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6717A -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이동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이동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6717A
KR20230106717A KR1020237021976A KR20237021976A KR20230106717A KR 20230106717 A KR20230106717 A KR 20230106717A KR 1020237021976 A KR1020237021976 A KR 1020237021976A KR 20237021976 A KR20237021976 A KR 20237021976A KR 20230106717 A KR20230106717 A KR 20230106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s
storage
container
rise
hol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1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르스텐 하이데
폴커 브뤽
미헬 바네르트
Original Assignee
아모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모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모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106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67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35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with pulling or pushing means on either stacking crane or stacking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01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2Contain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해항 또는 내항의 환승 설비의 고층 입체 창고(1)에서 컨테이너(4, 34)들을 입고 및 출고하거나, 또는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컨테이너(4, 34)들은 저장 모듈(2)들 내에 다층식으로 배치되는 고층 입체 창고(1)의 랙 구획(3)들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통로(6)들에서 이송 가능한 입출고 장치(7)에 의해 운반될 뿐만 아니라, 입고 및 출고되거나, 또는 재적재된다. 상기 고층 입체 창고(1)를 위해, 본 발명의 과제는, 운반 수단의 사용을 감소시키면서도 고층 입체 창고(1)의 구조가 협폭인 경우에도 바닥 이동용 스태커(7)를 이용하여 각각의 개별 컨테이너(4, 34)에 대한 접근이 달성되게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컨테이너(4, 34)들은, 입출고 장치(7)의 승강형 신축식 홀더(35 ~ 38; 40, 41)들에 의해, 컨테이너의 세로 측면(11)이 앞으로 향하게 하여, 바람직하게는 입출고 장치(7)의 외주 외부 윤곽보다 돌출되지 않은 운반 위치로부터 신축 이동 방식으로 랙 구획(3)들 내로 입고되거나, 또는 그 랙 구획들로부터 인출되어 입출고 장치(7) 내의 운반 위치 내로 다시 신축 이동된다.

Description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RETRIEVING OR SHIFTING CONTAINERS IN HIGH-BAY WAREHOUSES}
본 발명은 특히 해항(sea port) 또는 내항(inland port)의 환승 설비(transfer facility)의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들을 입고 및 출고하거나, 또는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며, 컨테이너들은 저장 모듈들(storage module) 내에 다층식으로 배치되는 고층 입체 창고의 랙 구획들(rack bay)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통로들(aisle)에서 이송 가능한 입출고 장치들(storage and retrieval unit)에 의해 운반될 뿐만 아니라, 입고 및 출고되거나, 또는 이동된다.
EP 1 272 414 B1을 통해서는, 열의 형태인 개별 저장 모듈들로 구성되어 부두를 따라서 제공되는 컨테이너 창고와, 부두에 정박해 있는 선박과의 화물 환승을 위해 저장 모듈들과 상호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재 설비(loading facility)를 포함하여, 특히 20 TEU 또는 40 FEU 컨테이너와 같은 표준 컨테이너를 위해 해항 및 내항에 구비되는 환승 설비가 공지되었다. 화물 환승을 위한 적재 설비는 적어도 하나의 항구용 이동식 크레인(harbor mobile crane)을 구비하고 있다. 이 이동식 크레인의 하중 붐(load boom)은, 모듈 폭에 따르는 개수의 컨테이너 열을 구비한 다수의 저장 모듈로 구성되는 컨테이너 창고의 내부에 제공되어 항구용 이동식 크레인과 컨테이너 창고의 저장 모듈들 사이의 경계면(interface)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승 위치(transfer position)의 영역에 도달한다.
항구용 이동식 크레인의 회동형 붐에 의해 환승 위치에 내려 놓이는 컨테이너는, 컨테이너의 수평 운반 및 적재를 수행하는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에 의해 파지된다. 스태커 크레인은, 크레인 캐리지(crane carriage)를 구비한 스팬드럴 브레이스드 브리지 크레인(spandrel-braced bridge crane)으로서 형성되어, 부두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컨테이너 창고의 저장 모듈, 예컨대 9개 컨테이너의 폭과 3개 내지 4개 컨테이너의 높이를 갖는 저장 모듈에 걸쳐서 이동한다. 저장 모듈들은 상이한 수평 평면들에서 개별 저장 모듈들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트랙들 상에서 이송될 수 있으면서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2개의 횡방향 트랜스포터(transverse transporter)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컨테이너들은 컨테이너 창고의 저장 모듈들의 랙 구획 내에 서로 겹쳐서 적층되며, 이는 유연한 입고 및 출고를 방해한다.
DE 10 2008 007 860 A1로부터는, 임의의 개수로 컨테이너들을 상하로 서로 나란하게 개별적으로 랙 구획들 내로 입고하거나 출고하고 그 결과 임의의 순서로 컨테이너 환승을 가능하게 하는 점이 공지되어 있다. 이를 위해, 항구 터미널에서 제한적으로만 가용한 면적을 고려하면서 상기 면적의 확장을 방지하기 위해 문형 크레인(portal crane)이 이용되며, 이런 문형 크레인은 통로들 내에서 이송 가능한 바닥 이동용 스태커들(floor-going stacker) 또는 입출고 장치들보다 컨테이너들의 더 밀집한 저장을 허용한다. 이 경우, 컨테이너들은 개별적인 접근이 가능하고 상하 간에 약간의 여유 공간만이 있는 상태로 랙 구획들 내로 삽입되며, 랙 구획은, 양쪽 세로 측면에, 자체의 단부면들로 랙(rack) 내로 삽입되는 컨테이너의 폭에 상응하게, 랙 깊이(rack depth)의 방향으로 지지 레일들을 구비하고 있다. 통로들 위쪽에서 이송 가능한 브리지 크레인은 케이블들에 의해 상승 및 하강 가능한 컨테이너 홀더를 운반하고, 이 컨테이너 홀더는 가이드 레일들(guide rail)을 구비한 환승 브리지(transfer bridge) 상에 배치되고 자체의 단부들 상에는 모터 또는 유압으로 높이 조정이 가능하면서 컨테이너의 귀퉁이 측 히칭 지점들(hitching point)과 잠금 고정될 수 있는 컨테이너 그리퍼(container gripper)를 포함하며, 컨테이너는 랙 또는 랙 구획 내에 배치된 횡방향 스파들(transver spar) 상에 내려 놓이거나, 또는 그곳으로부터 격납될 수 있다. 컨테이너 홀더는,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를 위해, 랙 구획들의 지지 레일들 상에서 구동되는 가이드 롤러들을 통해, 랙 구획들의 종방향으로 전체 랙 깊이에 걸쳐서 교호적으로 이동된다. 컨테이너들의 상이한 길이들에 대한 매칭을 위해, 컨테이너 홀더는 길이와 관련하여 조정 가능한 지지 암들(support arm)을 포함하며, 이 지지 암들 상에 컨테이너 그리퍼가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일반적인 고층 입체 창고에서 운반 수단의 사용이 감소되게 하고 그 밖에도 고층 입체 창고의 구조가 협폭인 경우에도 바닥 이동용 스태커를 이용하여 각각의 개별 컨테이너에 대한 접근이 달성되게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서, 컨테이너들이, 입출고 장치의 승강형 신축식 홀더들에 의해, 컨테이너의 세로 측면이 앞으로 향하게 하여, 바람직하게는 입출고 장치의 외주 외부 윤곽보다 돌출되지 않은 운반 위치로부터 신축 이동 방식으로 랙 구획들 내로 입고되거나, 또는 그 랙 구획들로부터 인출되어 입출고 장치 내의 운반 위치 내로 다시 신축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이 경우, 컨테이너들은 맞물림 해제된 신축식 홀더들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걸림 고정되어 운반되는 방식으로 입출고 장치의 윤곽에서 벗어나 랙 구획들 내로 삽입되고 이 삽입된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자체의 귀퉁이 지점들에서만 지지되는 방식으로 내려 놓인다. 한편, 컨테이너들은, 랙 구획들에서 인출되는 경우, 맞물림 해제된 신축식 홀더들로 바람직하게는 다시금 걸림 고정 방식으로 인계되며, 그리고 신축식 홀더들의 맞물림을 통해, 신축식 홀더들의 복귀되는 출발 위치에서, 입출고 장치의 윤곽과 동일 평면에 놓이는 운반 위치로, 다시 말하면 컨테이너의 협폭의 단부면들이 통로 방향으로 향하는 방식으로 이동된다.
