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209B1 - 컨테이너 선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209B1
KR101498209B1 KR1020130034481A KR20130034481A KR101498209B1 KR 101498209 B1 KR101498209 B1 KR 101498209B1 KR 1020130034481 A KR1020130034481 A KR 1020130034481A KR 20130034481 A KR20130034481 A KR 20130034481A KR 101498209 B1 KR101498209 B1 KR 101498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ntainer
rail
hul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8480A (ko
Inventor
천진호
김민성
김의두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4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209B1/ko
Publication of KR20140118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8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12Devices for changing direction of travel or for transferring from one runway to another; Crossings; Combinations of tracks of different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2019/0053Locking means for ports, doors, windows, covers, or the like, e.g. providing for watertight closure when locked

Abstract

컨테이너 하역 작업 시간을 줄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은 컨테이너가 적재되도록 갑판을 중심으로 상측 선창과 하측 선창으로 구획되는 선체와, 상기 선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측 선창 일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를 이송시키도록 상기 하측 선창과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컨테이너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이송장치는, 상기 하측 선창 및 상기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레일 유닛과, 상기 레일 유닛을 따라 이동하는 크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선박{Container Ship}
본 발명은 컨테이너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테이너 하역 작업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등의 화물을 수송하는 컨테이너 선은 갑판 상측과 하측 선창 내에 화물을 적재하고 있다. 하측 선창 내의 화물을 상측 선창으로 들어 올리는 것에 의해 상측 선창에서 하역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하측 선창 내로 컨테이너의 하적 작업과, 하측 선창 내에서 선외로의 화물의 하역 작업은 갑판에 설치된 창구를 통해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항구에 있는 컨테이너 크레인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선창의 바닥부터 차례로 적재하거나, 적재된 컨테이너의 상부측 컨테이너부터 순차적으로 하역함으로써, 적재컨테이너 하역 작업에 시간이 걸리고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컨테이너 적재 부위에 형성되는 이러한 창구(Hole)는 컨테이너 선의 종강도를 부족하게 하여 별도의 해치 코밍을 필요로 하고 그에 따른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고 제10-0661703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컨테이너 선박의 하역 작업 시간을 줄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컨테이너의 하역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컨테이너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컨테이너의 하역 작업시에 발생되는 하중을 도어에 인가시킬 때, 도어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컨테이너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컨테이너가 적재되도록 갑판을 중심으로 상측 선창과 하측 선창으로 구획되는 선체와, 상기 선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측 선창 일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를 이송시키도록 상기 하측 선창과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컨테이너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이송장치는, 상기 하측 선창 및 상기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레일 유닛과, 상기 레일 유닛을 따라 이동하는 크레인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 유닛은, 상기 하측 선창에 설치되는 제1 레일과,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제2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레일은, 상기 제1 레일과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선체 측면의 개구부의 테두리 상단에 결합된 도어힌지를 기준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의 개폐를 위한 도어개폐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도어개폐장치는, 상기 선체에 지지되는 제1 피봇 지지부; 상기 제1 피봇 지지부에 결합된 제1 유압부 본체; 상기 제1 유압부 본체의 유압에 의해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제1 유압부 본체에 결합된 작동암; 상기 작동암의 끝단에 마련된 슬라이딩 롤러; 및 상기 슬라이딩 롤러와 체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롤러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고,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수직이 되도록 지지기둥을 전개시켜서 상기 도어를 지지하거나, 또는 원래 접어진 상태로 상기 지지기둥을 접는 도어지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지지장치는, 상기 선체의 내부에 지지되는 제2 피봇 지지부; 상기 제2 피봇 지지부에 결합된 제2 유압부 본체; 상기 제2 상기 유압부 본체의 유압에 의해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제2 유압부 본체에 결합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측면에 결합된 조인트장치; 상기 조인트장치의 외부케이싱에 힌지 결합된 링크; 상기 링크에 힌지 결합된 제2 기둥힌지; 상기 제2 기둥힌지가 마련된 기둥 본체를 갖되 상기 기둥 본체의 상단부와 상기 도어의 내측면 사이의 제1 기둥힌지에 힌지 결합된 지지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컨테이너 선박의 하역 작업 시간을 줄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컨테이너 선의 종강도 확보를 위한 추가 강재를 삭제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컨테이너 선박에 대한 컨테이너의 적재 또는 하역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컨테이너 양하역시 도어개폐장치로 도어를 개폐할 때, 하측 선창의 제1 레일과 도어의 제2 레일이 일직선상에 놓이게 함으로써, 개방된 상태의 도어의 하부까지 크레인을 주행시킬 수 있고, 이러한 컨테이너 양하역 작업시에 발생되는 하중을 도어에 마련된 도어지지장치에 의해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게 컨테이너 양하역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측 선창의 내부에서 도어를 바라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 1에 도시된 컨테이너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컨테이너 이송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 내지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컨테이너 이송장치에 의한 컨테이너 적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선박(100)은 철제 박스 형태로 제작된 컨테이너(1)등의 화물이 선적되어 수출입 등을 위한 해상 운송용으로 사용된다.
