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875B1 -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875B1
KR101704875B1 KR1020140107880A KR20140107880A KR101704875B1 KR 101704875 B1 KR101704875 B1 KR 101704875B1 KR 1020140107880 A KR1020140107880 A KR 1020140107880A KR 20140107880 A KR20140107880 A KR 20140107880A KR 101704875 B1 KR101704875 B1 KR 101704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door
cargo
bracket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2135A (ko
Inventor
김성윤
윤정인
김정환
Original Assignee
오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수 filed Critical 오정수
Priority to KR1020140107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875B1/ko
Publication of KR20160022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Landscapes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와 브릿지가 일체화된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전후방 회전이 가능한 도어부를 갖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도어부를 연결하는 결합부와 상기 도어부의 회전을 통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부에 구비된 브릿지가 전방으로 회동시 승강장 바닥과 상기 몸체부가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ELEVATOR FOR ENGINEERING PLANT USING MULTISTAGE WATER TIGHT DOOR}
본 발명은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와 브릿지가 일체화된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동력을 사용하여 화물을 원하는 층까지 편리하게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중량이 큰 화물들을 싣는다. 즉,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가 승강장에 도착시, 사용자는 지게차를 이용해 중량이 큰 화물을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 내에 실을 수 있다.
그러나,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가 승강장에 도착시,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승강장 상면은 수평일 일치되지 않고 턱이 발생되어 지게차를 이용한 운송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럴 경우 엘리베이터 케이지 앞 승강장에 화물을 내린 후, 사람이 화물을 엘리베이터 케이지 안으로 옮겨야 했다. 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승강장 상면 위에 브릿지를 설치한 뒤 지게차를 이동시켜야 했다. 이 경우 종래의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승강장 상면 위에 매번 브릿지를 설치하고 해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화물의 중량에 따라, 지게차를 이용해서 화물을 엘리베이터 케이지 안으로 운반하게 될 경우가 있다. 이 때, 지게차가 화물을 싣고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 안으로 이동함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하중 제한을 초과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산업재해의 위험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한편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에 일반적인 다단 도어가 적영된 경우에는 각 도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을 설치해야 하며, 장기간 다단 수밀 도어를 사용하는 경우 도어 처짐과 레일이 휘는 등의 장치 고장이 발생했다.
또한, 다단 도어는 엔지니어링 플랜트에서 사용하는 화물의 다양한 종류에 따라서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의 크기를 모두 다르게 제작해야만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화물의 크기와 상관없이 항상 전면 개방이 되는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신속하게 화물을 싣는데 방해가 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화물의 운송과정에 있어서 화물 적재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도어와 브릿지가 일체화된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된 전후방 회전이 가능한 도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도어부를 연결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화물용 엘리베이터로서, 상기 도어부에 구비된 브릿지가 전방으로 회동시 승강장 바닥과 상기 몸체부가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브릿지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되며, 상기 도어부의 회전을 통제하는 제어부, 및 상기 브릿지를 개별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 록킹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 전방 상단에 구비된 제 1 브래킷, 상기 제 1 브래킷 하부에 구비된 제 2 브래킷, 상기 브릿지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브래킷과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브릿지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제 1브래킷과 연결되는 힌지, 및 상기 브릿지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브래킷과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브릿지 상면에서 압력을 감지하는 압전 센서, 및 상기 화물용 엘리베이터가 층간 이동을 하기 전에 상기 브릿지가 완전히 폐쇄되었는지 확인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엘리베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록킹 장치는, 수동식 개폐 장치 또는 전자 장치를 활용한 자동 개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상면에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하면에 리브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브릿지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지지부재 및 상기 제 1지지부재를 수직으로 교차하는 제 2 지지부재를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지게차가 몸체부와 승강장 상면 사이에 생기는 턱에 상관 없이 화물을 몸체부 내부로 운송할 수 있다. 