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006B1 - 도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006B1
KR101110006B1 KR1020090038269A KR20090038269A KR101110006B1 KR 101110006 B1 KR101110006 B1 KR 101110006B1 KR 1020090038269 A KR1020090038269 A KR 1020090038269A KR 20090038269 A KR20090038269 A KR 20090038269A KR 101110006 B1 KR101110006 B1 KR 101110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closing member
vehic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9252A (ko
Inventor
서영우
지용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Priority to KR1020090038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006B1/ko
Publication of KR20100119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 B63B27/143R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08Ports or like openings in vessels' sides or at the vessels' bow or s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sh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수납성과 통행성이 향상된 도어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시스템은 운항체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서, 단단 접철 가능하게 상기 운항체에 설치되는 개폐유닛 및, 개폐유닛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가동시키는 가동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개폐유닛은 개구를 개방시키는 개방위치로 이동시 펼쳐져 지면과의 통행로를 제공하며, 개구를 폐쇄시키는 폐쇄위치로 이동시 접혀져 운항체의 외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어 수납성을 향상시킨다.
운항, 선박, 도어, 개폐, 접철, 접이식, 수납, 통행.

Description

도어시스템{DOOR SYSTEM}
본 발명은 도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박과 같은 운항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물품의 통행로를 제공하는 도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선박, 군함 또는 비행체 등과 같은 운항체의 경우, 일측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차량과 같은 소정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도어시스템이 마련된다. 이러한 도어시스템은 하기와 같은 조건이 요구된다.
우선, 상기 도어시스템은, 차량과 같은 물품이 지나갈 수 있도록 적절한 통행로를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이면서도, 개방시 지상 혹은 암벽을 향해 충분한 길이로 신장 가능해야 한다. 또한, 상기 도어시스템은 차량과 같은 고하중의 물품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 및 강도를 가져야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시스템은 상기 운항체에 대해 폐쇄된 상태일 때, 상기 도어시스템의 외면이 상기 운항체의 외면에 대해 돌출되거나 인입되지 않고, 동일 평면을 이루어야만 한다.
그로 인해, 상기와 같은 도어시스템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도어시스템의 연구/개발이 꾸준히 지속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운항체의 외면과 동일 평면을 가지고 운항체의 개구를 폐쇄시킬 수 있는 도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항체 내외로 이송되는 물품의 안전하고 충분한 통행로를 확보할 수 있는 도어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행되는 물품의 하중에도 견딜 수 있는 고 강성의 도어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어시스템은, 운항체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서, 개폐유닛과 가동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유닛은 다단 접철 가능하게 상기 운항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 내지 제3개폐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개폐부재는 상기 운항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개구의 폐쇄시 상기 운항체와 동일 평면을 이루는 외면을 가진다. 상기 제2 및 제3개폐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개폐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2개폐부재는 상기 제1개폐부재와 연결되는 일단과, 상기 일단으로부터 소정 각도 절곡되어 연결되는 타단을 구비하며, 상기 타단에는 상기 개폐유닛의 개방위치를 지지하는 받침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개폐부재 는 개방위치에 위치할 때 물품의 통행로를 제공하며, 이를 위해 제1 내지 제3개폐부재는 상기 물품이 통행될 수 있는 충분한 너비를 가진다.
