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3033A - 자동 방폭문 - Google Patents

자동 방폭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3033A
KR20160023033A KR1020140108697A KR20140108697A KR20160023033A KR 20160023033 A KR20160023033 A KR 20160023033A KR 1020140108697 A KR1020140108697 A KR 1020140108697A KR 20140108697 A KR20140108697 A KR 20140108697A KR 20160023033 A KR20160023033 A KR 20160023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frame
fixed
explo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9269B1 (ko
Inventor
예종락
Original Assignee
예종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종락 filed Critical 예종락
Priority to KR1020140108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269B1/ko
Publication of KR20160023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2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air pressure, explosion, or g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방폭문(90)은, 벽면(W)에 지지되도록 구성된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좌우 측방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도어(200)와,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200)를 좌우 측방으로 이송시키는 구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다양한 치수의 시설물에 적용이 가능하고, 바닥에 레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출입구(G)를 통과하는 폭발물에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므로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으며, 고중량의 도어(200)을 개폐하는 데 모터(340)를 사용하므로 작업자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출입구(G)를 열고 닫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방폭문 {Automatic explosion-proof door}
본 발명은 자동 방폭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자동으로 출입구를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벽면에 지지되어 이송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방폭문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배경기술로서 방폭문이 레일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배경기술로서 방폭문이 레일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군부대에서 탄약 내지는 포탄, 미사일 등의 폭발물을 보관하는 탄약고와 석유 화학 관련 플랜트 또는 각종 산업 생산 시설에서 사고로 인한 폭발 및 시설 붕괴로 인한 폭발로부터 인명을 보호하고 중요 시설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서 폭발을 차단하는 방폭문(1)이 사용된다.
상기 방폭문(1)은 판상의 도어(50)가 구성되고, 상기 도어(50)를 가이드 하도록 천정(T)에 장착된 상부 레일(30)이 구성되며, 상기 도어(50)의 하부를 지지하여 안내하도록 바닥(B)에 구성된 하부 레일(40)이 구성된다.
상기 상부 레일(30)은 도어(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서 양측에 나란하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도어(50)는 상단에 측방으로 회전하는 롤러(10)가 장착된 것으로서 양측의 상부 레일(30) 사이에 수용되어 구성된다.
상기 도어(50)는 하부에 캐스터(20)가 장착되어 하부 레일(40)에 지지되어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방폭문(1)은 작업자가 인력으로 도어(50)를 열고 닫을 경우, 캐스터(20) 및 롤러(10)는 각각 하부 레일(40)과 상부 레일(30)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도어(50)의 이송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방폭문(1)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천정(T)에 상부 레일(30)을 장착한 후 상기 상부 레일(30)에 지지되는 구조로 인해서 단일 치수의 도어(50)로서 모든 시설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시설마다 천정(T)의 높이가 상이하므로 각 천정(T)의 높이에 따라 별도의 치수로 도어(50)를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둘째, 상기 하부 레일(40)에 의해서 바닥(B)이 울퉁불퉁하게 되어 포탄이나 미사일 등을 카터에 적재하여 하부 레일(40)을 통과할 때에 진동이 발생하게 되어 폭발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본래 방폭문(1)은 폭발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5 ton 정도의 금속판으로 구성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인력으로 개폐하기에는 큰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1402203호 (2014년 05월 26일)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방폭문은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 폭발물을 수용하는 모든 시설물의 출입구에 적용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각 시설물의 치수대로 별도의 도어를 제작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고자 한다.