즉,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몸체부와 승강장 상면 사이에 수평이 맞지 않아서 턱이 생기더라도 브릿지 형태의 도어 개방으로 지게차는 화물을 손쉽게 운송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지게차는 화물을 싣고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브릿지 위에서 작업을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하중 제한을 초과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화물의 크기에 따라 편리하게 화물 적재가 가능하다. 즉, 화물의 크기를 고려하여 독립적으로 분할되어 있는 도어 겸 브릿지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 작은 화물의 경우 도어 전체를 개방하지 않고 화물을 운송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브릿지 상면에는 돌기를 마련하여 지게차가 브릿지 위로 올라갈 때 바퀴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부에는 수밀 구성이 포함되어 물이 엘리베이터 내부로 침투하거나 엘리베이터 내부의 위험한 물질이 외부로 새어 나오는 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에는 방폭 구성이 포함 되어 안전하다. 일례로, 석유 화학, 가스 정유관련 및 저장소, 반도체 공정, 터널 공사 등의 경우에는 가연성 가스 및 분진 등 수 많은 위험 물질을 여러 공정에서 고온 고압으로 취급함으로써 폭발로 인한 화재나 가스 중독 등의 위험이 있다. 특히, 폭탄 혹은 미사일 등과 같은 군수물자를 싣고 운항하는 선박 등에는 방폭이 가능한 특수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폭발 가능성이 있는 화물을 운송하는 장소에서는 방폭 구성이 있는 특수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부와 승강장 사이에 있는 틈을 브릿지가 막아줌으로써 화물 운송 중에 몸체부와 승강장 사이에 있는 틈으로 화물이 유실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본 발명에 따르면, 브릿지 하면에 마련된 리브는 브릿지 상면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보조함으로 지게차가 브릿지 위에서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게 한다.
아홉째,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부는 도어 개방을 위한 별도의 이동 안내부가 필요하지 않으며, 도어부는 개방시 브릿지가 되므로 도어 수용 공간을 만들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면에서 바라본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면에서 바라본 도어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면에서 바라본 결합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면에서 바라본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면에서 바라본 도어부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면에서 바라본 결합부의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몸체부(1000)와 결합부(1100) 그리고, 도어부(13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00)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으며, 도어부(1300)는 전후방 회전이 가능하다.
결합부(1100)는 몸체부(1000)와 도어부(1300)를 연결하며, 제어부는 도어부(1300)의 회전을 통제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될 내용에서의 전방은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승강장(1400) 방향을 지칭하고, 후방은 몸체부(1000) 방향을 지칭한다.
몸체부(1000)의 바닥면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0)는 적재되는 화물의 중량을 고려하여 충분하게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한다.
그리고,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케이지는 상면이 구비되지 않고 개방 되어 있으며, 도어부(1300)를 정면으로 하였을 때, 몸체부(1000)의 양쪽 측면 벽체 위에 손잡이(1050)가 마련될 수 있다.
하지만,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형태는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현장 상황에 따라서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일치하게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상면이 개방되지 않은 사각형 박스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제1브래킷(1120)은 화물을 적재하는 몸체부(1000)의 전방 상단에 마련되며, 제 2 브래킷(1140)은 제 1 브래킷(1120)의 하단에 마련된다.
몸체부(1000)의 전방에 구비된 제 1브래킷(1120)과 제 2브래킷(1140)은 몸체부(10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해서 마련된다.
도어부(1300)는 몸체부(1000)의 벽면 중 승강장(1400) 방향의 일측면에 마련된다.
하지만, 도어부(1300)의 배치는 단지 몸체부(1000) 벽면의 일측면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승강장(1400)이 다수일 경우에는, 승강장(1400)이 있는 방향의 벽체에 선택적으로 도어부(1300)를 마련할 수 있다. 즉, 한 개 이상의 도어부(1300)를 몸체부(1000)벽면에 마련할 수 있다.
전후방 회전이 가능한 도어부(1300)는 리브(1350)와 브릿지(138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부(1300)는 전방으로 회동시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승강장(1400) 방향으로 개방된다.
반면에, 도어부(1300)는 후방으로 회동시 몸체부(1000)의 방향으로 폐쇄된다.