컨테이너들을 입고 및 출고하기 위한 상기 방법의 경우, 세로 측 입고 또는 출고가, 신축식 홀더들 상에 걸림 고정된 컨테이너들과 함께 신축식 홀더들의 서랍 방식의 인출 또는 공동 이동과 상호 작용하면서, 폭 치수가 최대한 작은 이동 통로들을 구비한 고층 입체 창고의 특히 공간 절약형 구조를 허용하는 것을 통해, 큰 장점이 달성된다. 요컨대 상기 이동 통로들은, 충분한 측면 중간 공간을 통해 랙 구획들을 포함하는 저장 모듈들에서의 안전한 통행을 보장하기 위해, 컨테이너의 폭보다 극미하게만 더 넓기만 하면 된다. 그러므로 입출고 장치들은 조밀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입고 및 출고 또는 적재 또는 이동을 위해 추가 공간을 요구하면서 돌출된 붐 암(boom arm) 또는 그리퍼 암(gripper arm)을 요구하지 않는다. 입출고 장치의 최대한 넓은 윤곽은 실질적으로 컨테이너 폭에 상응하며, 그리고 걸림 고정된 컨테이너와 함께 인입된 신축식 홀더들을 돌출 부분 없이 수용한다. 이미 초기 취급 이동(handling movement)과 함께 그 즉시, 신축식 홀더들은 신축 이동 동안 최종적인 격납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수평 변위가 증가함에 따라 컨테이너와 함께 랙 구획 내로 완전하게 인입된다.
바람직하게 본원의 방법은,
- 고층 입체 창고의 인입 단부에서 컨테이너들은 자체의 종축이 고층 입체 창고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식으로 이동 통로들 옆의 측면으로 공급되고,
- 그런 다음, 통로에서 이송 가능한 입출고 장치가 수용할 컨테이너의 앞으로까지 이송되어 걸림 고정 위치에서 자체의 히칭 지점들(hitching point)을 통해 잠금 고정된 컨테이너를 인계받으며, 이를 위해, 취급 이동을 통해 이동 통로에 대해 직각으로 입출고 장치로부터 잠금 고정 수단들을 구비한 신축식 홀더들이 컨테이너 히칭 지점들의 위에까지 인출되어 잠금 고정을 위해 하강되고,
- 잠금 고정 후에 신축식 홀더들은 걸림 고정된 컨테이너와 함께 상승되고, 반대 방향의 취급 이동을 통해서는, 컨테이너가 입출고 장치 내에서 평면에서 이동 통로와 동일 평면에 놓이는 각각의 걸림 고정 위치 및 운반 위치를 취할 때까지, 입출고 장치 내로 다시 인입되고,
- 그런 다음, 입출고 장치는 이동 통로에서 할당되는 랙 구획의 앞쪽으로 이송되며, 그리고 랙 구획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층에 위치된다면, 바람직하게는 리프팅 브리지 상에 배치된 신축식 홀더들은 수직 상승되고,
- 상기와 같이 사전 포지셔닝된 컨테이너는 신축식 홀더들의 취급 이동을 위해 이동 통로에 대해 직각으로 랙 구획 내로 삽입되고,
- 결과적으로 컨테이너는, 자체의 컨테이너 귀퉁이 영역들로, 랙 구획들을 범위 한정하는 저장 모듈들의 수직 지주대들(vertical post) 상에 배치된 귀퉁이 지점 지지대들(corner-point support) 상으로 내려 놓이며, 그리고
- 컨테이너의 잠금 해제 후에, 신축식 홀더들은 상승되어 자체의 복귀되는 출발 위치로 이동되는 정도로
수행되는 입고 과정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컨테이너의 처리량 최적화를 위해, 신축식 홀더들이 입출고 장치로부터 랙 구획 내 자체의 수용 위치로 이동되면서, 저장 모듈의 내부에서, 또는 또 다른 이동 통로에서 출고하거나 이동시키는 동안, 다시 말하면 저장 장소를 변경하는 동안, 전자동으로 진행되는 취급 및 이동뿐 아니라 잠금 고정 이동은 전술한 입고 방법의 순서와 반대로 수행된다.
특히 본원의 방법의 실행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따르면, 고층 입체 창고는 컨테이너들의 세로 측 입고를 위해, 종방향으로 통로 측면을 따라서 서로 나란히 늘어서 있고 폭 방향으로는 각각 통로를 통해 분리되어 연속되는 다층식이면서 수직으로는 복수의 랙 구획을 포함하고 깊이는 컨테이너 폭에 상응하는 임의의 많은 수의 저장 모듈로 구성되고, 랙 통로들에서 이리저리 이송 가능한 입출고 장치들을 포함하며, 이 입출고 장치들은 컨테이너의 수용을 위해 이동 통로에 대해 직각으로 맞물리고 맞물림 해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는 신축식 홀더들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저장 모듈들의 랙 구획들 내로 입고하기 위해 제공되는 컨테이너들은 운반 차량들 및/또는 라인 내에 배치되는 전달 수단들, 예컨대 내려 놓인 후에 컨테이너를 운반 차량을 통해 입출고 장치의 접근 영역으로 이송하는 슬라이딩 테이블들에 의해 고층 입체 창고의 전면에서 이동 통로들의 옆으로 공급되며, 이 위치에서 상기 컨테이너들은 입출고 장치들로 인계되어 자체의 협폭의 단부면들이 통로 방향으로 향하는 방식으로 랙 구획으로까지 운반된다.
랙 구획으로부터 출고하기 위해 제공되는 컨테이너들은 입출고 장치에 의해, 자체의 세로 측면들이 앞으로 향하게 하여 수평으로 랙 구획으로부터 입출고 장치의 윤곽 내로 이동되고, 그런 다음 자체의 협폭의 단부면들로는 통로 방향으로 향하는 방식으로 입고 측에 대향하여 있는 고층 입체 창고의 전면 쪽으로 운반되고, 이 위치에서 컨테이너는 실어 내지도록 하기 위해 공급된다. 이 경우, 주지할 사항은, 재료 흐름은 모든 자유도를 갖고 전면들의 정적 할당은 규정되지 않으며, 그럼으로써 고층 입체 창고의 양쪽 전면으로부터 입고 과정뿐만 아니라 출로 과정 역시도 일어날 수 있게 된다는 점이다.
