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2763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2763A
KR20120022763A KR1020117023781A KR20117023781A KR20120022763A KR 20120022763 A KR20120022763 A KR 20120022763A KR 1020117023781 A KR1020117023781 A KR 1020117023781A KR 20117023781 A KR20117023781 A KR 20117023781A KR 20120022763 A KR20120022763 A KR 20120022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hull
dock
parti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3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1870B1 (ko
Inventor
케이코 코스기
카츠히코 미즈노
카르보나라 비토리오 가르로니
피터 알브레히트
안티 야레네이넨
안나 리사 시리아
토마스 헤린
토니 코카넨
Original Assignee
닛뽕 유센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 유센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아이 filed Critical 닛뽕 유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2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2Awnings, including rigid weather protection structures, e.g. sunroofs; Tarpaulins; Accessories for awnings or tarpaul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14Hatch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9/00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 B63H9/04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using sails or like wind-catch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9/00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 B63H9/04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using sails or like wind-catching surfaces
    • B63H9/06Types of sail; Constructional features of sail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63H9/061Rigid sails; Aerofoil s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2003/001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 B63J2003/002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by using electric power
    • B63J2003/003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by using electric power us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g. using solar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이 선박은 컨테이너 등을 운반하기 위한 선박에 있어서, 하물의 하역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체 내에는 갑판의 하측에 하측 선창이 설치되어 있다. 갑판은 좌우 양측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돌출부에 고정된 수직 지주와 이들을 연결하는 수평 들보를 구비하는 복수의 화체가 갑판에 설치되어 있다. 화체 상호 사이에는 개폐 가능하게 칸막이 격벽이 설치되고, 칸막이 격벽과 갑판에 의해 갑판의 상측에는 상측 선창이 형성되어 있다. 하측 선창에 대한 하역 작업은 하측 선창 내에 설치된 선내 크레인에 의해 행하여지고, 이와 동시에 상측 선창에 대한 하역 작업은 안벽 크레인에 의해 행하여 진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발명은 컨테이너 등의 하물(荷物)을 운반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 등의 하물을 운반하는 선박에 있어서는, 선박 하층의 선창 내에 하물을 적재하는 것과 함께, 갑판 위에도 하물을 적재하고 있다.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컨테이너선에 있어서는, 하물이 컨테이너 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운반 중 및 안벽에서의 하역 작업 중에 강우가 발생하여도 컨테이너 내의 하물에 우수가 침입하는 일이 없다. 이에 반하여 물에 젖는 것을 싫어하는 하물을 운반하는 화물선에 있어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갑판의 상방에 천정벽을 설치하고, 갑판 하측의 하측 선창과 갑판 상측의 상측 선창을 구비하는 운반선이 있다.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적재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특허문헌 2에는 선체 외판의 물잠김선(끽수선) 상방에 위치시켜 컨테이너용 보관 화체를 설치한 컨테이너 선이 기재되어 있으며, 특허문헌 3에는 선체 외부로 연장되어 밖으로 튀어나오는 부재를 갑판에 격납되도록 설치한 컨테이너 선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컨테이너선이나 화물선의 선박에 있어서 선박 추진용 동력원으로는 통상 내연기관이 이용되며, 선박 내에서 사용되는 전기기기에 대하여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선박에는 발전기가 탑재되어 있다. 선박 내의 전력기기에 대해 공급되는 전력을 태양전지에 의해 발전되도록 한 선박이 특허문헌 4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선박 추진용의 구동 에너지로서 태양전지를 이용하기 위하여, 접어 개는 방식의 태양전지를 구비한 솔라-보트가 특허문헌 5에 기재되어 있다.
선박 추진용의 동력원으로서 풍력을 이용하기 위한 날개형 돛(翼形帆)으로는 특허문헌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마스트를 구비한 타입이 있다. 마스트의 신축에 의해 돛부로서의 시트재가 끌어올려지기도 하고 돛이 움추려들기도 하도록 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 특공소47-13943호 공보
특허문헌 2 : 특개소61-27785호 마이크로필름
특허문헌 3 : 특개소59-111792호 마이크로필름
특허문헌 4 : 특개2002-315195호 공보
특허문헌 5 : 특개평5-221381호 공보
특허문헌 6 : 특개평5-139373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갑판 하측에 하측 선창을 설치하고, 상측에 상측 선창을 설치한 것과 같은 운반선에 있어서는, 하측 선창 내의 하물을 상측 선창으로 들어 올리는 것에 의해 상측 선창측에서 하역 작업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하측 선창 내로 하물의 하적 작업과, 하측 선창 내에서 선외로의 하물의 하양 작업은, 어느 것도 갑판에 설치된 창구를 통하여 행하도록 되어 있다. 소형 화물선에 있어서는, 하역 작업시에 창구를 통하여 상측 선창과 하측 선창 사이에서 하물을 이동시키도록 하여도 하역 작업을 비교적 단시간내에 행하는 것이 가능하나, 대형 컨테이너 선 및 대형 화물선에 있어서는, 선체에 하측 선창과 상측 선창을 설치하여도 하측 선창 내의 하역 작업을 갑판에 설치된 창구를 통하여 행하도록 하면 하역 작업에 시간이 걸리고 작업 효율이 나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상의 화물선과 컨테이너선은 일체로 이루어진 선체를 구비하여 있고, 하역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안벽에 설치된 1개소의 하역 작업 야드에서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하역 작업용 대차 등이 안벽을 왕래하게 되어 하역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갑판에 부분적으로 태양전지용 판넬을 배치한 선박에 있어서는, 선박 내 전기기기에 공급하기 위한 전력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할 뿐, 선박의 추진력을 전동모터에 의해 행하는 것은 되지 않는다. 