브릿지(1380)는 회동시 일정한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계치를 정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브릿지(1380)는 후방으로 회동시 몸체부(1000)의 상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세워지고, 전방으로 회동시 브릿지(1380)는 승강장(1400) 상면과 충분히 접할 수 있도록 하강한다. 즉, 브릿지(1380)는 후방으로 회동시 브릿지(1380)와 몸체부(1000)가 수직을 이루도록 세워지면서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된다.
그러나, 브릿지(1380)의 회전 각도는 현장 상황에 따라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일례로, 브릿지(1380)가 후방으로 회동시 몸체부(1000)의 상면과 접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경우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몸체부(1000)와 승강장(1400) 상면 사이의 턱이 크게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그 정도를 고려하여 브릿지(1380)가 전방으로 회동할 때의 한계치를 정할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몸체부(1000)와 수직이 되게 하강시킬 수 있다. 즉, 몸체부(1000)의 일 측면과 브릿지(1380)가 평행하도록 회전의 한계를 정할 수 있다.
도어부(1300)에 구비된 브릿지(1380)는 전방으로 회동시 승강장(1400) 상면과 몸체부(1000)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브릿지(1380)는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몸체부(1000)와 승강장(1400) 상면 사이에 생기는 턱에 상관 없이 화물을 몸체부(1000)로 운송하게 도와준다. 즉, 몸체부(1000)의 상면과 승강장(1400) 상면 사이에 수평이 맞지 않아서 턱이 생길 경우 브릿지(1380)를 개방시키면 지게차가 브릿지(1380)를 통하여 화물을 손쉽게 운송할 수 있다.
또한,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도어는 브릿지(1380)와 일체화 됨에 따라 종래의 별도로 구비되는 브릿지를 수시로 설치 및 해체 해야되는 불편함을 없앴다.
그리고, 지게차가 브릿지(1380)를 이용할 경우 지게차는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몸체부(1000) 안으로 들어가지 않아도 작업이 가능하므로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하중 제한을 초과하는 문제를 막을 수 있다.
브릿지(1380)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되며, 각각의 브릿지(1380)가 독립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브릿지(1380)의 선택적 개폐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제어부는 록킹 장치(미도시)를 포함하며, 브릿지(1380)를 개별적으로 잠그고 해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록킹 장치는 인터록(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록은 안전강도 및 연속 사용에 적합한 내구성, 내식성, 안전성을 가지도록 해상용에 적합한 양질의 재질을 사용하고, 양질의 재질에는 합금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인터록 스위치의 재료는 절연을 위해 절연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절연재에는 에폭시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는 록킹 장치를 통해서 도어부(1300)의 회전을 제어하며, 록킹 장치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브릿지(1380)가 록킹장치 해제와 동시에 전방으로 회동하여 급속히 개방될 경우 승강장(1400)에 서있던 사람이 다치거나 기계장치에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브릿지(1380)가 록킹장치를 해제함과 동시에 전방으로 급속히 개방되어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브릿지(1380)가 천천히 열릴 수 있게 조절 할 수 있다. 또한, 경고음이나 경고등을 설치하여 사람들에게 브릿지(1380)가 개방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려줄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가 폐쇄 명령을 내려 브릿지(1380)를 후방으로 회전시키려고 할 경우, 브릿지(1380) 상면에 사람이나 화물 또는 기계 등이 있으면 안전상의 문제 또는 기계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브릿지(1380)에 압전 센서(미도시)를 마련하여 브릿지(1380) 상면에서 압력이 느껴지는 경우 브릿지(1380)가 후방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경고음이나 경고등을 통하여 사람들에게 브릿지(1380)가 폐쇄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브릿지(1380)가 올바로 폐쇄될시 신호음을 통해 알려줄 수도 있다.
또한, 슬라이드식 도어와는 달리 전후방으로 개폐되는 도어의 경우 브릿지(1380)가 몸체부(1000)와 수직으로 세워져 완전히 폐쇄되지 않으면 층간 이동을 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가 층간 이동을 하기 전에 브릿지(1380)가 완전히 폐쇄되었는지 확인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브릿지(1380)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신호음을 마련할 수도 있다.