컨테이너 선박(100)은 외관을 형성하는 선체(101)와 갑판(102)을 포함한다.
컨테이너 선박(100)은 갑판(102)을 중심으로 상부에 컨테이너(1)가 적재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측 선창(110)과, 하부에 컨테이너(1)가 적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측 선창(120)을 포함할 수 있다.
항만에 설치되는 컨테이너 크레인(10)은 정박된 컨테이너 선박(100)의 상측 선창(110)으로부터 컨테이너(1)를 하역하거나, 항만에 마련된 컨테이너(1)를 컨테이너 선박(100)의 상측 선창(110)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컨테이너 크레인(10)은 컨테이너(1)를 운반하기 위한 트롤리(13)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 프레임(12)과 수직 프레임(11)을 포함한다.
수평 프레임(12)에는 트롤리(13)가 직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트롤리(13)에는 항만의 컨테이너(1)를 탈착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여 승강 운동하게 하는 스프레더(14)가 설치된다.
따라서, 항만에 마련된 컨테이너(1)를 스프레더(14)가 승강 운동하여 고정하고, 스프레더(14)에 고정된 트롤리(13)가 수평 프레임(12)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컨테이너(1)를 컨테이너 선박(100)의 상측 선창(110)에 적재 또는 하역 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테이너 선박(100)의 상측 선창(110)에 컨테이너(1)를 적재 또는 하역 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 크레인(10)이 설치되는 것으로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갠트리 크레인이나 안벽 크레인 등 그 종류는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테이너 선박(100)의 하측 선창(120)에는 컨테이너(1)를 하측 선창(120)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컨테이너 이송장치(200)가 설치된다.
컨테이너 이송장치(200)는 컨테이너 선박(100)에 기 설치되어 있는 제어부(미 도시)에 의해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때, 제어부는 통상의 유압 설비용 제어 수단과 동일하게, 각종 센서, 밸브, 유압회로 또는 유압라인, 유압 저장탱크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유압라인을 통해서 하기에서 유압을 사용하는 장치, 즉 제1 유압부 본체(232), 제2 유압부 본체(252), 조인트장치(254)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컨테이너 선박(100)의 선체(101)에는 하측 선창(120)으로 컨테이너(1)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측 선창(120)을 개폐하는 도어(130)가 형성된다.
도어(130)는 일종의 램프 도어(ramp door)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하측 선창(120)을 개폐하여 하측 선창(120) 내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선체(101)의 측면(101a)에 형성될 수 있다.
도어(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선체(101)의 양쪽 측면(101a)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어(130)는 선체(101)의 측면(101, 101a)에서 하측 선창(120)과 선체(101) 외부를 관통하는 컨테이너(1)의 측면 출입구, 즉 도어(130) 설치용 개구부(103)에 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도어(130)는 개구부(103)의 테두리 상단의 도어힌지(131)를 기준으로 개폐되는 여닫이 도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컨테이너 이송장치(200)는 갑판(102)의 저부 또는 하측 선창(120)의 천장과 도어(130)를 기반으로 설치된 레일 유닛(210)과, 레일 유닛(210)을 따라 이동하는 크레인(2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일 유닛(210)은 하측 선창(120) 내부(예: 하측 선창(120)의 천장)에 설치되는 제1 레일(211)과, 도어(130)의 개방시 상기 제1 레일(211)의 연장 방향과 일치하도록 도어(130)에 설치되는 제2 레일(212)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2 레일(212)은 도어(130)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하기에서 설명할 도어개폐장치에 의해 도어(130)가 개방될 때, 그 도어(130)와 함께 회동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측 선창의 내부에서 도어를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컨테이너 이송장치(200)는 도어(130), 도어(130)에 설치된 레일 유닛(210)용 제2 레일(212), 제2 레일(212)의 옆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도어(130)에 배치된 도어개폐장치(230), 도어개폐장치(230) 옆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도어(130)에 배치된 도어지지장치(250)를 포함한다.
