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563B1 - 수동개폐 모드로의 자동전환이 가능한 방폭문 - Google Patents

수동개폐 모드로의 자동전환이 가능한 방폭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563B1
KR100894563B1 KR1020070084988A KR20070084988A KR100894563B1 KR 100894563 B1 KR100894563 B1 KR 100894563B1 KR 1020070084988 A KR1020070084988 A KR 1020070084988A KR 20070084988 A KR20070084988 A KR 20070084988A KR 100894563 B1 KR100894563 B1 KR 100894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on
proof door
clutch
guide rail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0316A (ko
Inventor
석청기
Original Assignee
하나답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답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나답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4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563B1/ko
Publication of KR20090020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2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air pressure, explosion, or g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3/00Operation or control of locks by mechanical transmissions, e.g. from a d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차단 시 수동개폐 모드로의 자동전환이 가능한 방폭문(防爆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폭문은, 대향하는 판상의 전면부재와 배면부재의 테두리부에 프레임이 결합되고, 전면부재와 배면부재 사이의 내부공간 하단부에 다수의 구동부설치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몸체부 하단면에 대향하는 바닥에 설치되는 주행레일과, 몸체부 상단부 인접 벽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몸체부 상단부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가이드롤러로 구성되는 가이드부와; 모터, 감속기, 클러치 및 주행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주행롤러로 이루어지며, 구동부설치공간에 설치되는 구동부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수동개폐 모드로의 자동전환이 가능한 방폭문은, 벽체에 부여하는 하중이 최소화되어 벽체에 크랙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며, 외관 품질이 우수하고, 정전 시에도 수동개폐가 자동적으로 가능하여 비상사태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방폭문, 클러치, 전자 클러치

Description

수동개폐 모드로의 자동전환이 가능한 방폭문{The blast sliding door that is capable of removing the control automatically}
본 발명은, 정전 시 수동개폐 모드로의 자동전환이 가능한 방폭문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각종 폭발물이 저장 보관되는 폭발물저장고의 문으로 사용되며 평상 시에는 모터의 힘에 의해서만 개폐가 가능하나, 정전 또는 필요 시 모터가 아닌 사람의 힘으로 개폐할 수 있는 수동개폐 모드로의 자동전환이 가능한 방폭문에 관한 것이다.
특수 군차량은 물론 포탄, 탄약, 다이너마이트 등의 폭발물은 특정한 장소(이하에서는 "폭발물저장고"라 한다.)에 보관되는데, 폭발물저장고 외부의 폭발이나 폭격 등에 의해 폭발물저장고 내부의 폭발물이 연쇄폭발을 일으킬 수도 있고, 반대로 폭발물저장고 내부의 폭발에 의해 그 주변에 위치한 다른 폭발물저장고나 특수 군차량 및 비행기 등이 연쇄적으로 폭발할 수도 있다.
특히 미사일 탑재차량이나 자주포 등과 같은 특수장비를 비롯한 각종 폭발물이 사용 및 보관되고 있는 군(軍)에서는 각종 폭발물의 안전한 보관을 위하여 폭발물저장고가 축조되는데, 전쟁이나 적의 침입 및 폭격 등과 같은 비상사태 발생 시 폭발물저장고의 연쇄폭발이나 폭발물저장고 주변으로의 영향 최소화를 위하여 폭발물저장고에는 문으로서의 방폭문이 설치된다.
그러나 처음의 방폭문은 금속으로 만들어진 단순 창고형 문의 형태로서, 강성이 부족하여 실제적으로는 방폭문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었을 뿐 아니라, 방폭문이 중량물임에도 불구하고 수동개폐식 문으로서 상당한 불편함이 있었기 때문에 새로운 방폭문이 개발되었는 바,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196460호에는 "군용 방폭문"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군용 방폭문은, 상부에 'I'형강 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방폭문의 상단부에 가이드 레일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한 구동 로울러가 결합되며, 방폭문의 배면에 결합된 종동 스프라켓과 방폭문 설치 벽체에 구비된 구동부의 스프라켓이 체인으로 연결되는 구조로서, 구동부의 전동 풀리에 의해 스프라켓이 회전하게 되면, 구동부의 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된 방폭문 배면의 종동 스프라켓이 연동되면서 방폭문이 자동으로 개폐된다.