게다가, 특허문헌 2,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갑판 위에 컨테이너를 배치하는 선박에 있어서는, 태양전지를 배치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컨테이너선과 화물선에 특허문헌 6에 기재된 바와 같은 날개형 돛을 설치하면, 마스트를 수축시켜 시트재로 이루어진 돛부를 수축시켜도 컨테이너 등의 하물의 하역 작업을 행할 때 날개형 돛이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테이너 등 하물의 하역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박의 추진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에 대해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전지가 하역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여 하역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풍력을 이용하여 선박에 추진력을 가하는 날개형 돛이 하역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여 하역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 척의 선박에 대하여 하역 작업을 상호 떨어진 복수 개소에서 동시에 행하도록 하여 하역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선박은 컨테이너 등의 하물을 운반하는 선박에 있어서, 선체에 설치되어 상기 선체 내에 하측 선창을 형성하는 갑판에, 상기 선체에서 돌출하여 설치된 좌우 양측의 돌출부와, 상기 좌우 양측 돌출부의 선단에 각각 고정되는 수직 지주와, 양방의 상기 수직 지주를 연결하는 수평 들보를 구비하고, 상기 선체의 종 방향으로 간격을 떨어져서 배치되는 복수의 문형(門形)의 화체와, 상기 화체 상호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갑판의 상측에 상측 선창을 형성하는 칸막이 격벽과, 상기 갑판의 하측에 상기 하측 선창 내에 위치시켜 설치되고, 상기 하측 선창 내로의 하적 작업과 상기 하측 선창 내에서 선외로의 하양 작업을 행하는 선내 크레인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칸막이 격벽이 개방된 상태하에서, 안벽에 설치된 안벽 크레인에 의해 상기 상측 선창 내로의 하물의 하적과 상기 상측 선창 내에서 선외로의 하양과, 상기 선내 크레인에 의해 상기 하측 선창 내로의 하물의 하적과 상기 하측 선창 내에서 선외로의 하양을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선박은, 상기 칸막이 격벽은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이고, 상기 칸막이 격벽이 닫혀진 상태하에서 선체에 항행 방향의 추력을 가하는 프로펠러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에 태양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선박은, 기립 위치와 수납 위치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상기 화체에 장착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 들보와, 상기 지지 들보에 설치되는 시트재를 포함하는 날개형 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선박은, 상기 선체의 선미측에 선체 내에 설치된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선체에 항행 방향의 추력을 가하는 프로펠러를 설치하고, 상기 선체의 선수측에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폭 방향의 추력과 항행 방향의 추력을 가하는 쓰러스터(thruster)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선박은, 상기 선체는 선수측 모듈, 선미측 모듈 및 상기 선수측 모듈과 상기 선미측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선수측 모듈과 상기 선미측 모듈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선체의 길이를 가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선박은, 상기 좌우의 돌출부의 적어도 한쪽에 선원을 선내와 선외 사이에서 안내하는 리프트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은 갑판 하측의 하측 선창과 상측의 상측 선창을 구비하고, 하측 선창 내에 설치된 선내 크레인에 의해 하측 선창에 대한 하역 작업을 행하고, 상측 선창에 대한 하역 작업은 안벽 크레인에 의해 행하기 때문에, 선박에 대한 하역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측 선창은 개폐 가능한 칸막이 격벽에 의해 덮히고, 칸막이 격벽에는 태양전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태양전지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펠러에 의해 선박에 추진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칸막이 격벽을 개방시키는 것에 의해 상측 선창에 대한 하역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박에 추진력을 가하는 날개형 돛은 기립위치와 수납위치에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있기 때문에, 선박이 안벽에 정박하여 하역 작업을 행할 때에는 수납위치로 되는 것에 의해 하역 작업에 날개형 돛이 방해되지 않고 효율적인 하역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박의 항행시에는, 날개형 돛이 기립위치로 되는 것에 의해 풍력을 선박의 추진력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박의 추진력으로서 태양 에너지와 풍력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선박을 추진하기 위하여 내연기관 등에 의한 화석연료 사용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에 의해 내연기관에서 기인하는 배출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클린한 선박 항행이 달성된다.
선박을 선수측 모듈과, 선미측 모듈과,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모듈에 의해 형성하는 것에 의해, 수송할 하물량에 대응하여 선박의 길이 내지 적재용량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효율적으로 하물을 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발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선박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하역 작업을 행하고 있는 선박의 횡단면도이다.
도 5(A)는 선체의 선수측 모듈의 후단면을 도시한 배면도이고, (B)는 선수측 모듈과 중간 모듈의 연결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A)~(C)은 모듈 연결구조로 된 경우에 있어서 하역 작업의 일 예를 도시한 하역 작업 공정도이다.
도 7은 도 6(C)에 도시한 선수측 모듈과, 중간 모듈에 대한 하역 작업이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8은 수납 스페이스에 위치시켜 화체에 설치된 날개형 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날개형 돛의 지주편과 여기에 설치된 수평 들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A)는 선미측 모듈의 저면도이고, (B)는 선수측 모듈의 저면도이다.
도 11(A)~(C)는 선수측 모듈에 설치된 멀티바우쓰러스터를 도시한 확대측면도이다.
도 12는 선수측 모듈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선박(10)은 컨테이너를 수상 수송하기 위한 컨테이너선으로 구체화되어 있다.