둘째, 벽면에 지지된 브래킷에 장착된 프레임에 레일을 장착하므로 바닥에 레일을 설치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폭발물을 적재한 카터가 출입구를 통과할 때 폭발물에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셋째, 고중량의 방폭문을 개폐하는 데 모터를 사용하므로 작업자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출입구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방폭문은, 벽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좌우 측방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도어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를 좌우 측방으로 이송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ㄱ형이 되도록 상호 조합된 상판 및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측판의 전면(前面)에 고정되어 측방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레일과, 상기 레일에 장착되어 측방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가이드블록에 고정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도어에 고정되어 측방으로 길게 배치되어 구성된 랙(rack)과, 상기 랙에 치합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에 고정되고 상기 상판에 지지되어 구성된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상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과 상기 상판을 이어주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볼트 및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래킷은 벽면에 삽입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전방 종단에 연결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전면에 연결된 I형강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는 상기 I형강과 상기 상판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랙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에 고정되어 구성된 이송판과, 상기 이송판에 장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어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커버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방폭문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천정에 레일이 장착되지 않고 벽면에 지지된 프레임에 레일이 고정되므로 도어의 높이를 낮출 수 있고, 연결수단에 의해서 도어의 높이를 조정하여 바닥과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치수의 출입구에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바닥에 레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출입구를 통과하는 폭발물에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므로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고중량의 방폭문을 개폐하는 데 모터를 사용하므로 작업자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출입구를 열고 닫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로서 방폭문이 레일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배경기술로서 방폭문이 레일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방폭문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방폭문으로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방폭문으로서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에서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C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커버를 추가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방폭문으로서 도어가 일측에만 구성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방폭문으로서 도어가 양측에 구성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구성과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방폭문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방폭문으로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방폭문으로서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에서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C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커버를 추가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방폭문으로서 도어가 일측에만 구성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방폭문으로서 도어가 양측에 구성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방폭문은 격납고에 수납되는 폭발물(탄약, 포탄, 미사일 가연성 화학물질, 가스 등)이 사고로 인해서 폭발할 때 발생하는 화염과 팽창력으로부터 인명과 시설물을 보호할 목적으로 격납고의 출입구(G)에 장착하는 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폭문이 모터(340)의 힘에 의해서 자동으로 개폐가 가능하고 천정의 높이에 상관없이 설치가 가능하고 다양한 크기의 출입구(G)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며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도 3 및 도 4에서처럼, 격납고의 출입구(G)에서 상부의 벽면(W)에 지지되도록 구성된 프레임(100)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00)에 좌우 측방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출입구(G)를 개폐하는 판상의 도어(2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200)를 좌우 측방으로 이송시키는 구동부(300)가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의 구성을 도 3, 도 6, 도 7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프레임(100)은 ㄱ형이 되도록 상호 연결된 상판(120) 및 측판(130)이 구성된 것으로서 상판(120)이 전방으로 돌출되고 측판(130)이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판(120)의 상부에 브래킷(110)이 배치되고, 브래킷(110)과 상판(120)을 이어주는 연결수단(400)이 구성된다.
상기 브래킷(110)은 벽면(W)에 삽입되는 지지축(111)이 구성되고, 지지축(111)의 전방 종단에 연결된 지지판(113)이 구성된다. 또한, 지지판(113)의 전면에 연결된 I형강(115)이 구성된다.
상기 브래킷(110)은 용접으로 부착하여 구성하는데 상기 지지축(111)은 I형강(115)을 구성하는 플레이트(P, Q, R)의 두께보다 직경이 클 때 견고한 용접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판(113)을 통해서 지지축(111)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113)은 벽면(W)에 삽입되어 구성되도록 하므로 더욱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다. 상기 I형강(115)은 3장의 플레이트(P, Q, R)가 I형이 되도록 연결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I형강(115)이 상하부의 플레이트(P, R)가 상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연결수단(400)은 일례로 볼트(410) 및 너트(420)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판(120)과 I형강(115)에서 하부의 플레이트(R)에 상기 볼트(410)가 끼워지는 볼트홀(K, L)이 구성된다. 