상기의 군용 방폭문은 자동문으로서 수동개폐식 방폭문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는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군용 방폭문은, 구동부가 벽체에 시공되기 때문에 시공기간이 길어지면서 시공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벽체에 설치된 구동부 및 방폭문과 구동부를 연결하는 체인(또는 체인커버)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외관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구동부와 방폭문을 연결하기 위하여 폐루프를 이룬 체인의 길이가 방폭 문의 길이보다 짧지 않을 정도로 길기 때문에, 체인이 과다하게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체인의 텐션(tention)을 조절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온도변화나 경시변화 및 노후화에 따라 체인의 길이가 길이 수축 또는 팽창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방폭문의 개폐가 원활하지 않게 될 수 있는 바, 체인의 텐션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해 주기 위하여 체인의 텐션에 대한 주기적인 점검과 조절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특정 방폭문의 경우 10톤 이상의 중량을 가질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중량의 방폭문을, 벽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거는 방식으로 설치하는 경우 가이드 레일은 물론 가이드 레일이 설치된 벽체에 방폭문의 중량이 부여됨으로써,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벽체에 크랙이 발생하게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이드 레일이 변형될 수 있는 바, 방폭문이 처지면서 자동 개폐가 어려워지거나 불가능 하게 될 수가 있다.
그 외에 방폭문과 구동부가 체인에 의해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를 작동시킬 수 없는 정전 시에는 방폭문의 개폐가 불가능하여 정전 하에서의 긴급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하기가 어렵다.
물론, 체인을 해체한 후 방폭문을 수동으로 개폐할 수도 있으나, 체인의 해체가 번거러울 뿐 아니라, 해체 시간만큼 방폭문 개폐시간이 지연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종래의 방폭문이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벽체에 설치되는 장치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구동부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설치 후의 방폭문 외관품질을 향상시켜주고, 방폭문 지지를 위하여 벽체에 무리한 하중이 부여되지 않도록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그리고 길이가 긴 체인 등과 같은 선형 동력전달부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선형 동력전달부재의 텐션 조정과 같은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면서 모터에 의한 구동력이 방폭문에 정확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정전 또는 비상 시 방폭문을 수동으로도 즉시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간지연 없이 긴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과, 방폭문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부 및 클러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수동개폐 모드로의 자동전환이 가능한 방폭문은, 바닥에 설치되는 주행레일 위를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방폭문이 설치되는 벽체에 대한 하중 부여정도가 최소화되어 방폭문에 의한 벽체 손상이 방지되며, 방폭문을 움직이는 구동부가 방폭문 내부에 내장됨으로써 외관 품질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정전이나 긴급상황 발생 시 방폭문을 수동으로 개폐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시간지연 없이 방폭문을 즉시 수동개폐 가능토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수동개폐 모드로의 자동전환이 가능한 방폭문은, 정전 즉시 수동개폐 가능한 상태로 자동 전환됨으로써, 정전 시에도 즉시 수동개폐가 가능함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정전되지 않은 상태 하에서도, 정비나 보수 또는 비상사태 등과 같이 방폭문의 수동개폐가 요구되는 특별한 경우, 방폭문의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만 하면, 정전 시와 같이 수동개폐가 가능한 상태로 자동 전환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전원차단 시 수동개폐 모드로 자동전환이 가능한 본 발명의 방폭문은, 문의 역할을 하며 내부공간을 갖는 몸체부와; 몸체부가 일정한 궤적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주는 가이드부와; 몸체부의 내부공간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몸체부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동부; 등으로 구성되는 바, 각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몸체부는, 실질적인 방폭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포탄이나 폭약 등의 폭발에 의해서도 손상되지 않거나 손상정도가 최소화되도록 강재 등으로 만들어지는 바, 사각틀 형상의 금속 프레임과; 프레임을 전·후로 관통하는 프레임 중앙부 관통공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프레임의 전면 및 배면에 결합되는 전면부재 및 배면부재와; 서로 대향하는 전면부재 및 배면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보강부재; 등으로 구성되는데, 전면부재와 배면부재는 통상적으로 판재가 사용되고, 이 판재는 두께 10mm 이상의 금속 후판이 사용된다.