앞서 제시한 감지 수단은 형태에 따른 제한이 없으며, 종류나 설치 위치에도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한, 작업자가 브릿지(1380)를 전방으로 회동시킬 경우 사람들은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어야 하는지 안전 거리를 알 수 있어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브릿지(1380)와 승강장(1400) 상면에 접하는 경계부분은 승강장(1400) 바닥의 색과 구별 되는 색으로 칠해놓을 수 있다. 일례로, 승강장(1400) 바닥의 색이 녹색일 경우 브릿지(1380)와 승강장(1400) 상면이 접하는 경계를 노란색으로 칠해 놓는다면, 사람들은 브릿지(1380)가 전방으로 회동시 안전거리를 쉽게 확보할 수 있다.
리브(1350)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릿지(1380) 하면에 마련된다.
리브(1350)는 제 1 지지부재(1354)와 제2 지지부재(1356)를 포함한다.
제 1 지지부재(1354)는 브릿지(1380)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356)는 제 1 지지부재(1354)와 수직으로 교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 2 지지부재(1356)의 개수는 제 1 지지부재(1354)에 비례하여 배치할 수 있다.
제 2 지지부재(1356)는 제 1 지지부재(1354)들을 일체화 시켜줌으로써 브릿지(1380)에 가해지는 하중을 리브(1350)에 균등하게 분산되게 한다.
위에서 제시한 리브(1350)의 형태는 브릿지(1380)가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위한 한 실시예일뿐, 리브(1350)는 브릿지(1380)가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리브(1350)는 트러스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엑스자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어부(1300)는 브릿지(1380)가 선택적으로 개폐 될 수 있도록 4개로 분할 되어 있으며, 중앙에 배치된 2개의 브릿지(1380)는 양 옆에 배치된 브릿지(1380)보다 더 넓게 마련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 사용자는 화물의 크기에 따라 편리하고 신속하게 몸체부(1000)에 화물을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화물의 크기에 따라서 중앙에 위치한 2개의 브릿지(1380)만을 개방하거나 양 옆에 있는 브릿지(1380)를 같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선택적인 개폐는 브릿지(1380)전체를 개방하지 않아도 되어 편리하다.
브릿지(1380)의 분할 개수가 4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한 실시 예일뿐, 엘리베이터의 규모와 현장 상항을 고려하여 브릿지(1380)가 분할되는 개수는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즉, 브릿지(1380)의 분할 개수가 2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한 경우는 모두 실시예에 포함 된다. 일례로, 중앙에 있는 브릿지(1380)가 양 옆에 배치된 브릿지(1380)보다 넓도록 3개의 브릿지(1380)로 구성된 도어부(1300)를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브릿지(1380)의 형태에 있어서, 중앙에 배치된 브릿지(1380)가 양 옆에 배치된 브릿지(1380)보다 넓은 것은 한 실시 예일뿐, 현장의 편의에 따라서 브릿지(1380)의 형태는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모든 브릿지(1380)가 동일한 크기로 구성이 될 수 있으며, 브릿지(1380) 각각의 크기가 모두 다를 수도 있다.
도어부(1300)의 소재는 지게차와 화물의 하중을 고려하여 브릿지(1380)에 가해지는 하중을 안전하게 견딜 수 있고 쉽게 휘거나 변형이 되지 않는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브릿지(1380)의 상면에는 돌기(1385)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돌기(1385)는 지게차가 브릿지(1380)를 이용할 때 미끄러지지 않게 한다.
돌기(1385)는 표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한 실시예일뿐, 표면을 거칠게 하는 방법이나 일부 침강을 형성하는 방법 또는, 일부는 침강하고 일부는 돌기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1100)는 몸체부(1000) 전방 상단에 구비된 제 1 브래킷(1120)과 제 1브래킷(1120) 하단에 구비된 제 2 브래킷(1140)을 포함한다.