상기 볼트(410)에 너트(420)가 체결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너트(420)는 플레이트(R)의 하면과 상기 상판(120)의 상하면에 배치되어 밀착되므로 상판(120)이 상하방으로 요동하면서 발생하는 진동을 방지하여 도어(200)가 이동할 때 정숙한 운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판(120)이 상하방으로 이송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브래킷(110)에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300)의 구성을 도 3, 도 6, 도 7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측판(130)의 전면(前面)에 고정되어 측방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레일(310)이 구성되고, 상기 레일(310)에 장착되어 측방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200)가 고정되는 가이드블록(32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200)에 고정되어 측방으로 길게 배치되어 구성된 랙(350, rack)이 구성되는데, 도어(200)의 상단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랙(350)에 치합되는 피니언(330)이 구성되며, 상기 피니언(330)에 고정되고 상기 상판(120)에 지지된 모터(340)가 구성된다. 상기 모터(340)는 스텝모터로 구성하는데 회전축이 상판(120)을 관통하고 상기 회전축에 피니언(330)이 고정되어 구성된다. 모터(340)는 볼트에 의해서 상판(120)에 고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도어(200)의 구성을 도 3, 도 6, 도 7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어(200)는 랙(350)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320)에 고정되어 구성된 이송판(210)이 구성된다. 랙(350)은 이송판(210)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이송판(210)에 장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어 출입구(G)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커버판(220)이 구성되는데, 이송판(210)의 후면에 고정하므로 벽면(W)과 커버판(220)을 근접시킬 수 있으므로 폭발 사고 시, 벽면(W)과 커버판(220) 사이 기밀성이 우수하도록 한다. 따라서, 폭발력이 외부로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도 8에서처럼, 상기 브래킷(110)과 이송판(210)을 가리는 덮개(50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덮개(500)는 판재를 절곡하여 ㄷ형으로 성형한 것으로서, 브래킷(110)에 힌지 연결되도록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서처럼, 상판(120)에서 도어(200)가 닫히는 지점 과 개방 지점 이전에 도어(200)를 감지하는 센서(600, 700)가 장착되고, 상기 센서(600, 700)에 연계된 제어부를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는 모터(340)에 접속되어 센서(600, 700)의 신호를 받고 모터(340)의 속도를 감속시켜서 도어(200)가 서서히 닫히거나 열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센서(600, 700)는 일례로서 적외선 센서나 도어(200)에 의해서 접촉되므로 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 9에서처럼, 단일 세트로 구성되어 하나의 도어(200)로 출입구(G)를 개폐할 수도 있고, 도 10에서처럼, 양측으로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양측의 도어(200)로 출입구(G)를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방폭문(90)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 내지 도 8에서처럼, 상기 브래킷(110)의 지지축(111)이 벽면(W) 내부에 인서트 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수단(400)인 볼트(410)와 너트(420)를 조정하여 도어(20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천정에 레일이 장착되지 않고 벽면(W)에 지지된 프레임(100)에 레일(310)이 고정되므로 도어(200)의 높이를 낮출 수 있고, 연결수단(400)에 의해서 도어(200)의 높이를 조정하여 바닥과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치수의 출입구(G)에 적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바닥에 레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출입구(G)를 통과하는 폭발물에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므로 안전성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이 상태에서 모터(340)를 정역 방향으로 구동하므로 도어(200)의 개폐가 가능하다. 이때, 도어(200)가 닫칠 때 상기 센서(600)가 도어(200)를 감지하게 되면 완전히 닫치기 이전에 모터(340)를 감속시켜서 도어(200)가 서서히 닫치도록 하고, 반대로 열릴 때에는 상기 센서(600)의 맞은 편에 있는 센서(700)가 도어(200)를 감지하므로 완전히 열리기 이전에 서서히 열리도록 한다. 이렇게 작동하므로 출입구(G)의 좌우측에 배치되어 도어(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와의 충격을 감소시켜서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작업자의 인력에 의하지 않고 모터(340)의 구동에 의해서 작동하므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개폐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90: 자동 방폭문 100: 프레임
110: 브래킷 111: 지지축
113: 지지판 115: I형강
120: 상판 130: 측판
200: 도어 210: 이송판
220: 커버판 300: 구동부
310: 레일 320: 가이드 블록
330: 피니언 340: 모터
350: 랙 400: 연결수단
410: 볼트 420: 너트
500: 덮개 600, 700: 센서

Claims (7)

  1. 벽면(W)에 지지되도록 구성된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좌우 측방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도어(200)와,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200)를 좌우 측방으로 이송시키는 구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방폭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ㄱ형이 되도록 상호 조합된 상판(120) 및 측판(130)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측판(130)의 전면(前面)에 고정되어 측방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레일(310)과,
    상기 레일(310)에 장착되어 측방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블록(320)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200)는 상기 가이드블록(320)에 고정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방폭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도어(200)에 고정되어 측방으로 길게 배치되어 구성된 랙(350, rack)과,
    상기 랙(350)에 치합되는 피니언(330)과,
    상기 피니언(330)에 고정되고 상기 상판(120)에 지지되어 구성된 모터(3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방폭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상판(120)의 상부에 배치되는 브래킷(110)과,
    상기 브래킷(110)과 상기 상판(120)을 이어주는 연결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방폭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400)은 볼트(410) 및 너트(4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방폭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10)은 벽면(W)에 삽입되는 지지축(111)과,
    상기 지지축(111)의 전방 종단에 연결된 지지판(113)과,
    상기 지지판(113)의 전면에 연결된 I형강(115)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410)는 상기 I형강(115)과 상기 상판(120)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방폭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200)는 상기 랙(350)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320)에 고정되어 구성된 이송판(210)과,
    상기 이송판(210)에 장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어 출입구(G)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커버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방폭문.