그리고 보강부재는, 방폭문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적용될 수 있으나 방폭문에 충분한 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서는 H-형강 등과 같은 강재 다수를 밀집 배열하는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부의 전면부재와 배면부재 사이의 내부공간은, 보강부재가 결함됨으로써 소멸 또는 현저히 축소되나, 이하에서 설명할 구동부의 설치를 위하여, 전면부재와 배면부재 사이의 하단부에는 2곳 이상의 구동부설치공간이 형성된다.
가이드부는, 몸체부가 직립한 상태에서 일정한 궤적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방폭문이 설치되는 바닥 즉, 몸체부의 하단면 아래에 위치한 바닥에 설치되며 몸체부와 구동부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 주행레일과; 몸체부 상단부 인접한 벽체에 수평한 상태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몸체부 상단부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다수의 비구동 가이드롤러; 등으로 구성된다.
구동부는, 상기 몸체부의 구동부설치공간에 설치되어 몸체부를 왕복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속도 및 회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감속기와; 회전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클러치와;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몸체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주행롤러;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모터와 감속기, 감속기와 클러치 및 클러치와 주행롤러는 각각 서로 직 접 연결될 수도 있으나, 몸체부 내부의 공간 크기가 제한될 수밖에 없는 바, 체인 등과 같은 연결부재에 의해 동력전달 가능한 상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클러치로는 전자 클러지가 사용되는데, 전자 클러치는, 전자석의 힘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거나 동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서,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두 클러치부재가 밀착되면서 일측의 동력이 타측으로 전달될 수 있으나, 전원이 차단되면 전자석의 자력이 소멸되면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두 클러치부재가 분리됨으로써 동력이 전달되지 않고 차단된다.
예를 들어, 서로 대향한 상태에서 서로 접촉 또는 분리됨으로써 동력을 전당 또는 차단하게 되는 전자 클러치의 두 클러치부재어에, 감속기의 축과 주행롤러의 축을 각각 연결함으로써, 전원의 인가 또는 차단에 따라 모터의 회전력을 주행롤러에 전달하거나 전달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클러치는 전자 클러치 중에서도 두 클러치부재의 마찰력을 이용하는 밀착식보다는 기어와 기어가 물리는 방식의 투스(tooth)식 전자 클러치가 더욱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는, 밀착식의 경우 방폭문의 중량이 크면, 밀착된 두 클러치부재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여 동력전달 손실이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클러치부재가 반복되는 마찰열에 의해 손상될 수도 있고 방폭문의 이동속도가 저하될 수 있으나, 투스식의 경우에는 두 클러치부재가 기어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모터의 동력이 거의 손실 없이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몸체부와 구동부 전체의 하중을 감당하면서 주행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주행롤러는, 몸체부 내부의 각 구동부설치공간에 하나 이상 장착되며, 각 주행 롤러의 하부는 몸체부 하단면에서 외부로 하향 돌출됨으로써 가이드부의 주행레일 상에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그 외에 본 발명의 방폭문에는, 모터로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면서 방폭문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이 구비되나, 이는 당연히 갖추어야 하는 것으로서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주행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방폭문에 내장된 모터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예를 들어, 기중기와 같이 가이드레일에 전력선으로서의 동선(銅線) 설치하고 가이드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가이드롤러를 통하여 모터에 전기를 공급할 수도 있고, 전력선이 자동으로 권취되는 자동권취릴을 방폭문 또는 방폭문 설치 벽체의 일측에 설치하여 방폭문의 주행에 따라 전력선이 자동적으로 해권되거나 권취되도록 할 수도 있는 등 움직이는 모터에 전기를 공급하는 수단 역시 당연한 요소로서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에 본 발명 일실시예 방폭문의 부분 절개 정면도를, 도 2에 측면 구조도를, 도 3에 본 발명 방폭문을 구성하는 일실시예 몸체부의 내부 구조도를, 도 4에 몸체부의 평단면도를, 도 5에 구동부의 부분 결합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동개폐 모드로의 자동전환이 가능한 방폭문은,