도어(130)는 도어힌지(131)를 기준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선체(101)의 측면의 개구부(103)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130)에서 제2 레일(212), 도어개폐장치(230), 도어지지장치(250)의 배치 위치 또는 배치 순서는 도 2에 도시된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 레일(212) 옆에 도어지지장치(250)가 배치되게 한 후 그 도어지지장치(250) 옆에 도어개폐장치(230)가 배치되는 등 그 배치 또는 배열 구조는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제2 레일(212), 도어개폐장치(230) 및 도어지지장치(250)는 도어(130)의 좌, 우측변을 기준으로 쌍을 이루어 도어(130)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130)는 도 1에 도시된 하측 선창(120)을 개폐시키는 역할과, 도어(130)가 개방되었을 때 제2 레일(212)이 도 1에 도시된 제1 레일(211)의 길이 방향 연장선에 일치되도록 제2 레일(212)을 항구의 안벽 또는 양하역장소의 상부 공간에 위치시켜 컨테이너의 적재 또는 하역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는 역할을 동시에 담당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 1에 도시된 컨테이너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컨테이너 이송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이송장치(200)는 레일 유닛(210)과, 레일 유닛(210)을 따라 이동하거나 레일 유닛(210)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 갠트리 프레임(215)에서 오버헤드 트롤리(214)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크레인(2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버헤드 트롤리(214)에는 컨테이너의 승강 운동을 담당하는 스프레더(216)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레일 유닛(210)은 하측 선창(120) 내부, 즉 하측 선창(120)의 천장에 설치되는 제1 레일(211)과, 도어(130)에 설치되는 제2 레일(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레일(211)과 제2 레일(212)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동일 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 레일(211)은 갠트리 프레임(215)의 양단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어 쌍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2 레일(212)도 제1 레일(211)의 이격 배치 간격과 동일하게 쌍을 이룰 수 있다.
제1 레일(211)은 하측 선창(120) 내부에 설치되어 컨테이너를 컨테이너 선박(100)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며, 제2 레일(212)은 도어(130) 내측에 설치되어 도어(130)가 개방된 후, 컨테이너를 하측 선창(120) 내부로부터 선체(101) 또는 개구부(103)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제1 레일(211)과 제2 레일(212)의 이격 공간(G)은 제2 레일(212)이 설치된 도어(130)의 닫힘 동작 시 제1 레일(211)과 제2 레일(212)이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1 레일(211)과 제2 레일(212)의 이격 공간(G)은 크레인(213)이 통과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격 공간을 보완 할 수 있도록 받침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레일(211)과 제2 레일(212)은 각각 하측 선창(120)과 도어(130) 내측에 마련된 고정장치(2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장치(220)는 제1 레일(211)과 제2 레일(212)을 하측 선창(120) 또는 도어(130)의 설치 및 지지시키기 위한 지지부(222)와, 제1 레일(211)과 제2 레일(212)의 바깥쪽 끝단에 결합되어 크레인(213)의 과도한 이동을 제한 또는 크레인(213)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22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221)는 볼트, 지지용 브래킷, 충격 방지용 댐퍼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지지부(222)는 레일 설이용 행거 또는 브래킷 구조물로서, 하측 선창(120)과 도어(130)에 해당 제1 레일(211) 또는 해당 제2 레일(212)을 지지하도록 용접 또는 볼트 시공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크레인(213)은 제1 레일(211)과 제2 레일(212)에 매달린 상태로 레일 유닛(2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크레인(213)의 상부에는 제1 레일(211)과 제2 레일(212)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개의 바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크레인(213)은 컨테이너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승강 운동 가능한 고리부(213a)를 포함할 수 있다.