입고 동안 자체의 세로 측면들이 앞으로 향하게 하여 수평으로 입출고 장치의 윤곽으로부터 랙 구획 내로 이동되는 컨테이너는 랙 구획 내에서 자체의 바닥 측 귀퉁이 영역들로 이를 위해 랙 구획들 내에 제공되는 귀퉁이 지점 지지대들 상에 입출고 장치에 의해 승강 이동을 통해 내려 놓이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층 입체 창고의 양쪽 전면으로부터 통로들 내로 인입 이송될 수 있는 입출고 장치들에 의해, 다층식 저장 모듈들의 랙 구획들 내에 입고된 각각의 개별 컨테이너에 대한 임의의 접근이 가능하다.
바닥 또는 통로 이동용 입출고 장치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라서, 수직 스탠드들과 이 수직 스탠드들을 서로 연결하는 헤드 또는 베이스 빔들로 구성되고 다층식 고층 입체 창고에 상응하는 높이를 갖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입출고 장치를 이송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빔들 내에는 이동 구동 장치가 통합되며, 그리고 입출고 장치들의 경우 통상적인 휠/레일 연결을 통해 실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수직 스탠드들의 가이드들 내에서는 리프팅 장치가 이동하며, 이 리프팅 장치는,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포크 또는 y자 유형으로 확장되는 측면 스탠드들과, 각각 대향하는 두 포크 단부 상에서 상기 측면 스탠드들을 서로 연결하여 프레임을 형성하면서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는 종방향 스파들(longitudinal spar)로 구성되고, 리프팅 장치의 보강을 위해, 종방향 스파들의 하부에는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는 스트럿들(strut)이 제공되며, 이 스트럿들은 각각 일측 측면 스탠드의 베이스 단부로부터 타측 측면 스탠드의 베이스 단부 쪽으로 연장된다. 이런 방식으로 형성되어, 두 측면 스탠드를 연결하는 자체의 구조로 인해 리프팅 브리지로서도 지칭될 수 있는 리프팅 장치는 모든 필요한 취급 이동 자체 동안 항상 입출고 장치의 액슬 내에서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리프팅 장치 또는 리프팅 브리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케이블, 케이블 드럼, 편향 풀리들, 리프팅 모터 및 리프팅 기어로 구성되는 케이블 제어 장치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리프팅 장치 또는 리프팅 브리지는 정확하게 수평의 위치에서 입출고 장치 내부의 각각의 높이에서 랙 구획과 관련하여 정확하게 포지셔닝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테이너의 수용을 위한 리프팅 장치 또는 리프팅 브리지의 길이는 현존하는 가장 긴 컨테이너 길이에 따라 설계되고 포크 또는 y자형 측면 스탠드들의 대칭 폭은 표준화된 컨테이너 폭에 따라서 설계되며, 그럼으로써 리프팅 장치의 최대 외부 윤곽은 컨테이너의 외부 윤곽과 일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고층 입체 창고는, 상이한 길이 및 높이를 가지면서 입출고 장치에 의해 운반되고 취급되는 컨테이너들을 위한 저장 장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는 예컨대 DIN-ISO-668 치수 및 ISO-6346 유형에 상응하는 표준 컨테이너이다.
본 발명의 추가 구현예에 따라서, 리프팅 장치 또는 리프팅 브리지의 종방향 스파들 상에는, 이 종방향 스파들의 이격 간격을 연결하면서 최소의 컨테이너 길이에 상응하게 서로 이격되는 방식으로 2개의 고정된 신축식 홀더가 배치되며, 그리고 최대의 컨테이너 길이에 상응하게 서로 이격되는 방식으로 2개의 추가의 고정된 신축식 홀더도 배치된다.
이 경우, 표준화된 20피트 컨테이너 TEU(20피트 등가 단위)를 입고하거나 출고하기 위해, 최소의 길이로 서로 이격되는 2개의 내부 신축식 홀더가 이용되며, 그에 반해 표준화된 40피트 컨테이너 FEU(40피트 등가 단위)의 입고 또는 출고는 최대의 길이로 서로 이격되는 2개의 외부 신축식 홀더에 의해 수행된다. 고정된 신축식 홀더들은 자체의 기본 하우징들(basic housing)로 종방향 스파들의 하면 상에 고정되며, 두 내부 신축식 홀더는 두 외부 신축식 홀더들에 상대적으로 높이 오프셋 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종방향 스파들의 서로 향해 있는 내면들 상에는 선형 가이드들이 배치되며, 이 선형 가이드들 내에서는 2개의 신축식 홀더가 이송될 수 있으면서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이격되는 이동을 통해 각각의 컨테이너의 길이에 상응하게 포지셔닝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단지 2개의 신축식 홀더만으로도 20피트 컨테이너뿐만 아니라 40피트 컨테이너 역시도, 또는 또 다른 치수를 갖는 컨테이너도 입고 및 출고되거나, 또는 이동되며, 이를 위해 이송 가능한 신축식 홀더들은 본 발명의 한 제안에 따라서 자체의 기본 하우징 상에서 베어링 브래킷 또는 지지 브래킷들 내에 위로 향해 배치되는 롤러들로 종방향 스파들의 선형 가이드들 내에서 구름 이동한다.
이 경우, 그 외에, 본 발명에 따라서, 각각의 선형 가이드를 위해 신축식 홀더들의 기본 하우징의 측면들에 각각 2개의 이중 롤러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그에 따라 전체적으로 8-롤러 지지는 선형 가이드들의 내부에서 신축식 홀더들의 안전하면서도 편향 없는 이동 시퀀스를 허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고정된 신축식 홀더들의 기본 하우징뿐만 아니라, 이송 가능한 신축식 홀더들의 기본 하우징 역시도 2개의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신축식 푸시 암(telescopic push arm)을 수용하며, 외부 신축식 푸시 암은 양측의 외부 가이드 프로파일들로 기본 하우징의 가이드 롤러들 상에서 이동하고 내부 신축식 푸시 암은 양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롤러들로 외부 신축식 푸시 암의 내부 가이드 프로파일들 내에서 이동한다.
상기의 방식으로 기본 하우징 내에 통합되어 바람직하게는 랙 및 피니언 구동 장치들(rack and pinion drive)을 통해 이송될 수 있는 신축식 푸시 암들은 신축식 홀더들의 조밀한 구조를 허용하며, 그럼으로써 기본 하우징 및 기본 위치에 완전히 인입된 신축식 푸시 암들 중 어느 쪽도 리프팅 장치 또는 리프팅 브리지의 폭보다 더 돌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신축식 푸시 암들은, 컨테이너의 세로 측 입고의 방향으로 볼 때, 내부 신축식 푸시 암 상에 배치되는 전방의 잠금 고정 수단 및 외부 신축식 푸시 암 상에 배치되는 후방의 잠금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잠금 고정 수단들은 표준화되어 있는 이른바 트위스트 잠금 볼트들(twist lock bolt)로서 형성될 수 있으면서 컨테이너 상면 상의 상보적인 개구부들 내로 맞물려 고정된다.