서로 전·후 대향하는 판상의 전면부재(11)와 배면부재(12)의 양 측 테두리부에 금속 프레임(13)이 결합되고, 전면부재(11)와 배면부재(12) 사이의 프레임(13) 내측에 보강부재(14)가 결합되며, 전면부재(11)와 배면부재(12) 사이의 내부공간 하단부에 하나 이상의 구동부설치공간(R)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면과 대향하도록 몸체부 아래의 바닥에 설치되는 주행레일(21)과, 몸체부 상단부 인접한 벽체에 수평한 상태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2)과, 몸체부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다수의 가이드롤러(23)로 구성된 가이드부와;
동력전달이 가능토록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모터(31), 감속기(32), 클러치(33) 및 주행롤러(34)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주행레일(21)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주행롤러(34)의 하부가 몸체부의 하단면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몸체부의 구동부설치공간(R)에 설치되는 구동부; 등으로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C"는 동력전달을 위한 연결부재로서의 "체인"이다.
이때 상기 몸체부의 전면부재(11)와 배면부재(12)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할 수도 있으나, 통상의 문과 같이 사각판상의 형상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두 부재(11)(12)의 대향하는 테두리부에 결합되는 프레임(13) 역시 사각틀의 형상을 하는 것 또한 일반적이다.
그리고 구동부설치공간(R)은 몸체부의 다수 곳에 형성되는데, 3곳 이상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방폭문의 강성 유지를 위하여서는 보다 몸체부의 좌·우 양 측 두 곳에 형성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도 있다.
또한 각 구동부설치공간(R)에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후 모터에 의해 주행 가능토록 모터(31), 감속기(32), 클러치(33) 및 주행롤러(34) 모두가 설치될 수도 있으나, 각 구동부설치공간(R)에 구동부 모두를 설치하는 경우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될 수가 있는 바, 일측 구동부설치공간에는 구동부 모두를 설치하되, 타측 구동부설치공간에는 주행롤러(34)만을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경우, 일측 구동부설치공간에 설치되는 주행롤러는 구동롤러가 되고, 타측 구동부설치공간에 단독 설치되는 주행롤러는 아이들롤러(idle roller)가 된다.
그리고 주행롤러만이 설치되는 타측 구동부설치공간의 크기를 일측 구동부설치공간보다 줄일 수 있는 바, 방폭문의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하단 중앙부에서 좌·우로 연장되어 높이에 비하여 길이가 긴 형태로 구동부설치공간 하나만을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모터와 감속기 및 클러치를 중앙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주행롤러를 좌·우로 배치한 후 클러치에 좌·우 주행롤러 모두를 연결할 수도 있는 등 모터, 감속기, 클러치 및 주행롤러는 몸체부의 구동부설치공간에 상기 외의 다양한 구조로 내장될 수도 있다.
또한 방폭문의 과도한 주행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폭문이 더 이상 이동될 수 없도록 하고자 하는 지점의 벽체에 각각 스토퍼(S)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 외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방폭문을 개폐하기 위하여 필요로 되나 당연히 있어야 요소로서 설명이 생략된 제어부 즉, 제어패널에는, 모터와 클러치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을 인위적으로 인가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모터 구동스위치와 클러치 온/오프 스위치가 구비된다.