또한, 결합부(1100)는 브릿지(1380) 하면에 구비되어 제 1브래킷(1120)과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힌지(1160)를 포함하며, 브릿지(1380) 하면에 구비되어 제 2 브래킷(1140)과 연결되는 실린더(1180) 및 제 1 브래킷(1120)과 힌지(116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110)를 포함하고 있다.
제 1브래킷(1120)과 제 2브래킷(1140)은 몸체부(10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하여 배치된다. 이 때, 제 2 브래킷(1140)은 2개의 제 1 브래킷(1120)의 중간부 하단마다 연속하여 배치된다.
힌지(1160)는 일정한 간격으로 제 1브래킷(1120)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브래킷(1120)과 동일한 개수로 연속하여 배치된다.
실린더(1180)는 일정한 간격으로 제 2 브래킷(1140)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 2 브래킷(1140)과 동일한 개수로 연속하여 배치된다.
실린더(1180)는 제 2 브래킷(1140)과 결합된다.
실린더(1180)는 브릿지(1380)가 전방으로 회동하여 승강장(1400) 상면에 접촉할 경우 압축이 되며, 브릿지(1380)가 후방으로 회동시 실린더(1180)는 신장된다.
실린더(1180)에는 유압식 실린더, 수동식 액츄에이터, 탄성체가 포함 될 수 있다.
연결부재(1110)는 일단은 제 1 브래킷(1120)과 결합되고 타단은 힌지(1160)와 결합된다. 이 때, 연결부재(1110)는 제 1 브래킷(1120)과 고정 되도록 결합이 되고, 힌지(116)와는 도어부(1300)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결합부(1100)는 몸체부(1000)와 도어부(1300)를 연결하고, 도어부(130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결합부(1100)의 기계적 구성은 다양하게 구성 될 수 있다. 일례로, 몸체부(1000)와 도어부(1300)의 연결을 강화하기 위해 결합부(1100)에 브래킷을 더 추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수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해양플랜트 산업의 경우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 내의 화물을 보호하기 위해 수밀성 재료를 사용하여 수밀 구성을 갖춘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를 만들 수 있다.
또한, 특수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방폭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석유 화학, 가스 정유관련 및 저장소, 반도체 공정, 터널 공사 등의 경우에는 가연성 가스 및 분진 등 수 많은 위험 물질로 위험하다. 특히, 폭탄 혹은 미사일 등과 같은 군수물자를 싣고 운항하는 선박 등에는 방폭이 가능한 특수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폭발 위험이 있는 화물을 운송하게 되는 장소에서는 방폭 구성을 포함한 엘리베이터로 안전성을 높여줄 수도 있다.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작동 상태를 간략하게 정리하면, 먼저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가 도착하면 사용자는 화물의 규모에 따라서 록킹장치를 선택적으로 해제하여, 브릿지(1380)를 개방한다. 이 때, 브릿지(1380)는 몸체부(1000)와 도어부(1300)를 연결해주는 결합부(1100)를 통해서 전방으로 회동하여 개방된다. 다음으로, 개방된 브릿지(1380)가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 승강장(1400)에 닿으면 사용자는 지게차와 브릿지(1380)를 이용하여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몸체부(1000)에 화물을 싣는다. 이 때, 제1 지지부재(1354)와 제 2지지부재(1356)로 이루어진 리브(1350)가 브릿지(1380)를 지지해준다. 또한, 브릿지(1380) 상면에 마련된 돌기(1385)는 지게차의 바퀴가 미끄러지지 않게 한다. 끝으로 사용자가 몸체부(1000)에 화물을 다 싣고 나면, 사용자는 브릿지(1380)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닫고 제어부를 통해 록킹을 한다. 이 때, 브릿지(1380)에 마련된 감지수단이 브릿지(1380)의 상면에 물체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안전하게 록킹을 실시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몸체부 1050: 손잡이
1100: 결합부 1110: 연결부재
1120: 제 1 브래킷 1140: 제 2 브래킷
1160: 힌지 1180: 실린더
1300: 도어부 1350: 리브
1354: 제 1 지지부재 1356: 제 2 지지부재
1380: 브릿지 1385: 돌기
1400: 승강장

Claims (8)

  1.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된 전후방 회전이 가능한 도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도어부를 연결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화물용 엘리베이터로서,
    상기 도어부에 구비된 브릿지가 전방으로 회동시 승강장 바닥과 상기 몸체부가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브릿지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되며,
    상기 도어부의 회전을 통제하는 제어부; 및
    상기 브릿지를 개별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 록킹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 전방 상단에 구비된 제 1 브래킷;
    상기 제 1 브래킷 하부에 구비된 제 2 브래킷;
    상기 브릿지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브래킷과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브릿지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제 1브래킷과 연결되는 힌지; 및