또한, 입출고 장치의 수직 스탠드의 협폭 측 상에는, 리프팅 장치, 입출고 장치의 이동 구동 장치 및 이송 가능한 신축식 홀더들을 위한 전기 공급 수단들의 수용을 위해 수직 스탠드 상에, 그리고 베이스 빔 상에 고정되는 스테이지 구조(stage structure)가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지 구조는 예컨대 개폐 및 전기 캐비닛들, 케이블 드럼, 리프팅 모터 및 리프팅 기어뿐만 아니라 브레이크들 및 제동 저항기들을 위한 플랫폼으로서 이용되며, 스테이지 구조의 폭은 대략 리프팅 장치 또는 입출고 장치의 폭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들 및 상세내용들은, 특허청구범위에서, 그리고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하기 기재내용에서 제시된다.
도 1은 랙 통로들에서 이송 가능한 바닥 이동용 입출고 장치들과 함께 다층식 고층 입체 창고를 간소화하여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입출고 장치를 상세도로서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고층 입체 창고의 상세도로서 컨테이너를 입고하기 위해 랙 구획 내로까지 인출된 신축식 홀더들을 포함하여 저장 모듈의 랙 구획의 앞에 정지해 있는 입출고 장치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입출고 장치의 상세도로서 신축식 홀더들 상에 걸림 고정되어 인출되어 있는 컨테이너와 함께 입출고 장치의 리프팅 브리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앞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은 상세도로서 신축식 홀더들이 리프팅 브리지의 종방향 스파들의 선형 가이드들 내에서 차례로 이송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더 작은 길이 치수를 가지면서 여기서는 도 4에 비해 신축식 홀더들에 의해 걸림 고정되고 잠금 고정되어 수용된 컨테이너와 함께 입출고 장치의 리프팅 브리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앞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지만, 한편으로, 처음부터 컨테이너들의 히칭 지점들과 잠금 고정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최소의 컨테이너 및 최대의 컨테이너에 상응하는 길이 치수를 가지면서 리프팅 브리지의 종방향 스파들 상에 고정 체결된 신축식 홀더들과 함께 리프팅 브리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상세도로서 인입된 신축식 푸시 암들을 포함하여 자체의 출발 위치에 있는 신축식 홀더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신축식 홀더이지만, 신축식 푸시 암들이 인출된 상태로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1의 개략도에는, 컨테이너(4)들을 입고하고 출고하기 위해 나란히 늘어서 있는 저장 모듈(2)들 내에 다층식으로 배치되는 랙 구획(3)들로 구성되는 고층 입체 창고(1)가 도시되어 있으며, 랙 구획(3)들은 컨테이너(4)의 격납을 위한 귀퉁이 지점 지지대(5)들을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이에 대해서는 도 3 참조).
저장 모듈(2)들 사이에는, 고층 입체 창고(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이동 통로(6)들이 이 이동 통로들 내에서 이리저리 이송될 수 있는 입출고 장치(7)들을 위해 형성되며, 입출고 장치(7)들은 고층 입체 창고(1)의 양쪽 전면(8, 9)(front face)에서 이동 통로(6)들 내로 인입될 수 있다.
고층 입체 창고(1)의 전방 전면(8)(및/또는 선택적으로는 후방 전면)에서 컨테이너(4)들은 운반 차량(10)들 및 경우에 따라서는 라인 내에 배치되는 전달 수단들(미도시), 예컨대 슬라이딩 테이블들에 의해 자체의 종축이 고층 입체 창고(1)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식으로 이동 통로(6)들 옆의 측면으로 공급된다. 이 위치에서 컨테이너(4)들은 걸림 고정 위치에서 입출고 장치(7)들로 인계되며, 그리고 이동 통로(6)들을 통해 저장 모듈(2)의 랙 구획(3)으로까지 운반되며, 그런 다음 컨테이너들은 자체의 세로 측면(11)이 앞으로 향하게 하여 상기 랙 구획 내로 입고된다. 실시예와 달리, 그리고 컨테이너 터미널 내 고층 입체 창고의 실질적인 통합에 따라서 입고 및 출고 지점들은 예컨대 고층 입체 창고의 세로 측면들에 위치될 수도 있다.
입출고 장치(7)에 의해 출고를 위해 랙 구획(3)에서 인출되는 컨테이너(4)는 이동 통로(6)들을 통해 고층 입체 창고(1)의 후방 전면(9) 쪽으로 운반되며, 그리고 이 후방 전면에서 추가 운반을 위한 인계를 위해 하적된다.
도 2에서 상세도로서 도시된 입출고 장치(7)는 수직 스탠드(12)들과 이 수직 스탠드들을 서로 연결하는 헤드 또는 베이스 빔(13, 14)들로 구성되고 다층식 저장 모듈(2)들에 상응하는 높이를 갖는 프레임(15)을 포함한다.
입출고 차량(7)은 랙 및 피니언 구동 장치(16)를 통해 이송될 수 있으며, 구동되는 피니언 기어(17)는 베이스 빔(14)의 단부 영역(18) 내에 통합되며, 그리고 치합되는 랙(19)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 통로(6)의 바닥부(20) 내에 배치된다.
수직 스탠드(12)들은 가이드(21)들을 구비하여 형성되고, 이 가이드들 내에서는 리프팅 장치(23)가 이동하고, 이 리프팅 장치는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포크 유형으로 확장되는 측면 스탠드(24)들과, 각각 대향하는 두 포크 단부(25, 26) 상에서 상기 측면 스탠드들을 서로 연결하여 프레임을 형성하면서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는 종방향 스파(27, 28)들로 구성된다. 리프팅 장치(23)의 보강을 위해, 측면 스탠드(24)들의 하단부 상에 상기 측면 스탠드들을 연결하면서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는 베이스 스트럿(29, 30)들도 제공된다(이에 대해서는 도 4, 5 및 6 참조).
양방향 화살표(31)에 따르는 리프팅 장치(23)의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해 케이블 제어 장치가 제공되며, 이 케이블 제어 장치 중에 여기서는 케이블 드럼(32)과, 입출고 장치(7)의 헤드 빔(13) 상에 배치되는 편향 풀리(33)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리프팅 브리지(22) 또는 리프팅 장치(23)의 길이는 예컨대 40 FEU(40피트 등가 단위)의 현존하는 가장 긴 컨테이너 길이를 갖는 컨테이너(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그 밖에 예컨대 20TEU(20피트 등가 단위)의 현존하는 가장 짧은 컨테이너 길이를 갖는 컨테이너(34) 역시도 리프팅 장치(23)에 의해 파지되어 운반될 수 있어야 한다(이에 대해서는 도 5 및 6 참조).