즉, 모터 구동스위치를 이용하여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함으로써 방폭문을 개폐할 수 있게 되고, 클러치 온/오프 스위치를 이용하여 정전이 아닌 경우에도 방폭문을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클러치 온/오프 스위치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클러치로는 계속 전원이 인가된 상태이기 때문에 정전이 아닌 경우에는 방폭문을 수동으로 개폐할 수 없고 정전 시에만 자동으로 수동개폐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러나 클러치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정전이 아닌 상황 하에서 누구나 방폭문을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할 경우에는 폭발물 등이 도난 또는 분실될 수가 있다.
따라서 제어패널에 대하여 전원이 인가된 상황 하에서는, 모든 사람이 아닌 몇몇 제한된 특정 사람들만이 방폭문을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즉, 상기 클러치 온/오프 스위치를 작동할 수 있도록 지문인식이나 비밀번호의 입력 등과 같은 스위치작동제한수단을 제어패널의 클러치 온/오프 스위치에 구비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클러치로의 전원을 인가/차단하기 위한 클러치 온/오프 스위치 뿐만 아니라, 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기 위한 모터 구동스위치까지도 특정 사람들만이 조작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폭문은, 정전 시 방폭문이 자동적으로 수동개폐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나, 정전이 아닌 상황 하에서는 제한된 몇몇 사람만이 클러치 온/오 프 스위치를 이용하여 방폭문이 수동개폐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비상전원을 구비하고 정전 시 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이 비상전원으로 자동 절환되도록 함으로써, 정전 시는 물론 정전이 아닌 경우 모두, 제한된 사람에 의한 클러치 온/오프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서만 방폭문이 수동개폐 가능한 상태로 자동전환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방폭문은 바닥에 설치되는 주행레일을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주행레일에 몸체부와 구동부의 모든 하중이 집중되며, 가이드레일은 몸체부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만 한다.
따라서 주행레일 위에 적층된 상태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방식을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롤러에도 적용할 수도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롤러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동시에, 대향 내면의 폭(또는 간격)이 가이드롤러의 직경보다 작지 않은 하향 개방형의 가이드레일을 적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가이드롤러의 직경보다 큰 가이드레일 내부에서 몸체부의 유동에 따라 서로 대향하는 가이드레일의 양 내면 중 어느 한 내면에 접촉하면서 회전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 방폭문의 부분 절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 방폭문의 측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 방폭문 몸체부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방폭문을 구성하는 구동부의 부분 결합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전면부재 12. 배면부재
13. 프레임 14. 보강부재
21. 주행레일 22. 가이드레일
23. 가이드롤러 31. 모터
32. 감속기 33. 클러치
34. 주행롤러 C. 체인
R. 구동부설치공간 S. 스토퍼

Claims (4)

  1. 미닫이형 문의 역할을 하는 몸체부와; 몸체부 아래 바닥에 설치된 주행레일과, 몸체부 상단 인접한 벽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몸체부 상단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가이드롤러로 구성된 가이드부와; 구동 모터와, 감속기와, 감속기에 결합되어 주행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주행롤러로 구성된 구동부와;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방폭문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 하단 양 측에 구동부설치공간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양 측 구동부설치공간에는 구동부 및 주행롤러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일측 구동부설치공간에 설치된 구동부의 감속기와 주행롤러는 전 원의 인가/차단 시 전자석의 자력 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두 클러지부재가 밀착치합/분리되는 투스식 전자클러치의 양 측에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개폐 모드로의 자동전환이 가능한 방폭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부에는, 모터 및 클러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모터와 클러치로의 전원을 인위적으로 각각 인가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모터 구동스위치와 클러치 온/오프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개폐 모드로의 자동전환이 가능한 방폭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부에는,
    제한된 사람만이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작동제한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개폐 모드로의 자동전환이 가능한 방폭문.