선박(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저벽(11) 및 이와 일체로 된 좌우의 측벽(12, 13)을 구비한 선체(14)를 구비하며, 각각의 측벽(12, 13)의 상단부에는 선체(14)의 폭 방향 바깥쪽으로 만곡된 부분이 설치되어 있다. 좌우의 측벽(12, 13)의 상단부에는 상갑판 즉 갑판(15)이 설치되어 있고, 선체(14) 내에는 선저벽(11)과 좌우의 측벽(12, 13)과 갑판(15)에 의해 구획되는 하측 선창(16)이 형성되어 있다.
갑판(15)은 선체(14)의 좌우 양측에서 돌출된 부분을 가지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선체(14)의 폭을 D0라 하면 갑판(15)의 폭 D1은 D0 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 부호 17, 18은 좌우의 돌출부를 표시한다. 도 1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판(15)에는 선체(14)의 종(縱) 방향으로 상호 간격이 떨어져 있는 복수의 문(門) 형태로 된 화체(21)가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화체(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7, 18)의 선단에 각각 고정된 수직 지주(22, 23)와, 이들 양쪽의 수직 지주를 연결하는 수평 들보(2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선체(14)에는 합계 18개의 화체(21)가 설치되어 있고, 도 2에서는 선수측의 화체(21)에서 선미측의 화체(21)를 향하여 부호 (a)~(r)이 부여되어 있다. 선체(14)에 설치된 화체(21)의 수는 도시된 선박(10)에서는 18개이나, 선체(14)의 길이에 대응하여 임의의 수로 설정된다.
선체(14)의 종 방향에서 인접하여 마주보는 2개의 화체(21) 사이에는 개폐 가능하게 칸막이 격벽(25)이 설치되고, 화체(21)와 칸막이 격벽(25)에 의해 갑판(15)의 상측에는 상측 선창(26)이 형성된다. 칸막이 격벽(25)은 도시된 선박(10)에 있어서는 화체(21) 상호 간 마주보는 12개소에 설치되어 있고, 도 3에 있어서는 선수측 칸막이 격벽(25)에서 선미측 칸막이 격벽(25)을 향하여 부호 (a)~(l)이 부여되어 있다. 각각의 칸막(25)은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가 설치된 시트상의 가요성을 가지는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화체(21)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따라서 접촉하여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각각의 칸막이 격벽(25)은 선체(14)의 폭 방향으로 반으로 나뉘어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의 칸막이 격벽(25)이 맞닿는 위치가 되면 칸막이 격벽(25)은 닫힌 상태로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수직 지주(22)의 상단부에는 감김 롤라(27)가 설치되고, 다른쪽 수직 지주(23)의 하단부에는 감김 롤라(28)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좌우로 반으로 나뉘어진 칸막이 격벽(25)을 각각의 감김 롤라(27, 28)에 의하여 감으면, 칸막이 격벽(25)은 개방된 상태가 된다. 한편, 칸막이 격벽(25)은 각각의 감김 롤라(27, 28)로부터 감김이 풀리는 것에 의해 도1~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상태로 된다. 닫힌 상태로 되면 칸막이 격벽(25)에 설치된 태양전지에 의해 발전되어, 발전 전력은 선체(14) 내에 설치된 미도시의 배터리에 충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현측의 칸막이 격벽(25)을 감는 감김 롤라(27)가 수직 지주(22)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감김 롤라(27)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개폐창(29)이 설치되어 있다. 개폐창(29)은 미도시의 프레임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개폐창(29)을 개방하면 상측 선창 내를 환기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측 선창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개폐창(29)에는 칸막이 격벽(25)과 동일하게 태양전지가 설치되어 있고, 개폐창(29)의 개방 각도를 태양에 맞추어 개폐시키면 개폐창(29)에 설치된 태양전지에 의한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태양전지가 설치된 개폐창(29)을, 좌현측 전체의 감김 롤라(27)를 수직 지주(22)의 상단부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전체의 감김 롤라(27)의 아래쪽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개폐창(29)을 선체(14)의 종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마다 설치하여도 좋으며, 이 경우에는 개폐창(29)이 설치되지 않은 부분에 대응하는 칸막이 격벽(25)을 감는 감김 롤라(27)는 수직 지주(22)의 하단부에 설치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창(29)이 좌현측에 설치되어 있으나 개폐창(29)을 우현측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으며, 이 경우에는 감김 롤라(28)는 수직 지주(23)의 상단부에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우현측과 좌현측 양측에 태양전지 부착 개폐창(29)을 설치하면, 발전 효율을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선체(14) 내에는 갑판(15)의 하측에 하측 선창(16)이 설치되고, 갑판(15)의 상측에 상측 선창(26)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선창(26)에는 컨테이너(30a)가 적재됨과 함께 상측 선창(26)에는 컨테이너(30b)가 적재된다. 상측 선창(26) 내의 컨테이너(30b)는, 선박(10)의 항해시에는 칸막이 격벽(25) 의해 상측 선창(26)은 선외로부터 차폐되기 때문에, 우수나 해수 등의 물방울이 컨테이너에 부착되거나, 비산되거나 하는 일이 없다. 게다가, 항해시에는 상측 선창(26) 내의 컨테이너(30b)를 덮는 칸막이 격벽(25)에 의해 태양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베터리에 전력을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체(14) 우현측 측벽(13)의 상부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게이트문, 즉 개폐문(31)이 설치되어 있고, 개폐문(31)을 개방시킨 상태하에서, 하측 선창(16) 내로의 컨테이너(30a)의 하적 작업과, 하측 선창(16) 내에서 선외로의 하양작업이 행해진다. 갑판(15)의 하측에는 개폐문(31)에 대응하여 가이드레일(32)이 부착되어 있고, 각각의 가이드레일(32)은 우현측의 돌출부(18)까지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가이드레일(32)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선창(16) 내로 컨테이너(30a)의 하적작업 및 선외로의 하양작업 즉 하역작업을 행하기 위하여 선내 크레인(33)이 장착되어 있다.