KR1020140108697A 2014-08-21 2014-08-21 자동 방폭문 KR101689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697A KR101689269B1 (ko) 2014-08-21 2014-08-21 자동 방폭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697A KR101689269B1 (ko) 2014-08-21 2014-08-21 자동 방폭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033A true KR20160023033A (ko) 2016-03-03
KR101689269B1 KR101689269B1 (ko) 2016-12-23

Family

ID=55535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697A KR101689269B1 (ko) 2014-08-21 2014-08-21 자동 방폭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26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3222A (zh) * 2021-02-07 2021-06-18 刘玉亮 一种防爆式人防门
RU208703U1 (ru) * 2021-11-09 2021-12-30 Виталий Геннадьевич Ружинский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легкосбрасываемой ограждающей строите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2383441B1 (ko) * 2020-10-07 2022-04-07 주식회사 두드림이엔지 방폭문 시스템
KR102484244B1 (ko) * 2022-03-23 2023-01-04 에스에이치도어텍주식회사 다방향 이동식 방폭문
KR102532980B1 (ko) * 2022-02-12 2023-05-15 석청기 슬라이딩 방폭문
KR102660709B1 (ko) * 2023-02-23 2024-04-25 에스에이치도어텍주식회사 슬라이딩 방폭문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4497B (zh) * 2018-07-10 2020-04-28 江苏拓华人防工程有限公司 一种防护密闭门系统
KR20200088046A (ko) 2019-01-14 2020-07-22 최삼성 방호문의 잠금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0336A (ja) * 1998-03-30 1999-10-12 Infunikkusu:Kk 引戸式ドアの自動開閉装置
KR200196460Y1 (ko) * 2000-04-06 2000-09-15 주식회사대아방호 군용 방폭문
KR100835989B1 (ko) * 2007-12-11 2008-06-09 송현기공 주식회사 출입문 자동개폐장치
KR20100040086A (ko) * 2008-10-09 2010-04-19 (주)삼성판넬플랜트 자동 및 수동 슬라이딩 도어 레일 구조
KR101402203B1 (ko) 2013-01-23 2014-05-30 김병진 슬라이딩 방폭문의 레일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0336A (ja) * 1998-03-30 1999-10-12 Infunikkusu:Kk 引戸式ドアの自動開閉装置
KR200196460Y1 (ko) * 2000-04-06 2000-09-15 주식회사대아방호 군용 방폭문
KR100835989B1 (ko) * 2007-12-11 2008-06-09 송현기공 주식회사 출입문 자동개폐장치
KR20100040086A (ko) * 2008-10-09 2010-04-19 (주)삼성판넬플랜트 자동 및 수동 슬라이딩 도어 레일 구조
KR101402203B1 (ko) 2013-01-23 2014-05-30 김병진 슬라이딩 방폭문의 레일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441B1 (ko) * 2020-10-07 2022-04-07 주식회사 두드림이엔지 방폭문 시스템
CN112983222A (zh) * 2021-02-07 2021-06-18 刘玉亮 一种防爆式人防门
RU208703U1 (ru) * 2021-11-09 2021-12-30 Виталий Геннадьевич Ружинский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легкосбрасываемой ограждающей строите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2532980B1 (ko) * 2022-02-12 2023-05-15 석청기 슬라이딩 방폭문
KR102484244B1 (ko) * 2022-03-23 2023-01-04 에스에이치도어텍주식회사 다방향 이동식 방폭문
KR102660709B1 (ko) * 2023-02-23 2024-04-25 에스에이치도어텍주식회사 슬라이딩 방폭문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269B1 (ko) 2016-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9269B1 (ko) 자동 방폭문
US9212028B2 (en) Obstruction sensor system and method for elevator entry and exit
US4369717A (en) Disappearing underground safe
US11365090B2 (en) Elevator device
EP3126278B1 (en) Removable car operating panel
CN101475118A (zh) 一种矿用防爆曳引电梯
WO20160334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fuge passageways
US11193314B2 (en) Emergency escape apparatus for a building
JP6431335B2 (ja) 機械式駐車場装置
JP2014012585A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乗り込み位置検出装置
KR101704875B1 (ko)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
JP6548489B2 (ja) 機械式駐車装置
US7789006B2 (en) Perforating gun loading bay, table and method
JP6543036B2 (ja) 防爆構造
KR101903646B1 (ko)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
JP2017088285A (ja) 乗場ドア、乗場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
CN110329693B (zh) 一种电池安全储存系统
GB2463932A (en) Vehicle lift safety enclosure
JP7356538B1 (ja) 立体駐車装置
CN212274772U (zh) 一种置物仓及排爆设备
RU2640225C1 (ru)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безопасности взрывоопасных объектов
KR102200587B1 (ko) 방탄초소
US20230312307A1 (en) Construction arrangement of an elevator
RU200066U1 (ru) Взрывозащитный блок-контейнер
CN209427901U (zh) 一种电梯安全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