그러므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리프팅 브리지(22)의 종방향 스파(27 및 28)들 상에는 상대적으로 더 짧은 컨테이너(34)의 수용을 위한 2개의 고정된 내부 신축식 홀더(35, 36)와 상대적으로 더 긴 컨테이너(4)의 수용을 위해 그에 상응하게 서로 더 멀리 이격되어 있는 2개의 외부 신축식 홀더(37, 38)가 제공된다. 고정된 신축식 홀더(35 ~ 38)들은 자체의 기본 하우징(39)들로 종방향 스파(27 및 28)들의 하면 상에 고정되며, 더욱 정확하게 말하면 내부 신축식 홀더들은 외부 신축식 홀더들에 상대적으로 수직 오프셋되어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추가 실시형태에 따라서, 2개의 신축식 홀더(40, 41)만이 제공되며, 이들 신축식 홀더는 종방향 스파(27 및 28)들의 선형 가이드(42)들 내에서 이송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이격되는 이동[양방향 화살표(43)]을 통해 컨테이너(34) 또는 컨테이너(4)의 길이에 상응하게 포지셔닝될 수 있다(이에 대해서는 도 2, 3 및 4 참조). 이송 가능한 신축식 홀더(40, 41)들은 자체의 기본 하우징 상에서 베어링 브래킷 또는 지지 브래킷(45)들에 배치되는 이중 롤러(46)들을 통해 종방향 스파(27 및 28)들의 선형 가이드(42)들 내에서 유지된다(이에 대해서는 도 7 참조).
고정된 신축식 홀더(35 ~ 38)들의 기본 하우징(39)뿐만 아니라, 이송 가능한 신축식 홀더(40, 41)들의 기본 하우징(44) 역시도 외부 신축식 푸시 암(47) 및 내부 신축식 푸시 암(48)을 수용하며, 외부 신축식 푸시 암(47)은 양측의 외부 가이드 프로파일(49)들로 기본 하우징(39 또는 44)의 가이드 롤러(50)들 상에서 이동하고 내부 신축식 푸시 암(48)은 양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롤러(51)들로 외부 신축식 푸시 암(47)의 내부 가이드 프로파일(52)들 내에서 이동한다(이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 참조).
외부 및 내부 신축식 푸시 암(47, 48)의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는 각각 랙 및 피니언 구동 장치(53, 54)들을 통해 수행된다. 외부 신축식 푸시 암(47)을 위한 랙 및 피니언 구동 장치(53)의 경우, 랙(55)은 외부 가이드 프로파일(49)들 사이에 제공되며, 그에 반해 랙(55)에 치합되는 피니언(56)은 기본 하우징(39 및 44)들의 상면 상에 배치된다. 내부 신축식 푸시 암(48)을 위한 랙 및 피니언 구동 장치(54)의 경우에 랙(57)은 신축식 푸시 암(48) 자체 상에 제공되며, 그에 반해 랙(57)에 치합되는 피니언(58)은 외부 신축식 푸시 암(47)의 외부 가이드 프로파일(49)들 사이에 배치된다.
컨테이너(4, 34)들과의 잠금 고정을 위해, 신축식 푸시 암(47, 48)들은 각각 자체의 하면 상에 이른바 트위스트 잠금 볼트(59, 60)들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또한, 입출고 장치(7)는 베이스 빔(14)의 단부 영역(18) 및 수직 스탠드(12) 상에 배치되는 스테이지 구조(61)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스테이지 구조(61)는, 리프팅 장치(23) 및 입출고 장치(7)의 이동 구동 장치(16)를 위해, 그리고 신축식 홀더(35 ~ 38 및 40, 41)의 구동을 위해 요구되는 유닛들을 수용한다.
하기에서는, 도 1 ~ 도 4에 따라서, 고층 입체 창고(1) 내로 컨테이너의 입고 과정이 기재된다.
입출고 장치(7)는, 고층 입체 창고(1)의 전방 전면(8)에서 자체의 종축이 고층 입체 창고(1)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식으로 이동 통로(6) 옆의 측면으로 공급되는 컨테이너(4)를 수용하기 위해, 완전하게 맞물려진 외부 및 내부 신축식 푸리 암(47, 48)으로 자체의 랙 및 피니언 구동 장치(16)를 통해 상기 전방 전면으로까지 이송된다. 이를 위해, 신축식 홀더(40, 41)들은 자체의 이중 롤러(46)들을 통해 수용할 컨테이너(4)의 길이에 상응하게 선형 가이드(42) 내에서 이송되고, 그런 다음 외부 및 내부 신축식 푸시 암(47, 48)은 자체의 랙 및 피니언 구동 장치(53, 54)들에 의해 컨테이너(4) 위쪽으로 인출되어 컨테이너 히칭 지점들 위로 하강된다. 이제 컨테이너는 전방 및 후방 트위스트 잠금 볼트(59, 60)를 통해 외부 및 내부 신축식 푸시 암(47, 48)과 잠금 고정된다.
잠금 고정 후에, 외부 및 내부 신축식 푸시 암(47, 48)은 걸림 고정된 컨테이너(4)와 함께 리프팅 브리지(22)의 자유 리프팅(free lifting)을 통해 상승되며, 그리고 컨테이너(4)가 입출고 장치(7) 내에서 평면에서 이동 통로(6)와 동일 평면에 놓이는 각각의 걸림 고정 위치 및 운반 위치를 취할 때까지, 랙 및 피니언 구동 장치(53, 54)들을 통해 입출고 장치(7) 내로, 또는 리프팅 브리지(22)의 하부로 다시 인입된다.
그에 이어서, 입출고 장치(7)는 자체의 랙 및 피니언 구동 장치(16)를 통해 이동 통로(6)에서 저장 모듈(2)의 할당되는 랙 구획(3)의 앞쪽으로 이송되며, 그리고 리프팅 브리지(22)는 걸림 고정된 컨테이너(4)와 함께 신축 이동 방식의 수평 취급 과정을 위해 포지셔닝된다. 이제 컨테이너(4)는 외부 및 내부 신축식 푸시 암(47, 48)의 맞물림 해제를 통해 자체의 세로 측면(11)이 앞으로 향하게 하여 랙 구획(3) 내로 신축 이동되며, 그리고 그 해당 위치에서 리프팅 브리지(22)의 하강을 통해 귀퉁이 지점 지지대(5)들 상으로 내려 놓일 수 있다.
트위스트 잠금 볼트(59, 60)의 잠금 해제를 통해 컨테이너(4)의 잠금 고정이 해제된 후에, 외부 및 내부 신축식 푸시 암(47, 48)들은 상승되며, 그리고 랙 및 피니언 구동 장치(53, 54)들을 통해 리프팅 브리지(22) 하부의 자체의 복귀되는 출발 위치로 이동되며, 그럼으로써 입출고 장치(7)는 새로운 입고 또는 출고 과정을 위한 준비 상태가 된다.
입출고 장치(7)를 이용하여 저장 모듈(2)의 랙 구획(3)으로부터 컨테이너(4, 34)를 출고하고, 그런 다음 컨테이너(4, 34)가 고층 입체 창고(1)의 후방 전면(9) 쪽으로 이동되는 경우, 전자동으로 제어되는 이동, 승강 및 신축 이동뿐 아니라 잠금 고정 이동은 전술한 입고 방법의 순서와 반대로 수행된다.