    상기 브릿지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브래킷과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브릿지 상면에서 압력을 감지하는 압전 센서, 및 상기 화물용 엘리베이터가 층간 이동을 하기 전에 상기 브릿지가 완전히 폐쇄되었는지 확인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엘리베이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장치는, 수동식 개폐 장치 또는 전자 장치를 활용한 자동 개폐 장치를 포함하는 화물용 엘리베이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상면에 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엘리베이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하면에 리브가 마련되는 것인 화물용 엘리베이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브릿지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지지부재 및 상기 제 1지지부재와 수직으로 교차하는 제 2 지지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엘리베이터.
  8. 삭제
KR1020140107880A 2014-08-19 2014-08-19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 KR101704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880A KR101704875B1 (ko) 2014-08-19 2014-08-19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880A KR101704875B1 (ko) 2014-08-19 2014-08-19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135A KR20160022135A (ko) 2016-02-29
KR101704875B1 true KR101704875B1 (ko) 2017-02-08

Family

ID=5544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880A KR101704875B1 (ko) 2014-08-19 2014-08-19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8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935B1 (ko) 2017-04-25 2018-07-26 김운현 승강기용 수직 개폐형 도어 안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76466B (zh) * 2016-08-03 2018-09-14 天津送变电工程公司 电梯门外自动挡水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7369A (ja) * 2007-03-30 2008-10-16 East Japan Railway Co ステップおよび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006B1 (ko) * 2009-04-30 2012-01-31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도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7369A (ja) * 2007-03-30 2008-10-16 East Japan Railway Co ステップおよび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935B1 (ko) 2017-04-25 2018-07-26 김운현 승강기용 수직 개폐형 도어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135A (ko) 2016-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0501B2 (en) Offshore cargo rack for use in transferring fluid holding tank loads between a marine vessel and an offshore platform
US20120039694A1 (en) Facility and method for storing dangerous materials packaged into containers
US9878879B2 (en) Supersized elevator for use in building large ship or offshore plant
EA032120B1 (ru) Контейнерная развертываемая складская система
KR101704875B1 (ko)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
RU2581096C1 (ru) Система для загрузки и выгрузки груза при портовых операциях
US20090272738A1 (en) Cargo basket
KR20160023033A (ko) 자동 방폭문
JP6803330B2 (ja) 衝撃バリアおよび衝撃バリアを開閉する方法
US8146729B1 (en) Automated elevator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WO2008026849A1 (en) Securing method for freight container
KR101689006B1 (ko) 이중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
US10625991B2 (en) Deck hoist tractor, rescue chute and tote tank
JP5936516B2 (ja) 連続アンローダの非常時退避装置
JP2007261611A (ja) コンテナ
EP3228581B1 (en) Improved basket for aerial platform of the like
JP2005324930A (ja) 吊り具
KR102262254B1 (ko) 화물운반 설비를 갖춘 다층 비계장치
KR20070053967A (ko) 비계용 크레인 마스터 장치
JP6161145B2 (ja) 危険物貯蔵庫
GB2484075A (en) Panel carrier for an aerial lift
JP2016135978A (ja) 防爆構造
ITUB20155291A1 (it) Sistema di archiviazione modulare con protezione dall'acqua
KR101302998B1 (ko) 선박용 컨테이너 해치커버
WO2016135995A1 (ja) 開閉装置、足場、および、船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