상기 가동유닛은 상기 개폐유닛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가동시킨다. 상기 가동유닛은, 상기 운항체와 상기 제1개폐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개폐부재를 가동시키는 제1가동부재, 상기 제1 및 제2개폐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개폐부재를 가동시키는 제2가동부재, 그리고, 상기 제2 및 제3개폐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3개폐부재를 가동시키는 제3가동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가동부재는 유압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3개폐부재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2가동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개폐부재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2가동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1 및 제2개폐부재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제1 및 제2연결부재와 동시에 힌지 연결된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개폐유닛의 상기 폐쇄위치를 상기 운항체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운항체에 마련되는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도어시스템의 개폐유닛이 운항체의 외면과 동일 평면을 가지고 운항체의 개구를 폐쇄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복수의 개폐부재가 상호 접혀진 상태로 운항체에 수납될 수 있어, 운항체에 대한 도어시스템의 수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개폐유닛을 구성하는 복수의 개폐부재들이 물품이 충분이 지나갈 수 있는 길이로 펼쳐질 수 있음과 아울러, 개폐부재의 개방범위를 규제할 수 있는 받 침대와 같은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고 하중의 물품의 통행에도 안전한 고 강성의 도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복수의 개폐부재들이 다단 접철되는 접이식으로 도어시스템이 마련됨에 따라, 운항체가 연결되고자 하는 지면의 높이에 상관없이 통행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시스템(1)은 운항체(S)의 개구(O)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서, 개폐유닛(10)과 가동유닛(50)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유닛(10)은 다단 접철 가능하게 상기 운항체(S)에 설치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게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유닛(10)은 도 1과 같이 상기 R1방향으로 회전되어 운항체(S)의 개구(O)를 폐쇄시키는 폐쇄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운항체(S)의 외면과 동일 평면을 이룬다. 또한, 상기 개폐유닛(10)은 도 3과 같이 R2방향으로 회전되어 개구(O)를 개방시키는 개방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운항체(S) 내외로 이송되는 물품(미도시)의 통행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개폐유닛(10)은 다단 접철되는 제1 내지 제3개폐부재(20)(30)(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개폐부재(20)는 상기 운항체(S)에 R1 및 R2방향 즉, 양방향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개구(O)의 폐쇄시 상기 운항체(S)와 동일 평면을 이루는 외면(23)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제1개폐부재(20)의 일단(21)은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기 운항체(S)에 힌지(H)에 의해 결합되어, R1 및 R2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2개폐부재(30)는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제1개폐부재(20)에 힌지(H)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개폐부재(30)의 일단(31)은 상기 제1개폐부재(20)와 힌지(H)에 의해 연결되어 R1 및 R2방향으로 회전되며, 타단(32)은 상기 일단(31)으로부터 소정 각도 절곡되어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제2개폐부재(30)의 타단에는 개폐유닛(10)의 R2방향으로 회전된 개방위치를 지지하는 받침대(33)가 힌지(H)에 의해 연결된다. 이 받침대(33)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지상이나 암벽과 같은 지면(G)와 접촉되어 제2개폐부재(30)가 더 이상 R2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통행하는 물품의 하중을 지지한다.
상기 제3개폐부재(40)는 상기 제2개폐부재(30)에 힌지(H)에 의해 연결되어, R1 및 R2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제3개폐부재(40)의 일단(41)은 상기 제2개폐부재(30)와 연결되며, 타단(42)은 자유단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자유단인 제3개폐부재(40)의 타단(42)은 개폐유닛(10)의 개방동작 시, 도 3의 도시와 같이, 지면(G)과 접촉되는 지지단으로써 기능을 가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내지 제3개폐부재(20)(30)(40)는 차량과 같은 물품(미도시)의 통행로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개폐부재(20)(30)(40)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물품(미도시)이 운항체(S)의 내외로 통행할 수 있도록 소정 너비를 가진다. 이때, 상기 제2개폐부재(30)의 일단(31)은 상기 제1개폐부재(20)와 연결되며, 타단(32)은 상기 일단(31)과 힌지(H) 연결되어 연장된다.
상기 가동유닛(50)은 상기 개폐유닛(10)을 개방 또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가동시키는 것으로서, 제1 내지 제3가동부재(60)(70)(8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가동부재(60)는 상기 운항체(S)와 제1개폐부재(20) 사이에 설치되어, 제1개폐부재(20)를 가동시킨다. 상기 제2가동부재(70)는 상기 제1 및 제2개폐부재(20)(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개폐부재(30)를 가동시키며, 상기 제3개폐부재(40)는 상기 제2 및 제3개폐부재(30)(4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3개폐부재(40)를 가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가동부재(60)(70)(80)는 유압에 의해 제1 내지 제3개폐부재(20)(30)(40)를 가동시킨다.
참고로, 상기 제1 내지 제3가동부재(60)(70)(80)는 유압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3개폐부재(20)(30)(40)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가압하는 것으로 예시하나, 이에 꼭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제1 내지 제3개폐부재(20)(30)(40)가 접이식이 아닌 신축 가능한 것과 같이 변형될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가동부재(60)(70)(80)가 제1 내지 제3개폐부재(20)(30)(40)를 슬라이딩시키도록 구성되는 변형예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상기 제2가동부재(70)의 일단은 상기 제1개폐부재(20)에 힌지(H) 연결되며, 상기 제2가동부재(70)의 타단은 상기 제1 및 제2개폐부재(20)(30)에 각각 힌지(H) 연결되는 제1 및 제2연결부재(71)(72)와 동시에 힌지(H) 연결된다. 즉, 상기 제2 가동부재(70)의 타단은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재(71)(72)를 상호 연결시키는 힌지(H)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재(71)(72)를 가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개폐부재(30)를 제1개폐부재(20)에 대해 회전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3가동부재(80)는 일단은 상기 제2개폐부재(30)에 힌지(H)에 의해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3개폐부재(40)에 마련된 가이드홀(43)에 힌지(H) 연결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3가동부재(80)는 상기 가이드홀(43)에 의해 그 가동 범위가 규제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와 같은 개폐유닛(10)은 상기 가동유닛(50)에 의해 도 1과 같은 폐쇄위치에 위치할 때, 고정유닛(90)에 의해 운항체(S)의 개폐위치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유닛(90)이 상기 제1개폐부재(20)를 간섭하여, 상기 개폐유닛(10)의 폐쇄위치를 고정시킴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유닛(90)이 플러그-인(Plug-in) 동작에 의해 상기 개폐유닛(10)을 운항체(S)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예시하나, 이에 꼭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시스템(1)의 개폐동작을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과 같이 상기 개폐유닛(10)이 상기 운항체(S)의 개구(O)를 폐쇄시키는 폐쇄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개폐유닛(10)은 고정유닛(90)에 의해 폐쇄위치가 고정된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개폐유닛(10)의 제1개폐부재(20)가 상기 운항체(S)의 외면과 동일 평면을 가지는 외면(23)을 가짐으로써, 상기 개폐유닛(10)은 운항체(S)에 대해 돌출 또는 인입되지 않은 상태로 수납된다.