고리부(213a)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컨테이너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 이송장치(200)는 크레인(213)의 고리부(213a)에 연결된 컨테이너를 컨테이너 선박(100)의 하측 선창(120) 내부로부터 선체(101)의 외부, 또는 선체(101)의 외부로부터 하측 선창(120) 내부까지 한번에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컨테이너의 적재 또는 하역 작업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크레인(213)은 오버헤드 트롤리(214)의 하부에 마련된 스프레더(216)로 컨테이너를 들어 올린 후, 컨테이너 선박(100)의 하측 선창(120)과 선체(101) 외부 사이에서, 컨테이너를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종전의 항구에 설치된 컨테이너 크레인에 비해 컨테이너의 적재 또는 하역 작업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이송장치(200)는 도어개폐장치(230) 및 도어지지장치(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어개폐장치(230)는 도어(130)를 개폐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즉, 도어개폐장치(230)는 유압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 또는 회수하여, 작동암을 신장 또는 축소시켜서, 도어(130)를 개폐하거나, 도어 개방 상태를 일정 부분 지지하거나, 도어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어개폐장치(230)는 선체(101)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하측 선창(120)의 개구부(103)의 안쪽의 선체 표면에 설치된 제1 피봇 지지부(231), 선체(101)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유압라인(미 도시)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피봇 지지부(231)에 힌지 결합된 유압 실린더에 해당하는 제1 유압부 본체(232)와, 상기 제1 유압부 본체(232)의 유압에 의해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제1 유압부 본체(232)에 결합된 작동암(233)과, 작동암(233)의 끝단에 마련된 슬라이딩 롤러(234)와, 슬라이딩 롤러(234)와 체결되어 슬라이딩 롤러(234)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도어(130)의 내측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235)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지지장치(250)는 고중량의 화물 또는 컨테이너의 하중 인가 상태에서 양하역을 안정되게 수행하면서 도어(130)의 개방 상태를 안정되게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도어개폐장치(230)와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어지지장치(250)는 도어개폐장치(230)에 의해 도어(130)가 원호를 그리면서 상향으로 이동(예: 개방 또는 폐쇄)되는 도어(130)의 이동량에 대응하여 도어지지장치(250)의 작동이 동기화 또는 연동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도어(130)의 개방 또는 폐쇄와 연동하는 과정에서 도어지지장치(250)는 샤프트(253)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도어지지장치(250)의 샤프트(253)는 도어(130)의 폐쇄시 도어지지장치(250)의 제2 유압부 본체(252)에 대부분 들어가 있게 되고, 도어(130)의 개방시 도어지지장치(250)의 제2 유압부 본체(25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도어지지장치(2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둥힌지(257)를 기준으로 접어진 상태의 지지기둥(258)을 도어(130)의 개방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30)의 내측면에 수직이 되도록 지지기둥(258)을 전개시켜서 상기 도어(130)를 지지하거나, 또는 원래 접어진 상태로 지지기둥(258)을 접는 유압 장치일 수 있다.
즉, 도어지지장치(250)는 선체(101)의 내부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하측 선창(120)의 개구부(103)의 상측 테두리 주변 또는 하측 선창(120)의 천장에 설치된 제2 피봇 지지부(251), 제2 피봇 지지부(251)에 결합되고, 선체(101)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유압라인에 연결된 제2 유압부 본체(252)와, 제2 상기 유압부 본체(252)의 유압에 의해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제2 유압부 본체(252)에 결합된 샤프트(253)와, 샤프트(2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샤프트(253)의 측면에 결합된 조인트장치(254)와, 조인트장치(254)의 외부케이싱에 링크(255)의 일측 단부를 힌지 결합시킨 링크(255)와, 링크(255)의 타측 단부에 힌지 결합된 제2 기둥힌지(256)와, 상기 제2 기둥힌지(256)가 마련된 기둥 본체를 갖되 상기 기둥 본체의 상단부와 도어(130)의 내측면 사이의 제1 기둥힌지(157)에 힌지 결합된 지지기둥(258)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샤프트(253)는 제2 유압부 본체(252)에 결합되고, 제2 유압부 본체(252)의 유압에 의해 왕복 운동(예: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253)의 측면에는 샤프트(253)를 기반으로 조인트장치(254)가 전진 또는 후진 또는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레일홈부(253a)와 가이드홈부(253b)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레일홈부(253a)는 샤프트(253)의 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것으로서, 하기의 조인트장치(254)의 유압모터쪽 피니언 기어가 치합되는 랙 기어(253c) 및 랙 기어(253c)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웨어플레이트(253d)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홈부(253b)는 레일홈부(253a)와 이격 배치되어 평행하게 샤프트(253)의 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것으로서 하기의 조인트장치(254)의 가이드돌기(미 도시)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곳을 지칭할 수 있다.