도4는 안벽(34)에서 하양작업이 행해지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며, 하측선창(16) 내의 컨테이너(30a)는 하측선창(16) 내에 설치된 선내 크레인(33)에 의해 선외로 하양되어, 안벽(34)의 대차(35a)에 탑재된다. 안벽(34)에는 상측 선창(26) 내의 컨테이너(30b)를 하양하기 위한 안벽 크레인(37)이 설치되어있다. 이 안벽 크레인(37)에 의해, 상측 선창(26) 내의 컨테이너(30b)는 안벽(34)에 설치된 대차(35b)에 탑재된다. 도4에는 선박(10)에서 컨테이너(30a, 30b)를 하양하는 작업이 도시되어 있으나, 안벽(34)에서 선박(10) 내로 컨테이너(30a, 30b)를 하적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하측선창(16) 내로는 선내 크레인(33)에 의해 하적작업이 행해지고, 상측 선창(26) 내로는 안벽크레인(37)에 의해 하적작업이 행해진다. 이에 의하여, 상하 2단으로 된 상측선창(26)과 하측선창(16)이 설치된 선박(10)에 대하여는, 하측선창(16)과 상측선창(26)에서 동시에 하역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역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하측선창(16)에 대한 하역작업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개폐문(31)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전부 개방시키는 것에 의해 동시에 복수개소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측 선창(26)에 대한 하역 작업도, 전체의 칸막이 격벽(25)을 개방시키는 것에 의하여 복수개소에서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측 선창(26)에 대한 하역작업이 행하여질 때에는, 칸막이 격벽(25)이 개방되어 화체(21)의 수평들보(24) 부분에서 제거되기 때문에 태양전지로서의 칸막이 격벽(25)이 하역작업을 방해하지 않고 효율적인 하역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개폐문(31)은, 도시된 선박(10)에 있어서는,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우현측의 측벽(13)에 설치되어 있으나, 좌현측(12)의 측벽에 개폐문(31)을 설치하여도 좋고, 양방의 측벽(12, 13)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개폐문(31)이 양방의 측벽(12, 13)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좌우의 돌출부(17, 18)까지 가이드레일(32)이 돌출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32)이 돌출부(18까지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는데, 가이드레일(32)의 단부를 하측 선창(16) 내의 기단부에 대하여 접촉하여 이동가능하도록 하면, 하역작업 시에 가이드 레일(32)의 단부를 돌출부(18)에 돌출시키게 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4)는 선수측 모듈(14a)과, 선미측 모듈(14b)과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2개의 중간 모듈(14c, 14d)을 가지며, 이들 모듈을 연결하는 것에 의해 한척의 선체(14)가 구성된다. 선체(14)의 형태로는, 선수측 모듈(14a)과 선미측 모듈(14a)만으로 된 형태와, 임의의 수의 중간 모듈을 가지는 형태로 변경하는 것에 의해, 선체(14)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하여, 선박(10)에 한번에 적재되는 하물의 양에 대응하여 선체(14)의 길이를 변화시켜 적재량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하역 작업을 각각의 안벽 크레인(37)에 의해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5A는 선수측 모듈(14a)의 후단면을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5B는 선수측 모듈과 중간 모듈의 연결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측 모듈(14a)의 후단부에는 단벽(40)이 설치되고, 내부의 하측선창(16)은 폐쇄되며, 선수측 모듈(14a)은 단독으로 항행 가능하게 된다. 중간모듈(14c, 14d)의 양단부에는 각각 미도시의 단벽이 설치되어, 내부의 하측선창(16)은 폐쇄되고, 각각 수면상으로 뜬 상태로 된다. 선미측 모듈(14b)에 있어서도, 선단부에는 미도시의 격벽이 설치되고, 내부의 하측 선창(16)은 폐쇄되며, 선미측 모듈(14b)은 단독으로 항행 가능하게 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측 모듈(14a)의 단벽(40)에는 제1죠인트 부재(41)가 상하방향으로 조정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죠인트 부재(41)에 대응하여 중간 모듈(14c)의 앞쪽의 단벽에는 복수의 제2죠인트 부재(42)가 상하 방향으로 조정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선수측 모듈(14a)과 중간 모듈(14c)을 연결함에 있어서는, 각각의 죠인트 부재(41, 42)의 상하방향의 높이를 조정하고, 양방의 모듈(14a, 14c)을 접촉시킨 상태하에서 양방의 죠인트 부재(41, 42)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양방의 모듈(14a, 14c)은 상호간에 연결되게 된다.
동일하게, 중간 모듈(14c)의 뒤쪽의 단벽에는 제1죠인트 부재(41)가 장착되고, 중간 모듈(14d)의 앞쪽의 단벽에는 제2죠인트 부재(42)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중간 모듈(14d)의 뒤쪽의 단벽에는 제1죠인트 부재(41)가 장착되고, 선미측 모듈(14b)의 앞쪽의 단벽에는 제2죠인트 부재(42)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죠인트 부재(41, 42)를 상호간에 체결하는 것에 의해, 4개의 모듈로 이루어진 선체(14)가 형성되게 된다.