이 후, 상기 운항체(S)가 지상 또는 암벽과 같은 지면(G)과의 통행로가 필요할 경우, 상기 개폐유닛(10)의 제1 내지 제3개폐부재(20)(30)(4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R2방향으로 개방위치를 향해 펼쳐지면서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개폐부재(20)(30)(40)는 상기 제1 내지 제3가동부재(60)(70)(80)의 가압력에 의해 각각 개방위치로 가압된다. 참고로, 상기 제2 및 제3개폐부재(30)(40)는 폐쇄위치일 때에는 도 1과 같이 상기 제1개폐부재(20)에 대해 R1방향으로 접혀져 수납되며, 개방위치로 상기 제1개폐부재(20)가 소정 각도 회전되면 도 2와 같이 상기 제2개폐부재(30)가 상기 제1개폐부재(20)에 대해 R2방향으로 펼쳐져 개방된다.
이때, 상기 제3개폐부재(40)는 그의 타단(42)이 도 3과 같이 지면(G)과 맞닿음으로써, 상기 개폐유닛(10)의 개방위치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2개폐부재(30)의 타단(42)에 마련된 받침대(33)가 지면(G)과 제2개폐부재(30) 사이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개폐부재(20)(30)(40)의 개방위치로의 R2방향 회전력이 제1 내지 제3가동부재(60)(70)(80)에 의해 규제됨과 아울러 제3가동부재(80)와 연결된 힌지(H)가 가이드홀(43)에 의해 이동범위가 규제됨에 따라, 상기 개방위치에 위치하는 제1 내지 제3개폐부재(20)(30)(40)의 개방위치가 단단히 고정된다.
그로 인해, 상기 제1 내지 제3개폐부재(20)(30)(40)가 지면(G)과 접촉되도록 R2방향으로 펼쳐져 물품(미도시)의 통행로를 제공할 경우, 물품(미도시)의 하중에도 견딜 수 있는 고 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와 같이, 지면(G)의 높이 도 3과 차이가 있더라도 상기 제1 내지 제3개폐부재(20)(30)(40)의 회전범위를 조절하여 R2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어, 지면(G)의 높이와 상관없이 개폐유닛(10)이 안전하게 개방위치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와 같은 제1 내지 제3개폐부재(20)(30)(40)는 도 3과 같이 물품(미도시)이 지나갈 수 있기에 충분한 너비를 구비함에 따라, 통행로 확보에 유리하다.