조인트장치(254)는 링크(255)의 일측 단부와 힌지 결합되는 외부케이싱과, 상기 외부케이싱의 내부에 위치하고, 선체(101)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유압라인에 연결된 유압모터(미 도시)와, 유압모터의 유압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게 구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싱의 외부로 연장된 유압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유압모터의 구동축의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253)의 레일홈부(253a)에 치합된 피니언 기어(미 도시)와, 상기 외부케이싱으로부터 상기 샤프트(253) 쪽으로 돌출되어 샤프트(253)의 가이드홈부(253b)에 결합된 가이드돌기(미 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인트장치(254)는 상기 제2 유압부 본체(252)의 1차 및 2차 이동시 정지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샤프트(253)의 이동력을 링크(255)에게 전달할 수 있다.
즉, 샤프트(253)는 제2 유압부 본체(252)의 유압에 의해 미리 정해진 스트로크 만큼 이동하고 정지하며, 이후, 샤프트(253)를 지지기반으로 한 조인트장치(254)는 유압모터를 추가적으로 작동(예: 유압모터의 구동축 및 피니언 기어 회전)시키고, 그 결과, 조인트장치(254)가 샤프트(253)의 레일홈부(253a) 및 가이드홈부(253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조인트장치(254)에 연결된 링크(255)에 의해 지지기둥(258)이 전개될 수 있다.
이하, 본원발명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5 내지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컨테이너 이송장치에 의한 컨테이너 적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각 도면은 해당 구성요소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서, 설명하려는 해당 구성요소만을 명확하게 도시하여 설명할 뿐, 전체적인 결합 구성 및 배치 구조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컨테이너 선박의 선체(101)는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는 양하역장소(2)에 정박할 수 있다.
컨테이너 이송장치(200)의 도어(130)는 선체(101)의 개구부(103)를 폐쇄한 상태일 수 있다.
컨테이너 이송장치(200)의 제어부는 도어개폐장치(230)의 제1 유압부 본체(232)와 도어지지장치(250)의 제2 유압부 본체(252)에 유압을 전달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전달받은 유압을 이용하여 제1 유압부 본체(232)는 제1 유압부 본체(232)의 길이를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작동암(233)을 이동시킨다.
이러한 작동암(233)의 이동력에 의해 작동암(233)의 슬라이딩 롤러(234)는 가이드레일(235)을 따라 이동하고, 그 결과 도어(130)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도어(130)는 선체(101)의 외주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도어(130)는 도어개폐장치(230)에 의해 도어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도어(130)에 장착된 각종 장치 및 제2 레일 등의 하중과, 이후 과정에서 컨테이너 등의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하여, 도어개폐장치(230)에 의해 지지되는 것보다 더 큰 지지력이 요구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달받은 유압을 이용하여 제2 유압부 본체(252)는 제2 유압부 본체(252)의 길이를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샤프트(253)를 1차 이동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이 도어(130)의 개방 작동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이후, 계속적으로 전달받은 유압을 이용하여 제2 유압부 본체(252)는 1차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샤프트(253)를 2차 이동시키고, 이후, 샤프트(253)는 미리 정해진 스트로크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런 샤프트(253)의 2차 이동 및 정지 과정에서 발생된 샤프트(253)의 2차 이동력은 샤프트(253)의 조인트장치(254), 링크(255), 제2 기둥힌지(256)을 통해 지지기둥(258) 쪽으로 전달되고, 그 결과, 지지기둥(258)이 도어(130)의 제1 기둥힌지(157)을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도 8과 같이 일부분 전개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컨테이너 이송장치(200)의 제어부는 도어지지장치(250)의 조인트장치(254)의 유압모터에 유압을 전달한다.