선체(14)의 구조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모듈을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1척의 선체(14)를 구성하도록 하는 타입 이외에, 통상의 선박에서와 같이 단일의 모듈로 이루어진 선체구조로 된 타입의 형태로 있지만, 모듈 연결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하역작업을 복수의 영역에서 각각 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하역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6(A)?(C)는, 도1?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듈연결 구조로 된 선박(10)에 있어서, 하역작업의 일 예를 도시한 하역작업 공정도이다. 안벽에 접근한 상태하에서,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4)를 중간 모듈(14c, 14d) 부분에서 분리한다. 이에 의해, 선수측 모듈(14a)과 중간 모듈(14c)이 연결된 부분과, 선미측 모듈(14b)과 중간 모듈(14d)이 연결된 부분의 2개의 부분으로 선체(14)가 분리된다. 이 상태하에서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측 모듈(14a)과 중간 모듈(14c)이 연결된 부분을 하역도크(34c)로 항행시키고, 선미측 모듈(14b)과 중간 모듈(14d)이 연결된 부분을 하역도크(34d)로 항행시킨다.
이어서, 도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측 모듈(14a)은 중간 모듈(14c)에서 분리되고, 중간 모듈(14c)을 하역도크(34c)에 남겨준 채로 선수측 모듈(14a)을 안벽(34)의 하역작업장(34a)에 접안한다. 동일하게, 선미측 모듈(14b)은, 중간 모듈(14d)에서 분리되고, 중간 모듈(14d)은 하역도크(34d)에 남겨둔 채로 선미측 모듈(14b)을 안벽의 하역작업장(34b)에 접안한다. 각각의 하역작업장에는 안벽 크레인(37a, 37b)이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하역 도크(34c, 34d)에는 안벽 크레인(37c, 37d)이 설치되어 있다.
도7은 도6(C)에 도시된 선수측 모듈(14a)과 중간 모듈(14c)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각각의 모듈에 대하여 하역작업이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4개로 분할된 상측 선창(26) 내의 컨테이너(30b)는, 각각의 안벽크레인(37a~37d)에 의해, 동시에 하역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동시에, 4개로 분할된 하측 선창(16) 내의 컨테이너(30a)도 각각 선내 크레인(33)에 의해 하역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1척의 선박(10)의 상측 선창(26)에 대한 하역작업을, 선체(14)를 4개로 분할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안벽 크레인(37a~37d)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수측 모듈(14a)에 설치된 화체(21) 가운데, 부호(c), (d)가 부여된 화체(21)의 사이에는 수납공간(45a)이 설치되고, 선미측 모듈(14b)에 설치될 화체(21) 가운데 부호(o), (p)가 부여된 화체(21)의 사이에는 수납공간(45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선수측 모듈(14a)의 후단부에 설치된 화체 21(f)와 중간 모듈(14c)의 선단부에 설치된 화체 21(g)와의 사이에는 수납공간(45c)이 설치되며, 선미측 모듈(14b)의 선단부에 설치된 화체 21(m)과 중간 모듈(14d)의 후단부에 설치된 화체 21(l)과의 사이에는 수납공간(45d)이 설치되어있다. 각각의 수납공간(45a~45d)의 선체(14) 좌우 양측에 위치시켜 화체(21)에는 날개형 돛(46)이 장착되어 있다.
도8은 수납공간(45a)에 위치시켜 화체(21)의 설치된 날개형 돛(46)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날개형 돛(46)은 기단부측에서 선단부측으로 순차적으로 외경이 작은 복수개의 지주편(47a~47g)에 의해 형성되는 지주(47)를 구비하고 있다. 지주(47)를 형성하는 각각의 지주편은, 속이 비어있는 기단부측의 지주편에 대하여 접하여 접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삽입되는 끼움방식으로 되어 있고, 지주(47)는 전체적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각각의 지주편(47a~47g)에는 각각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들보(48a~48g)가 설치되어 있고, 지지들보(48a~48g)에는 시트재(49)가 부착되어 있다.
도9는 날개형 돛(46)의 지주편(47b)과 여기에 설치된 수평들보(48c)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수평들보는 지주측의 폭이 크고, 선단을 향하여 점점 폭이 작아지도록 되어있다. 도8 및 도9는, 수납공간(45a)에 배치된 날개형 돛을 도시하지만, 다른 수납공간(45b~45d)에 배치된 다른 날개형 돛도 동일한 구조로 되어있다. 날개형 돛(46)은 각각의 지주(47)가 신축식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선단측의 지주편을 기단부측의 지주편의 중간에 삽입하면, 그 전체의 길이를 짧게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단부측의 지주편(47a)은, 화체(21)에 대하여 도 8에 화살표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가능하게 장착됨과 함께, 화살표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립위치와, 수납공간 내에 들어가 있는 수납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하역작업이 행하여질 때에는, 각각의 날개형 돛(46)은 수납공간(45a~45d) 내에 수납되어 하역작업에 날개형 돛(46)이 방해가 되는 것이 회피된다. 한편, 선박(10)이 항행할 때에는 날개형 돛(46)에 부딪히는 풍력 에너지를 이용하여 선박(10)에 추진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날개형 돛(46)은 도시된 선박(10)에 있어서는 합계 8개가 설치되어 있으나, 그 수는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날개형 돛(46)에 추가하여, 시트 상의 삼각 돛(50)이 화체(21) 및 하나의 날개형 돛(46)에 부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삼각 돛(50)은 2개의 각부가 화체(21)에 고정되고, 그 외 하나의 각부가 하나의 날개형 돛(46)의 선단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삼각 돛(50)에 의해 풍력을 선박(10)의 추진력에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박(10)이 항행하지 않을 때에는 삼각 돛(50)은 접어서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도 10(A)는 선미측 모듈(14b)의 저면도이고, 도 10(B)는 선수측 모듈(14a)의 저면도이다.