이상과 같이 개방위치에 위치한 제1 내지 제3개폐부재(20)(30)(40)는 상기 제1 내지 제3가동부재(60)(70)(80)의 복귀력에 의해 다시 R1방향으로 회전되어 폐쇄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상기 개폐유닛(10)의 폐쇄위치는 제1개폐부재(20)와 고정유닛(90)과의 간섭에 의해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도어시스템이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보인 측면도,
도 4는 개폐유닛의 평면도, 그리고,
도 5는 도 3과 높이 차를 가지는 지면으로 개폐유닛이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도어시스템 10: 개폐유닛
20: 제1개폐부재 30: 제2개폐부재
40: 제3개폐부재 50: 가동유닛
60: 제1가동부재 70: 제2가동부재
80: 제3가동부재 90: 고정유닛

Claims (9)

  1. 운항체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시스템에 있어서,
    다단 접철 가능하게 상기 운항체에 설치되는 개폐유닛; 및
    상기 개폐유닛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가동시키는 가동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개구를 개방시키는 개방위치로 이동시 펼쳐져 지면과의 통행로를 제공하며, 상기 개구를 폐쇄시키는 폐쇄위치로 이동시 접혀져 상기 운항체의 외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고,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운항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개구의 폐쇄시 상기 운항체와 동일 평면을 이루는 외면을 가지는 제1개폐부재;
    상기 제1개폐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개폐부재; 및
    상기 제2개폐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개폐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2개폐부재는 상기 제1개폐부재와 연결되는 일단과, 상기 일단으로부터 소정 각도 절곡되어 연결되는 타단을 구비하며,
    상기 타단에는 상기 개폐유닛의 개방위치를 지지하는 받침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유닛은,
    상기 운항체와 상기 제1개폐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개폐부재를 가동시키는 제1가동부재;
    상기 제1 및 제2개폐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개폐부재를 가동시키는 제2가동부재; 및
    상기 제2 및 제3개폐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3개폐부재를 가동시키는 제3가동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가동부재는 유압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3개폐부재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동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개폐부재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2가동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1 및 제2개폐부재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제1 및 제2연결부재와 동시에 힌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90038269A 2009-04-30 2009-04-30 도어시스템 KR101110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269A KR101110006B1 (ko) 2009-04-30 2009-04-30 도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269A KR101110006B1 (ko) 2009-04-30 2009-04-30 도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252A KR20100119252A (ko) 2010-11-09
KR101110006B1 true KR101110006B1 (ko) 2012-01-31

Family

ID=43405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269A KR101110006B1 (ko) 2009-04-30 2009-04-30 도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0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209B1 (ko) * 2013-03-29 2015-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선박
KR101704875B1 (ko) * 2014-08-19 2017-02-08 오정수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
CN105460165A (zh) * 2014-09-12 2016-04-06 泰州中航船舶重工有限公司 一种舱盖行程开关的安装装置
KR101689006B1 (ko) * 2014-09-30 2016-12-23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이중 다단 수밀 도어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4955A (en) * 1977-03-04 1979-04-09 Engelbredt Jac As Sole
JPS57172895A (en) 1981-04-14 1982-10-23 Mac Gregor Far East Ltd Ramp for ship
KR20020081261A (ko) * 2000-03-17 2002-10-26 티티에스 쉽스 이큅먼트 악티에볼라게트 선박상의 로딩 램프용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4955A (en) * 1977-03-04 1979-04-09 Engelbredt Jac As Sole
JPS57172895A (en) 1981-04-14 1982-10-23 Mac Gregor Far East Ltd Ramp for ship
KR20020081261A (ko) * 2000-03-17 2002-10-26 티티에스 쉽스 이큅먼트 악티에볼라게트 선박상의 로딩 램프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252A (ko) 201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5915A (en) Trunk for convertible vehicle with folding roof, comprising a trunk lid and a rear shelf
KR101110006B1 (ko) 도어시스템
US8256817B2 (en) Tonneau cover
US8727414B2 (en) Stowable cargo cover
US20090121516A1 (en) Vehicle Tailgate Arrangement
WO2014199314A2 (en) Movable platform assembly with extendable surface
US10196848B1 (en) Hinged surface chock deployment and stowage enabling apparatus and method
US10710646B2 (en) Truck bed extension assembly
US20060001286A1 (en) Device for protecting objects disposed in the rear trunk of a motor vehicle having a retractable roof
JP2007306997A (ja) 折り畳みスロープ
JP4295207B2 (ja) 折畳み式ルーフを備えた車の後部トランクリッド
US20220213732A1 (en) Ladder spreader
JP2007216744A (ja) 雨避け装置
JP5550990B2 (ja) スロープ装置
US9399881B1 (en) Hinged surface chock deployment and stowage enabl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438634B1 (ko) 트렁크 사이드 트림의 접이식 수납함
KR19980036643U (ko) 트렁크 내 격납식 사물함 구조
KR100774680B1 (ko) 접이식 루프 차량의 트렁크 리프트 가변 힌지 구조
EP1820681B1 (fr) Dispositif de couverture de coffre comprenant une tablette articulée et véhicule automobile équipé d&#39;un tel dispositif
GB2534905A (en) Adaptable storage
KR200492002Y1 (ko) 작업차량의 도어용 접이식 스트라이커 구조체
KR200356260Y1 (ko) 이동식 다용도 판매용 탑차
KR200265579Y1 (ko) 간이테이블 겸용 트렁크 적재판 구조
JP4143024B2 (ja) 荷受台ロック装置
KR100401665B1 (ko) 차량의 미드 게이트의 링크식 리어 글래스 힌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