1: 고층 입체 창고
2: 저장 모듈
3: 랙 구획
4: 컨테이너(40 FEU)
5: 귀퉁이 지점 지지대
6: 이동 통로
7: 입출고 장치
8: 전방 전면
9: 후방 전면
10: 운반 차량
11: 세로 측면
12: 수직 스탠드
13: 헤드 빔
14: 베이스 빔
15: 프레임
16: 랙 및 피니언 구동 장치
17: 피니언 기어
18: 단부 영역
19: 랙
20: 바닥부
21: 가이드
22: 리프팅 브리지
23: 리프팅 장치
24: 측면 스탠드
25: 포크 단부
26: 포크 단부
27: 종방향 스파
28: 종방향 스파
29: 베이스 스트럿
30: 베이스 스트럿
31: 양방향 화살표
32: 케이블 드럼
33: 편향 풀리
34: 컨테이너(20 TEU)
35: 신축식 홀더
36: 신축식 홀더
37: 신축식 홀더
38: 신축식 홀더
39: 기본 하우징
40: 신축식 홀더
41: 신축식 홀더
42: 선형 가이드
43: 양방향 화살표
44: 기본 하우징
45: 베어링 또는 지지 브래킷
46: 이중 롤러
47; 외부 신축식 푸시 암
48: 내부 신축식 푸시 암
49: 외부 가이드 프로파일
50: 가이드 롤러
51: 가이드 롤러
52: 내부 가이드 프로파일
53: 랙 및 피니언 구동 장치
54: 랙 및 피니언 구동 장치
55: 랙
56: 피니언
57: 랙
58: 피니언
59: 트위스트 잠금 볼트
60: 트위스트 잠금 볼트
61: 스테이지 구조

Claims (17)

  1. 환승 설비의 고층 입체 창고(1)에서 컨테이너(4, 34)들을 입고 및 출고하거나, 또는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컨테이너(4, 34)들은 저장 모듈(2)들 내에 다층식으로 배치되는 고층 입체 창고(1)의 랙 구획(3)들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통로(6)들에서 이송 가능한 입출고 장치(7)들에 의해 운반될 뿐 아니라 적층 및 인출되거나, 또는 이동되고, 컨테이너(4, 34)들은, 상승 및 하강될 뿐 아니라 측면에서 입출고 장치(7)로부터 랙 구획(3) 내로까지 인입될 수 있으면서 그 반대로도 인출될 수 있는 입출고 장치(7)의 화물 홀딩 수단들에 의해, 자체의 세로 측면(11)들이 앞으로 향하게 하여, 운반 위치로부터 랙 구획(3)들 내로 입고되거나, 또는 그 랙 구획들로부터 인출되어 입출고 장치(7) 내 운반 위치 내로 다시 이송되는,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4, 34)들은 신축식 홀더(35 ~ 38; 40, 41)들로 인계되고, 이 신축식 홀더들은 컨테이너(4, 34)와 함께 신축 이동 방식의 인입 또는 인출을 통해 점차로 수평으로 변위되고,
    상기 컨테이너(4, 34)들은 상기 랙 구획(3)들을 범위 한정하는 상기 저장 모듈(2)들의 수직 지주대들 상에 배치된 귀퉁이 지점 지지대들(5)에 의해 컨테이너들의 귀퉁이 지점들에서만 지지되는 방식으로 상기 랙 구획(3)들 내로 입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4, 34)들은 입고 또는 출고를 위해 상기 신축식 홀더(35 ~ 38; 40, 41)들에 의해 걸림 고정 방식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상기 고층 입체 창고(1)의 인입 단부(8)에서 상기 컨테이너(4, 34)들은 자체의 종축이 상기 고층 입체 창고(1)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식으로 이동 통로(6)들 옆의 측면으로 공급되고,
    - 그런 다음, 상기 통로(6)에서 이송 가능한 상기 입출고 장치(7)가 수용할 컨테이너(4, 34)의 앞으로까지 이송되어 걸림 고정 위치에서 자체의 히칭 지점들을 통해 잠금 고정된 컨테이너(4, 34)를 인계받으며, 이를 위해, 취급 이동을 통해 이동 통로(6)에 대해 직각으로 상기 입출고 장치(7)로부터 잠금 고정 수단(59, 60)들을 구비한 신축식 홀더(35 ~ 38; 40, 41)들이 컨테이너 히칭 지점들의 위에까지 인출되어 그 위쪽으로 하강되고,
    - 잠금 고정 후에 상기 신축식 홀더(35 ~ 38; 40, 41)들은 걸림 고정된 컨테이너(4, 34)와 함께 상승되고, 반대 방향의 취급 이동을 통해서는, 상기 컨테이너(4, 34)가 입출고 장치(7) 내에서 평면에서 상기 이동 통로(6)와 동일 평면에 놓이는 각각의 걸림 고정 위치 및 운반 위치를 취할 때까지, 상기 입출고 장치(7) 내로 다시 인입되고,
    - 그런 다음, 상기 입출고 장치(7)는 상기 이동 통로(6)에서 할당되는 랙 구획(3)의 앞쪽으로 이송되며, 그리고 상기 랙 구획(3)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층에 위치된다면, 상기 신축식 홀더(35 ~ 38; 40, 41)들은 수직 상승되고,
    - 상기와 같이 사전 포지셔닝된 컨테이너(4, 34)는 상기 신축식 홀더(35 ~ 38; 40, 41)들의 취급 이동을 통해 이동 통로(6)에 대해 직각으로 상기 랙 구획(3) 내로 삽입되고,
    - 결과적으로 상기 컨테이너(4, 34)는, 자체의 컨테이너 귀퉁이 영역들로, 상기 랙 구획(3)들을 범위 한정하는 상기 저장 모듈(2)들의 수직 지주대들 상에 배치된 귀퉁이 지점 지지대들(5) 상으로 내려 놓이며, 그리고
    - 상기 컨테이너(4, 34)의 잠금 해제 후에, 상기 신축식 홀더(35 ~ 38; 40, 41)들은 상승되어 자체의 복귀되는 출발 위치로 이동되는 정도로
    수행되는 입고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방법.