전달받은 유압을 이용하여 조인트장치(254)의 유압모터는 그의 구동축 및 피니언 기어를 레일홈부(253a) 내에서 회전시키고, 그 결과 피니언 기어가 치합된 랙 기어(253c)(도 3 또는 도 4 참조)를 따라 상기 1차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구동력에 의해 조인트장치(254)는 샤프트(253)의 레일홈부(253a)를 따라 이동하고, 조인트장치(254)에 연결된 링크(255)에 추가로 3차 이동력을 전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기둥(258)을 완전히 전개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전개된 지지기둥(258)은 양하역장소(2)의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가 되어 도어(13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위와 같이 도어(130)가 열리고 안정되게 지지되면, 도어(130) 내측에 설치된 제2 레일(212)과 하측 선창(120)에 설치된 제1 레일(211)은 수평으로 배치되게 된다.
제1 레일(211)을 통해 하측 선창(120)내부로부터 크레인(213)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도어(130)의 제2 레일(212)을 따라 선체(101) 외부까지 이동하게 된다.
제2 레일(212)을 통해 선체(101) 외부에 배치되는 크레인(213)은 고리부(213a) 또는 크레인(213)의 오버헤드 트롤리(214)의 하부에 마련된 스프레더(216)를 케이블(216a) 및 윈치장치(미 도시)를 통해 하강시켜 항만 또는 양하역장소(2)에 마련된 컨테이너(1)를 고정하여 상승시키고, 컨테이너(1)가 고정된 크레인(213)은 제2 레일(212)과 제1 레일(211)을 통해 하측 선창(120) 내부로 이동하여 컨테이너(1)를 선체(101)의 내부의 하측 선창(120) 내에 양역 또는 적재할 수 있다.
반대로, 하측 선창(120)에 적재된 컨테이너(1)를 항만으로 이송시에는 제1 레일(211)의 크레인(213)이 컨테이너(1)를 고정하여 제1 레일(211)과 제2 레일(212)을 통해 선체(101) 외측으로 이동하여 컨테이너(1)를 하역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체의 내 외측으로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 이송장치에 의해 컨테이너의 적재 또는 하역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 : 컨테이너 10 : 컨테이너 크레인
100 : 컨테이너 선박 101 : 선체
102 : 갑판 110 : 상측 선창
120 : 하측 선창 130 : 도어
200 : 컨테이너 이송장치 210 : 레일 유닛
211 : 제1 레일 212 : 제2 유닛
213 : 크레인 214 : 오버헤드 트롤리
220 : 고정장치 221 : 고정부
222 : 지지부 230 : 유압부
230 : 도어개폐장치 250 : 도어지지장치

Claims (6)

  1. 컨테이너가 적재되도록 갑판을 중심으로 상측 선창과 하측 선창으로 구획되는 선체와,
    상기 선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측 선창 일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를 이송시키도록 상기 하측 선창과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컨테이너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이송장치는, 상기 하측 선창 및 상기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레일 유닛과, 상기 레일 유닛을 따라 이동하는 크레인,
    상기 도어의 개폐를 위한 도어개폐장치, 및
    상기 도어개폐장치와 연동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 시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수직이 되도록 지지기둥을 전개시켜서 상기 도어를 지지하거나, 상기 도어의 폐쇄 시 상기 지지기둥을 원래의 상태로 접는 도어지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유닛은, 상기 하측 선창에 설치되는 제1 레일과,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제2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레일은, 상기 도어의 개방 시 상기 제1 레일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컨테이너 선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선체 측면의 개구부의 테두리 상단에 결합된 도어힌지를 기준으로 개폐되는 컨테이너 선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장치는,
    상기 선체에 지지되는 제1 피봇 지지부;
    상기 제1 피봇 지지부에 결합된 제1 유압부 본체;
    상기 제1 유압부 본체의 유압에 의해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제1 유압부 본체에 결합된 작동암;
    상기 작동암의 끝단에 마련된 슬라이딩 롤러; 및
    상기 슬라이딩 롤러와 체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롤러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고,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지지장치는,
    상기 선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피봇 지지부;
    상기 제2 피봇 지지부에 결합된 제2 유압부 본체;
    상기 제2 상기 유압부 본체의 유압에 의해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제2 유압부 본체에 결합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측면에 결합된 조인트장치;
    상기 조인트장치의 외부케이싱에 힌지 결합된 링크; 및
    상기 링크에 힌지 결합된 제2 기둥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기둥은,
    상기 제2 기둥힌지가 마련된 기둥 본체를 갖되 상기 기둥 본체의 상단부와 상기 도어의 내측면 사이의 제1 기둥힌지에 힌지 결합된 컨테이너 선박.