선미측 모듈(14b)의 선저벽(11)에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추진 튜브(51)가 종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고, 추진 튜브(51)의 양 단부는 개구되어 내부에는 주 프로펠러(52)가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조립되어 있다. 추진 튜브(51)의 후방에는 부 프로펠러(53)가 키부(舵剖, 54)에 설치되어 있고, 부 프로펠러(53)는 선체(14)에 대하여 항행 방향으로 추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키부(54)를 선회시켜 부 프로펠러(53)를 구동하면 선체(14)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추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고, 부 프로펠러(53)는 스턴(선미) 쓰러스터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주, 부 각각의 프로펠러(52, 53)는 선체(14)에 설치된 미도시의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고, 전동 모터는 칸막이 격벽(25)에 설치된 태양전지로부터 전력을 직접, 또는 선체(14) 내에 설치된 배터리로부터 공급받는다. 이와 같이, 선미측 모듈(14b)에는 프로펠러(52, 53)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미측 모듈(14b)과 중간 모듈(14d)을 항행시킬 때에는 프로펠러(52, 53)에 의해 얻어지는 추력에 의해 이들이 항행하게 된다. 선미측 모듈(14b)은 프로펠러(52, 53)에 의해 단독으로 항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수측 모듈(14a)의 선저벽(11)은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를 향하여 윗쪽으로 경사지어 있고, 선저벽(11)의 선수측 영역에는 중앙 융기부(5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융기부(55)의 좌우 양측에는 멀티바우쓰러스터(56)가 설치되어 있다.
도 11은 융기부(55)의 우현측에 설치된 멀티바우쓰러스터(56)를 도시한 확대 측면도이고, 멀티바우쓰러스터(56)는 구형상의 죠인트부(57)에 설치된 가동 홀더(58)를 구비하며, 이 가동 홀더(58)의 선단부에는 선수측의 프로펠러(59)가 설치되어 있다. 선수측 프로펠러(59)는, 선미측의 주, 부 양방의 프로펠러(52, 53)와 동일하게 선체(14) 내에 설치된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바우쓰러스터(56)의 프로펠러(59)를 융기부(55)에 설치된 요부(凹部) 내로 밀어 넣은 상태가 되면, 프로펠러(59)는 선체(14)의 폭 방향을 향한다. 이 상태에서 프로펠러(59)를 구동시키면, 선체(14)를 안벽에 붙이는 경우 등에는 선체(14)에 폭 방향의 추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바우쓰러스터(56)의 프로펠러(59)를 수중에서 항행 방향을 향하는 자세로 하고, 이 자세에서 프로펠러(59)를 구동시키면, 프로펠러(59)에 의해 선체(14)에는 항행 방향의 추력이 가해진다.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펠러(59)의 일부를 수면 WL 보다 돌출시킨 상태로 하는 것과 함께 프로펠러(59)를 항행 방향을 향하는 자세로 하며, 프로펠러(59)에 의해 다수의 기포 즉 거품이 생성되어 중앙 융기부(55)에 설치된 요부를 따라서 선저벽에는 기포가 내뿜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선체 마찰저항이 저감되고, 보다 적은 추진력으로 선박(10)은 항행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선수측 모듈(14a)에는 프로펠러(59)를 구비한 멀티바우쓰러스터(56)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측 모듈(14a)과 중간 모듈(14c)을 항행시킬 대에는 멀티바우쓰러스터(56)의 프로펠러(59)에 의해 얻어지는 추력에 의해 이들이 항행하게 된다. 선수측 모듈(14a)은 프로펠러(59)에 의해 단독으로 항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박(10)에 추진력을 가하는 프로펠러(52, 53, 59)는 전부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전동 모터에 대한 전력은 칸막이 격벽(25)에 설치된 태양전지가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에 의해 태양전지로부터 직접 또는 배터리를 통하여 공급된다. 또한 선박(10)에는 풍력을 선박(10)의 추진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날개형 돛(46)과 삼각 돛(50)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선박(10)은 내연기관을 사용하지 않고 태양 에너지와 풍력에 의해 항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화석 연료를 소비하지 않고 경제적인 항행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선박(10)이 보다 고속으로 항행하는 경우에는, 하측 선창(16) 내에 적재된 미도시의 연료전지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추가하는 것으로 전기 에너지가 조정 가능하게 된다.
각각의 프로펠러를 구동하기 위한 전동 모터에 대한 전력 공급에는 넓은 면적이 필요하게 되지만, 태양전지는 선박(10)의 상측 선창(26)을 덮도록 형성된 칸막이 격벽(25)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선박(10)의 상면적을 이용하여 선박(10)의 추진에 충분한 전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태양전지로서의 칸막이 격벽(25)은 개폐식으로 되어 있고, 개방된 상태에서는 칸막이 격벽(25)이 하역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고 원활하게 하역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는 선박(10)의 선수측 모듈(14a)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선박(10)의 선수측 갑판 상측에는 선교(船橋)와 거주구(居住區)가 설치되어 있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현측의 돌출부(18)에는 선원을 선내와 선외 사이에서 안내하기 위한 리프트(61)가 설치되어 있다. 리프트(61)는 신축식의 리프트 지주(62)와, 그 하단부에 설치되어 선원이 타는 캐리어(63)를 구비하고 있다. 리프트 지주(62)는 상단부 측에서 하단부 측 쪽으로 점차 소형으로 된 지주편을 구비하며, 하측의 지주편은 상측의 지주편 내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 리프트(61)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선원은 안벽과 선박(10) 사이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선박(10)과 소형 선박 사이를 왕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돌출부(18)를 이용하여 돌출부(18)에 리프트(61)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사다리를 이용하는 경우보다도 안전하게 선원을 선내와 선외 사이에서 왕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리프트(61)를 좌현측의 돌출부(17)에 설치하여도 좋고, 좌우 양방의 돌출부(17, 18)에 설치하여도 좋다.