  4. 환승 설비의 고층 입체 창고(1)에서 컨테이너(4, 34)들을 입고 및 출고하거나, 또는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컨테이너(4, 34)들은 저장 모듈(2)들 내에 다층식으로 배치되는 고층 입체 창고(1)의 랙 구획(3)들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통로(6)들에서 이송 가능한 입출고 장치(7)들에 의해 운반될 뿐 아니라 입고 및 출고되거나, 또는 이동되고,
    상기 고층 입체 창고(1)는, 상기 컨테이너(4, 34)들의 세로 측 입고를 위해, 종방향으로 통로 측면을 따라서 서로 나란히 늘어서 있고 폭 방향으로는 각각 통로(6)를 통해 분리되어 연속되는 다층식이면서 수직으로는 복수의 랙 구획(3)을 포함하고 깊이는 컨테이너 폭에 상응하는 임의의 많은 수의 저장 모듈(2)로 구성되고, 상기 통로(6)들에서 이송 가능한 입출고 장치(7)들을 포함하는,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 장치(7)들은 실질적으로 컨테이너 폭에 상응하는 최대한 넓은 윤곽을 보유하며, 그리고 컨테이너(4, 34)의 수용을 위해 신축식 홀더(35 ~ 38; 40, 41)들을 구비하여 형성되며, 상기 신축식 홀더들은 통로(6)에 대해 직각으로 상기 컨테이너(4, 34)와 함께 신축 이동 방식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것을 통해 맞물리고 맞물림 해제될 수 있고,
    상기 컨테이너(4, 34)들은 상기 랙 구획(3)들을 범위 한정하는 상기 저장 모듈(2)들의 수직 지주대들 상에 배치된 귀퉁이 지점 지지대들(5)에 의해 컨테이너들의 귀퉁이 지점들에서만 지지되는 방식으로 상기 랙 구획(3)들 내로 입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바닥 이동용 입출고 장치(7)는, 수직 스탠드(12)들과 이 수직 스탠드들을 서로 연결하는 헤드 및 베이스 빔(13, 14)들로 구성되고 다층식 고층 입체 창고(1)에 상응하는 높이를 갖는 프레임(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빔(14)들 내에는 입출고 장치(7)를 바닥에서 이송하기 위한 이동 구동 장치(16)가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스탠드(12)들의 가이드(21)들 내에서는 리프팅 장치(23)가 이동하고, 이 리프팅 장치는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포크 또는 y자 유형으로 확장되는 측면 스탠드(24)들과, 각각 대향하는 두 포크 단부(25, 26) 상에서 상기 측면 스탠드들을 서로 연결하여 프레임을 형성하면서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는 종방향 스파(27, 28)들로 구성되고, 상기 리프팅 장치(23)의 보강을 위해, 상기 종방향 스파(27, 28)들의 하부에는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는 스트럿(29, 30)들이 제공되며, 이 스트럿들은 각각 일측 측면 스탠드(24)의 베이스 단부로부터 타측 측면 스탠드(24)의 베이스 단부 쪽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23)의 상승 또는 하강은, 케이블, 케이블 드럼(32), 편향 풀리(33)들, 리프팅 모터 및 리프팅 기어로 구성되는 케이블 제어 장치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컨테이너(4, 34)의 수용을 위한 상기 리프팅 장치(23)의 길이는 현존하는 가장 긴 컨테이너 길이에 따라 설계되고 측면 스탠드들의 대칭 폭은 표준화된 컨테이너 폭에 따라서 설계되며, 그럼으로써 리프팅 장치(23)의 최대 외부 윤곽은 컨테이너(4, 34)의 외부 윤곽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23)의 종방향 스파(27, 28)들 상에는 이 종방향 스파들의 이격 간격을 연결하면서 최소의 컨테이너 길이에 상응하게 서로 이격되는 방식으로 2개의 고정된 신축식 홀더(35, 36)가 배치되며, 그리고 최대의 컨테이너 길이에 상응하게 서로 이격되는 방식으로 2개의 추가의 고정된 신축식 홀더(37, 38)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된 신축식 홀더(35 ~ 38)들은 자체의 기본 하우징(39)으로 종방향 스파(27, 28)들의 하면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스파(27, 28)들의 서로 향해 있는 내면들 상에는 선형 가이드(42)들이 제공되며, 이 선형 가이드들 내에서는 2개의 신축식 홀더(40, 41)가 이송될 수 있으면서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이격되는 이동을 통해 각각의 컨테이너(4, 34)의 길이에 상응하게 포지셔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이송 가능한 신축식 홀더(40, 41)들은 자체의 기본 하우징(44) 상에서 베어링 브래킷 또는 지지 브래킷(45)들 내에 위로 향해 배치되는 롤러(46)들로 상기 종방향 스파(27, 28)들의 선형 가이드(42)들 내에서 구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선형 가이드(42)를 위해 기본 하우징(44)의 측면들에 각각 2개의 이중 롤러(46)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된 신축식 홀더(35 ~ 38)들의 기본 하우징(39)뿐만 아니라, 이송 가능한 신축식 홀더(40, 41)들의 기본 하우징(44) 역시도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신축식 푸시 암(47, 48)들을 수용하며, 외부 신축식 푸시 암(47)은 양측의 외부 가이드 프로파일(49)들로 상기 기본 하우징(39, 44)의 가이드 롤러(50)들 상에서 이동하고 내부 신축식 푸시 암(48)은 양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롤러(51)들로 상기 외부 신축식 푸시 암(47)의 내부 가이드 프로파일(52)들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식 푸시 암(47, 48)들을 이송시키기 위해 랙 및 피니언 구동 장치(53, 54)들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식 푸시 암(47, 48)들은, 컨테이너(4, 34)의 세로 측 입고의 방향으로 볼 때, 상기 내부 신축식 푸시 암(48) 상에 배치되는 전방의 잠금 고정 수단(59) 및 상기 외부 신축식 푸시 암(47) 상에 배치되는 후방의 잠금 고정 수단(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장치.
KR1020237021976A 2014-02-19 2015-01-19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이동 방법 및 그 장치 KR202301067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03006.4 2014-02-19
DE102014203006 2014-02-19
KR1020217021138A KR20210088751A (ko) 2014-02-19 2015-01-19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방법 및 그 장치
PCT/EP2015/050871 WO2015124342A1 (de) 2014-02-19 2015-01-19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 und auslagern oder umlagern von containern in hochregallager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1138A Division KR20210088751A (ko) 2014-02-19 2015-01-19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717A true KR20230106717A (ko) 2023-07-13

Family

ID=5235499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914A KR20190040086A (ko) 2014-02-19 2015-01-19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17021138A KR20210088751A (ko) 2014-02-19 2015-01-19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67018398A KR20160110951A (ko) 2014-02-19 2015-01-19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37021976A KR20230106717A (ko) 2014-02-19 2015-01-19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이동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914A KR20190040086A (ko) 2014-02-19 2015-01-19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17021138A KR20210088751A (ko) 2014-02-19 2015-01-19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67018398A KR20160110951A (ko) 2014-02-19 2015-01-19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20160347543A1 (ko)
EP (1) EP3107860B1 (ko)
JP (1) JP6771384B2 (ko)
KR (4) KR20190040086A (ko)
CN (2) CN105980289B (ko)
AU (1) AU2015221138B2 (ko)
CA (1) CA2932890C (ko)
CR (1) CR20160385A (ko)
DK (1) DK3107860T3 (ko)
ES (1) ES2781570T3 (ko)
IL (1) IL246977B (ko)
LT (1) LT3107860T (ko)
MX (1) MX2016010694A (ko)
MY (1) MY187903A (ko)
NI (1) NI201600111A (ko)
NZ (1) NZ720884A (ko)
PL (1) PL3107860T3 (ko)
PT (1) PT3107860T (ko)
SA (1) SA516371421B1 (ko)
SG (1) SG11201606894UA (ko)
