) Противотаранный барьер
US4611430A (en) Door mounted operating mechanism for an overhead door
CN1235464A (zh) 移动电话机结构
US5452542A (en) Security barrier apparatus
US4852300A (en) Stacking gates or doors
KR20210121692A (ko) 방폭 도어
US3763594A (en) Doors with electro-mechanical operating means
KR200395430Y1 (ko) 인양식 수문
EP1053376B1 (en) Improved security arrangements
JP2000108889A (ja) プラットホーム用開閉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