리프트(61)의 구조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지주(62)를 끼움식으로 한 신축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타이어 등에 의해 캐리어(63)를 상하 이동되도록 한 형태이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시된 선박은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컨테이너선을 도시하였으나 운반하는 하물로는 컨테이너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의 화물을 수송하는 화물선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선박은 컨테이너선과 화물선에 적용되며, 선박의 추진력에는 태양 에너지와 풍력이 이용된다.

Claims (6)

  1. 컨테이너 등의 하물을 운반하는 선박에 있어서,
    선체에 설치되어 상기 선체 내에 하측 선창을 형성하는 갑판에, 상기 선체에서 돌출하여 설치된 좌우 양측의 돌출부와,
    상기 좌우 양측 돌출부의 선단에 각각 고정되는 수직 지주와, 양방의 상기 수직 지주를 연결하는 수평 들보를 구비하고, 상기 선체의 종 방향으로 간격을 떨어져서 배치되는 복수의 문형의 화체와,
    상기 화체 상호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갑판의 상측에 상측 선창을 형성하는 칸막이 격벽과,
    상기 갑판의 하측에 상기 하측 선창 내에 위치시켜 설치되고, 상기 하측 선창 내로의 하적 작업과 상기 하측 선창 내에서 선외로의 하양 작업을 행하는 선내 크레인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칸막이 격벽이 개방된 상태하에서, 안벽에 설치된 안벽 크레인에 의해 상기 상측 선창 내로의 하물의 하적과 상기 상측 선창 내에서 선외로의 하양과, 상기 선내 크레인에 의해 상기 하측 선창 내로의 하물의 하적과 상기 하측 선창 내에서 선외로의 하양을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격벽은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이고, 상기 칸막이 격벽이 닫혀진 상태하에서 선체에 항행 방향의 추력을 가하는 프로펠러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에 태양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립 위치와 수납 위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상기 화체에 장착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 들보와, 상기 지지 들보에 설치되는 시트재를 포함하는 날개형 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선미측에 선체 내에 설치된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선체에 항행 방향의 추력을 가하는 프로펠러를 설치하고, 상기 선체의 선수측에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폭 방향의 추력과 항행 방향의 추력을 가하는 쓰러스터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는 선수측 모듈, 선미측 모듈 및 상기 선수측 모듈과 상기 선미측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선수측 모듈과 상기 선미측 모듈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선체의 길이를 가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돌출부의 적어도 한쪽에 선원을 선내와 선외 사이에서 안내하는 리프트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117023781A 2009-04-15 2009-04-15 선박 KR101291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57620 WO2010119538A1 (ja) 2009-04-15 2009-04-15 船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763A true KR20120022763A (ko) 2012-03-12
KR101291870B1 KR101291870B1 (ko) 2013-07-31

Family

ID=42982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3781A KR101291870B1 (ko) 2009-04-15 2009-04-15 선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00460B2 (ko)
EP (1) EP2420438A4 (ko)
JP (1) JP5124047B2 (ko)
KR (1) KR101291870B1 (ko)
CN (1) CN102395507B (ko)
WO (1) WO201011953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388B1 (ko) * 2013-01-04 2014-10-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선박
KR101498209B1 (ko) * 2013-03-29 2015-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선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12695C2 (en) * 2013-12-02 2015-06-03 Oceanflore B V Device for launching a subsurface mining vehicle into a water mass and recovering the same from the water mass.
US10293904B2 (en) * 2016-05-13 2019-05-21 Wind + Wing Technologies, Inc. Deployable wingsail for container ships
US10870472B2 (en) 2016-05-13 2020-12-22 Wind + Wing Technologies, Inc. Deployable wingsail for container ships
US20170349051A1 (en) * 2016-06-06 2017-12-07 Edward Connell System and Method for Recharging Power Storage Devices on a Watercraft
NL2017388B1 (nl) * 2016-08-30 2018-03-08 Hallcon B V Systeem voor het met behulp van een shuttle overbrengen van personen en/of vracht
US20180127075A1 (en) * 2016-10-15 2018-05-10 Alistair JOHNSON Tig rig sail system
CN110654501A (zh) * 2019-09-20 2020-01-07 江苏省船舶设计研究所有限公司 一种电力推进的长江车客渡船
FR3106565A1 (fr) * 2020-01-25 2021-07-30 Gilles Serre Module vélique adaptable
NO20210789A1 (en) * 2021-06-17 2022-12-19 Green Energy As A power supply arrangement
FR3126394A1 (fr) * 2021-08-29 2023-03-03 Joseph Pierre Ursulet Porte-conteneurs double coque renforcé par une structure en nid d’abeilles, équipé de conteneurs semiincurvés, de volets mobiles, d’ancrages, d’une ceinture sphérique, de stabilisateurs, de bulbes caractérisés, d’une structure coupe vague
FR3131269A1 (fr) * 2021-12-23 2023-06-30 Ayro Navire avec au moins un propulseur vélique
CN114889792A (zh) * 2022-05-10 2022-08-12 中远海运重工有限公司 纯电动力集装箱船动力系统
FR3136446A1 (fr) * 2022-06-14 2023-12-15 Hugues De Turckheim Navire porte-conteneurs équipé d’un système de transbordement
FR3136742A1 (fr) * 2022-06-21 2023-12-22 Ship Studio Sarl Navire muni d’une extension et d’une défense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0979A (en) * 1916-12-09 1917-11-15 James Black Improved Apparatus for the Transport of the Passengers and (or) Crew from a Ship into Boats, or vice versa.