TW (1) TWI625290B (ko)
WO (1) WO20151243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7061B2 (ja) * 2014-09-02 2019-10-30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TWI777945B (zh) 2016-03-15 2022-09-21 德商阿莫瓦有限公司 用於在高架倉庫中貯存和獲取或者重排貯存品的運輸和轉移系統
CN109071192B (zh) 2016-06-23 2020-11-10 阿莫瓦有限公司 具有用于将货物储存及出仓或转仓而设置的储存及出仓单元的高架仓库
CN106115569A (zh) * 2016-08-31 2016-11-16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三维移载装置
CN106241169B (zh) * 2016-09-22 2018-06-29 三峡大学 一种仓储装置及其操作方法
CN108016797A (zh) * 2016-10-31 2018-05-11 富鼎电子科技(嘉善)有限公司 智能仓库
CN106697707A (zh) * 2016-12-09 2017-05-24 贵州西南工具(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仓储设备及仓储方法
JP2018154448A (ja) * 2017-03-17 2018-10-04 株式会社東芝 物品取扱装置
CN106865245B (zh) * 2017-03-23 2018-12-25 江苏大学 一种自动换筐搬运机器人及控制方法
US10703563B2 (en) * 2017-11-10 2020-07-0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tocker
DE102018205933A1 (de) * 2018-04-18 2019-10-24 Amova Gmbh Teleskopaufnahme zum Verlagern von Containern in Hochregallagern
DE102019101310B4 (de) * 2019-01-18 2021-01-14 Andreas Klasen Ladebrücke und Verfahren zum Umladen einer Ladung zwischen zwei voneinander beabstandeten Depots
CN109987557B (zh) * 2019-04-16 2020-11-06 李传聪 一种货架取料装置
CN110127509B (zh) * 2019-05-27 2020-03-10 山东大学 一种大型砌块吊装装置及使用方法
CN110203604B (zh) * 2019-08-02 2019-10-29 湖南海纳赋能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机械手操作的储存柜
CN110654764B (zh) * 2019-10-17 2021-01-08 郑州航空工业管理学院 一种电子商务储货架
CN112093645B (zh) * 2020-10-13 2022-06-10 中源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家居产品用智能仓储系统堆垛方法及设备
CN113581770B (zh) * 2021-07-23 2023-07-07 南京迪安麒智科技有限公司 一种大型医院高层病房专用送药装置
DE102022117327A1 (de) 2022-07-12 2024-01-18 Amova Gmbh Hochregallager für Leer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0402A (en) * 1968-03-29 1971-12-28 Kaiser Ind Corp Crane for handling containers
DE2437208C3 (de) * 1974-08-02 1979-07-19 Mannesmann Ag, 4000 Duesseldorf Regalförderzeug für Frachtbehälter-Hochlager
JPS5136886U (ko) * 1975-06-18 1976-03-18
JPS5598033A (en) * 1979-01-16 1980-07-2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Container lift
US4331419A (en) * 1980-04-21 1982-05-25 Scott S. Corbett, Jr. Storage system for cargo container trailers
ES2020758A6 (es) * 1990-02-08 1991-09-16 Balzola Elorza Martin Msnipulador automatico para lamacenes.
JPH05124713A (ja) * 1991-11-01 1993-05-21 Yamazaki Mazak Corp クレーンロボツト
CA2096703A1 (en) * 1993-04-02 1994-10-03 Kurt M. Lloyd Automati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DE9321200U1 (de) * 1993-04-05 1996-07-25 Preussag Noell Gmbh Schnellumschlagterminal
JP3246642B2 (ja) * 1994-05-16 2002-01-15 特種製紙株式会社 段積みしたシート状包装体の自動ピッキング方法及び装置
WO1998035892A1 (en) * 1997-02-18 1998-08-20 Transact International Inc. Marine cargo container overhead handling and storage
JP2001335116A (ja) * 2000-05-25 2001-12-0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ンテナ貯蔵装置
US20060182552A1 (en) * 2005-01-24 2006-08-17 Jiang Qi F Warehousing system
KR100614495B1 (ko) * 2005-11-07 2006-08-22 박영찬 이지 자동 콘테이너 적재 창고
CN101793101A (zh) * 2007-09-21 2010-08-04 臧杰 快速组合自动存取立体仓储货架仓库暨立体停车库
JP2009113898A (ja) * 2007-11-05 2009-05-28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スライドフォーク装置
DE102008007860A1 (de) * 2008-02-06 2009-10-22 Meier und Söhne GbR (vertretungsberechtigter Gesellschafter: Norbert Meier, 30916 Isernhagen) Container Transport- und Übergabesystem für die Lagerung von Containern in Hochrega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25290B (zh) 2018-06-01
KR20190040086A (ko) 2019-04-16
JP6771384B2 (ja) 2020-10-21
EP3107860A1 (de) 2016-12-28
MX2016010694A (es) 2016-11-23
KR20160110951A (ko) 2016-09-23
US20160347543A1 (en) 2016-12-01
SG11201606894UA (en) 2016-09-29
KR20210088751A (ko) 2021-07-14
JP2017509561A (ja) 2017-04-06
MY187903A (en) 2021-10-27
NZ720884A (en) 2018-11-30
PL3107860T3 (pl) 2020-08-24
CN105980289B (zh) 2019-08-06
AU2015221138A1 (en) 2016-07-14
SA516371421B1 (ar) 2020-09-16
EP3107860B1 (de) 2020-03-04
DK3107860T3 (da) 2020-06-02
WO2015124342A1 (de) 2015-08-27
CN105980289A (zh) 2016-09-28
CA2932890C (en) 2021-05-04
CR20160385A (es) 2016-10-04
TW201532928A (zh) 2015-09-01
NI201600111A (es) 2016-09-19
CN204453515U (zh) 2015-07-08
AU2015221138B2 (en) 2019-12-19
IL246977B (en) 2021-03-25
IL246977A0 (en) 2016-09-29
LT3107860T (lt) 2020-04-27
PT3107860T (pt) 2020-05-20
ES2781570T3 (es) 2020-09-03
CA2932890A1 (en) 2015-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06717A (ko)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이동 방법 및 그 장치
KR102226698B1 (ko) 고층 입체 창고에서 보관품목을 입고 및 출고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및 인도 시스템, 그리고 입출고 장치
WO2019007318A1 (zh) 集装箱扭锁自动拆装系统
TWI601679B (zh) 用於將貨櫃倉庫的貨櫃入倉及出倉的方法及貨櫃-轉運設施
US20070065258A1 (en) 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 with load transfer vehicles
KR102549240B1 (ko) 고층 입체 창고 내에서 컨테이너 이동을 위한 신축식 홀더
US20120321418A1 (en) Device for Coning and/or Deconing a Container and Methods Related Thereto
CN107381083B (zh) 一种港口冷链运输系统
CN207645377U (zh) 一种港口冷链运输系统
US11273984B2 (en) Storing, retrieving or moving containers in a high-bay warehouse
JP3921285B2 (ja) コンテナ用立体自動倉庫
CN218113859U (zh) 立体仓库系统
CN115744018A (zh) 穿梭车以及多穿立库存取系统
JPH1037511A (ja) コンテナ用シャーシ貯蔵装置
CN117957178A (en) Container buffer assembl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related methods
JPH10140871A (ja) コンテナ用シャーシ貯蔵装置
JP2000327109A (ja) 自動倉庫出庫口における物品仮受け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10220059A (ja) コンテナ用シャーシ貯蔵装置
JPH0585609A (ja) パレツト台車式立体自動倉庫
JPH10220058A (ja) コンテナ用シャーシ貯蔵装置
JPH10129807A (ja) コンテナ用シャーシ貯蔵装置
JPH10153010A (ja) コンテナ用シャーシ貯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