KR1020070084988A 2007-08-23 2007-08-23 수동개폐 모드로의 자동전환이 가능한 방폭문 KR100894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988A KR100894563B1 (ko) 2007-08-23 2007-08-23 수동개폐 모드로의 자동전환이 가능한 방폭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988A KR100894563B1 (ko) 2007-08-23 2007-08-23 수동개폐 모드로의 자동전환이 가능한 방폭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316A KR20090020316A (ko) 2009-02-26
KR100894563B1 true KR100894563B1 (ko) 2009-04-24

Family

ID=40687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988A KR100894563B1 (ko) 2007-08-23 2007-08-23 수동개폐 모드로의 자동전환이 가능한 방폭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5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3803A (ko) 2022-06-20 2023-12-27 강산엔지니어링(주) 방폭도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203B1 (ko) * 2013-01-23 2014-05-30 김병진 슬라이딩 방폭문의 레일구조
KR102071378B1 (ko) * 2017-09-07 2020-01-30 박대석 도어장치가 구비된 방폭시설
KR101817694B1 (ko) * 2017-10-19 2018-01-11 주식회사 두드림 방폭문 시스템
KR102257504B1 (ko) * 2019-10-31 2021-05-31 (주)서연인테크 수동조작 겸용 선셰이드 구동용 액츄에이터
KR102383441B1 (ko) * 2020-10-07 2022-04-07 주식회사 두드림이엔지 방폭문 시스템
CN112983222A (zh) * 2021-02-07 2021-06-18 刘玉亮 一种防爆式人防门
KR102532980B1 (ko) * 2022-02-12 2023-05-15 석청기 슬라이딩 방폭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389A (ko) * 1996-10-16 1998-07-15 정인창 방호겸용 이동식 출입문장치
KR20000038312A (ko) * 1998-12-05 2000-07-05 윤근재 도어 원격조정시스템 및 도어 개폐 구동장치
KR200196460Y1 (ko) * 2000-04-06 2000-09-15 주식회사대아방호 군용 방폭문
KR200424933Y1 (ko) * 2006-05-03 2006-08-29 최용환 자기부상 슬라이딩도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389A (ko) * 1996-10-16 1998-07-15 정인창 방호겸용 이동식 출입문장치
KR20000038312A (ko) * 1998-12-05 2000-07-05 윤근재 도어 원격조정시스템 및 도어 개폐 구동장치
KR200196460Y1 (ko) * 2000-04-06 2000-09-15 주식회사대아방호 군용 방폭문
KR200424933Y1 (ko) * 2006-05-03 2006-08-29 최용환 자기부상 슬라이딩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3803A (ko) 2022-06-20 2023-12-27 강산엔지니어링(주) 방폭도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316A (ko)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563B1 (ko) 수동개폐 모드로의 자동전환이 가능한 방폭문
CN1839088B (zh) 电梯组件和用于打开电梯门组件的方法
US6732479B2 (en) Movable defensive apparatus
US9127453B2 (en) Drive modules for movable partition systems and components thereof and related methods of installing drive modules
US11242707B2 (en) System for guiding and supporting a leaf of a platform-access door
JP2018035560A (ja) シャッター装置の電源切替方法及びそのシャッター装置
CN103635412B (zh) 升降机系统
CN105741411B (zh) 保险柜自主封闭、防撬的防护机构
CN101067361B (zh) 用于滑动门的板导轨和冲击分离系统
EP0881349A2 (en) Vertical roller door
KR200425980Y1 (ko) 스크린 방화셔터의 롤러구동장치
CN1218441A (zh) 提升机包容结构
KR102334716B1 (ko) 차열 강화 방화셔터
CN1331721C (zh) 电梯乘厅门的遮烟装置
US20210123285A1 (en) Swing door operator
KR910002591B1 (ko) 시이트셔터를 말아넣는 승강장치
KR20220028625A (ko) 안전성이 향상된 방폭도어
KR20220143128A (ko) 중력 및 부력 엔진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970004548Y1 (ko) 방화 및 방범용 셔터
BE1016196A6 (nl) Brandwerende poort.
RU71550U1 (ru) Штора противодымовая огнестойкая
CN105464567A (zh) 加强式防火卷帘门
KR102556541B1 (ko) 천장 매립형 방화문
CN113788388B (zh) 一种单井道多台电梯可同时运行的多用途电梯系统
WO2019058016A1 (en) CLOSURE ARRANGEMENT FOR ELEVATOR PALLET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