US2551066A (en) * 1947-07-03 1951-05-01 Lake Shore Engineering Company Ship mounted crane
US3165211A (en) * 1962-01-25 1965-01-12 Harold A Ablett Cargo ship design for quick loading and discharge
US4138961A (en) * 1976-02-23 1979-02-13 The Broken Hill Proprietary Company Limited Vessel for carrying steel slabs
US4043285A (en) * 1976-02-25 1977-08-23 Nordstrom Immo R Container ship
JPS57157596A (en) 1981-03-24 1982-09-29 Nippon Electric Co Method of producing thin film circuit board
JPS626957Y2 (ko) * 1981-03-31 1987-02-18
US4666356A (en) * 1982-07-26 1987-05-19 Contrawl Limited Containeriz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JPS59111792A (ja) 1982-12-15 1984-06-28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JPS59111792U (ja) 1983-01-20 1984-07-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
DE3402520A1 (de) * 1984-01-26 1985-08-14 Howaldtswerke - Deutsche Werft AG Hamburg und Kiel, 2300 Kiel Containerschiff
JPS6127785A (ja) 1984-07-19 1986-02-0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車両用無段自動変速機の制御方法
JPS6127785U (ja) 1984-07-25 1986-02-19 日立造船株式会社 コンテナ船
JPS62275889A (ja) * 1986-05-23 1987-11-30 Shigenobu Furukawa 自動車専用運搬船へのコンテナ積付方法
ES2067789T3 (es) 1991-04-29 1995-04-01 Wilhelm Brinkmann Vela perfilada.
JPH05221381A (ja) 1992-02-12 1993-08-31 Hideo Fukuda ソーラーボートの船体構造
DE9218758U1 (de) * 1992-06-25 1995-06-29 Howaldtswerke - Deutsche Werft Ag, 24143 Kiel Wetterschutzabdeckung für ein Containerschiff
DE4220868C1 (de) * 1992-06-25 1993-12-16 Howaldtswerke Deutsche Werft Wetterschutzabdeckung für Containerschiffe, insbesondere lukendeckellose Containerschiffe
US5863228A (en) * 1996-04-29 1999-01-26 Solom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pelling a marine vessel
US5868092A (en) * 1997-06-24 1999-02-09 Milidragovic; Mladen Wing sail and method of use
FR2808252B1 (fr) * 2000-04-26 2004-05-28 France Etat Navire porte conteneur autonome
JP2002315195A (ja) 2001-04-13 2002-10-25 Toyofuji Kaiun Kk 船舶用太陽光発電利用給電設備
US7103935B2 (en) * 2004-01-08 2006-09-12 David Hill Marine gangway to enable handicapped users to move between floating and fixed landings and related methods
JP3914540B2 (ja) * 2004-04-19 2007-05-16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貨物船
JP4436203B2 (ja) * 2004-07-20 2010-03-24 株式会社アイ・エイチ・アイ マリンユナイテッド 船舶
JP2006213229A (ja) * 2005-02-04 2006-08-17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
US7845297B2 (en) * 2007-04-03 2010-12-07 Keck Technologies, Llc Ship and associated methods of formation with vessels having connectable hulls
US7461609B1 (en) * 2007-02-14 2008-12-09 Harbor Wing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control of pivoting wing-type sai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388B1 (ko) * 2013-01-04 2014-10-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선박
KR101498209B1 (ko) * 2013-03-29 2015-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20438A1 (en) 2012-02-22
JPWO2010119538A1 (ja) 2012-10-22
US8800460B2 (en) 2014-08-12
CN102395507A (zh) 2012-03-28
KR101291870B1 (ko) 2013-07-31
WO2010119538A1 (ja) 2010-10-21
EP2420438A4 (en) 2015-05-06
US20120090520A1 (en) 2012-04-19
JP5124047B2 (ja) 2013-01-23
CN102395507B (zh) 201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870B1 (ko) 선박
EP2259962B1 (en) A ship
US6516737B2 (en) Autonomous container ship
US9422043B2 (en) Vessel with a rigid wingsail installation
WO2012057178A1 (ja) 船舶用パワーモジュール及び同船舶用パワーモジュールを具備する風力推進船
AU768325B2 (en) Craft for embarking/landing on unequipped shorelines
JP2008515699A (ja) 改良された転換可能な船舶
US20200262518A1 (en) Catamaran type vessel
KR100664915B1 (ko) 화물선
US20180297682A1 (en) Hybrid Ship Using Wind-Powered Propulsive Force as Auxiliary
JPS5941435B2 (ja) 船舶による乗客、貨物等の輸送方法およびその輸送設備
CN212797275U (zh) 中式帆船
CN218400287U (zh) 电动船舶换电用固定机构
AU2009202910B2 (en) Low Emissions Transport System
WO2008153413A1 (en) Deck structural system for a multihull vessel
WO2009109187A1 (en) A ship
TW201739676A (zh) 貨櫃船用之可佈展翼帆
JPS629479B2 (ko)
CN116118960A (zh) 一种船舶防横摇装置及船舶
EP4355651A1 (en) A power supply arrangement
CN117446137A (zh) 具备硬帆的船舶
RU2297941C2 (ru) Многоцелевое сухогрузное судно ледового плавания
US7013828B1 (en) Buoyant tube ship
JPS5858275B2 (ja) 荷役用補助舟艇を内蔵した船舶
JPS5819516B2 (ja) 港湾設備がない場所での荷役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船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