KR1020130034481A 2013-03-29 2013-03-29 컨테이너 선박 KR101498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481A KR101498209B1 (ko) 2013-03-29 2013-03-29 컨테이너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481A KR101498209B1 (ko) 2013-03-29 2013-03-29 컨테이너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480A KR20140118480A (ko) 2014-10-08
KR101498209B1 true KR101498209B1 (ko) 2015-03-03

Family

ID=51991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481A KR101498209B1 (ko) 2013-03-29 2013-03-29 컨테이너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2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715U (ko) 2015-11-09 2017-05-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포터블 크레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6096A (ja) * 2001-12-11 2003-06-24 Sumitomo Heavy Ind Ltd 船舶における荷役装置およびその建造方法
KR20100119252A (ko) * 2009-04-30 2010-11-09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도어시스템
KR20110017335A (ko) * 2009-08-13 2011-02-21 공두식 무대보드의 다단확장기능이 구비된 차량
KR20120022763A (ko) * 2009-04-15 2012-03-12 닛뽕 유센 가부시키가이샤 선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6096A (ja) * 2001-12-11 2003-06-24 Sumitomo Heavy Ind Ltd 船舶における荷役装置およびその建造方法
KR20120022763A (ko) * 2009-04-15 2012-03-12 닛뽕 유센 가부시키가이샤 선박
KR20100119252A (ko) * 2009-04-30 2010-11-09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도어시스템
KR20110017335A (ko) * 2009-08-13 2011-02-21 공두식 무대보드의 다단확장기능이 구비된 차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715U (ko) 2015-11-09 2017-05-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포터블 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480A (ko)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8778C1 (ru) Судн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контейнеров-цистерн для спг и способ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данного судна
KR20230106717A (ko)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이동 방법 및 그 장치
CN103625344B (zh) 一种集装箱装卸车
JP2011037443A (ja) リールを輸送する方法及び装置並びに船の貨物スペース内での中甲板及び中甲板用装置
JP3375330B2 (ja) コンテナ荷役装置
CN104379490A (zh) 包括起重机和位于起重机的主体中且用于保持和堆叠舱口盖的底座的在港口操作中装载和卸载的系统
KR101299814B1 (ko) 드릴십 라이저 풀가이딩 시스템
KR100868843B1 (ko) 컨테이너 화물의 하역 및 선적시스템
KR101372127B1 (ko)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KR101498209B1 (ko) 컨테이너 선박
KR101454388B1 (ko) 컨테이너 선박
KR102007667B1 (ko) 컨테이너 저장 및 하역 장치
KR101762829B1 (ko) 리프팅 지그
KR20170000116U (ko) 상하 이동 구조의 화물 플랫폼 기구
KR101149499B1 (ko) 컨테이너 하역시스템 및 하역방법
US3143224A (en) Apparatus for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ships
CN103625345A (zh) 一种具有自装自卸功能的集装箱装卸车
CN107954227B (zh) 适应远洋运输的集装箱抓取系统
KR102361388B1 (ko) 선박용 차량 데크 일괄 리프팅 시스템
EP3186185B1 (en) Device and method for loading a sea container with an elongated heavy product or a row of heavy products
KR101166717B1 (ko) 컨테이너 크레인을 구비하는 이동항구
KR101167908B1 (ko) 선체간 연결 슬라이더 및 이를 장착한 부유체
RU2554194C1 (ru) Спуско-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водного технического средства
RU2591562C1 (ru) Судовое люковое закрытие
KR101595414B1 (ko)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